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06B1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8106B1 KR101348106B1 KR1020130028544A KR20130028544A KR101348106B1 KR 101348106 B1 KR101348106 B1 KR 101348106B1 KR 1020130028544 A KR1020130028544 A KR 1020130028544A KR 20130028544 A KR20130028544 A KR 20130028544A KR 101348106 B1 KR101348106 B1 KR 101348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k
- main frame
- shelter
- house
- dock leve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01—Buffers for vehicles at loading st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11—Means for levelin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독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독 하우스는, 상기 독 레벨러 및 상기 쉘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독 레벨러의 설치 높이가 독 게이트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면과 이격 시키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받침대 및 지지판은 무용접 조립형이다.An assembled dock house having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ck house provid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wherein the dock house includes: a main fram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ock leveler and the shelter are seated;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ock leveler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ock gate, and the main frame, pedestal and support plate is weld-free.
Description
본 발명은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빔의 메인 프레임에 받침대, 보강부 등이 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독 레벨러와 쉘터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무용접의 조립형 체결방식이 적용되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최적화된 보강지지구조를 이루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nd more specifically, a pedestal, a reinforcement part, and the like ar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of the H beam by a fastening method so that the dock leveler and the shelter are mounted.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ade, and a non-welding assembly type fastening method is applied,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and an optimized reinforcement support structure to provide a rigid and durable dock leveler and shelter provided with an assembled dock house.
냉장창고 또는 물류창고(물류적재창고)는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 음료 또는 의류, 가전, 잡화,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Refrigerated warehouses or logistics warehouses (logistics warehouses) are for storing temporarily or for a long time all the goods used in daily life, such as various food, beverages or clothing, home appliances, general goods, industrial goods, etc.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actory or production area.
도 1은 창고의 독 게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냉장창고 또는 물류창고와 같은 창고에는 화물을 운송차량에서 하차 후, 다시 이송하지 않고, 운송차량에서 창고 내부로 화물을 바로 이송하기 위하여 일측 벽면에 운송차량의 컨테이너 등과 같은 적재함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독 게이트(500)가 구비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 gate of a warehouse. In warehouses, such as refrigerated warehouses or logistics warehouses, the cargo does not return to the warehouse and is not transported again.In order to transfer the cargo directly from the transportation vehicle to the warehouse, the height of the storage container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ading container such as a container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on one wall. The
하지만, 종래의 독 게이트(500)는 운송차량의 접안 시 차량이 독 게이트(500)가 형성된 창고의 벽면에 밀착하면 창고의 벽면 또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이 반복되면 차량 또는 벽면에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독 게이트(500)에 밀착 시키지 않으면 독 게이트(500)와 차량의 적재함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지게차의 바퀴가 틈에 끼이거나 작업자의 발이 틈 사이로 빠져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화물의 운송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독 게이트(500) 하단부 일측에 피트(PIT)를 형성하여 피트에 삽입되어 운송차량과 독 게이트(500) 사이의 틈을 제거하기 위한 독 레벨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피트는 독 게이트(500)의 하부면에 독 레벨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독 레벨러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독 게이트(500)에 활용하기에는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고 이전 등과 같은 경우에 독 게이트(500)의 크기 및 높이가 다른 경우에는 호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it (PI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H빔의 메인 프레임에 받침대, 보강부 등이 체결방식에 의해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독 레벨러와 쉘터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무용접의 조립형 체결방식이 적용되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최적화된 보강지지구조를 이루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edestal, reinforcement, etc. ar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of the H-beam by the fastening method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dock leveler and shel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which has a robust and durable structure,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and has an optimized reinforcement support structure by applying a non-welding assembly fastening method.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독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독 하우스는, 상기 독 레벨러 및 상기 쉘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독 레벨러의 설치 높이가 독 게이트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면과 이격 시키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받침대 및 지지판은 무용접 조립형이다.An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ck house having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wherein the dock hous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dock leveler and the shelter are seated. A main frame, a pedestal which separates the main frame from the ground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ock leveler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ock gate, and a support plat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wherein the main frame, the pedestal and the support plate are weldless It is assembled.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H빔 또는 I빔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frame may be an H beam or an I beam.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독 레벨러의 좌, 우 양측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reinforcement parts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main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 level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벽면과 차량의 접안을 지지하는 보강판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상기 보강판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art may be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main frame to connect a reinforcement plate supporting the eyepiece of the wall and the vehicle and the reinforcement plat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support for reinforcing.
