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0080B1 -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 Google Patents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080B1
KR100940080B1 KR1020090086033A KR20090086033A KR100940080B1 KR 100940080 B1 KR100940080 B1 KR 100940080B1 KR 1020090086033 A KR1020090086033 A KR 1020090086033A KR 20090086033 A KR20090086033 A KR 20090086033A KR 100940080 B1 KR100940080 B1 KR 10094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weight
methyl methacrylate
mm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실리칼플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실리칼플로어 filed Critical (주)실리칼플로어
Priority to KR102009008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침투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하부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연질 탄성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중간층;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경질 하부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며,상기 연질 탄성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재, 방수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침투층

Description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Rapid curing flooring material reinforced water-proof capability}
본 발명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닥재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또는 우레탄수지는 내마모성, 접착력, 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나, 에폭시수지 및 우레탄수지의 화학적 특성상 온도에 민감하여 영하의 온도에서 시공이 어려우며, 경화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공 후 3~7일 후에나 기계적 강도가 발현되는 등 시공환경에 제약이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수지 및 우레탄수지는 경화 반응시 유해한 염소가스가 발생되고, 바닥재 형성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백화 분말현상에 의해 미세 페놀성분의 먼지가 발생하므로, 인체유해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시공편리성과 인체 무해성을 갖춘 바닥재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크릴계수지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MMA 반응수지의 반응메커니즘은 폴리머리제이션(Polymerization) 반응으로 MMA 반응수지에 분말경화촉진제로서 벤질과산화 물(benzyl peroxide, BPO)을 첨가함으로써 이중결합집합고리(C=C)가 끊어지면서 규칙적인 단일결합고리(-C-C-C-)를 형성한다. 분말경화촉진제(benzyl peroxide, BPO)는 MMA 반응수지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일한 역할을 하며 화학적 반응의 촉매제로서 완전히 양생된 수지의 물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거의 모든 분자들이 화학반응에 참가하므로 가장 정확한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MMA 화합물이 BPO와의 반응과정에서 최소 98% 이상 반응하여 바닥재 시공 중의 유해가스 배출 및 바닥재 시공 후 잔여물질에 의한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MMA 반응수지는 외부의 작용기와의 반응성이 없으므로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염해성이 우수하며, MMA수지 자체는 콘택트렌즈, 인체 내 관절용 뼈 및 인공치아에 이르기까지 생체재료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정도로 인체 무해하다. 또한, MMA 반응수지의 화학적 특성상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영하 30℃의 온도에서도 용이하게 바닥재의 형성이 가능하며, 시공 후 1시간 이내에 경화가 완결되고, 기계적 강도가 발현되므로 시공 환경의 제약이 적다. 이러한 이점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MMA 반응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바닥재용 조성물로 사용하는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MMA 반응수지는 전염성 박테리아, O-157박테리아, 살모넬라 등의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내항균성이 있으므로 항균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MMA 반응수지를 사용한 바닥재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9901호는 하지면처리 후, MMA 반응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이용하여 하부층, 중간층 및 상부층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바닥재를 형성하되, 상기 경질 하부층 내에 보강 포를 삽입한 바닥재 및 그의 시공공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재는 건조한 지역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는 기저면에서 올라오는 습기에 따른 바닥재의 박리 박락 현상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 바닥재의 내구성은 기저면에서 발생하는 습기의 침투를 어떻게 방지하는 가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바닥재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닥재를 구성하는 상,하부층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방수성능을 보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바닥재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습기가 잘 침투하는 부분은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 및 트랜치 주변이므로 바닥재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분의 방수성을 보강하는 시공기술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친환경성, 시공완료 후 1시간 이내에 사용이 가능할 정도의 속경성 및 영하의 기온 또는 고온의 환경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냉온특성을 가지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및 그의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과 함께 방수성이 강화되고, 기저바닥층 및 상위코팅층 간의 접착력 및 전반적인 바닥재의 강도가 향상되어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 속경성 바닥재 및 그의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여 시공하면서 벽면의 모서리부에 코너몰딩층 및/또는 바닥의 트랜치 주변에 트랜치 보강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바닥재의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침투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하부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연질 탄성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중간층;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층 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경질 하부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탄성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코너몰딩층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너몰딩층 및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코너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 및 상기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코너몰딩층의 앞쪽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는 친환경 재료로 구성되며, 시공완료 후 1시간 이내에 사용이 가능할 정도의 속경성을 가지며, 영하의 기온 또는 고온의 환경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여 작업이 용이하며, 기온 등의 주변 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짧은 시간에 시공을 마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는 상기와 같은 특성과 함께 방수성이 강화되고, 기저바닥층 및 상위코팅층 간의 접착력 및 전반적인 바닥재의 강도가 향상되어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바닥재 시공공법에 의하면 벽면의 모서리부에 코너몰딩층 및/또는 바닥의 트랜치 주변에 트랜치 보강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방수성의 향상에 의하여 바닥재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은,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침투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하부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연질 탄성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중간층;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경질 하부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탄성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닥재는,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질 중간층과 상부층 사이에 칼라규사 또는 칼라칩을 살포하거나, 직물인쇄를 실시하여 형성되는 적층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라규사는 천연규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중량부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착색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된 칼라규사는 자외선에 변색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상기 칼라규사를 살포하는 경우에는 우수한 미끄럼 방지 기능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라칩은 대리석 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7~99 중량% 및 산화철 1~3 중량%를 포함하는 칩형성 조성물로 제조된 칩을 상용한다. 또한, 상기 직물인쇄는 내열성이 강한 직물에 그림을 인쇄한 것을 사용하는 데,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직물인쇄는 0.4~0.6mm의 두께로 실시한다.
