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9582B1 -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582B1
KR100939582B1 KR1020037014677A KR20037014677A KR100939582B1 KR 100939582 B1 KR100939582 B1 KR 100939582B1 KR 1020037014677 A KR1020037014677 A KR 1020037014677A KR 20037014677 A KR20037014677 A KR 20037014677A KR 100939582 B1 KR100939582 B1 KR 10093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hip
vessel
deformable
mani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798A (ko
Inventor
듀퐁베르나르
파퀴스테판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Publication of KR2004002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2/021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 B63B22/02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and with means to rotate the vessel around the anchored bu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28Shape spherical or ellip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4Size medium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4Attachments to the ground, e.g. mooring or anch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17C2205/0367Arrangement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8Offshore
    • F17C2270/0123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과, 한쪽 단부에 지지대가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선박의 수송관 장치(8)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 시설물 간에 생산물을 이송하는 장치(11)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지지 구조물이 선박의 정박장치(5), 이송파이프(10)를 운반하고 정박장치(5)에 조립 설치하여 선박 위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붐(8) 및 한쪽 단부가 이송파이프(10)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붐(8)에 가까운 적재 위치와 선박의 수송관 장치(15)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된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화 천연가스를 이송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SYSTEM FOR TRANSFERRING A FLUID PRODUCT, IN PARTICULAR A LIQUEFIED NATURAL GAS BETWEEN A TRANSPORT VEHICLE SUCH AS A SHIP AND AN INSTALLATION RECEIVING OR SUPPLYING SAID PRODUCT}
본 발명은 유체물(fluid product)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을 수용하거나 또는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installation) 사이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쪽 단부는 지지 구조물에, 다른쪽 단부는 선박의 수송관 장치(manifold device)에 연결되어 있다.
액화 천연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이송 시스템은 극심한 환경 조건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적절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시스템들의 불편사항들을 제거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특징을 보면, 지지구조물은 강성의(rigid) 운송파이프 배관용 붐(boom)을 장착하고 있는데 이는 정박장치에 조립 설치하여 운송수단 위에서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변형가능한 이송장치(deformable transfer device)를 갖추고 있는데, 이것의 한쪽 단부는 고정 (이송)파이프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붐 근처의 저장 위치와 선박의 수송관 장치(manifold device)에 연결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붐의 자유 단부에서 고정된 이송배관에 연결되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를 상기 고정된 이송배관에 연결할 경우에,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상기 붐에 걸려 현가장치의 역할을 하는 수단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정박운전 조정실(mooring post)은 단일 형태의 정박 지점(single mooring point type)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선박은 자연력(거친 파도, 바람, 조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박운전 조정실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가 선박의 수송관 장치에 연결될 때에 상기 붐은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에 의해서 선박을 따라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가 수송관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붐은 태풍에 견디기 위한 조건으로서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조금씩 움직이는 동작의 과도한 횟수를 피하기 위해서 붐의 회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몇몇의 적절한 제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붐과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는, 붐에 영향을 미치는 응력이 중립축(neutral axis)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붐이 단순 굽힘만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선박의 평균 위치(average position) 근처의 선박의 미미한 이동이 붐의 회전을 위한 충분한 측방향 응력(lateral stress)을 발생하지 않도록 선박의 이동경로를 따라 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이에 의하여 아주 빈번한 동작을 흡수할 수가 있으며 최대 응력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붐의 축과 나란하게 평행으로 배향되면서 붐 아래에서 저장되고, 선박의 수송관 장치로 연결하는 동안에 선박의 종단축에 대해 수직인 위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조인트(rotating joint)에 의해 고정 (이송)파이프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이것의 자유 단부에서 선박의 수송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장치와 선박의 수송관 장치는 수송관 장치에 상기 이송장치를 동적으로 연결할 때 중심을 잡아주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복수쌍의 이송 아암을 구비하며, 내부 아암의 자유 단부는 상기 회전 조인트에 의해 고정 (이송)파이프에 연결된 공통부재(shared part)에 연결되며, 그 각각의 외부 아암은 하나의 커넥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는(articulated) 적어도 한 쌍의 관형 아암을 갖고 있다. 