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2579B1 -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579B1
KR100932579B1 KR1020047004417A KR20047004417A KR100932579B1 KR 100932579 B1 KR100932579 B1 KR 100932579B1 KR 1020047004417 A KR1020047004417 A KR 1020047004417A KR 20047004417 A KR20047004417 A KR 20047004417A KR 100932579 B1 KR100932579 B1 KR 10093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ority
unit
area
tex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476A (ko
Inventor
카와테후미타카
야마다마코토
히라바야시미츠히로
이시자카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7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st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복수의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 데이터와 하나 이상의 편집 데이터가 복수의 트랙에 각각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10)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각 데이터를 판독하는 입력 수단(11)과, 입력 데이터의 기록 트랙의 종류별을 판별하는 해석 수단(12)과, 트랙의 종류별과 복호하는 처리의 순번을 관계짓는 우선 순위표와, 어느 순번까지 재생하는지를 결정하는 소정의 임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3)과, 각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는 복수의 복호 수단(15, 16, 17)과, 해석 수단(12)으로부터의 트랙의 종류별과 기억 수단(13)의 우선 순위표 소정의 임계치에 의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복호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복호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의 종류별에 응하여 복수의 복호 수단(15, 16, 17)에 출력하는 판별 수단(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47004417
재생 장치,

Description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REPRODUCER AND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트랙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자기의 재생 처리 능력에 응한 트랙 수로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컨텐츠의 제작에서는, 복수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면 전환에 변화를 갖게 하거나, 화면상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거나 하기 위해, 특수 효과가 사용된다. 이 특수 효과를 시행하는 편집은, 특수 효과를 시행한 후의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방법과, 원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는 한편으로 특수 효과의 처리 순서도 기록하여 놓고, 재생시에 그 특수 효과의 처리 순서에 따라 원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특수 효과를 재현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는, 특히, 비파괴 편집이라고 불리고, Quick Time(퀵 타임, 이하, 「QT」라고 약기한다.) 등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QT를 이용한 비파괴 편집에서는, 화상에 대한 특수 효과뿐만 아니라, 문자나 그래픽의 2중 인화(superimpose)도 QT의 파일 형식으로 기술할 수 있다. 즉, 특수 효과 문자 그래픽 별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특수 효과 등을 가하는 영상의 ID 등이 QT의 파일 형식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재생시에는,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화상에 대해, 지정된 종류의 특수 효과 등을 행하고 나서 표시 장치에 표시 시킴으로써, 편집자가 편집에서 가한 것과 같은 특수 효과를 수반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비파괴 편집에서, 원화상 데이터에 다수의 특수 효과나 문자 등을 겹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원화상에 동시에 겹쳐져야 할 특수 효과 등이 다수 있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단위 시간에서의 재생 처리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여 버리는 일이 생긴다. 그래도 재생 장치는, 원화상에 시행되어 있는 특수 효과 등을 전부 재생하려고 하기 때문에, 재생 영상이 부자연스럽게 되거나, 드롭프레임(drop frame)이 생기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원화상에 동시에 겹쳐져야 할 특수 효과 등을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 우선 순위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여들어감에 의해,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생 장치는, 그 재생 능력의 범위 내에서 영상 데이터 중의 트랙을 재생하기 때문에, 스무스한 움직임이며 드롭프레임도 없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입력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입력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풀로우 차트.
도 14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5는 제 6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6은 제 7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7은 재생 시작시에 있어서의 트랙을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8은 Rt의 재계산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의 실시예)
제 1의 실시예는, 원화상에 다양한 그래픽를 시행한 경우에, 원화상과 동시에 재생하는 그래픽를,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에 따라 선택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10)는,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 입력 데이터 해석부(12), 우선도표 격납부(13), 우선도 판별부(14),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음성 복호부(17), 화상 처리부(18), 화상 출력부(19) 및 음성 출력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는, 외부 기기와 본 재생 장치(10)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 해석부(12)에 출력된다. 외부 기기는, 예를 들면, 디스크 상태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드라이브 장치로서, CD-R0M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CD 드라이브 장치, DVD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DVD 드라이브 장치, 그리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등이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1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의 내용, 즉, 비디오 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그래픽 데이터(타이틀)인지 그래픽 데이터(프레임)인지 그래픽 데이터(셰이드)인지 등을 판별하고, 영상 데이터와 함께 판별 결과를 우선도 판별부(14)에 출력한다.
