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414B1 -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 Google Patents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5414B1 KR100945414B1 KR1020090045674A KR20090045674A KR100945414B1 KR 100945414 B1 KR100945414 B1 KR 100945414B1 KR 1020090045674 A KR1020090045674 A KR 1020090045674A KR 20090045674 A KR20090045674 A KR 20090045674A KR 100945414 B1 KR100945414 B1 KR 100945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rrigation stand
- irrigation
- stand
- water
- water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40059082 douche Drugs 0.000 title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에 관한 것으로, 하단이 밀폐되고 뿔형(4a)인 관체로 된 관주 꽂이대(4)를 구성하되, 관주 꽂이대(4)의 관체벽 하측부에 대공(10)들을 형성하고 관체벽 상측부에는 소공(12)들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g device (2) of cultivated plants, and comprises an irrigation stand (4)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 lower end and a conical shape (4a), but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wall of the irrigation stand (4). Forming the large holes (10) and formed by forming small holes (12) on the upper side of the tube w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분에 심겨진 관상수나 거리의 조경수와 같은 재배식물에 물을 줄 수 있는 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ing device capable of watering cultivated plants, such as potted ornamental or street landscaping.
분 재배나 온실 재배시 지면관수로 물을 자주 주게 되면 토양이 단단해져서 식물의 생장이 저해 된다. 또 화분의 경우에는 화분에 물을 주게 되면 물은 화분내 단단해져 있는 토양을 침투해 들어가기 보다는 화분 벽을 타고 흘려내려가는 확률이 훨씬 높게 된다. 그러한 관계로 화분에 식재된 식물 뿌리로는 생각만큼의 충분한 물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Frequent watering with ground water during cultivation or greenhouse cultivation hardens the soil and impedes plant growth. In the case of pots,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pots, the water is more likely to flow down the wall of the pots than to penetrate the hardened soil in the pots. As such, plant roots planted in pots do not provide sufficient water supply.
화분내 토양이 단단해져 식물 생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지중관수를 행하기도 한다. 지중관수는 모세관수에 의하여 밑에서부터 물이 흡수되게 하여 관상 식물 뿌리에 물이 가도록 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은 화분의 저부를 물에 푹 잠귀게 해주어야 하므로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Underground irrigation is sometimes done as a way to prevent the soil in the pot from becoming harder and the plant growth deteriorating. Underground water is a method of allowing water to be absorbed from the bottom by capillary water so that water flows to the roots of the tubular plant. This method is not cumbersome because the bottom of the pot should be submerged in water.
거리에 심겨진 조경수의 경우에도 비가 충분히 오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단단해진 토양으로 인해 표피층의 흙만 약간 적시는 경우가 많고 어느 정도 비가 내려 도 나무뿌리까지 물이 넉넉히 투입되지 않고 옆의 낮은 땅속 수로를 통해 흘러 가버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나무를 옮겨 심는 경우 1년 이상이 지나가야만 나무에 잔뿌리가 생기고 자리를 잡아 내려가는데 1년이 지나기 전의 잔뿌리가 없는 상황에서 물이 넉넉히 뿌리로 공급되지 않는다면 넉넉히 물공급되는 나무에 비해 고사해 버릴 확률이 훨씬 높아진다.Even in the case of landscaping planted on the street, if the rain is not enough, the hardened soil often wets only the soil of the skin layer and even if there is some rain, the water flows through the low water channel next to the tree roots. Discarding occurs. Therefore, if you move and plant a tree, it will only take a year or more for the roots to form and take its place.If there is no roots before one year, if the water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roots, it will die compared to a tree that is sufficiently watered. The probability is much high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화분에 심겨진 관상수나 거리의 조경수나 특작물과 같은 재배식물의 뿌리에 물이 잘 공급되면서도 물을 주는 것이 힘들지 않도록 하는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the watering device of the cultivated plant so that it is not difficult to supply water to the root of the cultivated plant such as potted ornamental water or street landscaping or special crop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양의 물공급으로도 충분히 재배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해주고 필요에 따라 흙속의 수분조절도 할 수 있고 생육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ing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to supply water to the roots of cultivated plants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and to control the moisture in the soil and to induce growth as necessary.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배식물의 관수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밀폐되고 뿔형(4a)인 관체로 된 관주 꽂이대(4)를 구성하되, 관주 꽂이대(4)의 관체벽 하측부에 대공(10)들을 형성하고 관체벽 상측부에는 소공(12)들을 형성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rrigation system of cultivated plants, the lower end is closed and constitutes an irrigation stand (4a) of tubular body of the horn type (4a), the pipe wall of the irrigation stand (4) Forming the