즉, 내부 아암은 고정 (이송)파이프에 연결되고 외부 아암은 자유 단부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된 이송 파이프 배관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연결 장치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극저온 호스(cryogenic hose)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저장 위치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극저온 플랙시블 호스는 커넥터가 연결된 붐 아래의 단부에 매달려 있어 체인형상으로(in the manner of chain) 뻗어나가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지 아암(바아)(stand-off arm)을 형성하는 장치는 유체물의 이송시 선박과 붐 사이의 예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및/또는 연결/분리의 중간 단계에서 플랙시블 호스의 예정된 곡률 반경을 유지하기 위해 극저온성 플랙시블 호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지 아암을 형성하는 장치는 유체물의 유체 이송시 선박의 수송관 장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에는 고정 (이송)파이프과 연결된 단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극저온 플랙시블 호스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플랙시블 호스는 그 자유 단부에서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지 아암으로 이루어진 장치는 선박과 붐 사이의 예정된 거리를 확보하며 연결시 및 이송 도중에 커넥터들 또는 수송관에 미치는 응력을 줄이거나 혹은 상쇄시키는 평형 비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붐 아래의 케이블 또는 접속 로드와 같은 연결기구에 의해 현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설명을 통하여 좀 더 상세히 이해가 될 것이다. 다른 목적들, 특징들, 이에 관한 세부 내용과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좀 더 분명히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에 관한 예시로서 다음과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물의 이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에서 본 것으로서 지지 붐 아래의 저장 위치의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선박의 수송관에 대한 연결 위치에서 본 도 3a에 따른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도 3b의 화살표(III)의 방향에서 본 부분도;
도 3d 내지 3i 는 선박의 수송관에 도 3a에 따른 이송장치의 연결 과정의 필수 단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에서 본 것으로서 붐 아래의 저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선박에 연결된 위치에서의 도 4a에 따른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도 4b의 화살표(IV C) 방향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4d는 도 4b의 화살표(IV D) 방향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4e는 도 4d의 화살표(IV E)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도;
도 4f 내지 4l은 선박에 도 4a에 따른 이송장치의 연결 과정의 단계들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4m 내지 4p는 선박에 도 4a에 따른 이송장치의 분리과정의 단계들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5b는 도 4a 및 4c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4a에 따른 이송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선박에 대한 연결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b 및 6c는 도 6a의 화살표(VI B) 및 (VI C) 방향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배관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에서 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배관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b는 선박에 대한 연결시 중간 조정위치에서의 도 8a에 따른 이송 배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c는 선박에 대한 수송관 연결 위치에서의 도 8a에 따른 이송 배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또한
도 9a 내지 9c는 선박에 의해 붐을 유도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수송 선박(2)과, 예를 들어 해저의 극저온 운송 케이블(3)이 존재하는 고정 시설물 사이에서, 예컨대 액화 천연가스(LNG) 같은 유체물의 이송 시스템을 실례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송 시스템은 반드시 정박조정실(mooring post)(5)을 구비하며, 예를 들면 바다의 해안가 언덕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다로 멀리 나아간) 심해상의 위치(6)에 있는 기둥(column)의 형태이다. 또한 정박 조정실(5)의 수면 위로 올라온 상단부 위에는 수평 크레인 한 대가 있어 만조가 되는 경우 조종실의 수직축 주위로 선박(2)의 상공 위로 상당한 높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유체물의 관 형상의 이송 장치(11)이 변형이 가능한데 수직축의 유연한 회전 이음새를 매개로 해저케이블(3)에 연결되도록 정박조정실을 거쳐 그리고 붐(8)을 따라 뻗어 있는 고정 (이송)파이프(10)에 도면부호 12로 표시된 한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다른 단부(13)는 표준 액화 가스 수송선의 경우와 같이 선박의 종방향 중심부 근처에 자리잡고 붐(8) 아래의 저장 위치(14)와 선박(2)의 수송관 장치(매니폴드)(15)에 연결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선박(2)은 기둥 형태로 되어 있는 정박조정실(5)의 축 주위로 자유로이 움직이는 링(19)의 단일(single) 정박지점(18) 위치에 정박케이블(17)에 의해 정박되며, 상기 정박 케이블(17)은 선박의 앞부분(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붐(8)이 회전하는 정박기둥(9)의 꼭대기 상에 있는 한 부분(23)에서 지지케이블(22)에 의해 또한 매달려 있게 된 것을 도시한다. 붐의 정력학적(靜力學)인 균형은, 케이블(22)에 의해 붐처럼 지지받는 붐의 "대응" 부분의 단부에서 평형추(7)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붐의 반대편에 있는 붐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모든 점은 수직축에 관한 회전시 큰 뻗음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어떠한 고정 단부 모우멘트도 붐(8) 안내 장치에 주지 않는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고 있다.
붐(8)은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동력 모터 장치를 포함하지만, 붐은 저장 위치에서 바람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이 자유롭다. 붐은 이송구조물 하에서는 특히 바람, 기류 그리고 파도의 방향에 대해 작용하는 중간 평균위치의 변동시에 선박(2)을 따라간다.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를 매개로 해서 선박(2)과 고정 시설물 사이에 액화 천연가스를 이송할 때, 상기 붐(8)은 선박에 의해서 이동된다. 붐에 미치는 응력의 합이 붐의 중립축을 통과함으로써 붐에 단순굽힘을 유도할 뿐 결코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는다.
추후에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이송장치(11)는 선박의 이동을 세밀히 걸러낼 수 있다. 선박의 평균 위치 근처에서의 작은 이동(미미한 이동)은, 붐의 회전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수평 응력을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선박의 평균위치의 변경만이 회전을 발생시킨다. 이 장치는 선박의 작은 이동을 "흡수"한다. 또한, 이 장치는 최고의 응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을 구성하는 붐을 구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 도면은 예를 들면 도 7 에 따른 유지 아암(103)의 단부에 매달린 평형추(108)와 같은 평형추를 도시하고 있다. 이 평형추는 붐(8)의 단부 아래에 케이블(68)과 같은 케이블의 끝에 현가되어 있다. 이러한 현가는 중립축의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붐에 대하여, 유지 아암과 평형추 사이에 측방향 운동이 있을 경우, 상기 평형추는 그 중량(P) 때문에 붐에 대해 케이블(68)에 의해 매달려 있는 높이에서 수직 분력(P)과 수평 분력(F)로 분기되는 힘(T)을 발생시킨다. 붐의 회전시 마찰을 무시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분력(F)은 이 분력이 도 9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가 될 때까지 붐을 구동하게 된다.
