[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53067B1 -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067B1
KR100953067B1 KR1020090063029A KR20090063029A KR100953067B1 KR 100953067 B1 KR100953067 B1 KR 100953067B1 KR 1020090063029 A KR1020090063029 A KR 1020090063029A KR 20090063029 A KR20090063029 A KR 20090063029A KR 100953067 B1 KR100953067 B1 KR 10095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ssenger
subway train
subway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844A (ko
Inventor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조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현 filed Critical 조재현
Priority to KR102009006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0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0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61K13/04Passenger-warning devices attached to vehicles;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accidents to passengers when entering or leav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전철 등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제어시스템과 지하철의 실내 냉난방에 사용되는 전기에너지 절감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횟수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전동차 실내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과제에 있다. 전동차 내 모든 출입문은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에 관계없이 모두 동시개폐(1역 1량 4문)되는 점을 개선하여 승객의 승하차 요구 시에만 해당문만이 개폐의 동작을 수행하고 승객의 요구가 없을 때에는 개폐되지 않음으로써 전동차 내 실내 온도를 최대 유지하여 전동차 출입문 개폐에 의한 실내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려고 한다. 출입문 개폐의 횟수에 따른 에너지 절감과 전동차 내 실내 온도유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실내온도 유지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대량 절감할 수 있다.
지하철, 전동차, 적외선센서, 터치 센서, 표시등

Description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SUBWAY DOOR}
본 발명은 지하철 전동차 내 실내온도 유지를 위한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전동차 출입문의 동작 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의 수단인 지하철은 전동차 내 실내온도 유지를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전동차 내 실내온도 유지를 위해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전 구간에 걸쳐 역마다 정차시 승하차 출입문은 승무원에 의해 출입문 전체가 동시개폐(1역 1량 4문)된다. 이용객의 수가 많은 대상시간과 해당 역(예: 환승역, 밀집지역)에서는 전동차의 출입문이 전부 동시개폐되는 것이 효율적이나 대상시간과 해당 역을 제외하고는 전동차의 출입문이 전부 개폐되는 것이 비효율적이다. 전동차문의 개폐는 전동차 내 실내 온도변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온도유지를 위한 에너지 변화가 가장 심하다. 또한, 승하차 이용객이 없는 출입문조차 모두 자동개폐 되에 실내온도 유지를 위한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다. 따라서, 전동차 내의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은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만지면 하차승객 감지신호를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터치센서(touch sensor)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서 지하철 승강장으로 하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철 전동차의 정차 시 상기 출입문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승차 승객 감지신호를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로 승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하차승객 감지신호 및 상기 승차승객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수신되고 상기 지하철 전동차가 상기 승강장에 정차하면 상기 출입문을 여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하철이 승강장에 정차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동작은 열차내 실내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지하철은 운행중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승하차시 발생하는 온도 변화에는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온도를 유지하려한다. 일반적으로 출퇴근시, 승객밀집역사, 환승역에서는 많은 승객의 이동이 있으므로 열차내 모든문이 동시 열림과 닫임의 동작을 수행하는것이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대상을 제외한 역사에서는 열차내 모든문이 동시 열림과 닫임의 동작을 수행하는것이 효율적이다 할수 없다고 사례된다. 승하차승객이 없음에도 동작하는 출입문의 동작횟수(1역 1량 4문)와 그에 따른 열차내 실내온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려고 많은 에너지 소모를 요구한다고 사례된다. 승하차할 승객을 감지하고 이를 적용해 지하철의 출입문을 개폐함으로써 열차내 온도유지를 위한 에너지의 절감은 물론이고 운행중 승객들에게도 열차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더욱 쾌적하며 질 좋은 승차감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승강장에서 지하철에 승차하기 위한 전동차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객은 승강장에 대기 중 지하철이 곧 도착한다는 알림 방송을 받고 출입문 쪽으로 다가오며 이때 출입문 앞에 이르러 바닥의 노란색 정지선(13) 앞에 멈추어 선다. 승객이 대기하는 노란색 정지선(13)을 기준으로 승강장의 천정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승차감지 적외선 센서(10a,10b)를 설치하고, 천정의 하단부에는 지하철 문의 개폐를 알리는 표시등(11a,12a)을 설치한다. 적외선 센서(10a)가 대기중인 승객을 감지하면 표시등(12a)은 점등되어 깜박이며 출입문이 열릴 것을 알린다. 지정된 문(36a)은 지하철이 정차하면 열린다. 승차감지센서(10b)는 승차 목적의 대기중인 승객이 없음을 감지하고 출입문 표시등(11b,12b)은 동작하지 않으며 점멸된 상태로 출입(36b)문이 열리지 않음을 알린다. 지정된 문(36b)은 지하철이 정차하면 열리지 않는다.