우선도 판별부(14)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우선도표 격납부(13)에 격납되 어 있는 우선도표를 참조함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에 따라 결정한다. 우선도 판별부(14)는, 결정된 재생 우선 순위에 응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또는, 화상 복호부(15) 또는 그래픽 복호부(16)에 출력한다. 재생 우선 순위는, 복수의 트랙 중에서 임의의 2개의 트랙을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 동시에 양쪽의 트랙을 재생할 수 없고 어느 한쪽의 트랙밖에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재생하여야 할 트랙의 우열이다.
여기서, 임계치는, 재생 장치(10)에서의 하드웨어의 재생 처리 능력에 의거하여 재생 장치의 설계자나 제조자 등이 미리 결정하고, 우선도 판별부(14)에 설정한다. 또한, 이 임계치를 우선도표 격납부(13)에 미리 기억시키도록 하고, 필요에 응하여 우선도 판별부(14)에 판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우선도표 격납부(13)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소거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이고, 후술하는 우선도표를 기억한다.
화상 복호부(15)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화상 처리부(18)에 출력한다.
그래픽 복호부(16)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그래픽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화상 처리부(18)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18)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화상에 소정의 그래픽 처리를 시행한 후에 영상 데이터를 화상 출력부(19)에 출력한다.
화상 출력부(19)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표시 장치에 맞추어서 신호 처리한 후에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음성 복호부(17)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음성 출력부(20)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0)는, 음성 데이터를 외부의 음성 재생 장치에 맞추어서 신호 처리한 후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입력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의 A, 4의 B는,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우선도표의 제 1 예이고, 도 4의 B는 우선도표의 제 2 예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12)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과 오디오 데이터와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를 구비하는 영상 데이터로서, 각 데이터에는 트랙의 종류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 트랙의 종류별에 의해 데이터의 내용의 구별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는, 예를 들면, 영상의 표제를 나타내는 타이틀(Title), 화면에 테두리를 두르는 프레임(Frame),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위해 화면의 일부를 음영으로 숨기는 셰이드(Shade), 화면중의 어떤 부분을 주목시키기 위해 붙인 화살표 등의 마크(Mark), 화면중의 어떤 부분을 강조시키기 위해 붙이는 액센트(Accent) 및, 자막이나 대사의 강조 등을 위해 표시하는 말풍선 등의 노티스(Notice)이다.
이와 같은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면, QT의 포맷으로 구성된다. QT는, 각종 데이터를 시간축에 따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서, 특수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지 않고 동화나 음성이나 텍스트 등을 동기하여 재생하기 위한 OS 확장 기능이다. QT의 파일에서, 기본적인 데이터 유닛은, 아톰(atom)이라고 불리고, QT는, 리소스 아톰과 데이터 아톰으로 구성된다. 리소스 아톰은 그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실제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격납하는 부분이다. 데이터 아톰은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실제 데이터를 격납하는 부분이다. 각 아톰은, 그 데이터와 함께, 사이즈 및 타입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QT에서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가 샘플로서 취급되고, 샘플의 집합으로서 청크가 정의된다. QT는, 예를 들면, 「INSIDE MACINTOSH : QuickTime(일본어판)(애디션웨슬레이즈)」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아톰(101)과 데이터 아톰(102)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아톰(102)은, 비디오 데이터(121), 오디오 데이터(122), 타이틀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 프레임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 셰이드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 마크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마크)(126), 액센트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 및, 노티스의 그래픽 데이터인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의 각 실제 데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실제 데이터를 시간축상에서 관련지어서 관리하기 위해, 리소스 아톰(101)은, 트랙 아톰(비디오)(111), 트랙 아톰(오디오)(112), 트랙 아톰(타이틀)(113), 트랙 아톰(프레임)(114), 트랙 아톰(셰이드)(115), 트랙 아톰(마크)(116), 트랙 아톰(액센트)(117) 및 트랙 아톰(노티스)(11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실제 데이터의 트랙의 종류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는,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아톰 내의 유저 데이터 아톰에 마련하는 트랙의 속성을 기술하는 아톰(트랙 프로퍼티 아톰)에 기술된다. 유저 데이터 아톰은, 유저 정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아톰으로서 QT가 준비한 아톰이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12)는, 이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트랙의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우선도 판별부(14)에 출력한다.