도 3a 내지 3i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물의 이송장치(11)의 제 1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장치는 붐(8)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이송)파이프(10)에 대해 평행하게 연결되는 3쌍의 관절식 아암(articulated arm)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쌍의 아암은 하나의 내부 아암(25)과 하나의 외부 아암(26)으로 구성된다. 이 두 개의 아암은 수직축을 가진 회전 조인트가 달린 형태이며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 형성하는 관절 형상체(articulation)(2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내부 아암(25)의 상단부는 회전 조인트(29)에 의해 E 형상 피스(30)의 한 부분 브랜치(branch)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기저부는 고정 (이송)파이프(10)와 회전 조인트(31)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회전 조인트(29 및 31)의 회전축들은 수직으로 되어 있다. 각 외부 아암(26)의 자유단부는 선박의 수송관 장치(15)에 이 아암을 연결하는 커넥터(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수직축을 구비한 두 개의 회전 조인트(35)에 의해 상기 아암과 연결되어 있다.
'스핀들'로 불리는 중심잡기 로드(centering rod)(36)는 상기 커넥터와 튼튼하게 연결이 되며, 이 스핀들은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선박의 수송관 장치(15)과 이송 외부 아암(26)의 커넥터(33) 사이에서 선박에 삽입 혹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모듈(38)의 부분을 이루는 보완적인 중심잡기 펀넬(funnel)(37)에 인입이 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모듈(38)에는 각 아암마다 펀넬(funnel)(37)을 통과하면서 중심잡기 스핀들(36)의 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40)을 그 주위에서 감아 올리는 1대의 윈치(39)(winch)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모듈은 선박의 수송관 플랫폼에 지지 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수송관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모듈(38)은 선박이나 또는 이송시스템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이송 시스템의 경우, 유체물의 이송시 수송관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모듈은 예를 들면 서비스 차량으로 선박에 수송되거나, 또는 선박 상의 붐의 단부에서 윈치를 사용하여 하강될 것이다.
유체물의 이송 도중에 붐을 이끄는 문제에서 주어지는 상기의 설명에 따르면, 평형추는 가능한 내부 아암 아래로 가져가게 된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할 것이다.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하여, 도 3b에서 도면부호 41로 표시된 것과 같은 평형추를 이러한 장소에서 예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바람의 영향을 막아내기 위한 과도한 평형추의 무게를 늘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붐과 대응 붐(수직 회전의 일반축에 대하여 중립인 시스템)상에 바람의 부하를 평형화하기 위하여 이송중에 조정되거나 숨겨질 수 있는 플랩(flap) 혹은 패널(panel)(도시되지 않음)로 된 대응 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를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은, 붐(8)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윈치(43)의 주위로 감아올릴 수 있는 조정 케이블(42)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붐의 자유 단부는 2개의 아암 사이의 관절 형상체(28)의 자리에서 이송장치(11)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서로에 대해 접혀진 위치에서 두 아암을 하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조정 케이블(45)은 두 아암을 뻗기 위하여 제공되고, 조정 케이블은 내부 아아암(25)의 높은 곳에 장착된 윈치(46)로부터 감김가능하거나 풀림가능하게 되며, 조정 케이블의 다른 단부는 아암(26)의 자유 단부 근처인 도면부호 47에서 상기 아암(26)에 부착된다. 상기 윈치는 원격 제어되는 어떠한 적절한 공지된 방법으로도 조정될 수 있다. 3쌍의 아암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이송장치(11)의 회전은,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유압 작동기 또는 유압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은 보조 선박으로부터의 감김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3d 내지 3g를 참조하여, 선박(2)의 수송관 장치(15)(매니폴드)에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를 연결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비작동 또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장치는 붐(8)아래에 접혀진 상태(folded state)로 저장되며, 조정 케이블(42)과 조정케이블(45)은 윈치(43와 46) 상에서 각각 감겨진다. 유체물의 이송을 위해서, 먼저 윈치(43)의 케이블(42)을 풀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11)가 내려간다. 그 다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위치로 있을 때까지 상기 장치는 회전 조인트(29)에서 회전된다. 그 다음, 상기 이송 장치(11)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90도 각도로 회전 조인트(31)에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 조인트(29)는 선박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3f에서와 같이, 윈치(46)로부터 조정케이블(45)을 풀면서 도 3g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기 내부 아암(25)과 외부 아암(26)을 펼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연결모듈(38)이 선박의 수송관 장치(15) 위에 미리 장착되거나 일체로 된 이후에, 상기 스핀들(36)의 선단 단부에 부착되는 케이블(40)은 상기 연결 모듈의 윈치(39)에 연결된다. 상기 모듈의 펀넬(37)을 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윈치에 케이블을 감고, 상기 펀넬(37) 내에 수송관 연장 코드를 구성하는 중심잡기 로드(36)를 수용하여 정해진 모듈의 연결위치내에 커넥터(33)를 가져온다.
도 3h 및 3i는 연결 모듈(38)로부터 이송장치(11)의 분리 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모듈은 선박위에 남아 있거나 어떠한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상기 이송장치로 이동된다. 상기 윈치(39)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40)이 풀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케이블(40)이 풀리거나 물에 떨어질 때까지 모듈의 커넥터(33)를 분리한다. 이 분리 단계에서(비상작동 또는 위급상황), 선박으로부터 붐(8) 분리용의 설정 토오크 값은 상기 붐(8)을 유압 조종하도록 한다. 또한 윈치(46)를 가동시켜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의 내부 아암(25) 위에 외부 아암(26)이 접히도록 한다. 도 3a에 있어서, 윈치(43)의 케이블(42)를 감으면 교차점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 조인트(31)가 작동한다.
