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6926B1 -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 Google Patents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926B1
KR100936926B1 KR1020090055988A KR20090055988A KR100936926B1 KR 100936926 B1 KR100936926 B1 KR 100936926B1 KR 1020090055988 A KR1020090055988 A KR 1020090055988A KR 20090055988 A KR20090055988 A KR 20090055988A KR 100936926 B1 KR100936926 B1 KR 10093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valve
surgical trocar
ring
singl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욱
원종석
장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926B1/ko
Priority to US12/712,00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249694A1/en
Priority to CN2010101356689A priority patent/CN10191972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6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for simultaneous sealing of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상단부와, 삽입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속이 빈 하나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우며, 수술시 결합 및 해체가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트로카, 인스트루먼트, 싱글 포트, 수술.

Description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Trocar for single port surgery}
본 발명은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계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술 중 개복수술은 복강이나 안면의 피부(skin)를 갈라서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수술에 해당한다.
특히, 개복수술 등을 시술할 때에는, 피부를 절개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피부와 조직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그 공간을 통해 수술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개복수술은 상처가 많이 나기 때문에 수술 후 치유가 더디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 복강경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뚫은 후 이 구멍을 통해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수술하는 방식으로, 담낭제거술, 충수돌기 절제술, 위절제술, 대장절제술 등의 외과 수술과 비뇨기과 및 산부인과 영역 등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싱글 포트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하나의 구멍을 뚫어 수행되는 수술로서, 기존 복 강경 수술에 비해 흉터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 방법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이다. 수술용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시 복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의료용 트로카를 이용하여 복강경, 내시경과 같은 의료 기구가 삽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삽입구(110), 캐뉼러(120)가 도시된다.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110)가 트로카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캐뉼러(120)는 연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삽입구(110)는 서로 다른 내부 관에 연결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삽입구(110)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삽입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삽입구(110)가 형성된 돌출부는 반경이 큰 커버가 결합하여 인접한 다른 돌출부의 커버와 자주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미 삽입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전체를 이미 삽입된 삽입구(110)에서 뺀 후 다른 삽입구(110)에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시 결합 및 해체가 자유로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가 형성된 상단부와 삽입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속이 빈 하나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가 제공된다.
여기서, 삽입구에 결합하여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되며, 밸브는 S자, +자, -자, Y자, 부채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고, 밸브는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는 삽입구를 덮으며,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며, 커버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며, 탄성 소재는 고무, 실리콘 및 탄성 섬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단부는 상단부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단링을 포함하고, 하단부는 일단 에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 시 구부러지며, 삽입 후 펴지는 탄성력을 가진 하단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외부 기체를 피부의 천공부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관을 더 포함하며, 피부의 천공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고,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하여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여닫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단부의 일단에 결합하며 피부의 천공부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여 밸브 개폐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입력된 밸브 개폐 신호에 상응하여 여닫이 밸브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밸브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단부와 분리가능한 별도의 관이고,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하단부의 일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며, 플렉서블한 재료는 비닐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상단부와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며, 본 실시예는 상단부의 일단을 하단부의 타단과 결합시키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고, 결합링은 상단부 및 하단부와 분리가능한 별도의 링이며, 결합링은 내부링과 내부링의 외주면을 따라 내부링과 결합하는 외부링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링과 외부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표면의 조도가 거칠고, 내부링과 외부링은 요철 결합하며, 결합링은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링은,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단 결합링과, 상기 하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상단 결합링과 자성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하단 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단부가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단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는 사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삽입구에는 강성을 갖는 변형 방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삽입구에 결합되어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되, 밸브의 삽입구에 결합되는 부위는, 삽입구가 사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와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트로카의 내면에는, 외부와 천공부 간의 공기의 출입 통로가 되는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우며, 수술시 결합 및 해체가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주입관(215), 배기관(216), 하단부(220), 하단링(23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서로 다른 삽입구(210)로 삽입되어 하나의 통로를 통해 환자의 복부에 삽입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트로카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210)가 형성된 상단부(200) 하단이 하나의 공간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삽입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자유롭다.
