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5883B1 -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883B1
KR100935883B1 KR1020080067954A KR20080067954A KR100935883B1 KR 100935883 B1 KR100935883 B1 KR 100935883B1 KR 1020080067954 A KR1020080067954 A KR 1020080067954A KR 20080067954 A KR20080067954 A KR 20080067954A KR 100935883 B1 KR100935883 B1 KR 10093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tially
button
pressed
buttons
alphab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헌
김군순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883B1/ko
Priority to JP2008326392A priority patent/JP2010020747A/ja
Priority to US12/344,248 priority patent/US8339291B2/en
Priority to CN2008101876031A priority patent/CN10163020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883B1/ko
Priority to US13/690,146 priority patent/US201300884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2)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 타수와 입력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소형 키패드, 알파벳 입력 시스템, 상형적 조합, 사용 빈도수

Description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 타수와 입력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소형 키패드에서 사용하는 영문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토글(toggle)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토글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영문 키패드의 배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4x3의 버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한 버튼 내에 2~4개의 알파벳이 배치되어 있다.
토글 방식은 한 개의 버튼 내에 두세 가지의 영문 알파벳을 그룹 지어 놓기 때문에, 전체 알파벳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종류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영문 알파벳을 입력할 경우에, 키의 위치와 토글 되는 순서를 파악해야 하고, 입력 시에는 여러 번의 키 버튼을 눌러야하기 때문에 효율성 면에서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인다. 더욱이 같은 버튼 내의 영문 알파벳을 순열적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시스템이 설정한 대기 시간만큼 기다린 후에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 버튼을 누른 이후에 입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입력 비용이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토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키패드에서 알파벳 입력을 위한 조합 방식의 기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등록번호 제10-0661457호),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 내장된 문자입력장치(등록번호 제10-0371381호), 및 휴대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키패드(등록번호 제20-0419301호) 등의 특허 및 실용신안들이 그러한 예의 일부이다. 도 2는 조합 방식의 기존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 방식의 기존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들은 모두 문자키의 조합으로 알파벳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토글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조합 문자의 입력 순열 해석 시에 발생하는 모호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어서, 등록번호 제10-0661457호(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특허에서 F의 조합은 '|'와 'ㅡ', I는 '|', T는 'ㅡ'와 '|'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IT를 입력하기 위하여 '|', 'ㅡ', '|'의 조합 문자 순열을 입력하였을 경우, IT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FI로도 해석될 수 있는 해석의 모호성이 발생한다.
등록번호 제20-0419301호(휴대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키패드) 등록실용신안 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존재한다. 즉, V의 조합은 'V', I는 '|', Y는 'V'와 '|'의 조합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Y를 입력하기 위하여 'V'와 '|'를 입력하는 경우에 VI로도 해석될 수 있다. 등록번호 제10-0371381호(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 내장된 문자입력장치) 특허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각 문자의 조합은 직관적일 수 있으나, 단어나 문장 단위로 문자 조합을 순열 형태로 입력하였을 때, 시스템이 사용자가 원하는 알파벳으로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모호성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글을 이용하는 기존 영문 키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분자의 역할을 하는 자동적인 시간 지연이 필요하거나, 이동 버튼을 눌러야 한다. 따라서 상형적 문자 조합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입력 비용 발생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알파벳마다 실제 사용되는 빈도가 차이가 나므로, 이를 이용하여 빈도가 높은 알파벳을 보다 적은 클릭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 타수와 입력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1)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2)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키패드부는, 'ㅡ', '|', '.', '(', ')', 'U', 'V'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키패드부는, 'A', 'E', 'O' 버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버튼을 누를 경우 'A'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B'가, 상기 '(' 버튼을 누를 경우 'C'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D'가, 상기 'E' 버튼을 누를 경우 'E'가, 상기 'ㅡ',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F'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G'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H'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I'가, 상기 'U',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J'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K'가, 상기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L'이, 상기 '|', '|',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M'이, 상기 '|',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N'이, 상기 'O' 버튼을 누를 경우 