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634B1 -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 Google Patents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7634B1 KR100937634B1 KR1020090078501A KR20090078501A KR100937634B1 KR 100937634 B1 KR100937634 B1 KR 100937634B1 KR 1020090078501 A KR1020090078501 A KR 1020090078501A KR 20090078501 A KR20090078501 A KR 20090078501A KR 100937634 B1 KR100937634 B1 KR 100937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elevating
- washing
- nozzle
- shape recogn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상인식을 통한 차량 이미지 데이터 값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세척수단의 노즐뭉치와 차량과의 최적 거리를 유지시키고, 또한 노즐뭉치의 전후 선회를 가능케 하여 차량의 굴곡진 표면에 대해 직각 분사가 가능함은 물론, 터널 타입이나 갠트리 타입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a vehicle shape recognition, and in particular, by using the vehicle image data values through the shape recognition in real time to maintain the optimum distance between the nozzle unit and the vehicle of the nozzle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ar wash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both a tunnel type and a gantry type, as well as enabling a right-angle spraying on a curved surface of a vehicle by enabling forward and backward turning.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은, 각각 승강레일 및 제1세척수단이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 상기 각 승강레일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 사이에 배치되고, 제2세척수단 및 형상인식수단이 장착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수단;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In order to implement this, the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the vehicle shap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rail and the first washing means are installed, respectively two vertical be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rizontal beam connecting the two upper vertical beams; An elevat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two vertical beams by two elevating roller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s and equipped with a second washing means and a shape recognizing means; Elevating driving means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rai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driving means.
상기 형상인식수단이 차량 전반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값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하 승하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수단과 차량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pe recognition means continuously generates image data throughout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generated data value in real time, controls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to adjust the up and down of the lifting frame, thereby adjusting the second.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ashing means and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상인식을 통한 차량 이미지 데이터 값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세척수단의 노즐뭉치와 차량과의 최적 거리를 유지시키고, 또한 노즐뭉치의 전후 선회를 가능케 하여 차량의 굴곡진 표면에 대해 직각 분사가 가능함은 물론, 터널 타입이나 갠트리 타입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a vehicle shape recognition, and in particular, by using the vehicle image data values through the shape recognition in real time to maintain the optimum distance between the nozzle unit and the vehicle of the nozzle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car wash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both a tunnel type and a gantry type, as well as enabling a right-angle spraying on a curved surface of a vehicle by enabling forward and backward turning.
세차시스템 관련한 다양한 기술 중, 특히 차량 형상인식과 관련한 기술로는,Among the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the car wash system, in particular the technology related to vehicle shape recognition,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1999-025873호(1999.04.06.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차량용 세차기와 이를 이용한 차량감지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25873 (published on April 6, 1999,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vanced technology”) `` Vehicle car wash and vehicl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re proposed.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의 세척 위치를 감지하여 세척부 지지프레임을 따라서 브러시가 승강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승강한 브러시의 승강 위치를 차량인식수단에 의하여 감지하여 차량의 차종을 인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인식된 차종에 따라서 세척이 완료된 차량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어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The prior art detects the vehicle model of the vehicle by sensing the washing position of the vehicle by detecting the lifting position of the brush lifted by the first step, the lifting position of the brush lifted by the first step by the washing unit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of set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yer is installed to be liftable to dry the vehicle is cleaned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recognized by the second step.
본 발명은 포토센서, 모션벡터추출모듈, 파노라마합성모듈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인식수단을 통해 차량 전반에 걸쳐 이미지화 하여 차량 상부 및 전후를 세척하게 되는 세척수단의 상하 승하강 거리 및 노즐의 전후 각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게 되는데,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age of the entire vehicle through a shape recognition means including a photosensor, a motion vector extraction module, a panorama synthesis module and a control unit, and the like to move up and down the distance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cleaning means to wash the upper and rear vehicles To adjust the angle in real time,
본 발명의 형상인식수단과, 상기 선행기술의 상기 차량인식수단은 유사한 듯 보이나,Although the shape recogni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hicle recognition means of the prior art seem similar,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인식수단을 통해 차종을 인식하고 이에 맞게 세척수단이 구동되는 방식이고,The prior art is a way that the vehicle is recogniz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means and the washing means is driven accordingly,
본 발명은 형상인식수단을 통해 현재 세차를 위해 진입된 차량 전반에 걸쳐 형태를 이미지화 하고, 이 이미지 데이터 값을 기초로 하여 실시간으로 세척수단의 상하 승하강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방식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y to image the shape throughout the vehicle currently entered for car wash through the shape recognition means,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up and down of the washing means in real time based on the image data value.