상기에서 침투층은 기저바닥층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기저바닥층(콘크리트층 등)에 침투시키는 층으로서, 에폭시(EP)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주제로서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75~83 중량% 및 경화제로서 트리메틸헥산-1,6-디아민 17~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기저바닥층에 대한 침투 및 방수 기능상 바람직하다.
상기 경질 하부층은 상기 침투층과 상위 코팅층(연질 탄성층)과의 접착력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약 0.2~0.4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3~98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상,하위층 간의 접착력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88 중량%, 첨가제 10~18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상,하위층 간의 접착력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로는 디페닐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MMA 변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질 탄성층은 방수성을 강화하고, 경질 하부층과 경질 중간층 사이에 연질층으로 형성됨으로써 바닥재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약 1~2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3~37 중량%, 충진제로서 규사 62~76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3~2.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방수성 및 바닥재의 강도 증가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충진제인 규사는 평균입경이 0.001~0.02mm 인 것과 0.006~0.6mm인 것이 약 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중간층은 바닥재가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고 요구되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약 3~5mm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경질 중간층은 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응수지는, 수 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5~29 중량%, 충진제로서 규사 65~70 중량%, 안료 1~3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5~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적절한 두께 형성 및 강도유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충진제인 규사는 평균입경이 0.001~0.02mm 인 것과 0.006~0.6mm인 것이 약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은 속경성에 의해 적층물들이 견고하게 고착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약 0.5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벤트에 대한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장소에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솔벤트에 대한 내화학성이 중요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반응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7~99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1~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사시간을 고려한 속경성 및 외관의 미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EP) 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투명한 주제 64~70 중량% 및 투명한 경화제 30~36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속경성 및 외관의 미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단면이 삼각형 형태(Triangle Type)인 코너몰딩층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너몰딩층 및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된 내용은 상기 시공공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코너몰딩층은,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2~28 중량%, 틱소트로피(thixotropy) 0.5~3 중량%, 천연규사 70~75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5~2 중량%를 포함하는 코너몰딩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방수성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코너몰딩층은 삼각형 형태(Triangle Type) 뿐만 아니라, 라운드 형태(Round Type)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코너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 및 상기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코너몰딩층의 앞쪽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된 내용 및 코너몰딩층 형성을 위한 코너몰딩용 조성물에 대한 내용은 상기 시공공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에 있어서, 기저바닥층에 트랜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 계 전에 트랜치의 인접부에 홈을 파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몰탈분말 45~50 중량%, 골재 40~45 중량% 및 경화제 7~12 중량%를 포함하는 트랜치 보강용 조성물을 충진하고, 기저바닥층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하여 강도를 보강해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침투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하부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연질 탄성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중간층; 상기 경질 중간층에 칼라칩을 살포하거나 중간층 위에 직물인쇄를 실시하여 형성되는 적층물층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질 하부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탄성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한다.
