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6120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120B1
KR100946120B1 KR1020070122617A KR20070122617A KR100946120B1 KR 100946120 B1 KR100946120 B1 KR 100946120B1 KR 1020070122617 A KR1020070122617 A KR 1020070122617A KR 20070122617 A KR20070122617 A KR 20070122617A KR 100946120 B1 KR100946120 B1 KR 10094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ano
grain
floating gat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794A (ko
Inventor
오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2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20B1/ko
Priority to US12/133,775 priority patent/US7998814B2/en
Publication of KR20090055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29Concurrent filling of a plurality of trenches having a different trench shape or dimension, e.g. rectangular and V-shaped trenches, wide and narrow trenches, shallow and deep trench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1Floating-gate IGFETs having only two programming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6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 H10D64/68Electrodes having a conductor capacitively coupled to a semiconductor by an insulator, e.g. MIS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or, e.g. by the gate ins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절연막, 제1 나노 그레인막,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및 제2 나노 그레인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나노 그레인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상기 제1 나노 그레인막,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의 상기 터널 절연막의 높이까지 절연막을 채워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의 측벽에 제3 나노 그레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나도 그레인, 플로팅 게이트, 셀 분포, 멀티 레벨 셀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 분포를 개선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 중 플래시 메모리 셀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용 도전층, 유전체막,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용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층에 전자를 주입하거나 빼냄으로써 프로그램 및 소거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터널 산화막(11) 및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막(12)을 형성하고, 이를 선택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10)의 소자 분 리 영역을 노출시킨 다음, 노출된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함으로써 트렌치(13)를 형성한다. 이어 트렌치(13)를 절연막으로 채워 소자 분리막(14)을 형성한다.
이 후 도시 되지 않았지만 소자 분리막(14)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형성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램 동작시 각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문턱 전압이 차이가 나게 되어 일정 분포를 이루게 된다. 이는 플로팅 게이트 주변의 절연막들 내부에 포함된 트랩(trap)에 기인한다. 이러한 트랩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과 절연막의 경계에서 다결정 실리콘의 그레인이 불균일하여 발생하며, 이는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에 이온 주입된 인(P)이 그레인 크기가 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과 절연막의 경계영역에 다량 분포되어 터널 산화막 등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과 접촉되는 절연막의 특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메모리 셀이 프로그램 문턱 전압 분포가 넓어지게 되면 소자의 특성과 균일도(uniformity)가 떨어지게 되며, MLC(Multi Level Cell)과 같이 셀 분포 마진이 좁은 소자의 마진 및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을 나노 그레인막으로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문턱 전압 분포를 개선하여 소자의 수율 향상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터널 절연막, 플로팅 게이트, 유전체막, 및 콘트롤 게이트,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감싸고 있는 나노 그레인막을 포함한다.
상기 나노 그레인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절연막, 제1 나노 그레인막,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및 제2 나노 그레인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나노 그레인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상기 제1 나노 그레인막,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의 상기 터널 절연막의 높이까지 절연막을 채워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의 측벽에 제3 나노 그레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아몰포스막을 증착한 후, 이를 열처리 하여 결정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열처리는 RTP 또는 레이저 열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을 나노 그레인막으로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문턱 전압 분포를 개선하여 소자의 수율 향상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터널 절연막(101), 제1 나노 그레인막(102),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3), 제2 나노 그레인막(104), 및 하드 마스 크막(10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터널 절연막(101)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나노 그레인막(102, 104)은 얇은 아몰퍼스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RTP, 또는 레이저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결정화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나노 그레인막(102, 104)은 10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은 다결정 폴리 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막(10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패터닝한 후, 이를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제2 나노 그레인막(104),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3), 제1 나노 그레인막(102), 터널 절연막(101), 및 반도체 기판(100)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소자 분리용 트렌치(106)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용 트렌치(106)를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소자 분리용 트렌치(106)를 채운 후, 하드 마스크막(105)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소자 분리막(107)을 형성한다.
이 후, 에치백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소자 분리막(107)의 상단부를 식각하여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3)의 측벽을 노출시킨다. 이때 식각 되는 상단부의 깊이는 유효 필드 산화막의 높이(EFH;Effective Field Height)를 충분히 낮출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막(107)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제3 나노 그레인막(108)을 형성한다.
제3 나노 그레인막(108)은 얇은 아몰퍼스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RTP, 또는 레이저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결정화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나노 그레인막(108)은 10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소자 분리막(107) 상단부와 하드 마스크막(10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노 그레인막(108)을 제거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103)의 측벽에 제3 나노 그레인막(108)을 잔류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출되는 하드 마스크막(105) 및 하드 마스크막(105) 측벽의 제3 나노 그레인막(108)을 제거한다.
이 후, 제2 나노 그레인막(104) 및 소자 분리막(107)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109)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유전체막은 산화막-질화막-산화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ONO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유전율을 갖는 산화막, 예를 들어 Al2O3, HfO2, ZrO2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10)은 폴리 실리콘막으로 형성하며,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110) 상에 저저항층(금속 게이트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1 : 터널 절연막
102 : 제1 나노 그레인막 103 :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104 : 제2 나노 그레인막 105 : 하드 마스크막
106 : 소자 분리용 트렌치 107 : 소자 분리막
108 : 제3 나노 그레인막 109 : 유전체막
110 :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