도 2는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기 위한 전동차 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는 경우, 전동차 문이 열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는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지 않는 경우, 전동차 문이 열리지 않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승객은 하차할 역의 도착을 알리는 방송을 듣고 하차할 쪽의 문으로 다가오며 출입문 양쪽의 문 앞에 대기한다. 하차할 승객이 출입문 양쪽의 안전지지대(도 3의 24)에 설치된 터치센서(25,28)을 손으로 잡으면 터치센서(25, 28)는 하차 신호를 출입문 개별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전동차를 조작하는 승무원이 위치한 승무원 운전반에 위치한 출입문 신호 송수신부로 전송한다.
터치센서(25,28)는 안전지지대(도 3의 24)와 다른 색깔을 표시해 안전지지대(도 3의 24)의 손잡이 높이에다 설치한다. 출입문 상단에는 손으로 잡은 안전지지대(도 3의 24)의 터치센서(25, 28)를 통해 하차 신호가 전달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등(도 3의 22)을 설치한다. 승객이 도착역의 방송을 듣고 출입문 앞에 서서 안전지지대(24)를 잡고 대기하면 표시등(도 2의 15, 도 3의 22)은 출입문이 열림을 점등으로 표시하며 승객은 대기후 문이 개폐되면 하차하면 된다. 안전지지대(도 3의 32)의 터치센서(33, 35)에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즉, 하차하기 위한 승객이 없는 경우) 출입문 상단의 표시등(도 2의 16, 도 4의 31)은 점멸되어 문이 열리지 않음을 표시한다.
도 5는 승객이 승강장에서 지하철 전동차로 승차하는 경우 수행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장 내에 열차도착 안내 방송이 나오면(S10) 승객들은 승차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S11). 승강장 천정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 센서가 작동하면(S12) 승차승객 감지신호를 송출한다(S13). 그 후, 승강장에 설치된 표시등에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다는 신호가 점등된다(S14, S15). 지하철이 승강장 내에 도착하면(S16) 출입문이 열리고(S17) 승객들의 승하차가 완료되면(S18) 표시등은 점멸한다(S19). 그리고 출입문이 닫힌다(S20).
승강장 천정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승차승객 무감지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S21) 그 후, 승강장에 설치된 표시등에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는 신호가 점등된다(S22, S23). 지하철이 승강장에 도착하면(S24) 표시등은 점멸하며(S25) 출입문은 열리지 않는다(S26).
도 6은 승객이 지하철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는 경우 수행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장으로 열차가 도착한다는 안내 방송이 나오면(S30) 승객들은 전동차 내에서 하차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S31). 이 과정에서 안전 지지대 등에 설치된 터치 센서를 승객이 만지는 등의 이유로 터치 센서가 작동하면(S32) 하차승객 감지신호를 송출한다(S33). 그 후,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표시등에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다는 신호가 점등된다(S34, S35). 지하철이 승강장 내에 도착하면(S36) 출입문이 열리고(S37) 승객들의 승하차가 완료되면(S38) 표시등은 점멸한다(S39). 그리고 출입문이 닫힌다(S40).