도 4a 내지 4p를 참조하여, 유체물 이송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작동법의 경우, 바로 위에서 설명한 작동 방법과 비교해 볼 때,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도면부호 50으로 도시된 극저온 호스를 가진다. 도 4a와 4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호스(50)를 가지는 것으로 표시되는 이 장치는 평행하게 올려지며, 이는 부분 형태로 된 E형상 피스(30)의 단부에 연결되고, 수직축을 가진 2개의 회전 조인트(31)에 의해 고정 (이송)파이프(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극저온 호스의 경우, COFLEXIP STENA OFFSHORE사가 개발한 것이다. 각각의 호스 단부의 상대편에 커넥터(33)가 위치하고, 스핀들이라고 하는 중심잡기 로드(36)를 구성하는 연결 모듈을 선박 수송관 장치(15) 위에 위치하며, 이 경우 연결 모듈(38)를 통해 연결된다.
각각의 커넥터(33)는, 횡단 지지대(59)상에 놓인 윈치(57)상에 감겨질 수 있는 케이블(56)에 현가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선박과 붐(8)사이의 최소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아(60) 형태로 아암 위에 부착된다. 즉, 운송 호스(50)가 붐(8)의 단부와 선박 수송관 장치(15)상에서 체인 형상으로 병렬 배치될 때, 장력의 수평 성분은 상기 붐(8)을 선박을 향하여 들어가게 한다. 또한, 바아(60)는 전술한 원리에 따라 붐(8)의 회전에 관여한다. 상기 바아(60)는 횡단 지지대(59)를 가진 측과 반대의 단부에 또 다른 횡단 지지대(61)를 가지고, 상기 또 다른 횡단 지지대의 바깥 긴 면은 돌기(63) 요소를 구비하고, 3곳의 V자형 영역(64)의 경계를 한정하며, 상기 3곳의 V자형 영역은 각각 호스(50)를 수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각의 단부에서 횡단 지지대(61)는 상기 영역(64) 근처에 호스를 지탱하기 위한 돌출 측면 러그(65)를 포함한다.
유지 바아(stand-off bar)(60)는 선단부 케이블(67)에, 뒤쪽은 2개의 케이블(68)에 매달려 있고, 또한 E형상 피스(30)가 있는 들보(70)에는 3개의 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케이블(68)은 들보(70)의 단부와 횡단 지지대(61)의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호스는 횡단 지지대(61)와 들보(70)사이에 위치된 부분에 스페이서(72)를 구비한다. 또 유지 바아(60)의 선단부에 스핀들(74)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들(74)은 볼 조인트(ball joint)(3개의 수직축 주위의 운동을 허용하는 조인트) 위에서 피봇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연결 모듈(38)과 마찬가지로 윈치(77) 위에 적절히 감긴 케이블(76)에 의하여 상기 연결 모듈(38) 위에 설치되는 보완적인 펀넬(75)과 합체된다. 물론,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연결 모듈은 그 관련되는 펀넬에서 상기 커넥터(33)의 스핀들을 결합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감는 윈치를 지지한다.
호스(50) 세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는 2개의 조정 케이블을 통해 유지 바아(60)의 전후 단부에 고정하며, 케이블(80)은 붐(8) 아래에 위치된 윈치(81)상에 감기게 되고, 2개의 케이블(83)은 상기 붐(8)아래에 위치된 2개의 윈치(84)상에 감겨진다. 2개의 윈치(81 과 84)는 붐 아래에서 서로 벌어지면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유지 바아(60)는 앞선 원리와 동일하게 후방 단부에서 평형추(8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수송관에 연결될 때에, 상기 호스는 횡단 지지대(61)에 대향 접촉하는 상단부와 중간의 굽혀진 부분에서 각각 굽혀진 강화부(curvature stiffener)(87 및 88)를 가진다. 외부 환경과 호스의 특성에 따라, 들보(70)와 횡단 지지대(61) 사이의 연결구조와 같이 케이블(68) 대신 호스 횡단에 거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도 4f 내지 4l은 선박(2)의 수송관 장치(15)에 호스(50)를 연결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비작동 상태에서, 도 4a와 같이 유지 바아(60)는 붐(8) 아래에서 지지되며 케이블(80 과 83)은 윈치(81 과 84) 상에 완전히 감겨진다. 상기 바아는 붐에 대하여 평행을 유지하게 되고 호스는 체인 형상으로 병렬 현수된다.
도 4f와 4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의 수송관장치에 호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조정 케이블(80 및 83)이 풀려진다. 상기 호스(50)의 외부 곡률은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영역(64)에 결속되면서 횡단 지지대(61)에 대하여 접촉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제한된다. 이러한 결속은 나머지 연결 과정 동안과 이동 기간이나 차후의 분리를 위해 호스의 고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조인트(31) 또는 2개의 중합 조인트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변형가능한 이송장치(11), 즉 3개의 호스로 구성된 세트는 도 4h에 도시된 위치로 90도 회전되며, 여기에서 상기 호스는 선박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신장된다.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11)와 호스(50)를 연결하는 케이블(76)의 스핀들(74)은 선박의 사전 연결된 수송관 장치(15)에 유지 바아(60)와 윈치(77)를 연결한다. 펀넬(75)에 대한 스핀들(74)의 결속은 이송 장치의 올바른 위치를 안전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호스 커넥터(33)의 현수되는 케이블(56)은 이들 각각의 윈치로부터 풀려져서, 상기 이송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연결 모듈과 호스 사이의 연결이 안전하게 된다. 선박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호스를 다른쪽 단부에 지탱함으로써, 횡단 지지대(61)는 붐과 선박 사이의 적당한 거리를 확보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도 4m와 4p에 있어서, 호스의 분리는 상술된 연결 방식과는 반대로, 우선 연결모듈로부터 호스를 분리하고 그 후 윈치(57) 위로 호스 커넥터에 현가된 케이블(56)을 감아서(도 4m), 유지 바아(60)를 분리 및 회전시키고 마지막으로 지지 바아를 상승시켜서 조정케이블(80 과 83)을 해당 윈치(81 및 84)에 감는다.