상단부(200)에 형성된 삽입구(210)의 개수는 수술시 필요한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삽입구(210)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후술할 밸브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삽입구(210)는 서로 부딪치지 않을만큼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상단부(200)는 비닐, 실리콘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200)가 플렉서블한 경우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삽 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후에도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단부(200)의 하단은 빈 공간이 형성되며, 그 테두리의 형상은 원형, 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단부(200)는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단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단부(200)가 비닐같이 무정형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진행 경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단부(200)의 형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상단링이 이용될 수 있다. 상단링은 상단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며 상단부(200)의 내부 공간이 넓게 확보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입관(215)은 수술시 필요한 가스(예를 들면, CO2)를 환자의 복강내에 주입하는 관이며, 배기관(216)은 이와 반대로 복강내의 가스를 환자 외부, 즉, 수술실, 진공 흡입관 또는 의료실 환기구 등으로 배출하는 관이다. 따라서 주입관(215)은 외부 기체를 수술을 위해 뚫은 피부의 천공부 내부로 주입하며, 배기관(216)은 피부의 천공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기한다. 주입관(215)과 배기관(216)은 서로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상단부(200)의 양끝 부위에 위치하여 각 가스의 흐름에 대해 서로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주입관(215) 및/또는 배기관(216)에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여닫이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닫이 밸브가 열리는 경우 기체가 흐를 수 있으며, 닫히는 경우 기체는 흐르지 않게 되어 여닫이 밸브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하단부(220)는 삽입구(210)가 서로 연결되도록 속이 빈 하나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된다. 하단부(220)는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므로, 그 형상은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하단부(220)가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된 후에는 피부의 천공부는 상술한 오목한 부분에 걸치게 되며, 하단부(220)의 일단 및 상단부(200)는 피부의 양면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트로카를 지지한다. 하단부(220)도 비닐 또는 실리콘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며,
상단부(200)와 하단부(2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은 삽입구(210)가 형성되고, 타단은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210)가 형성된 상단부 하단은 하나의 공간으로 서로 연결되어 속이 빈 하나의 관 형상이므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삽입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자유롭다.
또한, 후자의 경우 상단부(200)와 하단부(22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부(200)와 하단부(22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링에 의해 결합하거나 각 구성요소에 마련된 자석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하단부(220)의 일단에는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하는 동안 구부러지며, 삽입후에는 펴지는 탄성력을 가지는 하단링(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링(230)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탄성 섬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사는 하단링(230)을 구부려서 환자의 피부에 천공된 홀을 통해 하단부(220)의 일단을 삽입한다.
상단부(200)와 하단부(220)가 일체형인 경우 의사는 하단부(220)의 삽입 후 바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삽입구(210)에 삽입하여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상단부(200)와 하단부(220)가 분리형인 경우 삽입된 하단부(220)에 상단부(200)를 결합하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밸브(211), 실링부재(212), 커버(213), 커버홀(214), 배기관(216), 하단부(220), 하단링(230)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삽입구(210)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삽입하는 경우 내부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밸브(211)와 커버(213)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즉,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경우 밸브(211)가 일차적으로 기체의 유출을 방지하며, 커버(213)가 2차적으로 기체를 차단한다.
삽입구(210)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211)가 결합할 수 있다. 밸브(211)는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12)가 마련되며, 실링부재(212)의 일단은 소정의 형태로 닫혀져 있다. 실링부재(212)는 그 부재 자체가 왜곡되어 그 일단이 특정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실링부재(212)의 일단에 특정 형태의 부속물을 추가함으로써 실링부재(212)의 일단이 특정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212)의 일단은 S자, +자, -자, Y자, 부채살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부채살 형태는 S자 또는 태극무늬가 여러 개 겹쳐서 전체적으로 부채살 형상으로 구현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에 대한 기술은 본 기술에 대한 기술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밸브(211)는 삽입구(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밸브(211)가 삽입구(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밸브(211)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개별 보관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밸브(211)가 삽입구(2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 삽입구(210)에 단지 밸브(211)만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공기의 출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버(213)는 밸브(211)의 상단에서 삽입구(210)를 덮는 역할을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211)에 의해 공기의 유출입이 제한될 수는 있으나 한계가 있으므로, 커버(213)가 공기를 차단한다. 커버(213)에는 커버홀(214)이 천공되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커버(213)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거나 움직이는 경우 이를 조여줌으로써 공기의 출입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소재는 고무, 실리콘, 탄성 섬유 등과 같은 소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구(210)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밸브(211)가 닫혀 있으므로, 공기가 새지 않는다. 또한, 삽입구(210)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밸브(211)가 열리면서 상술한 실링부재(212)가 열리면서 공기 샐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나, 이 경우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단면 지름보다 다소 작은 지름의 커버홀(214)이 형성된 커버(213)가 공기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배기관(216), 하단부(220), 하단링(230), 외부링(243), 내부링(245)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단부(200)와 하단부(220)는 분리 및 결합가능한 형태로 구현되며, 결합링(243, 245)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즉, 결합링(243, 245)은 상단부(200)의 일단을 하단부(220)의 타단과 결합시킨다.
