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267B1 - Bogie - Google Patents
Bogi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6267B1 KR100936267B1 KR1020080013113A KR20080013113A KR100936267B1 KR 100936267 B1 KR100936267 B1 KR 100936267B1 KR 1020080013113 A KR1020080013113 A KR 1020080013113A KR 20080013113 A KR20080013113 A KR 20080013113A KR 100936267 B1 KR100936267 B1 KR 1009362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support arm
- pad
- fill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of elongated shape, e.g. rods or golf clu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port bogi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받침대 하부모서리에 캐스터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 중앙에 다수개의 필러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지며, 상기 필러에는 다수개의 서포트아암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서포트아암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슬리브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서포트아암에는 디스크패드와 간격유지패드가 반복되며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ter is coupled to the lower corner of the rectangular pedestal, a plurality of pillars ar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pedestal, a plurality of support arms are coupled to the pillar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rotatably fitted by a cylindrical fixing slee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rm, the support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k pad and the spacing holding pad is repeated and rotatably fitted seating portion is formed.
받침대, 캐스터, 필러, 서포트아암, 고정슬리브, 디스크패드, 간격유지패드 Supporter, Caster, Filler, Support Arm, Fixed Sleeve, Disk Pad, Spacing Pa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스터가 결합된 받침대의 상부로 디스크패드와 간격유지패드가 반복되어진 안착부가 교대로 형성된 다수개의 서포트아암이 보강대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서포트아암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절곡된 위치에 맞게 서포트아암의 안착부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안착부에 파이프가 안전하게 안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운송과정에서 파이프와 파이프가 상호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transport bogie,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upport arms formed by alternating seating portions in which a disk pad and a spacing pad are repeated to an upper portion of a pedestal to which a caster is coupled are support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support arm. By being fixedly coupled, the support arm's seat gap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ent position of the pipe, so that the pipe can be securely seated on each seat. In order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the surface thereof may be damaged.
일반적으로 제조된 물품 등을 용이하게 운송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차(臺車)를 사용하게 되고, 물품을 싣기 위한 받침대와 받침대에 실린 물품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칸막이와 받침대를 잡기위하는 손잡이 및 받침대가 용이하게 운반되어지도록 하는 휠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trolley is used as a means for easily transporting manufactured goods, and a handle for holding a partition and a stand for holding the article and a partition for preventing the articles on the stand from falling outwards; It is composed of wheels for easy transportation of the pedestal.
또한 대차는 물품이 받침대에 실린 상태로 운송되어지는 과정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력에 의하여 외부로 쏟아지려고 하나, 이때 칸막이에 의하여 물품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물품의 운송 도중에 물품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막으면서 납입처에서는 작업자가 대차에 실린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rolley is to be poured out by the vibration or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goods loaded on the pedest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oods spilled by the partition at this time. That is, the worker can easily take out the goods loaded on the cart at the delivery site while preventing the deformation from occurring during the transport of the goods.
그러나 이러한 대차는 규칙적인 물품 즉, 정육면체 형태를 갖는 물품을 적재한 상태로 운송에 적합할 뿐 정육면체의 형태가 아닐 경우, 별도의 정육면체 박스에 물품을 넣고 이를 적재하여 운송하는 과정에서 작업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운송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bogie is suitable for transport with a regular product, that is, a product having a cube shape, but is not suitable for transport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lay is due to the increase.
또한 파이프나 절곡된 파이프 일 경우, 파이프가 대차의 바닥에서 쉽게 굴러가는 원인으로 인하여 대차에 싣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ipes or bent pipes, there was a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loading on the trolley due to the cause that the pipe easily rolled from the bottom of the trolley.