도 5a 및 5b는 도 4a 내지 4p에 도시된 실시의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변경예는 유지 아암(90)의 작동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지 아암은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를 나타내며, 2개의 종단 바아(91)에 의해 형성되어 중앙과 외부사이로 횡단 지지대(92,93,94)에 의해 전후 연결되고, 또한 횡단 지지대(93 및 94)는 도 4a 내지 도 4P에 따른 실시예의 횡단 지지대(59 와 61)의 기능을 각각 만족시킨다. 상기 호스(50)는 후방의 횡단 지지대(94)와 접촉하고, 상기 바아(91)는 횡단 지지대(94)를 넘어 평형추(96)가 있는 바깥쪽(95)을 향하여 연장한다.
도 6a 내지 6c의 도면들은 특정 용도의 유지 아암(98)이 각각의 호스(50)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아암은 또한 단부와 중간에서 횡단 지지대(100)로 연결되어 함께 근접되는 2개의 수직 바아(99)에 의하여 형성되는 또 다른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각각의 호스는 아암(98)의 2개의 바아(99) 사이에 결속되어 있다. 상기 아암(98)은 호스 단부/지지 아암의 볼 조인트 연결부에 의하여 호스의 단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바아의 뒤쪽 단부는 평형추(101)를 지탱한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바아(99)는 횡단 들보(transverse carrier beam)에 매달려 있으며, 이는 앞 케이블(67)과 뒷 케이블(68)에 의해 연결되고 호스 앞에서 선박에 호스를 연결시킨 상태로 공통으로 E형상 피스를 지탱한다.
도 7은 이송 호스 장치를 작동시키는 또다른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며, 이에 따라 선박(2)과 붐(8) 사이의 간격이 유지 아암(103)에 의해 호스(50)를 위한 중간 지지 없이 유지되고, 케이블(67,68)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붐 아래에서 현가된다. 상기 아암(103)의 후방 단부는 평형추(108)를 지탱한다. 이 실시예에서, 호스(50)는 체인형상으로 회전 들보(106)와 유지 아암(103)의 선단부 사이에 자유롭게 놓인다.
도 8a 내지 8c는 이송장치(11)의 동작 형태를 보여주며, 이는 도 7에 따른 장치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특히 호스(50)의 연결 지점 및 유지 아암(103)의 지지 케이블(68)이 각각의 아암(1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이 아암을 회전 조인트(31) 또는 두 중첩 회전 조인트에 의해 붐(81) 아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는 아암축과 평행하게 이끌어내어 이송장치가 아암의 아래에서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유지 아암(103)은 이와 역시 평행하게 놓인다.
그 중간부 근처에서 아암(103)의 케이블(8)에 의한 현가 동작과 균형추는 안정된 평형 상태를 보장하고, 또한 선박의 수송관 장치의 연결시의 조정 응력 및 수송관 장치 또는 그 연장부 상의 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단순 구조이면서도 열악한 환경에서도 그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붐의 설명에 있어서, 단일 정박지 형식을 운영할 수 있으며 수송관장치가 수직으로 선박의 세로축과 그 중앙에(표준 천연액화 가스 수송선) 맞게 조준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 수송관장치는 전에 소개한 것과 같이 선적 중앙 부분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그 용도에 따라 해양 굴착장소(off-share station)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붐의 지지대는 천연 액화 가스의 저장 및 생산을 위한 부유 유닛과 같은 부유 지지대 위에 세워질 수 있다. 이전의 설명에서는, LNG의 이송 라인만이 설명되었다. 물론, 증기 형태의 가스의 반환용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정박지 기둥에서 붐의 회전축에 공통축 형태의 멀티 통로 유체 조인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조인트(31)는 견고한 관 형상체이다. 상기 조인트(31)의 경우 360도 회전은 불필요하며, 동일 축의 단일 통로의 회전축을 사용하거나,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회전축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에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에서, 변형가능한 이송장치는 수송관장치의 아래에서 연결된다. 이 경우, 이송장치의 커넥터를 개방하여, 적용가능하다면, 아래로 향하게 만드는 것이 충분하고, 수송관 장치의 커넥터는 위를 향하여 수직되게 개방되고, 따라서, 상기 스핀들과 펀넬은 커넥터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규모에 관하여, 예를 들자면, 상기 붐은 200m와 250m 사이의 길이로 하며, 수면 위의 그 높이는 50m 정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특징은, 변형가능한 이송장치의 연결, 분리 과정 및 단일케이블의 유도, 변형 시스템의 이동 단부의 지지/게양 작업을 측면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 단일케이블은 선박의 주요 운동축에 따라서 정렬된다. (엔진 노크(heaving)).
본 발명에 따른 유체물 이송 시스템에 의하여, 열악한 환경 조건하에서도 유체 생산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생산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할 수 있다.

