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2778B1 -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78B1
KR100932778B1 KR1020090051937A KR20090051937A KR100932778B1 KR 100932778 B1 KR100932778 B1 KR 100932778B1 KR 1020090051937 A KR1020090051937 A KR 1020090051937A KR 20090051937 A KR20090051937 A KR 20090051937A KR 100932778 B1 KR100932778 B1 KR 10093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file
frame
audio signal
track
medi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렙
Priority to KR102009005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구비하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함에 있어서,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개의 미디어 파일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미디어 파일, 멀티 트랙, 선택 재생, 헤더

Description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Medium Recorded with Multi Track Media File, Playing Method, and Media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개의 미디어 파일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 이용의 증대와 함께 사용자들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 파일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는 언제든지 인터넷을 통해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한 서버로부터 MP3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손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P3 파일은 반주와 보컬(Vocal)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MP3 파일의 사용자들이 노래 연습을 하기 위해 MP3 파일에서 반주만을 재생하여 청 취하고자 하는 경우, 반주와 보컬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MP3 파일에서는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개의 미디어 파일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하나의 제1 미디어 파일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거나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제1 미디어 파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은,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믹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또는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은,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에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프 레임 중 마지막으로 디코딩된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부터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은,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에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명령이 있은 후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됨으로써 재생되는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과,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되며,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된 복수개의 미디어 파일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되며, 재생중인 미디어 파일의 트랙을 전환하는 경우에 끊김없는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과 사용자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제작 및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사용자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제1 미디어 파일과 제1 미디어 파일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미디어 파일이 합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1 미디어 파일이 반주와 보컬을 모두 저장된 AR(Audio Recorded) MP3파일인 경우에 제2 미디어 파일은 반주만 저장된 MR(Music Recoeded) MP3파일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 미디어 파일이 보컬만 저장된 보컬 MP3파일이고, 제2 미디어 파일은 MR(Music Recoeded) MP3파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 미디어 파일 및 제2 미디어 파일이 합성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은 헤더부(100) 및 데이터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부(200)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과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1-1)의 뒤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첫번째 프레임(data 2-1)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다음에는 제1 미디어 파일의 두번째 프레임(data 1-2)과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두번째 프레임(data 2-2)이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헤더부(100)에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정보로써, 합성된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와 데이터부(200)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헤더부(100)에는 파일유형정보(File Type), 합성된 미디어 파일의 총 개수 정보(Track Number), 데이터부(200)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Total Frame Number), 및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Frame Size)가 저장되어 있다.
헤더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30초 건너띄기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제1 미디어 파일 및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별로 프레임 헤더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프레임 헤더부(250)에는 각 프레임의 트랙 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부(200)의 각각의 프레임 헤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들은 데이터부(200)에 구비된 헤더부(100)에 저장된 각 프레임별 크기정보(Frame Size)와 일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의 하면, 이하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미디어 파일 및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을 동시에 재생하거나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장치는 먼저,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 헤더부(250)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1 또는 2)에 기초하여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파일트랙 2에 해당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미디어 장치는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한 후에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제1 미디어 파일이 보컬 MP3파일이고, 제2 미디어 파일이 MR(Music Recored) MP3파일인 경우에, 미디어 장치는 반주와 함께 보컬을 재생하게 되는 것이며, 미디어 장치는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기 전에 제1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보컬과 반주의 볼륨을 각각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만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에, 미디어 장치는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 헤더부(250)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1 또는 2)에 기초하여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 후에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일트랙 1에 해당히는 제1 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선택하면, 미디어 장치는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 헤더부(250)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1 또는 2)에 기초하여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중간에 사용자가 파일트랙 2에 해당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미디어 장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을 중단하고, 제1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 중에서 마지막으로 디코딩된 프레임(data 1-2)의 후방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data 2-3)부터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제1 미디어 파일이 AR(Audio Recorded) MP3파일이고, 제2 미디어 파일이 MR(Music Recorded) MP3파일인 경우에, 사용자가 파일트랙 1을 선택하여 AR(Audio Recorded) MP3파일을 청취하던 중에, 다시 파일트랙 2를 선택하게 되면, 미디어 장치는 AR(Audio Recorded) MP3파일의 출력을 중단하고, 중단한 이후부터는 MR(Music Recorded) MP3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반주 MP3파일의 재생에 맞추어 자신의 보컬을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일트랙 1에 해당히는 제1 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선택하면, 미디어 장치는 데이터부(20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 헤더부(250)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1 또는 2)에 기초하여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중간에 사용자가 파일트랙 2에 해당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미디어 장치는 파일트랙 1에 해당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파일트랙 2에 해당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미디어 장치는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한 후에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의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후 1초 내지 2초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미디어 장치는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은 중단하고, 제2 미디어 파일은 각 프레임의 데이터의 디코딩을 계속함으로써, 제2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하게 되며, 미디어 장치는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출력하게 된다.