안전 지지대 등에 설치된 터치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하차승객 무감지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S41) 그 후,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표시등에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는 신호가 점등된다(S42, S43). 지하철이 승강장에 도착하면(S44) 표시등은 점멸하며(S45) 출입문은 열리지 않고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S46).
도 7은 지하철 출입문과 승강장 및 승무원 운전석 간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전동차에 4개의 출입문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하에서 상기 4개의 출입문 중 제1 출입문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제2 내지 제 4 출입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승차 승객 감지신호는 적외선 (감지)센서(71)에서 생성되어 제1 출입문 개별신호 송수신부(73)를 통해 승무원 운전석에 위치한 출입문 신호 송수신부(78)로 전송된다. 제1 출입문의 현재상태는 승무원 운전석에 위치한 출입문 표시상태 제어부(75)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승무원은 출입문 표시상태 제어부(75)에 표시된 바를 보고 출입문 동작 제어부(76)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입력한다. 출입문 개폐신호는 출입문 중앙 제어부(77)로 입력되고 다시 출입문 신호 송수신부(78)를 통해 제1 출입문 개별동작 제어부(73)로 전송된다. 제1 출입문 개별동작 제어부(74)는 전달받은 출입문 개폐신호에 따라 제1 출입문을 열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하차 승객 감지신호는 터치 (감지)센서(72)에 의해 생성되어 제1 출입문 개별신호 송수신부(73)를 통해 승무원 운전석에 위치한 출입문 신호 송수신부(78)로 전송된다. 제1 출입문의 현재상태는 출입문 표시상태 제어부(75)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승무원은 출입문 표시상태 제어부(75)에 표시된 바를 보고 출입문 동작 제어부(76)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신호를 입력한다. 출입문 개폐신호는 출입문 중앙 제어부(77)로 입력되고 다시 출입문 신호 송수신부(78)를 통해 제1 출입문 개별동작 제어부(74)로 전송된다. 제1 출입문 개별동작 제어부(74)는 전달받은 출입문 개폐신호에 따라 제1 출입문을 열거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삭제
도 1은 승강장에서 지하철에 승차하기 위한 전동차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낸다.
도 2는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기 위한 전동차 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는 경우, 전동차 문이 열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는 승객이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지 않는 경우, 전동차 문이 열리지 않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승객이 승강장에서 지하철 전동차로 승차하는 경우 수행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승객이 지하철 전동차에서 승강장으로 하차하는 경우 수행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지하철 출입문과 승강장 및 승무원 운전석 간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Claims (7)

  1.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만지면 하차승객 감지신호를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서 지하철 승강장으로 하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철 전동차의 정차 시 상기 출입문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승차 승객 감지신호를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로 승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하차승객 감지신호 및 상기 승차승객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수신되고 상기 지하철 전동차가 상기 승강장에 정차하면 상기 출입문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하차할 승객이 존재하면 상기 출입문이 열림을 알리는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승차할 승객이 존재하면 상기 출입문이 열림을 알리는 상기 승강장에 설치된 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4.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 설치되어, 만지면 하차승객 감지신호를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서 지하철 승강장으로 하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하차승객 감지신호가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수신되고 상기 지하철 전동차가 상기 승강장에 정차하면 상기 출입문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하차할 승객이 존재하면 상기 출입문이 열림을 알리는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에 설치된 표시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6.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지하철 승강장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철 전동차의 정차 시 상기 출입문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승차승객 감지신호를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송출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의 작동 여부로부터 상기 지하철 전동차 내부로 승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승차승객 감지신호가 상기 출입문 동작 제어부로 수신되고 상기 지하철 전동차가 상기 승강장에 정차하면 상기 출입문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할 승객의 존부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승차할 승객이 존재하면 상기 출입문이 열림을 알리는 상기 승강장에 설치된 표시등을 점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KR1020090063029A 2009-07-10 2009-07-10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9A KR100953067B1 (ko) 2009-07-10 2009-07-10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029A KR100953067B1 (ko) 2009-07-10 2009-07-10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99U Division KR20070001131U (ko) 2007-10-08 2007-10-08 지하철출입문 개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44A KR20090087844A (ko) 2009-08-18