Claims (28)

  1. 유체 생산물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길이부를 가지며 상기 유체 생산물을 운송하며, 선박으로 그리고 선박으로부터 상기 유체 생산물을 이송하기 위한 매니폴드(manifold)를 포함하는 선박과,
    상기 유체 생산물을 수용하고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installation)을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은,
    선박이 항해하는 바다(body of water)의 저부에서 대지에 연결되는 하부와, 바다위로 연장되는 상부를 구비하고 또한 기둥(column)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선박용 정박 장치(mooring post)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장착되고, 자유 단부를 가지며, 제 1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정박 장치에 정박될 때에 붐의 적어도 한 부분이 선박 위에 직접 위치될 수 있는 붐과,
    상기 붐에 의하여 지탱되는 이송 파이프와,
    상기 붐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와,
    상기 선박을 상기 정박 장치에 정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저장 상태의 저장 위치와, 상기 매니폴드 근처의 붐의 자유 단부를 가지고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이송 상태의 이송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선박을 정박하기 위한 수단은 선박의 단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사이에서 뻗어있으며, 상기 구조물의 제 1 수직축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박은 정박 장치에 대면하는 선박의 단부에서 바다의 파도 및 조류, 바람과 정렬하기 위해 상기 정박 장치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선박의 길이부를 따라서 중심에 위치되며,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제 2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하며, 여기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상기 저장 위치와 이송 위치사이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하여 붐에 부착되며, 따라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가 이송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붐위의 비틀림 응력은 상기 제 1 수직축에 대한 붐의 회전과, 상기 제 2 수직축에 대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의 회전에 의하여 완화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상기 붐의 자유 단부에서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 파이프에 대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의 연결에 의해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상기 붐 아래에 매달리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은 200 내지 220 미터의 길이부를 가지며, 바다 위 약 50 미터 높이로 뻗어있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제 1 단부에서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극저온 호스(cryogenic hose)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을 지지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위치에서, 상기 극저온 호스는 붐아래의 제 2 단부에서 매달리며, 따라서 상기 2개의 단부 사이에서 자유롭게 매달리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단부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극저온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파이프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연결 수단을 지지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극저온 호스와 관련된 유지 아암(stand-off arm)은 유체 생산물의 이송 동안에 상기 선박과 붐사이의 예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붐을 회전시키도록 하는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유체 생산물을 이송하는 동안에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될 수 있는 단부로부터 대향된 단부에서 지탱되는 아암과, 유체 생산물의 이송동안에 상기 극저온 호스가 대항하여 지지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호스의 연결 수단이 매달리는 횡단 지지대(cross piece)를 가지며, 각각의 연결 수단은 상기 매니폴드에 대한 호스의 연결 설치동안에 중심잡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펀넬(funnel)과 결합하도록 채택되는 상기 중심잡기 로드를 구비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붐 아래에 설치된 윈치에 감겨질 수 있는 조정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붐 아래에 매달리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호스를 지지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유지 아암의 대향된 단부에서 각각의 평형추를 포함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유체 생산물의 이송동안에 상기 선박과 붐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균형을 이루는 현가 구성품에 의해서 상기 붐아래에 매달리며, 또한 연결 설치 및 유체 생산물의 이송 동안에 상기 연결 수단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현가 구성품은 독립된 구성품으로, 케이블 및 연결 로드중의 하나인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현가 구성품은 극저온 호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16. 유체 생산물을 수용 또는 공급하기 위하여 선박과 시설물사이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과 시설물사이에서 유체 생산물을 이송하고, 지지 구조물에 의하여 제 1 단부에 지지되며,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단부를 가지는 유체 생산물 이송용 장치로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선박용 정박 장치와, 상기 정박 장치위에 장착되며 제 1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붐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정박 장치에 정박되는 선박 바로 위에 위치될 수 있는 붐 및, 상기 붐에 의해서 지지되는 이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생산물 이송용 장치와,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붐 근처의 저장 위치와 상기 선박의 매니폴드에 대한 연결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와,
    상기 선박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수직인 위치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할 때에 상기 이송 파이프에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를 연결하는 회전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붐의 축에 평행하게 있는 동안에 상기 붐 아래에 저장되며,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자유 단부에서 상기 선박의 상기 매니폴드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 장치를 가지며,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와 매니폴드는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를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동안에 중심을 맞추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서로에 대하여 관절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관형 아암을 가지며, 또한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된 내부 아암과, 자유 단부에서 상기 연결 장치를 지지하는 외부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장치는 선박의 매니폴드와 관련된 중심잡기 펀넬에 수용되는 중심잡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잡기 로드는 중심잡기 로드의 선단과 제 1 윈치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펀넬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펀넬을 통과하며,