'O'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P'가, 상기 'O',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Q'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R'이,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S'가, 상기 'ㅡ',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T'가, 상기 'U' 버튼을 누를 경우 'U'가, 상기 'V' 버튼을 누를 경우 'V'가, 상기 'V',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W'가, 상기 'U', 'U'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X'가, 상기 'V',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Y'가, 상기 'ㅡ',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Z'가 출력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V',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및 상기 'U', 'U'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더블 클릭되지 않으면 'V', 'V' 및 'U', 'U'가 출력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키패드부는, 'T' 버튼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 기 'T' 버튼을 누를 경우 'T'가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변환시키는 변환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입력 타수와 입력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새로운 알파벳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제1 키패드부로서 'ㅡ', '|', '.', '(', ')', 'U', 'V'의 7개의 버튼이 사용되고 있으며, 제2 키패드부로서 'A', 'E', 'O'의 3개의 버튼이 사용되고 있다. 'O' 버튼의 경우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이라는 점에서 제2 키패드부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O',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Q'가 출력된다는 점에서 제1 키패드부에 속한다고 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변환시키는 변환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형적 조합 방식은 각각의 조합 문자를 결합시켜서 한 개의 알파벳을 완성하므로, 토글 방식과 같이 그룹의 키 배열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동적인 대기 시간이나 이동 버튼 또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키패드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조합키의 수는 10개로 제한하여 정의하였다. 각 조합 문자의 키 배치는 알파벳의 빈도수와 조합 상태 기계의 구조를 고려하되, 한 개의 버튼에 한 개의 문자를 할당함으로써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백 상태로 표시된 2개의 키 자리 중 하나에,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 예컨대 T와 같은 문자를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영어 문장에서 나타나는 각 알파벳의 빈도수에 대한 통계 자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T, A, O, I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낸다. 상형적 조합 방식은 다수의 문자 조합으로 하나의 알파벳을 완성시키는 방식이지만,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의 경우에는 한 번의 버튼 클릭만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버튼 수의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의 상충 관계는 불가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E, T, A, O, I 중에서, E, A, O는 한 개의 조합키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T와 I는 두 개의 문자 조합으로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반면, 조합 문자를 이용해서 다른 알파벳으로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를 하였다. 예를 들어, T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ㅡ'와 '|'를 조합해야 하지만, 'ㅡ'는 L이나 F를 입력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를 추가로 키에 배치할 경우에는 한 개의 조합키만으로 T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서 알파벳 각각의 조합 상태 기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버튼을 누를 경우 'A'가,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B'가, '(' 버튼을 누를 경우 'C'가,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D'가, 'E' 버튼을 누를 경우 'E'가, 'ㅡ',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F'가 각각 출력된다. 또한,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G'가,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H'가,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I'가, 'U',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J'가,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K'가,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L'이 각각 출력된다. '|', '|', 'V' 버튼을 순차적 으로 누를 경우 'M'이, '|',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N'이, 'O' 버튼을 누를 경우 'O'가,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P'가, 'O',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Q'가,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R'이 각각 출력되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S'가, 'ㅡ',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만약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가 추가로 키에 배치될 경우에는 'T' 버튼을 누를 경우) 'T'가, 'U' 버튼을 누를 경우 'U'가, 'V' 버튼을 누를 경우 'V'가, 'V',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W'가, 'U', 'U'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X'가, 'V',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Y'가, 'ㅡ',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Z'가 각각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형적 조합 방식에서 정의한 알파벳의 상태 기계는 기존 시스템들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다만, W와 X의 경우는 각각 V와 U의 이중 클릭을 이용하여 조합되는데, 이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예컨대 0.2초 내에 입력해야만 조합 문자가 완성되며, 시간 내에 입력하지 못할 경우 개별 문자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합 방식 입력 방법은 삭제의 경우에도 유용하다. 즉, 사용자가 입력 중인 문자를 삭제할 경우에, 입력 문자를 바로 삭제하지 않고, 조합 문자의 이전 조합 상태로 이동하며, 다른 조합으로의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B를 삭제하면 D로 변환되는데, 이때 '.'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R로 변환된다.