즉, 상기 선행기술은 세차를 위해 진입된 차량의 외표면 상태나 적재된 짐에 따른 돌출 부위 등의 변화된 차량 상태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기설정된 차종에 맞게 세척수단이 구동된다.That is, the prior art does not recognize at all about the changed state of the vehicle, such as the outer surface state of the vehicle entered for car wash or the projected portion according to the loaded load, and the washing means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vehicle type.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 및 이외에 세차시스템과 관련된 공지의 기술들에 비해 기능적, 효율적인 면에서 우수하고, 최적의 세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차종 형상을 인식해서 세척을 진행하는 본 발명의 세차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car was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vehicle in real time in order to provide an excellent car wash function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other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car wash system. Developed.
본 발명은 형상인식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형상을 인식하여 차량 전후 및 상부를 세척하게 되는 제2세척수단과 차량과의 최적 거리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the vehicle shape recognition to recognize the vehicle shape in real time through the shape recognition means to wash at the optimum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cond washing means to wash the front, rear and top of the vehicle. It aims to do it.
또 본 발명은 선회구동수단을 통해 차량 전후 및 상부를 세척하게 되는 제2세척수단의 전후 각도, 즉 분사노즐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여 차량 표면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에서 고압수나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front and rear angle of the second washing means to clean the front and rea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turning drive means, that is, to spray the high-pressure water or rinsing w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surface by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vehicle shape recogni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진동수단을 통해 제1 및 제2 세척수단의 각 분사노즐이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에 골고루 고압수나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brid using a vehicle shape recognition that allows each injection nozzl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eans reciprocating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a vibration means, evenly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or rinsing water to the vehicle To provide a type car wash system.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의 휠 세척을 위한 휠 세척장치를 구비한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a vehicle shape recognition having a wheel cleaning device for washing the wheel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은,Hybrid car wash system using the vehicle shap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각각 승강레일 및 제1세척수단이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Two vertical beams each provided with a lifting rail and a first washing mean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두 수직빔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A horizontal beam connecting the two upper vertical beams;
상기 각 승강레일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 사이에 배치되고, 제2세척수단 및 형상인식수단이 장착된 승강프레임;An elevat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two vertical beams by two elevating rollers coupled to the elevating rails and equipped with a second washing means and a shape recognizing means;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수단; 및Elevating driving means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rail; And
상기 승강구동수단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fting driving means;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Consisting of,
상기 형상인식수단이 차량 전반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값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하 승하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수단과 차량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pe recognition means continuously generates image data throughout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generated data value in real time, controls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to adjust the up and down of the lifting frame, thereby adjusting the second.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ashing means and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제1세척수단은 복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제1노즐뭉치를 포함하고,And the first washing means comprises a first nozzle bundl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상기 제2세척수단은 복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제2노즐뭉치 및 이의 전후 선회 각도 조절을 위한 선회구동수단을 포함하며,The second washing means includes a second nozzle bundl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nd swing driving means for adjus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turning angle thereof.
상기 선회구동수단은 차량 이미지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가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vot driving mean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vehicle image data valu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세척수단은 각 분사노즐의 일정 각도 왕복 운동을 위한 진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means for a predetermined angle reciprocating motion of each injection nozzle is provided.
한편,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갖는 제3노즐뭉치와, 상기 제3노즐뭉치와 결합되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자전하게 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져On the other hand, it consists of a third nozzle bundl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nd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the third nozzle bundle to rotate by the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상기 두 수직빔에서 차량의 바퀴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휠 세척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 washing devic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heel height of the vehicle in the two vertical beams.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은,Hybrid car wash system using the vehicle shap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형상인식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형상을 인식하여 차량 전후 및 상부를 세척하게 되는 제2세척수단과 차량과의 최적 거리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형상에 맞게 최적의 세차가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The most effective effect can be achieved by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the shape recognition means, so that the washing is performed at the optimum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cond washing means that washes the front, rear, and top of the vehicle. There is.
또 선회구동수단을 통해 차량 전후 및 상부를 세척하게 되는 제2세척수단의 분사노즐에 대한 전후 각도를 조절하여 차량 표면에 대해 직각이 되는 방향에서 고압수나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표면과 직각이 되는 곳에서 도 달하게 되는 고압수의 분사압이 가장 커 차량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angles of the injection nozzle of the second washing means to wash the vehicle front and rear and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turning drive means to inject high-pressure water or rinsing w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hicle surface,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high-pressure water reached at a right angle with the largest is eas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또 분사노즐의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차량 전체에 골고루 구석구석 고압수나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mo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has an effect that can be evenly sprayed high pressure water or rinsing water throughout the vehicle.