결합링(243, 245)은 상단부(200) 및/또는 하단부(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형은 정상적 사용시 분리가 예정되어 있지 않고, 의사가 임의로 분리하기 어려운 형태를 의미하며, 결합링(243, 245)과 상단부(200) 및/또는 하단부(220)가 같은 재질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결합링은 신축성이 있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링이 외부링(243)과 내부링(245)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링(243)은 내부링(245)의 외주면을 따라서 내부링(245)과 결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링(245)은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groove)가 형성되며, 외부링(243)은 내부링(245)의 그루브에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을 요철 결합으로 칭한다. 물론, 외부링(243)은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groove)가 형성되며, 내부링(245)은 외부링(243)의 그루브에 결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링(243)은 상단부(200)의 일단에 결합하고, 내부링(245)은 하단부(220)의 일단에 결합하므로, 외부링(243)과 내부링(245)의 결합에 의해서 상단 부(200)와 하단부(22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외부링(243) 및/또는 내부링(245)은 표면의 조도가 거칠 수 있다. 표면의 조도가 거친 경우 외부링(243)과 내부링(245)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링은 한쌍의 자석 또는 자력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단부(200)에는 상단 결합링(미도시)이 결합하고, 하단부(220)에는 상단 결합링과 자성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하단 결합링(미도시)이 결합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상단부(200)와 하단부(220)가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단 결합링과 하단 결합링은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석일 수 있다. 또는, 상단 결합링 또는 하단 결합링 중 어느 하나는 자석이며, 다른 하나는 자석은 아니지만 자석에 붙는 물질, 예를 들면, 철,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결합링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단부(220), 외부링(243) 및 내부링(245)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하단부(220)가 비닐과 같이 무정형인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하단부(220)의 일단을 특정 형태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부(200)와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외부링(243)과 내부링(245)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링(245)은 하단부(2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외부링(243)은 하단부(220)를 개재하여 내부링(245)과 결합한다. 즉, 하단부(220)는 내 부링(245)의 내부를 통과하여 내부링(245)의 외부를 감싼 후 외부링(243)과 내부링(245)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링(245)은 외부링(243)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내용과 달리 외부링(243)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을 따라 내부링(245)이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분리형 주입관(217), 하단부(220), 하단링(23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기체의 주입을 제어하는 주입관이 분리될 수 있는 형태인 별도의 관으로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공기의 유출입을 조절하는 주입관(217)은 상술한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관, 예를 들면, 고무관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조절할 수 있다. 분리형 주입관(217)은 삽입구(210)에 삽입되어 소정의 가스를 주입하며, 더 이상 주입을 하지 않는 경우 삽입구(210)에서 뺄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관으로 구현되는 분리형 주입관(217)은 필요에 따라 구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분리형 배기관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주입관(215), 배기관(216), 하단부(220), 하단링(230), 고정링(247), 환자의 피부(250)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주입관(215) 및/또는 배기관(216)이 상단부(200)에서 일단이 돌출되며, 타단은 하단링(230)의 근처까지 연장됨으로써 환자의 복강내의 가스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관(215) 및/또는 배기관(216)이 튜브 형태로 연장되지 않고, 단지 상단부(200)에 일부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강내의 가스를 배출하지 못하고, 주입관(215)에서 바로 배기관(216)으로 기체가 흐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강내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주입관(215) 및/또는 배기관(216)이 복강내로 연장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링(247)은 하단부(220)가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고정하도록 하단부(220)의 둘레를 둘러싼다. 고정링(247)은 피부(250)의 상단에서 힘을 가하고, 하단링(230)은 피부(250)의 하단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하단부(220)가 피부(250)의 천공부에 단단히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링(247)이 하단부(220)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링(247)의 표면 조도를 거칠게 할 수 있다. 고정링(247)의 표면 조도는 고정링(247)의 표면에 돌기 또는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거칠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배기관(216), 하단부(220), 하단링(230), 센서(260), 전선(263), 밸브 개폐 장치(266)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가스를 센싱함으로써 복강내의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히 가스를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센서(2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가 신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 신체 내의 가스의 유무, 가스 압력의 고저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전기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신체의 살을 태우는 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독성 가스가 발생할 때, 센서(260)는 이를 감지하여 밸브 개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260)가 가스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기화학식 정전압 전위방식, 반도체식 또는 접촉연소식 등과 같은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센서(260)의 출력값은 가스 농도 값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센서(260)는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거나 또는 출력값인 밸브 개폐 신호를 전선(263)을 통해 밸브 개폐 장치(266)에 전달하고 밸브 개폐 장치(266)가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밸브 개폐 장치(266)는 배기관(216)의 밸브(여닫이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배기관(216)의 밸브가 전자 및 기계식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배기관(216)의 밸브의 종류는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밸브 디스크가 밸브대에 의하여 밸브 시트에 직각 방향으로 작동하는 스톱밸브, 밸브 디스크가 가스의 통로를 수직으로 막아서 개폐하고 가스의 흐름이 일직선 위에 있는 게이트 밸브 등이 될 수 있다.
센서(260)가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결정하는 경우 센서(260)가 일정 농도(또는 기준 농도) 이상의 가스를 감지할 때 밸브 개폐 신호를 밸브 온 신호로 특정하여 밸브 개폐 장치(266)에 전달할 수 있다. 역으로 센서(260)가 일정 농도 미만의 가스를 감지하는 경우 밸브 개폐 신호를 밸브 오프 신 호로 특정하여 밸브 개폐 장치(26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밸브 개폐 장치(266)가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직접 결정하는 경우 센서(260)는 출력값인 밸브 개폐 신호만을 밸브 개폐 장치(266)에 전달하며, 밸브 개폐 장치(266)가 수신한 출력값을 참조하여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결정한다. 즉, 밸브 개폐 장치(266)는 수신한 센서(260)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밸브 온 신호로 특정하고, 수신한 센서(260)의 출력값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밸브 개폐 신호의 특성을 밸브 오프 신호로 특정한다.