    상기 붐 아래에 저장될 때에, 상기 외부 아암은 내부 아암으로 접혀지며, 또 내부 및 외부 아암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접혀진 위치에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아암을 하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내부 및 외부 아암을 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아암을 하강하기 위한 수단은, 이들의 상호 관절부에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아암에 부착되고, 상기 붐 아래에 장착된 제 2 윈치 위에서 감겨지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아암을 펴기 위한 수단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한 단부는 외부 아암의 전방부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블의 다른 단부는 상기 내부 아암의 자유 단부근처에서 내부 아암의 제 3 윈치 위에 감겨질 수 있는 유체 이송 시스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다수의 쌍의 관절식 관형 아암을 가지며, 상기 내부 아암의 자유 단부는 회전 조인트에 의해서 각각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공통 부분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0. 유체 생산물을 수용 또는 공급하기 위하여 선박과 시설물사이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박과 시설물사이에서 유체 생산물을 이송하고, 지지 구조물에 의하여 제 1 단부에 지지되며,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단부를 가지는 유체 생산물 이송용 장치로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선박용 정박 장치와, 상기 정박 장치위에 장착되며 제 1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붐의 적어도 한 부분이 정박 장치에 정박되는 선박 바로 위에 위치될 수 있는 붐 및, 상기 붐에 의해서 지지되는 이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생산물 이송용 장치와,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붐 근처의 저장 위치와 상기 선박의 매니폴드에 대한 연결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와,
    상기 유체 생산물이 이송 동안에 상기 선박과 붐사이에서 예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붐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극저온 호스와 관련된 유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제 1 단부에서 상기변형가능한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극저온 호스를 포함하고, 연결 장치를 지지하는 제 2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 위치에서 상기 극저온 호스는 붐아래의 제 2 단부에 매달려서 체인과 같이 매달리며,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유체 생산물의 이송동안에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선박의 매니폴드에 연결될 수 있는 단부로 부터 대향된 단부에서 지지되는 아암과, 유체 생산물의 이송동안에 상기 극저온 호스가 대항하여 지지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이송 장치는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는 단부에서 연결되는 다수의 극저온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파이프 각각은 자유 단부에서 연결 수단을 지지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호스의 연결 수단에 매달리는 횡단 지지대(cross piece)를 가지며, 각각의 연결 수단은 상기 매니폴드에 대한 호스의 연결 설치동안에 상기 중심잡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펀넬과 결합하도록 채택되는 상기 중심잡기 로드를 구비하는 유체 이송 시스템.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붐 아래에 설치된 윈치에 감겨질 수 있는 조정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붐 아래에 매달리는 유체 이송 시스템.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상기 호스를 지지하는 단부로부터 상기 유지 아암의 대향된 단부에서 각각의 평형추를 포함하는유체 이송 시스템.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은 유체 생산물의 이송동안에 상기 선박과 붐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균형을 이루는 현가 구성품에 의해서 상기 붐아래에 매달리며, 또한 연결 설치 및 유체 생산물의 이송 동안에 상기 연결 수단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유체 이송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현가 구성품은 독립된 구성품으로, 케이블 및 연결 로드중의 하나인 유체 생산물 이송 시스템.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현가 구성품은 극저온 호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체 이송 시스템.
KR1020037014677A 2001-05-11 2002-05-13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KR100939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6279A FR2824529B1 (fr) 2001-05-11 2001-05-11 Systeme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notamment d'un gaz liquefie, entre un vehicule de transport tel qu'un navire et une installation de reception ou de fourniture de ce produit
FR01/06279 2001-05-11
PCT/FR2002/001603 WO2002092494A1 (fr) 2001-05-11 2002-05-13 Systeme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notamment d'un gaz naturel liquefie, entre un vehicule de transport tel qu'un navire et une installation de reception ou de fourniture de ce pro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798A KR20040023798A (ko) 2004-03-19
KR100939582B1 true KR100939582B1 (ko) 2010-02-01

Family

ID=886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677A KR100939582B1 (ko) 2001-05-11 2002-05-13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147021B2 (ko)
EP (1) EP1385780B1 (ko)
JP (1) JP4275416B2 (ko)
KR (1) KR100939582B1 (ko)
CN (1) CN1325366C (ko)
AT (1) ATE346014T1 (ko)
AU (1) AU2002304470B2 (ko)
BR (1) BR0209618B1 (ko)
CA (1) CA2446591C (ko)
DE (1) DE60216266T2 (ko)
ES (1) ES2278029T3 (ko)
FR (1) FR2824529B1 (ko)
MX (1) MXPA03010332A (ko)
NO (1) NO332463B1 (ko)
RU (1) RU2299848C2 (ko)
WO (1) WO2002092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443A (ko) * 2011-04-11 2014-03-05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9485A2 (en) * 2004-10-01 2006-04-13 Dq Holdings, Llc Method of unloading and vaporizing natural gas
JP2008519221A (ja) * 2004-11-08 2008-06-05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液化天然ガスのフローティング式貯蔵再ガス化装置
US8402983B2 (en) * 2005-02-17 2013-03-26 Single Bouy Moorings, Inc. Gas distribution system
FR2902411B1 (fr) * 2006-06-19 2011-02-25 Technip France Dispositif de transfert d'un fluide sur un navire, ensemble et procede de transfert associes
FR2903653B1 (fr) * 2006-07-13 2009-04-10 Eurodim Sa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tel que du gaz naturel liquefie entre un navire tel qu'un methanier navette et une unite flottante ou fixe.
FR2903753B1 (fr) * 2006-07-13 2012-01-20 Eurodim Sa Dispositif de connexion de l'extremite d'une conduite deformable d'acheminement d'un fluide a une tuyauterie fixe telle que le manifold d'un navire.