또한, 상가 차량과 접안하는 일측의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차량과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plate on one side of the berthing with the commercial vehicl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umper to mitigate the impact when in contact with the vehicle.
또한,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상기 보강판을 연결하는 발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ootrest for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plate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쉘터는 상기 발판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lter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scaffol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조립형 독 하우스를 무용접의 조립형 체결방식을 적용하여 제품의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First, there is an easy effect of manufacturing the product by applying the assembly type fastening method of the welded dock house.
둘째, 독 하우스에 구비되는 독 레벨러 및 쉘터 역시 조립형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Second, the dock leveler and shelter provided in the dock house also has an easy effect of manufacturing using the assembled fastening method.
셋째, H빔의 메인 프레임 및 보강부 등의 보강지지구조를 통해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보강부 및 범퍼를 통해 운송차량의 접안 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차량, 독 하우스 및 창고 벽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ly, it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and durability through the reinforcement support structure such as the main frame and reinforcement part of H beam, and minimizes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transportation vehicle is docked through the reinforcement part and bumper to minimize vehicle, dock house and wareho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on the wall.
넷째, 조립형 체결방식을 통해 제작됨으로 철거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독 게이트와 높이가 다른 경우 받침대만을 교체 하거나, 독 레벨러의 크기에 따라 메인 프레임을 교체하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통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ourth, since i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assembly type fastening method, it is easy to dismantle and move. Therefore, if the dock gate and the height are different, only the pedestal is replaced or the main frame is replaced according to the dock leveler size. This improves compatibilit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창고의 독 게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 하우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 하우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가 창고의 독 게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에 운송차량이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 gate of a warehou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dock house having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ck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ck gate of a warehouse;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port vehicle is docked to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독 하우스(100), 독 레벨러(200) 및 쉘터(300)로 구비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dock house provid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 하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 하우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독 하우스(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차량(600)에서 화물을 하차 후, 냉장창고 또는 물류창고와 같은 창고 내부로 화물을 다시 이동할 필요 없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운송차량(600)에서 바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운송차량(600)에서 화물을 바로 창고 내부로 하차할 수 있도록 창고의 입구 역할을 하는 독 게이트(500)는 운송차량(600)의 트레일러 등의 화물 적재함의 높이와 해당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한 독 게이트(500)의 하단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여 운송차량(600)과 독 게이트(500)를 연결하여 지게차 등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 독 하우스(100)이다. 이러한 독 하우스(100)는 크게 메인 프레임(110), 받침대(120) 및 지지판(130)으로 이루어진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ck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the
메인 프레임(110)은 독 하우스(100)의 골격을 이루며, 독 레벨러(200) 및 쉘터(3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피트(PIT)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10)은 독 레벨러(2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부가 평평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강성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H빔 또는 I빔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H빔을 사용하면 운반이 용이하게 하중에 대한 강성 또한 강하기 때문에 화물뿐만 아니라 지게차가 운행하더라도 그 강성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인 프레임(110)의 크기는 창고에서 사용하는 독 레벨러(200)의 크기를 고려하여 하여 제작한다.The
받침대(120)는 메인 프레임(110)을 지지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받침대(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복수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독 레벨러(200)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하여 메인 프레임(110)의 수평을 맞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일실시예로 메인 프레임(110)이 H빔인 경우에 받침대(120)는 H빔의 모서리부 및 중심부 일측에 H빔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받침대(120)의 높이는 해당 창고에 설치되는 독 레벨러(200)의 높이를 고려하여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독 레벨러(200)의 상단부가 창고의 입구 역할을 하는 독 게이트(500)의 하단면과 일치하는 높이만큼 메인 프레임(110)의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 시킨다. 이때, 받침대(120)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지판(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독 레벨러(200)가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지지판(130)은 메인 프레임(110)에서 독 레벨러(200)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독 레벌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지지판(130)의 두께는 얇아도 무관하다. The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H빔 또는 I빔으로 이루어져 프레임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메인 프레임(110)에 부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운송차량(600)의 접안 시 차량(600) 및 벽면 사이에서 끼어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하기 위한 보강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110)의 중심 일측에 독 레벨러(200)가 구비되고, 독 레벨러(200)의 좌우 양측, 즉, 메인 프레임(110)의 외곽부에 보강부(140)가 구비된다. The upper part of the