KR100953067B1 true KR100953067B1 (ko) 2010-04-13

Family

ID=4120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067B1 (ko) 2009-07-10 2009-07-10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0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739B1 (ko) 2010-05-17 2012-08-14 흥일기업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의 일괄 및 개별 동작 제어 시스템
CN105228878A (zh) * 2013-05-20 2016-01-06 三菱电机株式会社 列车信息管理装置及列车乘务员协助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1207A (ja) * 2012-09-07 2014-03-20 Hitachi Ltd 車両の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
CN107444418A (zh) * 2017-07-26 2017-12-08 南通苏通人防防护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广告效应的信号提醒地铁门
JP7046574B2 (ja) * 2017-11-27 2022-04-04 株式会社総合車両製作所 鉄道車両
CN112566303A (zh) * 2020-12-31 2021-03-2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三研究所 一种新型站台门多功能指示灯
CN114506349B (zh) * 2022-02-03 2025-01-24 株洲九通路用装备实业有限公司 一种能导流的地铁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60Y1 (ko) 2004-01-09 2004-04-14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표시등을 가지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KR20040087476A (ko) * 2003-04-08 2004-10-14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60020061A (ko) * 2004-08-30 2006-03-06 권현옥 감지 장치를 구비한 지하철 안전선
KR20070084905A (ko) * 2006-02-22 2007-08-27 김병문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76A (ko) * 2003-04-08 2004-10-14 박우현 열차 승강장 안전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347560Y1 (ko) 2004-01-09 2004-04-14 주식회사 유진메트로컴 표시등을 가지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장치
KR20060020061A (ko) * 2004-08-30 2006-03-06 권현옥 감지 장치를 구비한 지하철 안전선
KR20070084905A (ko) * 2006-02-22 2007-08-27 김병문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739B1 (ko) 2010-05-17 2012-08-14 흥일기업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의 일괄 및 개별 동작 제어 시스템
CN105228878A (zh) * 2013-05-20 2016-01-06 三菱电机株式会社 列车信息管理装置及列车乘务员协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44A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067B1 (ko) 지하철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
EP3106416B1 (en) 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26638B1 (ko) 차량의 차량 측 도어 및 대응하는 플랫폼 가이딩 시스템, 특히 플랫폼 스크린 도어를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878221B2 (ja) 大量交通システムのための個人案内システム
EP2738060A1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CN111874023A (zh) 轨道交通车辆、轨道交通车辆车门控制方法及系统
JP2007326442A (ja) 循環式索道の閉鎖型搬器
JP6649663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11762205A (zh) 用于显示车辆乘客分布的全高站台门候车引导系统及方法
CN106044419A (zh) 自动进出电梯的系统及方法
CN110616983A (zh) 车门开关控制方法及城市轨道交通车辆
JP2012001289A (ja) エレベータ遠隔操作の制御システム
KR101917291B1 (ko) 승강장 분산 시스템
KR20200074776A (ko) 어린이 등원 차량용 탑승자 차내 방치 방지장치
KR20210076789A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AU2004321090B2 (en) Conveyor passenger interface system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US20230159064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JP2002109689A (ja) バス乗車支援システム
KR101890893B1 (ko)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686710B1 (ko) 승객운송수단과 연동하는 에스컬레이터 자동운전 시스템
KR20060054908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2243337U (zh) 用于显示车辆乘客分布的全高站台门候车引导系统
JP2010058898A (ja) エスカレ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20190072756A (ko) 지하철 혼잡도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6 Converted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PA0106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PA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604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4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