또 휠 세척장치를 통해 차량의 휠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heel of the vehicle can be washed through the wheel clean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선회구동수단을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및 형상인식수단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turning drive means in Figure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1,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and a shape recogniz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승강선회모터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바닥 설치레일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lifting and turning motor side is determined as the upper or upper side, and the bottom installation rail side is determined as the lower or lower side based on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은,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hybrid car wash system using the vehicle shap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각각 승강레일(110) 및 제1세척수단(120)이 설치되고 상호 이격된 두 수직빔(100);Two
상기 두 수직빔(100) 상부측을 연결하는 수평빔(200);A
상기 각 승강레일(110)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310)에 의해서 상기 두 수직빔(1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세척수단(320) 및 형상인식수단(330)이 장착된 승강프레임(300);An elevat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two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수단(400); 및Elevating driving means (400) for elevating the elevating frame (300)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rail (110); And
상기 승강구동수단(40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500);A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Consisting of,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이 차량 전반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값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은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승강구동수단(400)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상하 승하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수단(320)과 차량과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continuously generates image data throughout the vehicle, and the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Looking more closely at each configuration,
상기 두 Above two
수직빔(100)은
마주보는 내측벽에 각각 구비된 승강레일(110), 그리고
복수의 분사노즐(121a)을 갖는 제1노즐뭉치(121)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레일(1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세척수단(120)First washing means 120 including a first nozzle bundle (121)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 (121a),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position away from the lifting rail (1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상기 remind
수평빔(200)은
상기 두 수직빔(100) 상부측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It is made to connect the upper side of the two vertical beams (100).
상기 remind
승강프레임(300)은
상기 각 승강레일(110)과 결합된 두 승강롤러(310), 그리고Two
최초 하방을 향한 제2세척수단(320) 및 형상인식수단(330)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The second washing means 320 and 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toward the first downward is made.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If you look more closely,
상기 두 승강롤러(310)는 롤러브라켓(310a)에 장착되고,The two
아울러 상기 형상인식수단(330) 또한 상기 롤러브라켓(310a) 하단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is also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ller bracket (310a).
그리고 상기 제2세척수단(320)은And the second washing means 320 is
상기 양 롤러브라켓(310a)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노즐(321a)을 갖는 제2노즐뭉치(321)와,A
상기 제2노즐뭉치(321)의 일단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선회모터(322a)를 포함하는 선회구동수단(322)으로 이루어진다.It is composed of a swing drive means 32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상기 선회모터(322a)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노즐뭉치(321) 자체가 전후 360도 선회가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2노즐뭉치(321)에 배열된 각 분사노즐(321a)의 전후 360도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urning
그리고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은And 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is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는데,Various known techniques can be used,
일예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5-0094913호(2005.09.29) 『차량 인식장치 및 차량인식방법』에 공지된 기술을 도입하여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4913 (September 29, 2005) "Vehicle Recognition Apparatus and Vehicle Recogni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known technology.
상기 공지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As described in the above known art,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은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is
포토센서(330A)에 의해서 차량이 촬상된 기준 이미지와 상기 차량이 촬상된 비교 이미지들 간에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한 이미지의 차이를 특정 하는 모션벡터를 추출하는 모션벡터추출모듈(331),A motion
임의의 이미지로부터 모션벡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후속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합성이미지와 모션벡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모션벡터를 갖는 상기 후속이미지에 후속되는 차후속이미지와 합성하여 후속이미지를 형성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차량이미지를 합성하는 파노라마합성모듈(332), 그리고A subsequent image whose motion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s synthesized from an arbitrary image to form a composite image, and the subsequent image subsequent to the subsequent image having the composite image and a motion vector whose motion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
상기 임의의 이미지, 상기 임의의 이미지에 후속되는 후속이미지들, 상기 파노라마 합성모듈에 의하여 합성되는 합성이미지들을 상기 모션벡터추출모듈에 전송하여 모션벡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벡터정보와 합성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파노라마합성모듈에 전송하여 합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rbitrary image, subsequent images subsequent to the arbitrary image, and a synthesized image synthesized by the panorama synthesizing module are transmitted to the motion vector extraction module to control to extract a motion vector, and the extracted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It includes a