이러한 보강부(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41), 보강 지지대(142), 범퍼(143) 및 발판(144)을 포함한다. 4 and 5, the
보강판(141)은 메인 프레임(110)의 모서리부의 상부에 벽면 및 접안되는 차량(600)과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판(141)은 '['자로 절곡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판(141) 역시 용접을 통해 결합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한다. 이러한 보강판(141)의 높이는 후술하는 발판(144)이 독 게이트(500)의 하단면과 일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10)의 상단면에서부터 독 게이트(500)의 하단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높이, 즉, 독 레벨러(20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정면, 즉, 운송차량(600)이 접안하는 일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보강판(141)에는 운송차량(600)의 접안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143)가 구비된다. 이때, 범퍼(143)는 운송차량(600)과의 접안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범퍼(143)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The
보강 지지대(142)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보강판(141)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차량(600)의 접안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보강판(141)이 파손되거나,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보강판(141)은 사각 파이프 또는 I빔을 사용하되, 한 쌍의 보강판(14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보강 지지대(142)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보강 지지대(142)가 운송차량(600)의 접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됨에 따라 운송차량(600)의 접안 시 보강판(141)을 지지하고, 메인 프레임(110)에 가해지는 독 레벨러(200) 및 쉘터(300)의 하중을 분산시켜 메인 프레임(11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The
발판(144)은 서로 대향되는 보강판(141)의 상부에 보강 지지대(142)와 수평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 및 쉘터(3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발판(144)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쉘터(300)는 발판(144)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발판(144)의 상단면 외곽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The
전술한 보강 지지대(142) 및 발판(144) 역시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독 하우스(10)는 모든 구성품 및 장치들이 용접을 이용하지 않고,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무용접 조립형 체결방식이 적용됨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최적화된 보강지지구조를 통해 종래의 독 하우스(100)와 비교하여 견고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100)가 창고의 독 게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창고 또는 냉장창고와 같은 창고의 일측 벽면에 형성된 독 게이트(500)에 독 게이트(500)의 중심과 독 레벨러(20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받침대(120)는 독 하우스(100)가 설치되는 바닥의 상태를 고려하여 각각의 높이가 동일하거나, 상호 다르게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이 평행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assembled
또한, 쉘터(300)는 독 게이트(50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에 운송차량(600)이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10)에 운송차량(600)은 도 7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독 하우스(100)에 운송차량(600)이 접안되는 경우에는 보강판(141)에 구비된 범퍼(143)가 운송차량(600)이 밀착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써, 독 하우스(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운송차량(600)을 최대한 밀착시켜 화물을 운송을 용이하게 한다.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독 하우스
100 : 독 하우스
110 : 메인 프레임
120 : 받침대
130 : 지지판
140 : 보강부
141 : 보강판
142 : 보강 지지대
143 : 범퍼
144 : 발판
200 : 독 레벨러
300 : 쉘터
500 : 독 게이트
600 : 운송차량10: Dock House with Dock Leveler and Shelter
100: dock house
110: main frame
120: Base
130: support plate
140:
141: reinforcement plate
142: reinforcement support
143: bumper
144: Scaffolding
200: Dock Leveler
300: Shelter
500: dock gate
600: transportation vehicle
Claims (7)
상기 독 하우스는,
상기 독 레벨러 및 상기 쉘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독 레벨러의 설치 높이가 독 게이트의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면과 이격 시키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판;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독 레벨러의 좌, 우 양측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벽면과 차량의 접안을 지지하는 보강판;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상기 보강판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 받침대 및 지지판은 무용접 조립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In a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The dock house,
A main frame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ock leveler and the shelter are seated;
A pedestal for separating the main frame from the ground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dock leveler coincid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ock gat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Reinforcement parts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main fram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ck level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Lt; / RTI >
The reinforcing portion
A reinforcement plate provided at an edge of the main frame to support eyepieces of the wall and the vehicle; And
A reinforcing suppor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o connect the reinforcing plat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main frame;
Including;
The main frame, the pedestal and the support plate is an assembled dock house equipp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free assembly.
상기 메인 프레임은 H빔 또는 I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frame is an assembled dock house having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 beam or I beam.
상가 차량과 접안하는 일측의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차량과의 접촉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plate on one side of the berthing to the commercial vehicl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umper is further provided to mitigate the impact when in contact with the vehicle.
상기 보강판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상기 보강판을 연결하는 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dock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provided with a dock leveler and a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 plate for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plate facing each other further provided.