이러한 밸브 개폐 신호를 이용하여 밸브 개폐 장치(266)는 세가지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세가지 모드는 항상 닫힌 모드, 항상 열린 모드 및 자동 모드로 나뉠 수 있다. 자동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농도에 상응하여 밸브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독성 가스의 유무 또는 농도를 기준으로 가스 배출 여부가 결정되므로, 복강경 수술 등을 위해 환자의 복강 내에 주입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 농도가 일정정도 유지될 수 있다.
센서(260)는 하단부(220) 일단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260)와 전선(263)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하단부(220) 일단에 형성된 소정의 전극에 상응하여, 센서(260)에는 연결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개폐 장치(266)도 탈부착될 수 있다. 밸브 개폐 장치(266)는 상단부(200)에 결합하거나 배기관(216)에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용 트로카가 일회용품이므로, 이러한 탈부착 형태는 센서(260)와 밸브 개폐 장치(266)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는 배기관(216)의 여닫이 밸브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새로운 가스를 다시 주입하기 위해 주입관(215)의 여닫이 밸브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개폐 장치(26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센서(260)는 복강 내에 주입된 가스에 대해 가스 압력의 고저를 센싱하고,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밸브 개폐 장치(266)는 주입관(215)의 여닫이 밸브를 열어서 가스를 주입한다. 역으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밸브 개폐 장치(266)는 주입관(215)의 여닫이 밸브를 닫아서 가스 주입을 중지한다.
예를 들면, CO와 CO2가 복강 내에 있는 경우 센서(260)는 각 가스의 분압을 측정하여 CO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배기관(216)을 통해 복강 내의 가스를 배출하고, CO2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주입관(215)을 통해 복강 내에 CO2를 주입한다. 배기의 기준이 되는 CO의 기준값과 주입의 기준이 되는 CO2의 기준값은 최적의 수술 상태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지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3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에 삽입되어 있다. 도 9에서는, 제1 인스트루먼트(271), 제2 인스트루먼트(272), 제3 인스트루먼트(273) 순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도 10에서는, 제1 인스트루먼트(271), 제3 인스트루먼트(273), 제2 인스트 루먼트(272) 순으로 위치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속이 빈 하나의 관 형상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삽입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자유롭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를 참조하면, 삽입구(210), 밸브(21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는 비닐이나 실리콘 등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트로카를 설치하고 삽입구를 통해 인스트루먼트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구가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구의 단면이 원형이라고 할 때, 사용과정에서 삽입구의 단면이 타원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변형된 삽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트로카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거나, 체내에 주입된 가스가 변형된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기 위해 트로카에 설치되는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는 도 11a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구(210)의 입구 부분(도 11a의 'A')을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거나,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입구 부분의 내측에 소정의 강성을 갖는 변형 방지 부재(도 11b의 'B')를 결합하여, 삽입구(210)가 사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b에 예시된 변형 방지 부재는 반드시 입구 부분의 내측에 결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입구 부분 내에 삽입하거나 입구 부분의 외측 에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은 트로카의 재질과 동일하되 경도가 높은 재질, 또는 트로카의 재질보다 강성(경도)이 높은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와 같은 수지 계열의 재료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을 성형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삽입구(210)의 입구 부분(도 11a의 'A')만 쇼어 경도(shore hardness) 70 내지 80 정도로, 다른 부분보다 경도가 높게 성형하거나, 실리콘보다 강성이 높은 ABS수지로 변형 방지 부재의 사출물을 제작하여 입구 부분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c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구(210)에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밸브(211)를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되, 밸브(211)가 삽입구(210)에 결합되는 부분(도 11c의 'C')을 전술한 강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하고, 밸브(211) 부재를 삽입구(210)에 결합, 부착함으로써 트로카의 사용 과정에서 삽입구(21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강성이 높은 재질'은 밸브(211)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1d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구(210)에 밸브(211)가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구 주변에 전술한 강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된 변형 방지 부재(도 11d의 'D1')를 결합, 부착함으로써 트로카의 사용 과정에서 삽입구(21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삽입구(210)의 입구에도 날개 형상의 커버(도 11d의 'D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삽입구(210)를 통해 인스트루먼트가 삽 입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커버가 공기를 차단하고, 2차적으로 밸브(211)가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여, 밸브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e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 방지 부재(도 11e의 'E1')와 밸브(211) 및 커버(도 11e의 'E2')를 별도의 부재로 일체로 제작하여 삽입구의 내측에 삽입, 부착함으로써 트로카의 사용 과정에서 삽입구(21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및 밸브의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1d과 같이 커버를 반드시 트로카와 일체로 성형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11f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커버(도 11f의 'F2')로 