토글 입력 방식은 토글 되는 수와 동일 버튼내의 문자를 순열적으로 입력할 시에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기회비용이라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합 입력 방식은 각 영문 알파벳의 조합이 기회비용이다. 이와 같은 기회비용들을 비교해 볼 때, 기존의 토글 입력 방식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태 기계를 이용한 조합 입력 방식은 보다 적은 수의 입력 타수와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DEFENCE'라는 단어를 입력하려면, 토글 방식에서는 이동 버튼을 포함하여 18번의 입력이 필요하지만, 제안하는 조합 방식에서는 11번의 입력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토글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영문 키패드의 배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조합 방식의 기존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새로운 알파벳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영어 문장에서 나타나는 각 알파벳의 빈도수에 대한 통계 자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서 알파벳 각각의 조합 상태 기계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7)

  1.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으로서,
    (1)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알파벳 문자를 구성할 수 있도록 알파벳의 획을 분리하여 형상화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1 키패드부; 및
    (2) 사용 빈도수가 높은 알파벳 문자에 대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제2 키패드부를 포함하되,
    제1 키패드부는, 'ㅡ', '|', '.', '(', ')', 'U', 'V' 버튼들을 포함하고,
    제2 키패드부는, 'A', 'E', 'O' 버튼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A' 버튼을 누를 경우 'A'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B'가, 상기 '(' 버튼을 누를 경우 'C'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D'가, 상기 'E' 버튼을 누를 경우 'E'가, 상기 'ㅡ',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F'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G'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H'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I'가, 상기 'U',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J'가,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K'가, 상기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L'이, 상기 '|', '|',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M'이, 상기 '|',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N'이, 상기 'O' 버튼을 누를 경우 'O'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P'가, 상기 'O',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Q'가, 상기 '|',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R'이, 상기 '(',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S'가, 상기 'ㅡ',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T'가, 상기 'U' 버튼을 누를 경우 'U'가, 상기 'V' 버튼을 누를 경우 'V'가, 상기 'V',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W'가, 상기 'U', 'U'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X'가, 상기 'V', '.'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Y'가, 상기 'ㅡ', '.', 'ㅡ'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Z'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 'V'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및 상기 'U', 'U'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에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에 더블 클릭되지 않으면 'V', 'V' 및 'U', 'U'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2 키패드부는, 'T' 버튼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T' 버튼을 누를 경우 'T'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대문자와 소문자 사이를 변환시키는 변환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20080067954A 2008-07-14 2008-07-14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93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54A KR100935883B1 (ko) 2008-07-14 2008-07-14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JP2008326392A JP2010020747A (ja) 2008-07-14 2008-12-22 象形的組み合わせ及び使用頻度数を使用した小型キーパッドでのアルファベット入力装置及びアルファベット認識システム
US12/344,248 US8339291B2 (en) 2008-07-14 2008-12-25 Alphabet input device and alphabet recognition system in small-sized keypad
CN2008101876031A CN101630201B (zh) 2008-07-14 2008-12-26 小键盘中的字母输入装置与字母识别系统
US13/690,146 US20130088432A1 (en) 2008-07-14 2012-11-30 Alphabet input device and alphabet recognition system in small-sized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54A KR100935883B1 (ko) 2008-07-14 2008-07-14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883B1 true KR100935883B1 (ko) 2010-01-07

Family

ID=4150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954A KR100935883B1 (ko) 2008-07-14 2008-07-14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339291B2 (ko)
JP (1) JP2010020747A (ko)
KR (1) KR100935883B1 (ko)
CN (1) CN1016302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73B1 (ko) 2012-11-09 2014-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기반의 소프트웨어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1540B1 (ko) * 2014-03-17 2015-06-25 이선규 알파벳 입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77B1 (ko) 2011-04-04 2012-07-12 박찬봉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시스템