그리고 도장된 파이프를 운송하는 경우, 잦은 진동으로 인한 상호접촉으로 도장된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간격유지재 등을 각각의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지도록 하면서 파이프를 적재할 경우, 적재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짐과 동시에 하적할때 역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And when transporting the painted pip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inted surfaces are damaged by mutual contact due to frequent vibration, and as a way to prevent this, a separate gap maintaining material is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pipes. When loading,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when unloading at the same time a lot of loading tim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캐스터가 결합된 받침대의 상부로 디스크패드와 간격유지패드가 반복되어 안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서포트아암이 보강대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서포트아암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절곡된 위치에 맞게 서포트아암의 안착부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안착부에 안전하게 파이프가 안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한정된 공간에 많은 량의 파이프가 적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송중에 발생되는 잦은 진동으로 인한 상호접촉을 방지하여 도장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운송용 대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disc pad and the space maintaining pad is repe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coupled to the caster at any position of the support arm tha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arm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By being fixedly coupled, the support arm spacin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ent position of the pipe to facilit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while allowing the pipe to be safely seated on each seat. By allowing a large amount of pipes to be loaded in the space, the space utiliza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between the pipes is kept constant, thereby preventing mutual contact due to frequent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ransportation. To prevent this from being damag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uck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사각형상의 받침대(100) 하부모서리에 캐스터(11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받침대(100)의 길이방향 중앙에 다수개의 필러(200)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지며, 상기 필러(200)에는 다수개의 서포트아암(30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서포트아암(300)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슬리브(3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서포트아암(300)에는 디스크패드(320)와 간격유지패드(330)가 반복되며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안착부(34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캐스터가 결합된 받침대의 상부로 디스크패드와 간격유지패드가 반복되어 안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서포트아암이 보강대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서포트아암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절곡된 위치에 맞게 서포트아암의 안착부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안착부에 파이프가 안정되게 안착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t pipe of the pipe by the disc pad and the spacing pad is repe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ter is coupled to be fixed at any position of the support arm that is supported by the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upport arms formed by the reinforcement By adjusting the support part spacing of the support arm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facilitat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in a state where the pipe is stably seated on each seating part.
또한 이를 통해 한정된 공간에 많은 량의 파이프가 적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is allows a large amount of pipe to be loaded in a limited spac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그리고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송중에 발생되는 잦은 진동으로 인한 상호접촉을 방지하여 도장된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And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utual contact due to the frequent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transportation can be more effective to prevent the painted surface is damag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파이프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의 필러와 서포트아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아암의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loaded on the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ller of the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upport arm,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n a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 침대(100), 필러(200) 및 서포트아암(300)으로 구성되어 있다.