본 발명은, 관주 꽂이대(4)와 연결된 보호덮개(6)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6) connected to the irrigation stand (4),
또한 본 발명은, 관주 꽂이대(4)와 연결되며 내부 여과잔공(34)들이 형성된 유도홈부(32)를 갖는 여과덮개(30)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본 발명은 화분에 심겨진 관상수나 거리의 조경수, 특작물과 같은 재배식물의 근처에 관주꽂이대를 꽂아 주어서 그 재배식물의 뿌리에 물이 잘 공급되면서도 물을 주는 것이 힘들지 않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은 양의 물공급으로도 충분히 재배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해주고 필요에 따라 흙속의 수분조절도 할 수 있고 생육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difficult to give water to the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s by inserting the irrigation stand near the cultivated plants such as ornamental water planted in the pots, landscaping water of the street, special crops. In addition,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is sufficient to supply water to the roots of cultivated plants,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isture in the soil as needed and to induce growt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화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watering device of a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watering device of a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section view. An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installed a watering device for plant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인도에 식재된 조경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watering device of a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6, Figure 9 is a watering device of a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section view. 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watering device of a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landscape water planted in India.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관상식물이 주로 식재되는 화분용으로 소형이고,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조경수 용도에 적합 한 구조로서 대형이다.1 to 5, the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하단이 밀폐되고 뿔형(4a)인 관체로 된 관주 꽂이대(4)를 공통적으로 구비한다. 1 to 10 together, the watering device (2) of the cultivation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monly provided with an irrigation stand (4) made of a tubular body of the lower end is sealed and horns (4a).
관주 꽂이대(4)는 화분의 관상식물(도 5의 24)이나 인도에 있는 조경수(도 10의 40)와 같은 재배식물의 뿌리 근처에 박아 넣기에 적합한 구조의 급수로 꽂이로서, 합성수지재질이나 방청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관주 꽂이대(4)의 더욱 바람직한 재질로서는 합성수지재질이 좋다. The irrigation stand (4) is a water supply with a structure suitable for being planted near the root of a cultivated plant, such as a potted ornamental plant (24 in FIG. 5) or landscaping water (40 in FIG. 10) in India. Antirust metal material is preferable. As a more preferable material of the irrigation stand 4,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eferable.
본 발명의 관주 꽂이대(4)는 관체벽 하측부에는 다수의 대공(10)들을 형성하고 관체벽 상측부에는 다수의 소공(12)들을 형성하며, 또 관주꽂이대(4)의 상부 개구(4b)에는 돌출받침테(4c)를 형성한 것이다. The
관주 꽂이대(4)의 길이는 십수 센티미터 남짓부터 수십센터에 이르는 다양한 사이즈로 구현되며, 관주꽂이대(4)의 내경도 5센티미터 내지 20센터미터의 사이즈범위로 구현되며 관체두께는 수 밀리미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irrigation stand (4) is realized in various sizes ranging from tens of centimeters to several tens of centimeters. The inner diameter of the irrigation stand (4) is implemented in a size range of 5 centimeters to 20 centimeters. It is preferred to be implemented.
또 소공(12)들이 형성되는 관주꽂이대(4)의 관체벽 상측부는 관주꽂이대(4)의 상측 1/3를 차지하고 대공(10)들이 형성되는 관주꽂이대(4)의 관체벽 하부측은 관주꽂이대(4)의 하측 2/3를 차지되게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재배식물(24)(40)의 뿌리(26)(42)에 가깝게 위치하는 대공(10)으로의 물빠짐이 좋도록 허락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pipe wall of the
대공(10)으로 빠진 나간 물은 뿌리(26)(42) 근처에 흙을 바로 적신 후 뿌리(26)(42)로 즉각 스며들게 되며, 상측의 소공(12)으로 빠져 나간 물은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아래로 침투되면서 또 한번 뿌리(26)(42)로 물이 스며들게 해준다. The water drained into the large hole (10) immediately soaks the soil near the roots (26) and (42) and immediately soaks into the roots (26) and (42). Penetrates down and allows water to soak into the roots (26, 42) again.