상기 침투층은 바닥기저층에 침투하여 물이나 습기가 바닥재를 열화시키는 것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에서 경질 하부층 및 연질 탄성층에 형성되는 천연규사층은 슬라이딩(Sliding Moment)력에 저항하여 후속코팅과 접착력을 강화하며, 바닥재의 두께 및 강도를 보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벽면 모서리의 코너몰딩층(삼각형 형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바닥층 위에 침투층 및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고,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코너몰딩층을 형성하고, 바닥부에는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너몰딩층 및 연질 탄성층 위에 나머지 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코너몰딩층이 삼각형 형태(Triangle Type)인 경우는 벽면의 면처리 후 후속 가공처리 없이 모서리부에 코너몰딩용 조성물을 적용하며, 라운드 형태(Round Type)인 경우는 코너비드(Corner Bead)를 설치하거나 벽면이 타일 경우 일정높이의 타일을 제거한 다음 모서리부에 코너몰딩용 조성물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코너몰딩층은 벽면과 모서리부분의 측면 누수를 방지해 주어, 습기의 측면 모체 침투를 방지해 바닥재의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도 3은 벽면 모서리의 코너몰딩층(수직형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바닥층 위에 침투층 및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고,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코너몰딩층을 형성하고,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 및 상기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코너몰딩층의 앞쪽으로 나머지 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수직형태(Vertical Type)의 코너몰딩은 삼각형 형태나 라운드 형태를 적용했을 경우 적용부위에 설치되는 설비의 다리 부분이, 코너몰딩에 걸릴 우려가 있을 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도 4는 트랜치 보강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트랜치 주변의 조인트 부분은 잦은 이용 및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부분이다. 따라서 트랜치와 바닥재가 만나는 부위의 일정부분을 파취해 MMA 몰탈제 등으로 강도를 보강해 준다. 단, 물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장소에는 코너몰딩 및 트랜치주변 보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벽면 모서리의 코너몰딩층(삼각형형)을 포함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시공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저바닥을 면처리한 후에,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주제로서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78.125 중량% 및 경화제로서 트리메틸헥산-1,6-디아민 21.875 중량%를 포함하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침투층 상부에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5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5 중량%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평균입경이 0.7~1.2mm인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0.3mm의 두께로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코너몰딩층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 타크릴레이트(MMA) 25 중량%, 틱소트로피(thixotropy) 1 중량%, 평균입경이 0.7~1.2mm인 천연규사 72.5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1.5 중량%를 포함하는 코너몰딩용 조성물로 형성하고,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바닥부에,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0 중량%, 충진제로서 평균입경이 0.001~0.02mm 규사 29 중량% 및 평균입경이 0.2~0.6mm 규사 39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 중량%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평균입경이 0.7~1.2mm인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1.5mm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코너몰딩층 및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8 중량%, 충진제로서 평균입경이 0.001~0.02mm 규사 35 중량% 및 평균입경이 0.2~0.6mm 규사 34 중량%, 안료 2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1 중량%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4mm의 두께로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대리석 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8 중량% 및 산화철 2 중량%를 포함하는 칩형성 조성물로 제조된 칩을 살포하여 적층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층물층 상부에,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8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 중량%를 포함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0.5mm의 두께로 상부층을 형성하여 바닥재를 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벽면 모서리의 코너몰딩층(삼각형 형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벽면 모서리의 코너몰딩층(수직 형태)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트랜치 보강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7)

  1.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침투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하부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연질 탄성층;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로 형성되는 경질 중간층;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로 형성되는 상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경질 하부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탄성층은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그 위에 살포된 천연규사층을 포함하되,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질 중간층과 상부층 사이에, 천연규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중량부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착색된 칼라규사 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7~99 중량% 및 산화철 1~3 중량%를 포함하는 칩형성 조성물로 제조된 칼라칩을 살포하거나; 두께 0.4~0.6mm의 직물인쇄를 실시하여 형성되는 적층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침투층의 에폭시(EP) 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주제로서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75~83 중량% 및 경화제로서 트리메틸헥산-1,6-디아민 17~2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질 하부층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3~98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88 중량%, 첨가제 10~18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2~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질 탄성층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3~37 중량%, 충진제로서 규사 62~76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3~2.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질 중간층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5~29 중량%, 충진제로서 규사 65~70 중량%, 안료 1~3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5~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층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는, 수지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7~99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1~3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4.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코너몰딩층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너몰딩층 및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너몰딩층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2~28 중량%, 틱소트로피(thixotropy) 0.5~3 중량%, 천연규사 70~75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5~2 중량%를 포함하는 코너몰딩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
  5. 기저바닥층에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폴리우레탄계 변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경질 하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의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코너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하부층 상부 및 상기 벽면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코너몰딩층의 앞쪽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고,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천연규사를 살포하여 연질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 탄성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를 도포하여 경질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중간층의 상부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반응수지 또는 에폭시(EP) 수지를 도포하여 상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너몰딩층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2~28 중량%, 틱소트로피(thixotropy) 0.5~3 중량%, 천연규사 70~75 중량% 및 과산화벤조일(benzoyl-peroxide) 0.5~2 중량%를 포함하는 코너몰딩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
  6.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있어서, 기저바닥층에 트랜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침투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트랜치의 인접부에 홈을 파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몰탈분말 45~50 중량%, 골재 40~45 중량% 및 경화제 7~12 중량%를 포함하는 트랜치 보강용 조성물을 충진하고, 기저바닥층과 동일한 높이로 시공하여 강도를 보강해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의 시공공법.