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5, is composed of a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100)는 필러(200)와 서포트아암(300) 및 서포트아암(300)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실린 파이프(P)의 모든 하중을 안정되게 받치도록 하면서 이를 원하는 곳 까지 용이하게 운송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모서리에 각각의 캐스터(11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이러한 받침대(100)는 소재 사용량을 줄이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각찬넬 또는 각형강을 절단하여 용접이음으로 결합시켜 사각테두리의 형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고,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절단된 다른 각형강이 크로스형태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크로스형태로 결합되어진 상부에 필러(200)의 하단이 후술하는 결착고정구(22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100)가 다수개의 각형강에 의하여 형태를 갖도록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받침대(100)가 하나의 판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 즉, 받침대(100)를 판형태로 갖도록 할 경우, 소재의 사용량을 늘어나는 반면 받침대(100)의 무게 증가로 인하여 많은 량의 파이프(P)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필러(2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로 다수개의 서포트아암(30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파이프(P)를 일정 높이로 다수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필러(200)의 상부에는 각각의 필러(200)가 연결되어지도록 하는 보강 대(210)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작업자가 필러(20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 운송하는 과정에서 필러(20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필러(200)는 받침대(100)의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 미리 결합된 결착고정구(220)에 의하여 결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어지고, 이러한 결착고정구(220)는 내부에 수직방향의 삽입홈(221)이 형성된 지지부(222) 외면에 상기 삽입홈(221)과 직각이 되는 암나사(223)가 형성된 보스(22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암나사(223)에 로크너트(225)가 결합된 볼트(226)가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임력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필러(200)의 하단이 받침대(100)에 결합된 결착고정구(220)에 의하여 결합고정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결합구조 또는 방법 이외에 필러(200)의 하단이 받침대(100)에 직접 용접이음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서포트아암(300)은 필러(200)에 수평방향으로 다수개가 결합되어 파이프(P)를 받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슬리브(310)에 의하여 서포트아암(30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회전축인 필러(200)의 수직면상에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서포트아암(3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서포트아암(300)에는 디스크패드(320)와 간격유지패드(330)가 반복되며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진 안착부(340)가 교대로 반복되게 형성되어 파이프(P)가 상기 안착부(400)에 안착되어 유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디스크패드(320)와 간격유지패드(330)는 탄성력을 갖는 루버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파이프(P)의 표면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안착부(340)에 안착되어진 파이프(P)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서로 부딪쳐서 발생되는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패드(320)의 중심에는 슬라이드홈(3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디스크패드(320)의 외경이 슬라이드홈(321)의 직경보다 2~3배 크게 형성되어 안착되어지는 파이프(P)의 하부측과 양측이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서포트아암(300)의 고정슬리브(310) 외측에 고정나사(350)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나사(350)의 가압력에 의하여 서포트아암(300)이 상기 필러(200)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서포트아암(300)의 단부에는 디스크패드(320)와 간격유지패드(330)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 이탈방지구(360)가 결합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구(360)는 암나사부재(361)가 상기 서포트아암(300)에 매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서포트아암(300)에 결합된 암나사부재(361)에 디스크판(362)이 고정나사(363)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이프 운송용 대차는 먼저, 받침대(100)를 뒤집어 하부 모서리에 캐스터(110)가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캐스터(110)가 결합된 받침대(100)를 다시 뒤집은 상태에서 결착고정구(220)의 하단이 받침대(100)의 상부에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다.In the pipe transport bogi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irst, the
다음 결착고정구(220)에 필러(200)의 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226)와 로크너트(225)를 조여 필러(200)가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받침대(100)에 결합된 모든 결착고정구(220)에 서포트아암(300)이 결합된 필 러(200)가 고정되어지도록 한다.Then tighten the
다음 각각 필러(200)의 상단에 보강대(210)가 연결되어지도록 용접이음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파이프 운송용 대차를 얻을 수 있게 된다.Next, by combining the welding joint so that the reinforcing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절곡된 파이프(P)를 적재하는 방법은 우선 파이프(P)의 길이와 절곡된 위치에 따라 필러(200)에 결합된 서포트아암(300)의 위치를 맞춘다. 이때 고정슬리브(310)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350)를 풀어 서포트아암(300)을 적정 위치로 회전시킨 후 풀려진 고정나사(350)를 다시 조이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수개의 필러(200)에 결합된 각각의 서포트아암(300)을 맞추게 된다.The method of loading the bent pipe (P) in the pipe transport bogie obtained through such a process firs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다음 파이프(P)의 절곡된 위치에 맞게 서포트아암(300)이 틀어진 상태에서 파이프(P)를 서포트아암(300)에 형성된 안착부(340)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킴에 따라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파이프(P)가 서포트아암(300)에 의하여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받쳐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안착부(340)를 구성하는 간격유지패드(330) 및 간격유지패드(330)의 양측으로 위치된 디스크패드(320) 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안착되어지는 파이프(P)의 외주연부가 가압되어지게 됨에 따라 운송도중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음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통해 파이프(P) 끼리의 상호 접촉으로 인한 표면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Next, as the