상기 쉘터는 상기 발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helter is provided with a dock leveler and shelt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op of the scaffolding dock hous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544A KR101348106B1 (en) | 2013-03-18 | 2013-03-18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CN201310722590.4A CN104060857A (en) | 2013-03-18 | 2013-12-24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544A KR101348106B1 (en) | 2013-03-18 | 2013-03-18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9783A KR20130049783A (en) | 2013-05-14 |
KR101348106B1 true KR101348106B1 (en) | 2014-01-10 |
Family
ID=4866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85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48106B1 (en) | 2013-03-18 | 2013-03-18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8106B1 (en) |
CN (1) | CN104060857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79624B2 (en) | 2017-04-04 | 2019-11-19 | Grant Leum | Dock housing |
US11273999B1 (en) | 2020-09-04 | 2022-03-15 | Leum Engineering, Inc. | Modular loading dock with integrated level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2126A (en) * | 1996-08-29 | 1998-03-17 | Misuzu Mach Kk | Cargo handling auxiliary equipment |
JP2004028404A (en) * | 2002-06-24 | 2004-01-29 | Nanri Seisakusho:Kk | Dock shelter |
KR100658037B1 (en) * | 2006-06-28 | 2006-12-15 | 주식회사 누리플랜 | Shoring blind plate and installation method |
KR101222106B1 (en) * | 2012-07-20 | 2013-02-15 |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 Table having pipe frame structure of non-welding type 3 direction assembly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725243Y (en) * | 2004-05-31 | 2005-09-14 | 中国重型汽车集团泰安五岳专用汽车有限公司 | Folding type loading and unloading table |
CA2666700A1 (en) * | 2008-05-28 | 2009-11-28 | Joseph J. Di Biase | Load-actuated dock bumper assembly |
KR101000243B1 (en) * | 2008-12-03 | 2010-12-10 | 김병웅 | Dock leveler |
AU2008365194B2 (en) * | 2008-12-10 | 2013-08-29 | Amiserru, S.L. | Loading wharf |
AU2009343273B2 (en) * | 2009-04-01 | 2013-08-29 | Amiserru, S.L. | Loading bay |
-
2013
- 2013-03-18 KR KR1020130028544A patent/KR1013481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2-24 CN CN201310722590.4A patent/CN104060857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72126A (en) * | 1996-08-29 | 1998-03-17 | Misuzu Mach Kk | Cargo handling auxiliary equipment |
JP2004028404A (en) * | 2002-06-24 | 2004-01-29 | Nanri Seisakusho:Kk | Dock shelter |
KR100658037B1 (en) * | 2006-06-28 | 2006-12-15 | 주식회사 누리플랜 | Shoring blind plate and installation method |
KR101222106B1 (en) * | 2012-07-20 | 2013-02-15 |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 Table having pipe frame structure of non-welding type 3 direction assembly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9783A (en) | 2013-05-14 |
CN104060857A (en) | 201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03609A (en) | Transport vehicle | |
US10342333B2 (en) | Double-wide drive-in storage rack assembly with dual-rail truss-beam | |
US10993531B2 (en) | Storage system and article retrieving method | |
US9828172B2 (en) | Intermodal container | |
US20120298600A1 (en) | Reinforcement post for pallet rack frame and pallet rack frame incorporating the same | |
US20050082246A1 (en) | Pushback cart storage system | |
JP2021512827A (en) | Transport pallets and / or decks useful for transport | |
KR101348106B1 (en) | Assembly Type Dock House Having Dock Leveler and Shelter | |
KR101890411B1 (en) | Pallet support frame for pallet rack | |
KR20200016022A (en) | A fastening frame for pallet rack connection | |
KR101221566B1 (en) | load dispersion and self-weight reducing functional lower base of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080173603A1 (en) | Adjustable brace | |
KR200468202Y1 (en) | Shelf for Ship | |
KR101711339B1 (en) | Assembly moving vehicle | |
KR101115753B1 (en) | Structure of high stack rack | |
JP5673956B2 (en) | Shelf with movable bed | |
JP2023030412A (en) | Seismic isolation structure of storage rack, and bearing | |
JP4866166B2 (en) | Amusement machine transport container | |
JP4487187B2 (en) | rack | |
JP4085348B2 (en) | Rack for automatic warehouse | |
KR102665975B1 (en) | Fixing structure of aluminum base plate for preventing slip of livestock on the vehicle movement | |
KR200416315Y1 (en) | Shipping Rack Stands | |
KR100686708B1 (en) | Shipping Rack Stands | |
JP2012056766A (en) | Connecting shelf for connection racks | |
CN206384405U (en) | A kind of shelf with overhanging type b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02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