CA2669119C (en) * 2006-11-15 2014-10-07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fluid
WO2009056946A2 (en) * 2007-10-31 2009-05-07 Single Buoy Moorings, Inc. Pressure relief offshore system
FR2941434B1 (fr) * 2009-01-27 2015-05-01 Fmc Technologies Sa Systeme de transfert d'un produit fluide et sa mise en oeuvre
FR2945510B1 (fr) * 2009-05-13 2014-11-07 Eurodim Sa Procede de transfert de fluides entre un premier navire et un deuxieme navire et systeme de transfer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DE102010012306A1 (de) 2010-03-23 2011-09-29 Fachhochschule Kiel Energetisch optimiertes und flexibles Transferierungssystem für flüssige und feste Transportgüter im maritimen Bereich
FR2971762B1 (fr) * 2011-02-22 2015-05-01 Technip France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notamment du gaz de petrole liquefie entre une premiere installation de surface et une deuxieme installation de surface
EP2773555B1 (en) * 2011-11-03 2017-01-1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Fluid transfer hose manipulat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US8915271B2 (en) * 2011-12-20 2014-12-23 Xuejie Liu System and method for fluids transfer between ship and storage tank
CN103423585B (zh) * 2013-08-23 2015-08-26 连云港远洋流体装卸设备有限公司 吊机式船用低温流体加注设备的管道转向机构
US9598152B2 (en) 2014-04-01 2017-03-21 Moran Towing Corporation Articulated conduit systems and uses thereof for fluid transfer between two vessels
US10053195B1 (en) * 2016-01-29 2018-08-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hipboard side-mounted extending articulated boom for fueling and maintenance operations
US10358338B2 (en) 2016-04-02 2019-07-23 Xuejie Liu Auto-balancing hose system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CN110869686B (zh) * 2017-07-07 2021-07-30 全球As液化天然气服务 大规模沿海液化
CN107606475B (zh) * 2017-08-09 2023-03-31 江苏海企港华燃气股份有限公司 水油气多功能加注趸船的燃气系统
RU2658256C1 (ru) * 2017-08-29 2018-06-19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Мнушкин Мультимода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101924288B1 (ko) 2017-09-05 2018-11-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의 냉열로 포집한 플루 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시스템
CN110254643B (zh) * 2019-06-27 2022-02-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吊装系统及船舶
CN114572720B (zh) * 2022-04-09 2024-01-26 安徽力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物流装卸使用装车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2446A (en) * 1958-04-16 1960-01-26 Parsons Brinckerhoff Hall & Ma Marine hose loader
US4090538A (en) * 1974-06-28 1978-05-23 Technigaz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at sea a transportation ship conveying incoherent products
US4261398A (en) * 1979-06-13 1981-04-14 Fmc Corporation Deepwater offshore loa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9816A (en) * 1965-08-18 1967-10-3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ow mooring
EP0947464A1 (en) * 1998-04-01 1999-10-06 Single Buoy Moorings Inc. Fluid transfer boom with coaxial fluid ducts
NO312715B1 (no) * 1999-10-27 2002-06-24 Statoil Asa System for offshore overför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2446A (en) * 1958-04-16 1960-01-26 Parsons Brinckerhoff Hall & Ma Marine hose loader
US4090538A (en) * 1974-06-28 1978-05-23 Technigaz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at sea a transportation ship conveying incoherent products
US4261398A (en) * 1979-06-13 1981-04-14 Fmc Corporation Deepwater offshore load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443A (ko) * 2011-04-11 2014-03-05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에스.아.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02182B1 (ko) * 2011-04-11 2019-07-19 에프엠씨 테크놀로지스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34993D0 (no) 2003-11-10
JP2004529830A (ja) 2004-09-30
BR0209618A (pt) 2004-03-30
CN1325366C (zh) 2007-07-11
DE60216266T2 (de) 2007-06-28
BR0209618B1 (pt) 2011-02-08
RU2299848C2 (ru) 2007-05-27
US20040154697A1 (en) 2004-08-12
CA2446591A1 (fr) 2002-11-21
AU2002304470B2 (en) 2007-07-26
MXPA03010332A (es) 2004-02-17
RU2003134539A (ru) 2005-04-27
KR20040023798A (ko) 2004-03-19
FR2824529B1 (fr) 2003-08-29
EP1385780B1 (fr) 2006-11-22
ATE346014T1 (de) 2006-12-15
CA2446591C (fr) 2013-01-22
EP1385780A1 (fr) 2004-02-04
FR2824529A1 (fr) 2002-11-15
US7147021B2 (en) 2006-12-12
CN1516677A (zh) 2004-07-28
NO332463B1 (no) 2012-09-24
ES2278029T3 (es) 2007-08-01
JP4275416B2 (ja) 2009-06-10
WO2002092494A1 (fr) 2002-11-21
DE60216266D1 (de)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582B1 (ko) 유체물 특히 액화 천연가스를 선박과 같은 운송수단과 상기 유체물의 수용 혹은 공급 시설물 사이에 이송하는 시스템
EP2025591B1 (en) Weathervaning LNG offloading system
EP1999009B1 (en)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vertical rotation axis
US9927069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fluid, especially liquefied petroleum gas, between a first surface installation and a second surface installation
US7066219B2 (en) Hydrocarbon fluid transfer system
CN1100698C (zh) 用于为海上的船装载的装置
EP1999008B1 (en)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CA2494181C (en) Duplex yoke mooring-system
CA2219175C (en) Cam fluid transfer system
KR101939414B1 (ko) 유체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베이스 없는 평형 로딩 아암
US4393906A (en) Stern to bow offshore loading system
AU2007278210B2 (en) Deep water hydrocarbon transfer system
EP1080007B1 (en) Transfer pipe system
BR112012029445B1 (pt) instalação de ligação fundo-superfície e método de reboque no mar de uma torre
GB2206144A (en) Underwater oil production
WO20010587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ffshore loading of hydrocarbons
ITMI961203A1 (it) Metodo e apparato strutturale di monormeggio per navi in mare aper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