Claims (10)

  1. 반도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터널 절연막, 플로팅 게이트, 유전체막, 및 콘트롤 게이트;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과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유전체막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체 표면을 감싸고 있는 나노 그레인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그레인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그레인막은 아몰퍼스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반도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터널 절연막, 제1 나노 그레인막, 플로팅 게이트, 및 제2 나노 그레인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측벽에 형성된 제3 나노 그레인막; 및
    상기 제3 나노 그레인막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표면과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유전체막의 접촉을 방지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아몰퍼스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절연막, 제1 나노 그레인막,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및 제2 나노 그레인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나노 그레인막,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상기 제1 나노 그레인막,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에 절연막을 채워 소자 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의 측벽에 제3 나노 그레인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나노 그레인막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의 표면은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으로 인하여 상기 터널 절연막 및 상기 유전체막과 접촉되지 않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아몰포스막을 증착한 후, 이를 열처리 하여 결정화시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RTP 또는 레이저 열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나노 그레인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70122617A 2007-11-29 2007-11-29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4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17A KR100946120B1 (ko) 2007-11-29 2007-11-29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133,775 US7998814B2 (en) 2007-11-29 2008-06-05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17A KR100946120B1 (ko) 2007-11-29 2007-11-29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94A KR20090055794A (ko) 2009-06-03
KR100946120B1 true KR100946120B1 (ko) 2010-03-10

Family

ID=4067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617A KR100946120B1 (ko) 2007-11-29 2007-11-29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98814B2 (ko)
KR (1) KR100946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41B1 (ko) * 2009-01-05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형성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195A (ja) 1997-11-19 1999-06-02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6039A (ko) * 2004-12-29 2006-07-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60111218A (ko) * 2005-04-22 2006-10-26 한국과학기술원 H자형 이중 게이트 구조를 갖는 다중비트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및 다중비트 동작을 위한 동작방법
KR100741272B1 (ko) 2005-12-28 2007-07-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4766A (en) * 1995-09-29 1998-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no-structure memory device
KR100446632B1 (ko) * 2002-10-14 200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sonsnos 메모리
JP2004152924A (ja) * 2002-10-30 2004-05-27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記憶素子および半導体装置
JP4620334B2 (ja) * 2003-05-20 2011-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る携帯電子機器、並びにicカード
US7020018B2 (en) * 2004-04-22 2006-03-28 Solid State System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65186B1 (ko) * 2004-08-1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180125B2 (en) * 2004-08-16 2007-02-20 Chih-Hsin Wang P-channel electrically alterable non-volatile memory cell
JP4928773B2 (ja) * 2004-12-10 2012-05-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100652402B1 (ko) * 2005-02-21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365388B2 (en) * 2005-02-25 2008-04-29 Micron Technology, Inc. Embedded trap direct tunnel non-volatile memory
KR100689203B1 (ko) * 2005-04-22 2007-03-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래시 메모리 소자
KR100690911B1 (ko) * 2005-07-1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2비트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287297B (en) * 2005-09-05 2007-09-21 Au Optronics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nano crystals and application of the same
WO2008005892A2 (en) * 2006-06-30 2008-01-10 Applied Materials, Inc. Nanocrystal formation
US20080246101A1 (en) * 2007-04-05 2008-10-0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poly-silicon grain structure 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195A (ja) 1997-11-19 1999-06-02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6039A (ko) * 2004-12-29 2006-07-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60111218A (ko) * 2005-04-22 2006-10-26 한국과학기술원 H자형 이중 게이트 구조를 갖는 다중비트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및 다중비트 동작을 위한 동작방법
KR100741272B1 (ko) 2005-12-28 2007-07-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794A (ko) 2009-06-03
US20090140319A1 (en) 2009-06-04
US7998814B2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6824A (zh) 制造非易失性存储器件的方法
US758937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
US10269823B2 (en) Flash memory semiconductor device
KR10076623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8530950B1 (en) Methods and structures for split gate memory
KR20070051900A (ko)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 반도체 디바이스 및 비휘발성메모리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20110121938A (ko) 수직 채널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제조방법
US9590058B2 (en) Methods and structures for a split gate memory cell structure
KR1005734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46120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76694B2 (en) Memory cel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ory cell
CN113903789B (zh) 闪存存储器及其制造方法、操作方法
KR20080114230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US200702026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 volatile memory cells integrat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KR20080060486A (ko)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27834A1 (en) Shallow trench isolation for a memory
CN100463145C (zh) 非挥发性存储器及其制造方法
US20070221979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memory device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110159681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007163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1094522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55120A (ko) 금속 도트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11280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455289B (zh) 記憶胞、記憶裝置及記憶胞的製造方法
KR2010008565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218

Appeal identifier: 2009101011796

Request date: 2009122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8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12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