관주꽂이대(4)의 상부개구(4b)에 형성될 돌출받침테(4c)는 관주꽂이대(4)를 재배식물(24)(40)의 뿌리 근처 토양에 박아 넣을 때 지면에 걸림되게 하는 기능과 아울러 상부의 보호덮개(6)나 여과덮개(30)를 받침하는 기능도 한다. The protruding
관주꽂이대(4)를 화분이나 조경사 근처에 꽂아넣을 때에는 대공이 뿌리 근처에 올 수 있는 길이 사이즈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분과 같은 경우에는 관주꽂이대(4)가 화분 깊이의 2/3까지 내려갈 수 있도록 박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inserting the irrigation stand (4) near the flowerpot or landscape architect, it is desirable to select the length size that the large hole can come near the root.In the case of a pot, the irrigation stand (4) is 2/3 of the pot depth. It is desirable to drive so that you can go dow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관주 꽂이대(4)의 상부를 덮어주는 보호덮개(6)와 관주 꽂이대(4)의 돌출받침테(4c)가 힌지부(16)로 힌지연결된 구성이다. 이때 보호덮개(6)의 저부면에는 끼움돌부(6a)가 덮개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관주 꽂이대(4)의 내부 관주홈에 보호덮개(6)의 끼움돌부(6a)가 쏙 끼워지게 해준다. 보호덮개(6)와 관주 꽂이대(4)의 돌출받침테(4c)에 형성된 힌지부(16)는 보호덮개(6)에 끼움홈과 힌지공을 형성하여 돌출받침테(4c)에 형성된 힌지핀이 억지끼움식으로 간편하게 장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1 to 5, the
이렇게 힌지식으로 연결된 보호덮개(6)는 사용자가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화분(20)의 토양(22)내 꽂아 놓은 관주 꽂이대(4)를 평소에 보호덮개(6)를 이용해 닫아 놓으면 외부의 이물질이 관주 꽂이대(4)의 내부 홈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또한 보호덮개(6)를 닫아 놓으면 외부공기의 다량 공급으로 인해 뿌리가 마르는 현상도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The hinged protective cover (6)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the protective cover (6) to the usual irrigation stand (4) inserted in the
만약 화분(20)에 물을 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호덮개(6)를 간편히 열고 관주 꽂이대(4)의 내부 관주홈으로 물을 넣어주면 된다. If it is necessary to water the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관주 꽂이대(4)의 상부를 덮어주는 여과덮개(30)를 더 구비하며, 관주 꽂이대(4)의 상부개구(4b)와 여과덮개(30)는 나사홈(36)과 나사돌테(38)에 의한 나사조립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여과덮개(30)는 그 상부에 오목한 반구형의 유도홈부(32)가 형성되며 유도홈부(32)의 내부 바닥면에는 관주 꽂이대(4)의 소공(12)보다 더 작은 직경의 여과잔공(34)들이 형성된다. 여과덮개(30)에는 설치자가 관주 꽂이대(4)에 나사체결하거나 나사체결을 해제하기 위한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도구 삽입홈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이렇게 관주 꽂이대(4)에 나사체결된 여과덮개(30)는 사용자가 쉽게 열 수 없게 한 것인데, 이는 개인 가정이나 화원에 설치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관수장치(2)와는 달리 공공 장소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이다.The
도 10과 같이 인도에 위치한 조경수(40)의 뿌리 근처 토양(44)에 상부 여과덮개(30)로 체결된 관주 꽂이대(4)를 꽂아 놓으면, 비가 내림에 따라 빗물이 여과덮개(30)의 유도홈부(32)내 여과잔공(34)을 통과해서 관주 꽂이대(4)의 내부 관주홈으로 물이 유입이 된다.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의 여과덮개(30)가 여과잔공(34)보다 큰 이물질은 관주 꽂이대(4) 안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해준다. When the irrigation stand 4 fastened by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재배식물의 관수장치(2)는 마치 지중관수와 같이 물을 공급해주게 되므로 적은 양의 물공급으로도 충분히 재배식물의 뿌리에 물을 충분히 또 가능한 한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고, 토양도 덜 단단하게 해주므로 식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 재배식물에 적절한 토양수분과 아울러 알맞은 공기 주입도 해주므로 재배식물에 양호한 환경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The watering device (2) of the cultiva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water as if it is underground water, so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to the roots of the cultivated plant sufficiently and continuously to provide enough water, soil It also makes it harder, so it helps a lot to grow plants. In addition, it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the cultivated plants because it provides the appropriate soil moisture as well as the appropriate air injec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은 관상식물이나 조경수 등에 물을 주는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watering ornamental plants or landscape wat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사시도 및 정면도,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watering device of the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정단면도,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watering device of the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화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설치한 상태도,5 is a state in which the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tted plan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사시도 및 정면도,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watering device of the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6의 분리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정단면도,Figure 9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watering device of the cultiva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인도에 식재된 조경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배식물의 관수장치를 설치한 상태도. 10 is a state in which the planting apparatus for planting pla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landscape water planted in Indi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재배식물의 관수장치 (4)-- 관주 꽂이대(2)-Irrigation system of plantation (4)-Irrigation stand