도 3에서, 판별 결과와 실제 데이터가 입력되면, 우선도 판별부(14)는, 우선도표 격납부(13)에 액세스함에 의해, 우선 순위를 취득한다(S11).
우선 순위는, 원화상에 시행되어야 할 모든 그래픽의 종류별에 대해 일련 번호로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의 우선 순위는 1로, 프레임의 우선 순위는 5로, 셰이드의 우선 순위는 2로, 마크의 우선 순위는 6으로, 액센트의 우선 순위는 4로, 그리고 노티스의 우선 순위는 3으로 된다. 또한, 수치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는 높고, 수치가 클수록 우선 순위는 낮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지만 비디오 데이터(121) 및 오디오 데이터(122)의 우선 순위는, 가장 높은 1로 된다.
다음에, 우선도 판별부(14)는, 판별 결과로부터 입력된 실제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실제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 우선도 판별부(14)는, 취득한 우선 순위를 참조함에 의해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와 임계치를 비교한다(S12).
비교한 결과, 우선도 판별부(14)는,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실제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의 종류별에 응하여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한다. 한편, 비교한 결과, 우선도 판별부(14)는,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경우에는, 해당 실제 데이터를 폐기한다(S13).
예를 들면, 재생 장치(10)의 동시 재생 능력으로부터 임계치가 3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121), 오디오 데이터(122),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 및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가 각각 화상 복호부(15), 음성 복호부(17) 또는 그래픽 복호부(16)에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18)는,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121)에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 및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를 중첩시켜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화상 출력부(19)에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재생 장치(10)의 동시 재생 능력으로부터 임계치가 5로 설정된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121), 오디오 데이터(122),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 및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가 각각 화상 복호부(15), 음성 복호부(17) 또는 그래픽 복호부(16)에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18)는, 복호된, 비디오 데이터(121)에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 및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을 중첩시켜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화상 출력부(19)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 1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 재생 장치(10)의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에, 스무스한 움직임으로 그리고 드롭프레임도 없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에 따라 재생 장치(10)의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에, 재생 장치(10)의 처리 능력에 맞추어서 영상 데이터를 작성할 필요가 없고, 처리 능력이 다른 재생 장치에서도 공통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래픽의 종류별에 할당된 우선 순위를 다르게 함으로써, 동일한 처리 능력이라도 다른 그래픽를 겹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한 제 1의 우선도표에서는, 동시에 실시되는 그래픽의 수에 관계없이 각 그래픽 데이터의 우선 순위는, 고정이다. 따라서 동시에 재생되어야 할 실제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121), 오디오 데이터(122) 및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인 경우에 임계치가 3이면, 재생 장치(10)의 처리 능력에 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의 우선 순위가 5이기 때문에,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는, 그래픽 복호부(16)에 출력되지 않고, 비디오 데이터(121) 및 오디오 데이터(122)밖에 재생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제 1의 우선도표 대신에 도 4의 B에 도시한 제 2의 우선도표를 이용하면 좋다.
도 4의 B에서, 제 2의 우선도표는, 동시에 처리되어야 할 그래픽의 트랙에 응하여 각 그래픽의 우선 순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제 2의 우선도표에서, 제 1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에 처리되는 그래픽의 트랙이 프레임, 셰이드, 마크, 액센트 및 노티스인 경우에는, 프레임의 우선 순위는 1로, 셰이드의 우선 순위는 5로, 마크의 우선 순위는 2로, 액센트의 우선 순위는 3으로 노티스의 우선 순위는 4로 된다. 제 2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에 처리되는 그래픽의 트랙이 타이틀, 프레임 및 셰이드인 경우에는, 타이틀의 우선 순위는 1로, 프레임의 우선 순위는 2로, 셰이드의 우선 순위는 2로 된다. ……, 최종행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시에 처리되는 그래픽의 트랙이 마크, 액센트 및 노티스인 경우에는, 마크의 우선 순위는 1로, 액센트의 우선 순위는 2로, 노티스의 우선 순위는 3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제 2의 우선도표를 구비하는 재생 장치(10)에서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트랙이 비디오 데이터(121)와 오디오 데이터(122)와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와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와 그래픽 데이터(마크)(126)와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와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우선도 판별부(14)는, 제 2의 우선도표에서의 제 1행의 우선도를 적용하여, 도 3의 S12 및 S13을 실행한다. 