WO2014066376A1 (en) * 2012-10-25 2014-05-01 Neumodx Molecular, Inc. Method and materials for isolation of nucleic acid materi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88A (ko) * 1999-12-04 2001-07-02 김용숙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20040028091A (ko) * 2002-09-28 2004-04-03 석경환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20040072851A (ko) * 2003-02-11 2004-08-19 조진호 영문의 상형적 조합을 통한 문자입력 방법
KR100732477B1 (ko) 2006-02-03 2007-06-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267A (en) * 1990-03-27 1994-04-26 Yang Gong M Method and keyboard for input of characters via use of specified shapes and patterns
WO1998003905A1 (fr) * 1996-07-24 1998-01-29 Hee Sung Chung Dispositif d'entree/sortie de caracteres multilingues
JPH11184609A (ja) * 1997-12-22 1999-07-09 Ai Soft Kk 日本語入力装置、日本語入力部を有する電子機器および日本語入力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6231252B1 (en) * 1998-10-05 2001-05-15 Nec Corporation Charac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keyboard
JP3328245B2 (ja) * 1998-10-05 2002-09-24 中部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文字入力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573844B1 (en) * 2000-01-18 2003-06-03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ve keyboard
KR100371381B1 (ko) 2000-12-29 2003-02-07 안상범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US20030030573A1 (en) * 2001-04-09 2003-02-13 Ure Michael J.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JP2005509202A (ja) * 2001-04-09 2005-04-07 ウーレ・マイケル・ジェイ 形態ベース・テキス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100672773B1 (ko) * 2002-10-30 2007-02-28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알파벳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116135A1 (en) * 2003-10-09 2006-06-01 Ure Michael J Morphology-based text entry system
KR100661457B1 (ko) * 2004-10-01 2006-12-27 금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US7649478B1 (en) * 2005-11-03 2010-01-19 Hyoungsoo Yoon Data entry using sequential keystrokes
KR200419301Y1 (ko) 2006-02-01 2006-06-20 김진규 휴대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키패드
BRPI0715171A2 (pt) * 2006-08-04 2015-03-24 Eui-Jin Oh Dispositivo de entrada de dados
US20090033523A1 (en) * 2007-08-03 2009-02-05 Hoon Kyu Park Language Input System and Method Based on Graphic Symbo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88A (ko) * 1999-12-04 2001-07-02 김용숙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한글, 영어를 입력하는 문자입력장치
KR20040028091A (ko) * 2002-09-28 2004-04-03 석경환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20040072851A (ko) * 2003-02-11 2004-08-19 조진호 영문의 상형적 조합을 통한 문자입력 방법
KR100732477B1 (ko) 2006-02-03 2007-06-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73B1 (ko) 2012-11-09 2014-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 기반의 소프트웨어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1540B1 (ko) * 2014-03-17 2015-06-25 이선규 알파벳 입력 시스템
WO2015141987A1 (ko) * 2014-03-17 2015-09-24 이선규 알파벳 입력 시스템
GB2538193A (en) * 2014-03-17 2016-11-09 Lee Sun-Gyu Alphabet input system
GB2538193B (en) * 2014-03-17 2020-09-23 Sun Gyu Lee Alphabet inpu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0201A (zh) 2010-01-20
JP2010020747A (ja) 2010-01-28
US20130088432A1 (en) 2013-04-11
US8339291B2 (en) 2012-12-25
CN101630201B (zh) 2013-08-21
US20100007530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8717A (zh) 可变显示键盘及输入方法
CN102214005B (zh) 多层面映射交互式输入键盘
CN102566772A (zh) 一种实现字符混合输入的方法及系统
KR100935883B1 (ko)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CN101661335A (zh) 一种为嵌入式系统设计的中文输入方法及系统
CN1612097A (zh) 字符输入方法和字符输入设备
CN101114196B (zh) 输入中文短语的方法和设备
KR100690775B1 (ko) 특수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70133047A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10107446A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방법
CN100561411C (zh) 结合联想式输入法与语音辨识法的文字输入装置与方法
KR20060033275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CN100492260C (zh) 手机码汉字输入法
KR100878196B1 (ko) 통신단말기의 한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JP4029561B2 (ja) 携帯文字入力装置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CN101241398B (zh) 简易文字输入法及使用该方法之输入装置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CN100389375C (zh) 一种数字码输入法
CN101470536A (zh) 提供不同语言文字间相互转换输入之系统及其方法
CN100409151C (zh) 三维中文输入法
CN2739697Y (zh) 一种易于中文拼音输入的数字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