삽입구(210)를 커버한 후, 삽입구 및 커버 주변에 변형 방지 부재(도 11f의 'F1')를 결합,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1d 내지 11f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삽입구(210), 밸브(211) 및 커버(D2, E2, F2)는 경도 30 내지 40 정도의 실리콘으로 성형하고, 변형 방지 부재는 경도 70 내지 80 정도의 실리콘 또는 ABS수지 등으로 제작하여 삽입구에 본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1g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부재로 밸브(211)를 제작하여 삽입구(210)에 끼워 넣고, 삽입구(및 밸브) 주변에 변형 방지 부재(도 11g의 'G1')를 결합,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g와 같이 커버(도 11g의 'G2')를 변형 방지 부재와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1g의 경우 밸브를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지 않고, 트로카(삽입구)와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11h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부재로 밸브(211)를 제작하여 삽입구(210)에 끼워 넣고,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커버(도 11h의 'H3')로 삽입구(210)를 커버한 후, 삽입구 주변에 변형 방지 부재(도 11h의 'H1')를 결합,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밸브 및 변형 방지 부재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결합 부재(도 11h의 'H2')를 밸브와 변형 방지 부재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결합 부재는 나사 맞춤, 끼움 맞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 방지 부재에 결합됨으로써 밸브(211) 및 커버(H3)가 모두 트로카의 삽입구(2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상단부(200), 삽입구(210), 하단부(220), 결착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로카의 내부에는 주입관 및/또는 배기관 등 외부와 체내 간의 공기의 출입 통로가 되는 관이 트로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트로카의 내면에 부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트로카의 내면에 관을 설치하지 않고,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부(300)만을 형성해두고, 사용 과정에서 주입관 및/또는 배기관 등의 관(도 12 내지 도 13c의 'P' 참조)을 결착부(300)에 고정시킨 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결착부(300)는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고리(도 13a 참조), 홈 (도 13b 참조), 후크(도 13c 참조) 형상 등 관형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결합링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정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에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된 상태도.
도 11a 내지 도 11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결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삽입구 120 : 캐뉼러
200 : 상단부 210 : 삽입구
215 : 주입관 216 : 배기관
220 : 하단부 230 : 하단링
211 : 밸브 212 : 실링부재
213 : 커버 214 : 커버홀
243 : 외부링 245 : 내부링
217 : 분리형 주입관 247 : 고정링
250 : 피부 260 : 센서
263 : 전선 266 : 밸브 개폐 장치
271 내지 273 : 제1 인스트루먼트 내지 제3 인스트루먼트

Claims (31)

  1. 수술 환자의 피부에 천공된 구멍에 설치되며, 복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삽입 통로를 제공하는 트로카로서,
    상단부와;
    상기 복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구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고,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원래의 상태로 펴지도록 플렉서블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 형상의 하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상기 복수의 삽입구를 통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구가 서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결합하여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S자, +자, -자, Y자, 부채살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삽입구를 덮으며,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재는 고무, 실리콘 및 탄성 섬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되, 상기 상단부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단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단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기체를 상기 피부의 천공부 내부로 주입하는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천공부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하여 상기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여닫이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일단에 결합하며 상기 피부의 천공부 내부의 가스를 검출하여 밸브 개폐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밸브 개폐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여닫이 밸브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밸브 개폐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상단부와 분리가능한 별도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과 배기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하단부의 일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일단을 상기 하단부의 타단과 결합시키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은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분리가능한 별도의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은
    내부링과;
    상기 내부링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내부링과 결합하는 외부링을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표면의 조도가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은 요철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은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은,
    상기 상단부에 결합하는 상단 결합링과;
    상기 하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상단 결합링과 자성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하단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가 상기 피부의 천공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단 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사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강성을 갖는 변형 방지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어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의 상기 삽입구에 결합되는 부위는, 상기 삽입구가 사용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트로카의 내면에는, 외부와 상기 천공부 간의 공기의 출입 통로가 되는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20090055988A 2009-03-31 2009-06-23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093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2,008 US20100249694A1 (en) 2009-03-31 2010-02-24 Trocar for a single port surgery