따라서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에 의해서 획득한 차량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컨트롤러(500)에 전송하면,Therefore, when the vehicle image data obtained by 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컨트롤러(500)는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수단(400)을 작동시켜 상기 승강프레임(30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The
결국 차량과 상기 제2세척수단(320)의 분사노즐(321a)과의 최적 거리(대략 10~30cm)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an optimum distance (approximately 10 to 30 cm) between the vehicle and 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500)는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선회구동수단(322)을 작동시켜 차량 표면에 대해 상기 분사노즐(321a)이 직각이 될 수 있게 항상 유지시켜 준다.In addition, the
다시 말하면, 차량 표면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들어가거나 나오는 등의 다양한 표면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In other words, since the vehicle surface has various surface shapes such as entering and exiting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상기 분사노즐(321a)이 차량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고압 세척수나 헹굼수를 분사하는 것이 이물질 제거나 헹굼에 최적이므로,Since the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의 이미지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선회구동수단(322)을 제어함으로써,By the
차량 표면과 상기 분사노즐(321a)의 분사 방향이 상호 직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urface and the
결국, 본 발명은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의 이미지 데이터 값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승강구동수단(400) 및 상기 선회구동수단(322)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에 대한 최적의 세척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remind 승강구동수단(400)은Lift driving means 400
상기 승강프레임(300)이 상기 승강레일(11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게 하는 것으로,The
상기 수평빔(200)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서포트(210)에 의해서 지지되고 양단에 각각 구동기어(411)를 갖는 선회축(410),A
상기 선회축(410)과 연결되어 상기 선회축(410)의 선회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선회모터(420), 그리고Lifting
상기 선회축(410)의 각 구동기어(411)와 상기 양 롤러브라켓(310a) 각각을 연결하는 두 체인(430)Two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상기 승강선회모터(4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선회축(410)이 선회하고, 이의 양단에 결합된 두 구동기어(411) 또한 선회하며, 결국 상기 두 구동기어(411)와 상기 체인(430)으로 연결된 양 롤러브라켓(310a)이 상기 승강롤러(310)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선회모터(420)는 상기 컨트롤러(500)에 의해서 제어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and turning
상기 컨트롤러(500)는The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의 차량 이미지 데이터 값을 전송받아 상기 승강구동수단(400)과 상기 선회구동수단(322), 그리고 후술할 진동수단(600)의 제어를 담당 하게 된다.Receiving the vehicle image data value of the shape recognition means 330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the elevating driving means 400, the swing driving means 322, and the vibration means 6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세척수단(120, 320)에서 각 분사노즐(121a, 321a)이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진동수단(600)이 더 구비되는데,On the other hand,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vibration means 600 so that each of the
상기 진동수단(600)을 위하여서는For the vibrating means 6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5,
상기 제1세척수단(120)의 분사노즐(121a)이 배열된 제1노즐뭉치(121)가 복수개의 분체(121A)로 나누어져 있어야 한다.The
이를 기초로 하여,On this basis,
상기 진동수단(600)은The vibration means 600 is
각 분체(121A)를 상호 선회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체(610), 그리고A connecting
상기 각 분체(121A) 중 하나의 분체(121A) 일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진동모터(620)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상기 진동모터(6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나의 분체(121A)가 진동하게 되고,Therefore, the one
상기 연결체(610)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 각 분체(121A) 모두가 진동하게 된다.Each of the
결국 각 분체(121A)에 구비된 분사노즐(121a)이 차량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면서 고압수를 분사하게 되므로, 차량 표면 전체, 특히 차량 측면 전체에 골고루 고압수를 분사하게 된다.As a result, the
그리고 상기 제2세척수단(320) 또한 상기 제1세척수단(120)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분체로 나누어져 상기 진동수단(600)이 구비될 수 있고,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means 320 may als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wders like the first washing means 120, and the vibration means 600 may be provided.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제2세척수단(320)에 대한 진동수단(600)은In another embodiment, the vibrating means 600 for the second washing means 320 is
진동모터(620),Vibration motor (620),
각 분사노즐(321a)의 후단부에 각각 구비된 기어(630), 그리고A
상기 진동모터(620)와 상기 각 기어(630)를 연결하는 체인(640)(즉, 전차의 바퀴에 체인이 연결된 형태)
으로 이루어진다.Is done.
따라서 상기 진동모터(6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체인(640)이 선회하게 되고,Therefore, the
이와 연결된 각 기어(630) 또한 같은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Each
결국 각 분사노즐(321a)은 좌우 360도 선회가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each of the
이때 차량 표면을 향해 적정 각도 내에서 좌우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모터(62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1세척수단(120)과 상기 제2세척수단(320)에 대한 진동수단(600)은 각 노즐이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및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Vibration means 600 for the first washing means 120 and the second washing means 320 is changed to a variety of configurations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purpose of allowing each nozzle to reciproc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nd It can be modifi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On the other hand,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이 고정되고 세척수단이 이동하게 되는 갠트리(gantry) 타입과,A gantry type in which the vehicle is fixed and the washing means is moved,
반대로 차량이 이동하고 세척수단이 고정된 터널 타입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으로서,On the contrary, it is a hybrid car wash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both the tunnel type where the vehicle moves and the washing means is fixed.