즉, 도 6에서의 재생 방법에 의하면, 제1 미디어 파일이 AR(Audio Recorded) MP3파일이고, 제2 미디어 파일이 MR(Music Recorded) MP3파일인 경우에, 사용자가 파일트랙 1을 선택하여 AR(Audio Recorded) MP3파일을 청취하던 중에, 다시 파일트랙 2를 선택하게 되면, 미디어 장치는 소정의 시간동안 MR(Music Recorded) MP3파일을 AR(Audio Recorded) MP3파일과 함께 출력한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MR(Music Recorded) MP3파일만을 출력함으로써, AR(Audio Recorded) MP3파일의 재생에서 MR(Music Recorded) MP3파일로의 재생으로의 전환시에 끊김에는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310), 마이크 입력부(320), 볼륨 조절부(330), 제어 패널부(340), 영상 출력부(350), 자막 출력부(360), 리스트 출력부(370), 및 재생진행 표시부(380)를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부(310)는 스피커를 통해 재생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부분이며, 마이크 입력부(32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보컬 등의 사용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마이크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면 미디어 장치는 상술한 재생 방법에 따라 재생되고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과 사용자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에 마이크를 이용하여 마이크 입력부(320)에 자신의 보컬을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보컬이 합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미디어 장치에서 생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로 이동 저장된 후에 웹상에서의 게시 및 전송을 위해 컴퓨터 단말기가 접속한 특정 서버에 업로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특정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대한 자막 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각 트랙별 미디어 파일이 동시에 재생되는 경우에, 미디어 장치에 구비된 볼륨 조절부(330)를 통해 미디어 파일의 트랙별로 볼륨을 조절함으로써, 반주와 보컬의 상대적 볼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제어 패널부(340)를 이용하여 미디어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영상 출력부(350)로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영상 부분이 출력되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에 자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막 출력부(360)를 통해 자막이 표시된다. 아울러, 리스트 출력부(370)에는 미디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되며, 재생 진행 표시부(380)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재생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310), 마이크 입력부(320), 볼륨 조절부(330), 제어 패널부(340), 영 상 출력부(350), 자막 출력부(360), 리스트 출력부(370), 재생진행 표시부(380), 및 트랙 선택부(390)를 포함한다.
도 8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각 기능은 도 7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각 기능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트랙 선택부(390)를 추가로 구비한다. 트랙 선택부(390)를 통해 사용자는 재생되길 원하는 파일 트랙을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할 수 있으며, 미디어 장치는 트랙 선택부(390)를 통해 선택된 파일 트랙만을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의 볼륨 조절부(330)는 사용자가 마이크 입력부(320)를 통해 자신의 보컬을 입력함으로써, 재생되고 있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과 자신의 보컬을 합성하는 경우에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보컬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에는 미디어 파일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이 설치됨으로써,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나만의 휴대폰 벨소리"와 같은 온라인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이 제작된 온라인 콘텐츠는 특정 서버에 업로드되어 웹상에서 서비스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3에서의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장치에서의 파일 재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장치의 대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에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 중 마지막으로 디코딩된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부터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6.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이에 대응되는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이 인접하여 결합되는 구조의 데이터부, 및 상기 데이터부의 총 프레임 개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 및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는 각 프레임의 미디어 파일 트랙정보 및 각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헤더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에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선택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1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는 단계;
    상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명령이 있은 후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미디어 파일의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제2 미디어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2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서의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미디어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서의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됨으로써 재생되는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과,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생성하는 미디어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서의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이 실행되며, 상기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미디어 장치.
KR1020090051937A 2009-06-11 2009-06-11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37A KR100932778B1 (ko) 2009-06-11 2009-06-11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37A KR100932778B1 (ko) 2009-06-11 2009-06-11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736A Division KR100959585B1 (ko) 2009-10-08 2009-10-08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78B1 true KR100932778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778B1 (ko) 2009-06-11 2009-06-11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969A1 (ko) * 2013-05-07 2014-11-13 Seok Cheol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442A (ja) * 1999-04-02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20040060711A (ko) * 2003-09-03 2004-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믹싱 방법
KR20040094286A (ko) * 2002-04-01 2004-11-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060018684A (ko) * 2004-08-25 2006-03-02 주식회사 금영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442A (ja) * 1999-04-02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20040094286A (ko) * 2002-04-01 2004-11-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040060711A (ko) * 2003-09-03 2004-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스트림 믹싱 방법
KR20060018684A (ko) * 2004-08-25 2006-03-02 주식회사 금영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969A1 (ko) * 2013-05-07 2014-11-13 Seok Cheol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KR101518294B1 (ko) * 2013-05-07 2015-05-07 주식회사 인코렙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CN105379254A (zh) * 2013-05-07 2016-03-02 石哲 记录有多轨道媒体文件的记录介质,多轨道媒体文件的编辑方法,以及多轨道媒体文件的编辑装置
US9928876B2 (en) 2013-05-07 2018-03-27 Vocoo Inc.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ulti-track media file, method for editing multi-track media file, and apparatus for editing multi-track media f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475B1 (ko)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다중객체 오디오 콘텐츠파일의 생성, 편집 및 재생 방법과, 오디오 프리셋 생성방법
US8204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0856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in a portable terminal
CN1327436C (zh) 构造用于混合的音频流的方法和装置
US20160012853A1 (en) Clip creation and collaboration
KR101518294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방법, 및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편집 장치
JP2007116649A5 (ko)
KR201100121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932778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KR100959585B1 (ko)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이 기록된 기록매체, 멀티 트랙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KR20090052780A (ko)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다중객체오디오 콘텐츠 파일의 생성/편집/재생 방법 및 그 파일구조
KR101029483B1 (ko) 멀티채널 오디오 파일을 이용한 음악 ucc 제작방법 및 그 장치
US20090192636A1 (en) Media Modeling
KR101562041B1 (ko) 듀엣 모드의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장치
KR20130092692A (ko) 사용자의 음성으로 구연될 수 있는 전자 도서 제작 방법 및 전자 도서 제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546875B1 (ko) 슬라이드 쇼 기능을 갖는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016665B2 (ja)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の制御方法
KR100961297B1 (ko) 개인용 비디오 저장장치가 구비된 디지털 텔레비전
KR100826659B1 (ko) 음악파일의 특정 연주부분을 소거 또는 선택하여 청취하는방법
JP3180703B2 (ja) 画像供給装置
KR20100072476A (ko) 객체 기반 오디오 컨텐츠 생성/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2004328185A (ja) 再生情報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526330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EP2083422A1 (en) Media modelling
JP4400684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0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