CN2010101356689A CN101919727A (zh) 2009-03-31 2010-03-30 用于单孔手术的套管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850 2009-03-31
KR20090027850 2009-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926B1 true KR100936926B1 (ko) 2010-01-18

Family

ID=4180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88A KR100936926B1 (ko) 2009-03-31 2009-06-23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49694A1 (ko)
KR (1) KR100936926B1 (ko)
CN (1) CN101919727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030B1 (ko) 2010-04-14 2010-08-11 이승욱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0988428B1 (ko) * 2010-05-19 2010-10-1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1027561B1 (ko) * 2010-09-10 2011-04-06 서오남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1064695B1 (ko) * 2010-09-17 2011-09-14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CN102188268A (zh) * 2010-03-02 2011-09-21 Tyco医疗健康集团 内部增压的医疗装置
WO2011145798A1 (ko) * 2010-05-19 2011-11-24 Seo O Nam 수술도구 가이더 및 수술도구 가이더용 보호캡
WO2011162491A2 (ko) * 2010-06-21 2011-12-29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WO2012033358A3 (ko) * 2010-09-10 2012-06-14 Seo O-Nam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KR101301914B1 (ko) * 2011-11-09 2013-08-30 (주)유원메디텍 수술용 싱글포트
KR101319970B1 (ko) * 2011-10-21 2013-10-18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헤드 어셈블리
EP2392275A3 (en) * 2010-06-07 2013-11-27 Covidien LP Pressure feedback access por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WO2014003496A1 (ko) * 2012-06-28 2014-0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식 내시경 포트 유니트 모듈
KR101446257B1 (ko) 2013-05-09 2014-10-01 양윤석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KR101509891B1 (ko) * 2012-10-22 2015-04-08 서오남 간편연결식 몸체분리형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KR101612718B1 (ko) * 2014-06-18 2016-04-15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KR101714765B1 (ko) * 2015-11-12 201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공 복강경 수술 개창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의료기기
KR101846004B1 (ko) * 2017-12-01 2018-04-05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101946612B1 (ko) 2018-05-04 2019-02-11 에이에프에스메디칼 게엠바하 메디친프로덕케한델 복부에서 직접 급배기하는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KR101956367B1 (ko) * 2018-05-30 2019-06-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KR20190115179A (ko) * 2018-04-02 2019-10-11 남병욱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KR20190117944A (ko) 2018-04-09 2019-10-17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20200052759A (ko) * 2018-11-07 2020-05-15 남병욱 링 결합 개선 구조의 분리형 가이드 포트
KR20210023332A (ko) 2019-08-23 2021-03-04 이권용 멀티 포트 트로카
WO2021045400A3 (ko) * 2019-09-03 2021-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싱글 포트 수술 로봇용 보조기구
KR20220015058A (ko) * 2020-07-30 2022-02-08 서지윤 수술도구 가이드포트용 도구진입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0169B2 (ja) 2000-10-19 2013-04-24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外科用接近器具及び方法
JP4324471B2 (ja) 2001-08-14 2009-09-02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接近経路の封止装置
US6958037B2 (en) 2001-10-20 2005-10-2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CA2488118C (en) 2002-06-05 2012-01-1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or
US20050020884A1 (en) 2003-02-25 2005-01-27 Hart Charles C. Surgical access system
EP1651094A4 (en) 2003-08-06 2008-07-30 Applied Med Resources SURGICAL DEVICE WITH NON-CONTINUOUS GE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163510B2 (en) 2003-09-17 2007-01-1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access device
US7909760B2 (en) 2005-10-14 2011-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plit hoop wound retractor with gel pad
EP2146643A4 (en) 2007-05-11 2012-05-30 Applied Med Resources SURGICAL RETRACTOR WITH PADDED
AU2008251314B2 (en) 2007-05-11 2013-05-0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retractor
JP5646343B2 (ja) 2008-01-22 2014-12-24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手術器具アクセスデバイス
WO2010045253A1 (en) 2008-10-13 2010-04-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ingle port access system
KR101007491B1 (ko) 2010-08-09 2011-01-12 서오남 튜브팽창식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US9421032B2 (en) * 2010-06-16 2016-08-23 Covidien Lp Seal port with blood collector
CA2811753C (en) 2010-10-01 2019-05-2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Natural orifice surgery system
US9289115B2 (en) 2010-10-01 2016-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Natural orifice surgery system
CN102018568B (zh) * 2010-12-03 2013-05-08 南京明基医院有限公司 腹腔镜套管装置