상기 갠트리 타입을 위하여For the gantry type
본 발명은 상기 두 수직빔(100) 하부에 이동롤러(130)가 구비되고,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차량의 진출입 방향에 맞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130)가 안착되는 바닥 설치레일(1)이 구비되며,I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and exit direction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floor mounting rail (1) on which the moving
상기 이동롤러(130)를 선회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주행모터(2)가 구비된다.Power
따라서 상기 주행모터(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롤러(130)는 상기 바닥 설치레일(1)을 따라 전후 이동하게 되므로,Therefore, the moving
결국 갠트리 타입의 세차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gantry type car wash syste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On the other hand,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세척 완료된 차량의 건조를 위한 드라이유닛(D)이 더 구비된다.Drying unit (D) for drying the washed vehicle is further provided.
그리고 세척수 저장탱크(3), 세제탱크(4), 린스탱크(5), 세척수 분사펌프(6) 등이 더 구비되며, 이들의 구성과 연결 관계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And the wash water storage tank (3), detergent tank (4), rinse tank (5), washing water injection pump (6), etc. are further provided, and their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세척수단(120, 320)의 세척에 앞서 세제분사노즐(미도시)을 통해 먼저 세제를 분사하게 되고,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spray the detergent through the detergent spray nozzle (not shown) prior to washing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means (120, 320),
이후에 상기 형상인식수단(330)을 통한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따라 세척이 이루어지며,After the cleaning is ma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마지막으로, 상기 드라이유닛(D)을 통해 건조시키게 된다.Finally, it is dried through the dry unit (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가 앞바퀴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가 뒷바퀴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휠 세척장치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washing apparatus washes the front wheel in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washing apparatus washes the rear wheel in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heel cleaning device in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cleaning device of Figure 9 is advanc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은 휠 세척장치(700)가 구비되는데,On the other hand,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7 to 10,
휠 세척을 위한 세척수단(S)은 다수개의 노즐(52)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결합 된 제3노즐뭉치(50) 및 상기 제3노즐뭉치(50)가 결합 되며 상기 지지판(41)에 고정볼트(61a)로 결합 된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에 회동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펌프와 이송호스(H)에 의해 연통 되어 상기 펌프에서 고압으로 이송되는 세척액(W)을 상기 제3노즐뭉치(50)로 이송함과 동시에 제3노즐뭉치(50)에 결합 된 노즐(52)에서 분사되는 세척액(W)의 분사각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60)로 이루어진다.Washing means (S) for washing the wheel is a plurality of
상기 회전부재(60)는 이송호스(H)가 결합하고 유입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1) 및 고정판(61)과 맞닿는 외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된 유입체(62)와 상기 유입체(62)에 고정 결합 되고, 내부에 이송로(63a)가 형성된 이송체(63)와 제3노즐뭉치(50)를 형성하는 노즐분체(51)가 결합 된 결합공(64a)이 형성된 회전체(64) 및 상기 회전체(64)의 일단에 구비된 캡(66)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tion member 60 has an
상기 캡(66)은 상기 회전체(64)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기 결합공(64a)에 결합 된 노즐분체(51)에는 패킹링(67)이 더 구비되어 세척액(W)이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상기 회전부재(60)가 결합 된 지지판(41)은 이동부재(40)에서 진입한 차량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되며, 후방에 전후진수단(31)에 의해 전진 및 후진하는 실린더(32)의 일단이 고정된다.The
이때, 상기 이동부재(40)에는 상기 전후진수단(31)에 의하여 전진 및 후진할 때 흔들림을 방지하고 원활한 이동을 도와주기 위한 안내부재(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부재(70)는 이동부재(4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1)과 상기 고정브라켓(71)과 결합 되며 고정부재(30)와 맞닿으면서 구르는 안내롤러(72)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moving
즉, 상기 안내롤러(72)가 고정부재(30)와 맞닿아 구르면서 이동부재(40)가 전진 및 후진할 때 위치이탈 하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ile the
상기 안내롤러(72)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 결합가능 하며, 좌우 양측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The
상기 이동부재(40)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전후진수단(31)은 고정부재(3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유압, 공압, 또는 기압을 이용하여 실린더(32)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센서(11)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휠세척측 컨트롤러(12)가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차량의 위치에 따라서 실린더(32)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Forward and backward means 31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moving