(4a)-- 밀폐 뿔형 (4b)-- 상부개구(4a)-sealed horn (4b)-upper opening
(4c)-- 돌출받침테 (6)-- 보호덮개(4c)-protruding frame (6)-protective cover
(8)-- 절취면 (10)-- 대공(8)-cutaway surface (10)-anti-aircraft
(12)-- 소공 (16)-- 힌지부(12)-Small (16)-Hinge
(30)-- 여과덮개 (32)-- 유도홈부(30)-Filter cover (32)-Guide groove
(34)-- 여과잔공(34)-Filter Ball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674A KR100945414B1 (en) | 2009-05-25 | 2009-05-25 |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5674A KR100945414B1 (en) | 2009-05-25 | 2009-05-25 |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5414B1 true KR100945414B1 (en) | 2010-03-04 |
Family
ID=4218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56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5414B1 (en) | 2009-05-25 | 2009-05-25 |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54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594B1 (en) * | 2012-07-17 | 2014-04-04 | 서울특별시 관악구 | Waterbag for supplying water to trees |
CN109618889A (en) * | 2019-01-10 | 2019-04-16 | 顾健健 | An agricultural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and a water-saving irrigation method thereof |
CN109906819A (en) * | 2019-04-23 | 2019-06-21 | 宝盈联华(厦门)生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plug-in type potting sterilizing nutrient adding device based on silicon-carbon ro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6092A (en) * | 1997-06-30 | 1999-01-25 | 김영환 | Method for forming charge storage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
JP2002065067A (en) | 2000-08-31 | 2002-03-05 | Shinichiro Hayashi | Flowerpot |
-
2009
- 2009-05-25 KR KR1020090045674A patent/KR1009454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6092A (en) * | 1997-06-30 | 1999-01-25 | 김영환 | Method for forming charge storage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
JP2002065067A (en) | 2000-08-31 | 2002-03-05 | Shinichiro Hayashi | Flowerpo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594B1 (en) * | 2012-07-17 | 2014-04-04 | 서울특별시 관악구 | Waterbag for supplying water to trees |
CN109618889A (en) * | 2019-01-10 | 2019-04-16 | 顾健健 | An agricultural water-saving irrigation system and a water-saving irrigation method thereof |
CN109906819A (en) * | 2019-04-23 | 2019-06-21 | 宝盈联华(厦门)生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plug-in type potting sterilizing nutrient adding device based on silicon-carbon rock |
CN109906819B (en) * | 2019-04-23 | 2021-06-04 | 宝盈联华(厦门)生物科技有限公司 | Bayonet sterilization fostering ware cultivated in a pot based on silicon carbon r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4171471A (en) | Techniques for using flower vase as flowerpot | |
CN203015567U (en) | Device constantly supplying moisture for ornamental plant bonsai | |
CN102986507A (en) | Infiltrating pot with root inserting hole for infiltrating and irrigating tree | |
KR100945414B1 (en) | Douche apparatus for garden plant | |
JP2004298145A (en) | Plant support pipe | |
KR20130052118A (en) |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 |
KR101344914B1 (en) | Auto-supplying apparartus of water | |
KR101313866B1 (en) | System planting pot | |
CN109197229A (en) | A kind of cultivating container | |
JP2011254763A (en) | Water storage type plant cultivation tool | |
KR101528680B1 (en) | Device for a multipurpose hydroponics | |
CN2759140Y (en) | Wet keeping flowerpot | |
CN211631219U (en) | Device for moisturizing and supplying soil | |
CN209983168U (en) | A kind of flower and tree planting board slot | |
CN202222221U (en) | Infiltration watering tank with root inserting holes for infiltration watering and irrigation of trees | |
KR101948754B1 (en) | Garden composition model guide frame | |
KR102645809B1 (en) | Plantpot stand unit including absorbing member linked with plant and circumstance thereof | |
TWM510602U (en) | Automatic flow guiding flowerpot structure | |
JP3152261U (en) | Simple irrigation device | |
KR102350488B1 (en) | water supply divice of a pot | |
KR20250014165A (en) | Deco-type vegetation block irriga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285021Y1 (en) | Flower pot fence | |
KR102620968B1 (en) |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device for green house that supplies nutrient solution with bellows straw | |
JP2006174829A (en) | Simplified hydroponics container | |
KR20010002902A (en) | A water supply apparatus of a flowerpot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