GB2487929B (en) * 2011-02-08 2016-04-06 Europ Inst Of Surgical Res And Innovation Ltd Port for Laparoscopic Surgery with a Flexible Membrane
JP6005143B2 (ja) 2011-05-10 2016-10-12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開創器
CN102204832A (zh) * 2011-05-18 2011-10-05 东南大学 柔性多通道集成器
RU2469652C1 (ru) * 2011-06-17 2012-1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кузне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ститут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рачей"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и соци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ДПО НГИУВ Минздравсоцразвития России) Способ конверсии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й аппендэктомии через умбиликальный доступ
ES1075436Y (es) * 2011-07-22 2012-01-26 Servicio Andaluz De Salud Puerto para laparoscopia
US9149178B2 (en) 2012-03-26 2015-10-06 Covidien Lp Surgical access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for
EP2846713A1 (en) * 2012-05-09 2015-03-18 EON Surgical Ltd. Laparoscopic port
CN103536359A (zh) * 2012-07-08 2014-01-29 钱庆鹏 隔栅式单孔腹腔镜手术通道
EP2695581B1 (en) 2012-08-07 2019-03-13 Critical Innovations, LLC Device for simultaneously documenting and treating tension pneumothorax and/or hemothorax
GB2504962A (en) * 2012-08-14 2014-02-19 Europ Inst Of Surgical Res And Innovation Ltd Closed port for single 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DE102013100605A1 (de) 2013-01-22 2014-07-24 Rg Mechatronics Gmbh Roboter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Robotersystems für die minimal invasive Chirurgie
CN105025978B (zh) * 2013-03-15 2019-12-31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旋转辅助端口
WO2014143656A1 (en) 2013-03-15 2014-09-18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echanical gel surgical access device
CA2904739C (en) 2013-03-15 2023-09-1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surgical seal
USD756512S1 (en) * 2013-04-15 2016-05-17 Karl Storz Gmbh & Co. Kg Single port access platform
US10046147B2 (en) 2013-12-26 2018-08-14 Critical Innovations, LLC Percutaneous access pathway system and method
WO2016007650A1 (en) 2014-07-08 2016-01-1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Highly responsive instrument seal
CN104083193A (zh) * 2014-07-15 2014-10-08 山东威瑞外科医用制品有限公司 穿刺器用阻气阀
US9642608B2 (en) 2014-07-18 2017-05-0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Gels having permanent tack free coat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ES2731049T3 (es) 2014-08-15 2019-11-13 Applied Med Resources Sistema de cirugía por orificio natural
WO2016085930A2 (en) 2014-11-25 2016-06-0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Circumferential wound retraction with support and guidance structures
WO2017048512A1 (en) 2015-09-15 2017-03-23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robotic access system
AU2016335864B2 (en) * 2015-10-07 2021-05-2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Wound retractor with multi-segment outer ring
CN105125293A (zh) * 2015-10-10 2015-12-09 江苏钱璟医疗器械有限公司 切口保护套辅助工具
USD796672S1 (en) * 2015-10-13 2017-09-05 Fortimedix Surgical B.V. Introducer with trocar
WO2017164824A1 (en) * 2016-03-21 2017-09-28 Toochinda Kitti Single-incision video-assisted surgery equipment set with multiple entry-exit ports for medical instruments and gas tubes
KR102544079B1 (ko) 2016-09-12 2023-06-15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불규칙 형상의 로봇 작동기들 및 연관된 로봇 수술용 기구들에 대한 수술용 로봇 액세스 시스템
CN107693057A (zh) * 2017-09-21 2018-02-16 杭州康基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腔镜手术单孔多通道路入系统
CN107837100A (zh) * 2017-09-21 2018-03-27 杭州康基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腔镜手术单孔多通道路入装置
US10814119B2 (en) 2017-09-22 2020-10-27 Critical Innovations, LLC Percutaneous access pathway system
US11883066B2 (en) * 2020-02-19 2024-01-3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ultip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CN114533218A (zh) * 2022-02-22 2022-05-27 上海微创医疗机器人(集团)股份有限公司 穿刺器、内套管装置及密封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205A (en) 1994-07-14 1996-10-29 Hart; Charles C. Multiport trocar
KR200225609Y1 (ko) 2000-12-16 2001-06-01 김응국 투관침
US6692467B2 (en) 2000-05-31 2004-02-17 Taut, Inc. Troca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270B1 (en) * 2000-08-30 2003-04-22 Snowden Pencer, Inc. Dual lumen access port
WO2005048814A2 (en) * 2003-11-12 2005-06-02 Van Lue Stephen J Magnetic devices and apparatus for medical/surgical procedur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8888695B2 (en) * 2007-03-30 2014-11-18 Covidien Lp Laparoscopic port assembly
US20060247678A1 (en) * 2005-04-08 2006-11-02 Weisenburgh William B Ii Surgical instrument system
WO2008077080A2 (en) * 2006-12-18 2008-06-26 Surgiquest, Incorporated System for surgical insufflation and gas recirculation
ES2557882T3 (es) * 2007-06-05 2016-01-29 Atropos Limited Dispositivo de acceso a instrumento
US8048027B2 (en) * 2008-12-11 2011-11-01 Tyco Healthcare Group Lp Trocar entry incorporating an airbag