즉, 차량의 앞바퀴(FT)가 휠 세척장치(700)에 위치할 때는 실린더(32)는 후진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차량의 뒷바퀴(RT)가 휠 세척장치(700)에 위치할 때는 실린더(32)는 전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ront wheel (FT) of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전진하는 실린더(32)는 결합 된 이동부재(40)를 동시에 전진시키게 되고 소정 위치 전진한 실린더(32)가 정지한 후 밸브를 개방하여 고속으로 세척액(W)을 노즐(52)을 통해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The advancing
상기 노즐(52)은 다수개가 결합하여 하나의 노즐분체(51)를 형성하게 되며 각각의 노즐(52)은 노즐분체(51)에 결합 되는 위치에 따라 분사각도를 다르게 하기 위하여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된다.A plurality of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면상에 도시된 3개의 노즐(52)로 구성된 노즐분체(51) 한 쌍이 회전부재(60)에 결합 된 상태에서, 일측의 노즐분체(51)에 결합 된 노즐(52)은 정면을 향하여 분사각도가 조절되어 있고, 타측의 노즐분체(51)에 결합 된 노즐(52)은 상향 경사지게 분사각도가 조절되어 있어 고압으로 이송된 세척액(W)에 의하여 회전부재(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9, a pair of nozzle powders 51 composed of three
즉, 펌프를 통해 고압으로 세척액(W)이 노즐(52)로 이송되면, 상향으로 경사진 노즐(52)을 통해 세척액(W)이 외부로 분사되면서 분사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추진력을 얻게 되고 상기 추진력에 의하여 회전부재(60)는 상향으로 분사되는 분사각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washing liquid (W) is transferred to the
이때, 일측의 노즐(52)은 정면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세척액(W)을 분사하면서 바퀴 휠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따라서 별도의 구동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없어도 회전부재(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미리 입력된 세척시간이 끝나면 밸브가 폐쇄되면서 세척액(W)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회전부재(60)는 서서히 회전을 멈추게 되며, 상기 전후진수단(31)에서 세척수단(S)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60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riving means or rotating means, and after the pre-input washing time, the valve is closed and the supply of the washing liquid W is stopped and the rotating member 60 is slowly rotated. It stops, the washing means (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eans 31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나아가 상기 노즐(52)은 필요에 따라 동일한 분사각도를 이루도록 결합 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의 크기 및 바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교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분사각도가 조절된 노즐(52)이 구비된 제3노즐뭉치(50)를 상기 회전부재(60)에 교체할 수 있으며, 지지판(41)과 고정된 고정판(61)에서 고정볼트(61a)를 해제하여 회전부재(60)를 모두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것이다.As a replacement metho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third nozzle bundle 50 having the
아울러, 세차를 위하여 진입하는 차량 바퀴의 높이에 대응하기 위한 받침판(80)을 상기 고정부재(30)와 커버(20)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late 8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xing
상기 받침판(80)은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81)과 상기 수직판(81)의 내측에 위치하되 상기 수직판(81)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공(81a)중 하나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대응공(82a)이 구비된 내판(82) 및 상기 고정부재(30)와 결합 된 상판(8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판(82)과 상판(83)은 일체로 구성된다.The support plate 80 is located inside the pair of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받침판(80),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판(82)과 상판(8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85)은 상기 수직판(81)에 형성된 고정공(81a)과 상기 내판(82)에 형성된 대응공(82a) 및 상기 고정공(81a)과 원하는 높이에 위치된 내판(82)에 형성된 대응공(82a)을 관통 삽입하며 고정되는 걸림쇠(84)로 이루어진다.The height adjustment means 85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80, more specifically, the
즉, 차량의 종류에 따라 바퀴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감안하여 바퀴의 높이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상기 걸림쇠(84)를 해제하여 고정부재(30)와 결합 된 상판(83)의 높이를 조절한 후 걸림쇠(84)를 재고정하여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여 차량의 종류에 상관없이 휠 세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wheel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after the height of the wheels is high or low, the
나아가 상기 높이조절수단(85)은 유압, 공압, 또는 기압 등을 이용하는 피스톤 등을 이용하며, 이를 상기 휠세척측 컨트롤러(12)에서 제어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height adjusting means 85 uses a piston using hydraulic pressure, pneumatic pressure or air pressure, etc., which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to be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wheel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차량 형상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세차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a description of the "hybrid type car wash system using a vehicle shape recognition"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부 요부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1;
도 3은 도 1에서 선회구동수단을 나타낸 요부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pivotal driving means in FIG. 1;
도 4는 도 1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FIG. 1;