이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러(200)나 보강대(210)의 끝은 잡은 상태로 끌거나 당겨 많은 량의 파이프(P)가 적재된 대차를 용이하게 운송시킬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ate, the operator can easily transport the cart loaded with a large amount of pipes P by pulling or pulling the tip of th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파이프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pe is loaded on the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의 필러와 서포트아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ller arm and the support arm of the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아암의 확대 단면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운송용 대차에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on a pipe transport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받침대 110:캐스터100: base 110: caster
200:필러 300:서포트아암 200: Filler 300: Support arm
310:고정슬리브 320:디스크패드310: fixed sleeve 320: disk pad
330:간격유지패드 340:안착부330: spacing pad 340: seating por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3113A KR100936267B1 (en) | 2008-02-13 | 2008-02-13 | Bogi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3113A KR100936267B1 (en) | 2008-02-13 | 2008-02-13 | Bogi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7706A KR20090087706A (en) | 2009-08-18 |
KR100936267B1 true KR100936267B1 (en) | 2010-01-12 |
Family
ID=4120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3113A KR100936267B1 (en) | 2008-02-13 | 2008-02-13 | Bogi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626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435B1 (en) | 2015-10-14 | 2016-11-03 | 김형태 | Pipe stacking and fastening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10521A (en) * | 2014-07-31 | 2014-12-17 | 张家港市圣鼎源制管有限公司 | Transporting device for steel pipe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and installed at will |
CN104554405A (en) * | 2014-12-08 | 2015-04-29 | 芜湖恒美电热器具有限公司 | Device for transferring two types of air conditioner pipes |
CN106275033B (en) * | 2016-08-19 | 2018-05-08 | 滁州市成业机械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automobile pipe fitting placement vehicle |
CN108945066A (en) * | 2018-08-30 | 2018-12-07 | 张家港市金星纺织有限公司 | A kind of object is not easy the spandex yarn transfer car(buggy) fallen |
CN112706814B (en) * | 2019-10-25 | 2022-06-03 | 山东华伟重特机械有限公司 | Round pin axle transports convey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892U (en) * | 1991-08-10 | 1993-03-0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Pipe storage equipment |
KR200382465Y1 (en) | 2005-01-12 | 2005-04-20 | 강희수 | Carrier with bobbin holder on an elevated-up/down type loading portion |
-
2008
- 2008-02-13 KR KR1020080013113A patent/KR10093626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892U (en) * | 1991-08-10 | 1993-03-0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Pipe storage equipment |
KR200382465Y1 (en) | 2005-01-12 | 2005-04-20 | 강희수 | Carrier with bobbin holder on an elevated-up/down type loading por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435B1 (en) | 2015-10-14 | 2016-11-03 | 김형태 | Pipe stacking and fasten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7706A (en) | 2009-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6267B1 (en) | Bogie | |
US8544874B2 (en) | Transport device frame assembly | |
US6250655B1 (en) | Leveraging transport system for tables plasterboard sheets and the like | |
JP4763579B2 (en) | Amusement machine transport container | |
US20170029004A1 (en) | Transport Dollies | |
US6450514B1 (en) | Dolly for moving large sheets | |
IE913485A1 (en) | Shelf and transportation system, in particular for¹gastronomic purposes | |
US8006984B2 (en) | Stackable dolly | |
US876404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s | |
JP5611518B2 (en) | Transport cart | |
US6902175B1 (en) | Material handling cart | |
KR20140005161U (en) | a jig for painting | |
US20130146630A1 (en) | Transport Device Removable Bucket | |
US6494420B2 (en) | Caddy for texture gun having a hopper | |
US935276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s | |
JP2010100240A (en) | Truck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stacking chair | |
JP2005029022A (en) | Conveying carrier | |
JP4866166B2 (en) | Amusement machine transport container | |
KR101348106B1 (en)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
US9637150B1 (en) | Transport handle for low profile displacement | |
JP6178629B2 (en) | Nesting rack | |
KR102396080B1 (en) | palette with castor attached | |
KR200472194Y1 (en) | Trolley for Carrying | |
JP6474105B2 (en) | Structural material holding method and holder | |
CN208198453U (en) | Tubing transfer car(bug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