US8932248B2 (en) * 2009-03-18 2015-01-13 Lexion Medical Llc Gas conditioning troca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205A (en) 1994-07-14 1996-10-29 Hart; Charles C. Multiport trocar
US6692467B2 (en) 2000-05-31 2004-02-17 Taut, Inc. Trocar assembly
KR200225609Y1 (ko) 2000-12-16 2001-06-01 김응국 투관침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8268A (zh) * 2010-03-02 2011-09-21 Tyco医疗健康集团 内部增压的医疗装置
KR100975030B1 (ko) 2010-04-14 2010-08-11 이승욱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0988428B1 (ko) * 2010-05-19 2010-10-18 서오남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US9005117B2 (en) 2010-05-19 2015-04-14 O Nam Seo Surgical tool guide and protection cap for surgical tool guide
WO2011145798A1 (ko) * 2010-05-19 2011-11-24 Seo O Nam 수술도구 가이더 및 수술도구 가이더용 보호캡
EP2392275A3 (en) * 2010-06-07 2013-11-27 Covidien LP Pressure feedback access por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WO2011162491A2 (ko) * 2010-06-21 2011-12-29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WO2011162491A3 (ko) * 2010-06-21 2012-04-12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KR101109675B1 (ko) 2010-06-21 2012-01-31 김송이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JP2013541359A (ja) * 2010-09-10 2013-11-14 ナム ソ、オ 内視鏡手術道具ガイダーポート
KR101027561B1 (ko) * 2010-09-10 2011-04-06 서오남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WO2012033358A3 (ko) * 2010-09-10 2012-06-14 Seo O-Nam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CN103200880A (zh) * 2010-09-10 2013-07-10 徐午男 内视镜仪器导引端口
US9993136B2 (en) 2010-09-10 2018-06-12 O-Nam Seo Endoscopy instrument guide port
CN103200880B (zh) * 2010-09-10 2016-01-20 徐午男 内视镜仪器导引端口
WO2012036375A2 (ko) * 2010-09-17 2012-03-22 Lee Jeong Sam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WO2012036375A3 (ko) * 2010-09-17 2012-05-10 Lee Jeong Sam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KR101064695B1 (ko) * 2010-09-17 2011-09-14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KR101319970B1 (ko) * 2011-10-21 2013-10-18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트로카 헤드 어셈블리
KR101301914B1 (ko) * 2011-11-09 2013-08-30 (주)유원메디텍 수술용 싱글포트
US9681890B2 (en) 2012-06-28 2017-06-20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Vaginal endoscopic port unit module
US10258370B2 (en) 2012-06-28 2019-04-16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Vaginal endoscopic port unit module
WO2014003496A1 (ko) * 2012-06-28 2014-0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식 내시경 포트 유니트 모듈
KR101509891B1 (ko) * 2012-10-22 2015-04-08 서오남 간편연결식 몸체분리형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KR101446257B1 (ko) 2013-05-09 2014-10-01 양윤석 복강경 수술용 싱글 포트 트로카
KR101612718B1 (ko) * 2014-06-18 2016-04-15 (주) 신한씨스텍 트로카
KR101714765B1 (ko) * 2015-11-12 201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공 복강경 수술 개창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의료기기
KR101846004B1 (ko) * 2017-12-01 2018-04-05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20190115179A (ko) * 2018-04-02 2019-10-11 남병욱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KR102040079B1 (ko) * 2018-04-02 2019-11-04 남병욱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KR20190117944A (ko) 2018-04-09 2019-10-17 메카디안(주) 수술 도구 삽입용 가이드 포트 및 이를 갖는 수술 장치
KR101946612B1 (ko) 2018-05-04 2019-02-11 에이에프에스메디칼 게엠바하 메디친프로덕케한델 복부에서 직접 급배기하는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KR101956367B1 (ko) * 2018-05-30 2019-06-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용 싱글포트
KR20200052759A (ko) * 2018-11-07 2020-05-15 남병욱 링 결합 개선 구조의 분리형 가이드 포트
KR102177783B1 (ko) 2018-11-07 2020-11-11 남병욱 링 결합 개선 구조의 분리형 가이드 포트
KR20210023332A (ko) 2019-08-23 2021-03-04 이권용 멀티 포트 트로카
WO2021045400A3 (ko) * 2019-09-03 2021-07-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싱글 포트 수술 로봇용 보조기구
KR20220015058A (ko) * 2020-07-30 2022-02-08 서지윤 수술도구 가이드포트용 도구진입관
KR102487818B1 (ko) * 2020-07-30 2023-01-12 서지윤 수술도구 가이드포트용 도구진입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9694A1 (en) 2010-09-30
CN101919727A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26B1 (ko)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
JP4485554B2 (ja) カニューレ組立体
CN100500108C (zh) 改良的套管针密封件
JP4417438B2 (ja) トロカールシールシステム
JP5550857B2 (ja) アクセスアセンブリ
JP4290392B2 (ja) トロカール
JP5333902B2 (ja) 外科手術処置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密封アンカー
ES2743503T3 (es) Sistema quirúrgico para orificio natural
JP2010527710A (ja) カニューレ用シール組立体
BRPI0711570B1 (pt) &#34;vedação para instrumentos endoscópicos&#34;
JP2009090112A (ja) 単一切開手術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外科用入口キット
JP2006167474A (ja) ダックビル・シール・プロテクタ
AU2005203309A1 (en) Gel seal for a surgical trocar apparatus
JP4695890B2 (ja) 気腹術ニードル
CN103272321B (zh) 体腔引流管套件
CN105726070A (zh) 单孔多通道腹腔镜手术鞘
JP2010188124A (ja) 挿入物を備えるフラッパを備える縫合糸管理システムを備えるアクセスポート
JP2009066397A (ja) 複合シールおよび製造方法
ES2728664T3 (es) Sistema de cirugía por orificios naturales
KR100955431B1 (ko) 의료용 트로카
CN204446916U (zh) 一种带滤网防堵塞的腹腔引流管
JP5782267B2 (ja) トロカーの外套管部
CN208031628U (zh) 上消化道内镜手术专用牙垫
CN110123421A (zh) 单孔腹腔镜多功能通道
JP2014530738A (ja) 器具アクセス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