도 5는 도 4의 일부 요부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및 형상인식수단에 대한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and a shape recogni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가 앞바퀴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washing apparatus washes the front wheel in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가 뒷바퀴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cleaning device washes the rear wheels in the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시스템에서 휠 세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heel cleaning device in a car was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휠 세척장치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cleaning device of FIG. 9 is advanced.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수직빔100: vertical beam
110 : 승강레일110: lifting rail
120 : 제1세척수단120: first washing means
121 : 제1노즐뭉치 121a : 분사노즐121:
121A : 분체121A: Powder
130 : 이동롤러130: moving roller
200 : 수평빔200: horizontal beam
210 : 서포트210: Support
300 : 승강프레임300: lifting frame
310 : 승강롤러310: lifting roller
310a : 롤러브라켓310a: Roller Bracket
320 : 제2세척수단320: second washing means
321 : 제2노즐뭉치 321a : 분사노즐321:
322 : 선회구동수단 322a : 선회모터322: turning drive means 322a: turning motor
330 : 형상인식수단330: shape recognition means
330A : 포토센서 331 : 모션벡터추출모듈330A: photosensor 331: motion vector extraction module
332 : 파노라마합성모듈 333 : 제어부332: panorama composition module 333: control unit
400 : 승강구동수단400: lift driving means
410 : 선회축 411 : 구동기어410: pivot shaft 411: drive gear
420 : 승강선회모터 430 : 체인420: lifting and turning motor 430: chain
500 : 컨트롤러500: controller
600 : 진동수단600: vibration means
610 : 연결체 620 : 진동모터610: connecting body 620: vibration motor
630 : 기어 640 : 체인630: gear 640: chain
700 : 휠 세척장치 D : 드라이유닛700: wheel cleaning device D: dry uni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8501A KR100937634B1 (en) | 2009-08-25 | 2009-08-25 |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8501A KR100937634B1 (en) | 2009-08-25 | 2009-08-25 |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7634B1 true KR100937634B1 (en) | 2010-01-20 |
Family
ID=4181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85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7634B1 (en) | 2009-08-25 | 2009-08-25 |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7634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4561B1 (en) * | 2012-09-21 | 2014-07-04 | 이동효 | Car washing device |
CN105905078A (en) * | 2016-05-10 | 2016-08-31 | 安徽万祥汽车用品销售有限公司 | Car washing equipment |
KR101825526B1 (en) | 2016-08-23 | 2018-02-06 | 송창호 | Touchless car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8146400A (en) * | 2018-01-05 | 2018-06-12 | 任鸺谭 | The fast automatic car washer of lift |
CN109466517A (en) * | 2018-11-28 | 2019-03-15 | 王岩岩 | An intelligent mobile car washing equipment |
JP2019069703A (en) * | 2017-10-10 | 2019-05-09 | 株式会社ダイフク | Car washing machine |
CN110694986A (en) * | 2019-11-08 | 2020-01-17 | 福州金锻工业有限公司 | Mold cleaning machin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KR20200073014A (en) * | 2018-12-13 | 2020-06-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wash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113187539A (en) * | 2021-03-17 | 2021-07-30 | 中铁二十三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Split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TBM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4043966A (en) * | 2021-10-20 | 2022-02-15 | 北京魔鬼鱼科技有限公司 | Non-contact vehicle top surface cleaning device |
CN114396843A (en) * | 2021-12-01 | 2022-04-26 | 北方魏家峁煤电有限责任公司 | Ore volume detection device of dump truck for strip mine |
KR102484704B1 (en) * | 2022-02-23 | 2023-01-04 | 이강원 | Car wash system with automatic vehicle shape recognition |
KR20240054771A (en) * | 2022-10-19 | 2024-04-26 | 이동효 | Drying device for self service car wash |
KR20240109883A (en) * | 2023-01-05 | 2024-07-12 | 기청 우 | Wheel Cleaning Device |
KR20240154310A (en) * | 2023-04-18 | 2024-10-25 |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 Vehicle width detection appartus for car wash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3109A (en) * | 1995-03-15 | 1996-10-01 | Mk Seiko Co Ltd | Car wash machine |
JP2004336177A (en) * | 2003-04-30 | 2004-11-25 | Sunx Ltd | Multi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apparatus for recognizing shape of vehicle, and car washer |
KR200391539Y1 (en) * | 2005-05-20 | 2005-08-03 | 오병길 | wheel a cleansing device for vehicle |
JP2008189014A (en) * | 2007-01-31 | 2008-08-21 | Takeuchi Techno Co Ltd | Car washing machine |
-
2009
- 2009-08-25 KR KR1020090078501A patent/KR1009376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3109A (en) * | 1995-03-15 | 1996-10-01 | Mk Seiko Co Ltd | Car wash machine |
JP2004336177A (en) * | 2003-04-30 | 2004-11-25 | Sunx Ltd | Multi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apparatus for recognizing shape of vehicle, and car washer |