  7. 삭제
KR1020090086033A 2009-09-11 2009-09-11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Active KR10094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033A KR100940080B1 (ko) 2009-09-11 2009-09-11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033A KR100940080B1 (ko) 2009-09-11 2009-09-11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080B1 true KR100940080B1 (ko) 2010-02-04

Family

ID=4208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033A Active KR100940080B1 (ko) 2009-09-11 2009-09-11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76B1 (ko) * 2011-06-14 2012-05-24 홍채호 비결정질 고분자수지의 투명성을 유지 보전하여 하자 부위의 육안관측이 가능한 도막 방수 기술
KR101176780B1 (ko) * 2010-02-23 2012-08-24 서기원 미끄럼방지 바닥재
KR102045788B1 (ko) 2019-07-25 2019-11-18 이정애 수반응성 반응제가 함유된 복합바닥재
KR102447482B1 (ko) * 2022-03-14 2022-09-23 김지현 고분자 합성반응에 식물성 천연재료를 사용한 결합제로 구성된 친환경 크리트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526623B1 (ko) * 2021-10-28 2023-04-28 아크릴리콘코리아 주식회사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코너 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마감층 시공 방법
KR102585547B1 (ko) * 2023-02-27 2023-10-05 유진숙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70B1 (ko) * 2007-03-09 2008-03-24 주식회사 성창 코너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849901B1 (ko) * 2008-03-04 2008-08-04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내항균성 및 내구성이 구비된 친환경 바닥재
KR100864525B1 (ko) * 2008-04-08 2008-10-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이중 폴리우레탄층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및 다목적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70B1 (ko) * 2007-03-09 2008-03-24 주식회사 성창 코너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849901B1 (ko) * 2008-03-04 2008-08-04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내항균성 및 내구성이 구비된 친환경 바닥재
KR100864525B1 (ko) * 2008-04-08 2008-10-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이중 폴리우레탄층을 이용한 방수층구조 및 다목적방수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780B1 (ko) * 2010-02-23 2012-08-24 서기원 미끄럼방지 바닥재
KR101148076B1 (ko) * 2011-06-14 2012-05-24 홍채호 비결정질 고분자수지의 투명성을 유지 보전하여 하자 부위의 육안관측이 가능한 도막 방수 기술
KR102045788B1 (ko) 2019-07-25 2019-11-18 이정애 수반응성 반응제가 함유된 복합바닥재
KR102526623B1 (ko) * 2021-10-28 2023-04-28 아크릴리콘코리아 주식회사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코너 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마감층 시공 방법
KR102447482B1 (ko) * 2022-03-14 2022-09-23 김지현 고분자 합성반응에 식물성 천연재료를 사용한 결합제로 구성된 친환경 크리트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585547B1 (ko) * 2023-02-27 2023-10-05 유진숙 식품 제조시설용 코너 몰딩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080B1 (ko) 방수성이 강화된 속경성 바닥재
AU2003299974B2 (en) Cementitious veneer and laminate material
KR100849901B1 (ko) 내항균성 및 내구성이 구비된 친환경 바닥재
KR20010040345A (ko) 논슬립 인조석
KR20080095453A (ko) 수용성 음이온계 노출 고무 아스팔트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64049B1 (ko) 저취 에폭시 논슬립 및 항균성을 갖는 친환경 에폭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ice-d 에폭시 도포 시공방법
CN108424067A (zh) 一种性能优良的复合人造石的制备方法
KR100900078B1 (ko) 친환경무기질계 복합난연성 바닥재 조성물 및 상기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0978586B1 (ko) 탄산칼슘과 합성수지 및 화이바그라스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7482B1 (ko) 고분자 합성반응에 식물성 천연재료를 사용한 결합제로 구성된 친환경 크리트 바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84194A (ko) 패널, 커버링, 및 이러한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45788B1 (ko) 수반응성 반응제가 함유된 복합바닥재
KR101989558B1 (ko) 바닥재용 친환경 컬러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4023811A1 (en) Mineral silicate sealant
KR101497983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KR100648224B1 (ko) 일액형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KR200432759Y1 (ko) 자연색 돌출무늬 무광 하이테크 마감판재
KR20180003128A (ko) 건축용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2535B1 (ko) 노면 도포형 유,무기 혼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7084B1 (ko) 친환경 무기질 마감재용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78342A (ko) 정토를 이용한 건축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206165B1 (ko) 고무칩을 이용한 조형물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의 제조방법
KR10235743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12009989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문양용 스티로폼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20080049335A (ko) 저수조용 고내후성 바이오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