KR200391539Y1 (en) * | 2005-05-20 | 2005-08-03 | 오병길 | wheel a cleansing device for vehicle |
JP2008189014A (en) * | 2007-01-31 | 2008-08-21 | Takeuchi Techno Co Ltd | Car washing machine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4561B1 (en) * | 2012-09-21 | 2014-07-04 | 이동효 | Car washing device |
CN105905078A (en) * | 2016-05-10 | 2016-08-31 | 安徽万祥汽车用品销售有限公司 | Car washing equipment |
CN105905078B (en) * | 2016-05-10 | 2018-02-16 | 安徽万祥汽车用品销售有限公司 | A kind of car cleaning equipment |
KR101825526B1 (en) | 2016-08-23 | 2018-02-06 | 송창호 | Touchless car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2019069703A (en) * | 2017-10-10 | 2019-05-09 | 株式会社ダイフク | Car washing machine |
CN108146400A (en) * | 2018-01-05 | 2018-06-12 | 任鸺谭 | The fast automatic car washer of lift |
CN108146400B (en) * | 2018-01-05 | 2023-11-03 | 任鸺谭 | Lifting type rapid automatic car washing device |
CN109466517A (en) * | 2018-11-28 | 2019-03-15 | 王岩岩 | An intelligent mobile car washing equipment |
KR20200073014A (en) * | 2018-12-13 | 2020-06-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wash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2569903B1 (en) * | 2018-12-13 | 2023-08-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wash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110694986A (en) * | 2019-11-08 | 2020-01-17 | 福州金锻工业有限公司 | Mold cleaning machine and working method thereof |
CN113187539A (en) * | 2021-03-17 | 2021-07-30 | 中铁二十三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Split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TBM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3187539B (en) * | 2021-03-17 | 2024-04-02 | 中铁二十三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Split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TBM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4043966A (en) * | 2021-10-20 | 2022-02-15 | 北京魔鬼鱼科技有限公司 | Non-contact vehicle top surface cleaning device |
CN114043966B (en) * | 2021-10-20 | 2024-04-12 | 北京魔鬼鱼科技有限公司 | Contactless vehicle top surface cleaning device |
CN114396843A (en) * | 2021-12-01 | 2022-04-26 | 北方魏家峁煤电有限责任公司 | Ore volume detection device of dump truck for strip mine |
CN114396843B (en) * | 2021-12-01 | 2024-04-05 | 北方魏家峁煤电有限责任公司 | An ore volume detection device for a dump truck used in an open-pit mine |
KR102484704B1 (en) * | 2022-02-23 | 2023-01-04 | 이강원 | Car wash system with automatic vehicle shape recognition |
KR20240054771A (en) * | 2022-10-19 | 2024-04-26 | 이동효 | Drying device for self service car wash |
KR102694893B1 (en) | 2022-10-19 | 2024-08-14 | 이동효 | Drying device for self service car wash |
KR20240109883A (en) * | 2023-01-05 | 2024-07-12 | 기청 우 | Wheel Cleaning Device |
KR102715776B1 (en) | 2023-01-05 | 2024-10-11 | 기청 우 | Wheel Cleaning Device |
KR20240154310A (en) * | 2023-04-18 | 2024-10-25 |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 Vehicle width detection appartus for car wash |
KR102764396B1 (en) * | 2023-04-18 | 2025-02-07 |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 Vehicle width detection appartus for car was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7634B1 (en) | Washing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 |
US6863739B2 (en) | Vehicle wash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oom | |
US20070283984A1 (en) | Fluid emitting nozzles for use with vehicle wash apparatus | |
KR20120094480A (en) | Climbing robot for travelling over adhesive surfaces | |
US20070277858A1 (en) | Device for washing vehicles | |
CN112623579B (en) | Garbage can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
JP6838540B2 (en) | Car wash machine | |
JP2013103568A (en) | Car washing machine | |
CN108454581B (en) | A kind of split type car washer gantry system and its traveling method | |
KR200448082Y1 (en) | Large Vehicle Wheel Washer | |
CN206951672U (en) | A kind of automatic half rotary cleaning device | |
JP7056601B2 (en) | Car wash machine | |
JPH0939746A (en) | Car washing apparatus | |
JP2009073357A (en) | Carwash machine | |
EP3028907B1 (en) |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heels | |
KR200200244Y1 (en) | Automatic car wash system | |
JP5257279B2 (en) | Car wash machine control method | |
CN103949425B (en) | Inverted type cleaning machine | |
KR100491176B1 (en) | A damp removal apparatus for a car | |
JP3933043B2 (en) | Vehicle cleaning device | |
JP5809894B2 (en) | Car wash machine drying equipment | |
JP5926028B2 (en) | Car wash machine | |
CN217575137U (en) | High-pressure vehicle contour profiling swinging flushing device | |
JP5862500B2 (en) | Car wash machine and car wash method | |
JP4274624B2 (en) | Car lower cleaning device and car washing device equipped with lower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701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11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