따라서 동시에 처리하여야 할 영상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121), 오디오 데이터(122),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 그래픽 데이터(마크)(126),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 및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인 경우에는 임계치가 3이라면,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 그래픽 데이터(액센트)(127) 및 그래픽 데이터(노티스)(128)는 재생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트랙이 비디오 데이터(121)와 오디오 데이터(122)와 그래픽 데이터(타이틀)(123)와 그래픽 데이터(프레임)(124)와 그래픽 데이터(셰이드)(125)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우선도 판별부(14)는, 제 2의 우선도표에서의 제 2행의 우선도를 적용하여, 도 3의 S12 및 S13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과 셰이드의 우선 순위는, 함께 2이기 때문에, 이들의 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우선도 판별부(14)는, 양 데이터를 파기하도록 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2의 실시예)
제 1의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데이터만 복수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 2의 실시예는, 그래픽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도 복수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5는,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30)는,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 입력 데이터 해석부(12), 우선도 판별부(31), 우선도표 격납부(33),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음성 복호부(17), 화상 처리부(18), 화상 출력부(19) 및 음성 출력부(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는 입력 데이터 해석부(12)에 접속되고, 입력 데이터 해석부(12)는 우선도 판별부(31)에 접속된다. 우선도 판별부(31)는, 우선도표 격납부(33),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및 음성 복 호부(17)에 접속된다.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및 텍스트 복호부(32)는, 화상 처리부(18)에 접속된다. 텍스트 복호부(3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텍스트 데이터)를 복호한 후에 화상 처리부(18)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18)는 화상 출력부(19)에 접속된다. 음성 복호부(17)는 음성 출력부(20)에 접속된다.
다음에,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입력 데이터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12)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를 각각 1 또는 복수개 구비하는 영상 데이터이고, 각 데이터에는, 트랙의 종류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아톰(151)과 데이터 아톰(152)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아톰(152)은, 비디오-1 데이터(181), 오디오-1 데이터(182), 오디오-2 데이터(183), 오디오-3 데이터(184), 그래픽-1 데이터(185), 그래픽-2 데이터(186), 텍스트-1 데이터(187), 텍스트-2 데이터(188), 텍스트-3 데이터(189) 및 텍스트-4 데이터(190)의 각 실제 데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실제 데이터를 시간축상에서 관련지어서 관리하기 위해, 리소스 아톰(151)은, 트랙 아톰(비디오-1)(161), 트랙 아톰(오디오-1)(162), 트랙 아 톰(오디오-2)(163), 트랙 아톰(오디오-3)(164), 트랙 아톰(그래픽-1)(165), 트랙 아톰(그래픽-2)(166), 트랙 아톰(텍스트-1)(167), 트랙 아톰(텍스트-2)(168), 트랙 아톰(텍스트-3)(169) 및 트랙 아톰(텍스트-4)(17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실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는, 실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트랙 아톰에서의 트랙 프로퍼티 아톰에 기술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12)는, 이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트랙의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우선도 판별부(31)에 출력한다.
판별 결과와 실제 데이터가 입력되면, 우선도 판별부(31)는, 우선도표 격납부(33)에 액세스함에 의해, 우선 순위를 취득한다.
우선 순위는, 각 트랙에 대해 일련 번호로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1의 우선 순위는 1로, 오디오-1의 우선 순위는 2로, 오디오 2의 우선 순위는 5로, 오디오-3의 우선 순위는 7로, 그래픽-1의 우선 순위는 6으로, 그래픽-2의 우선 순위는 8로, 텍스트-1의 우선 순위는 3으로, 텍스트-2의 우선 순위는 4로, 텍스트-3의 우선 순위는 9로, 그리고, 텍스트-4의 우선 순위는 10으로 된다. 또한, 수치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는 높고, 수치가 클수록 우선 순위는 낮다.
다음에, 우선도 판별부(31)는, 판별 결과로부터 입력된 실제 데이터가 어느 트랙의 실제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 우선도 판별부(31)는, 취득한 우선 순위를 참조함에 의해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고,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와 임계치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우선도 판별부(31)는,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실제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의 종류별에 응하여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한다. 한편, 비교한 결과, 우선도 판별부(31)는, 해당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경우에는, 해당 실제 데이터를 폐기한다.
예를 들면, 재생 장치(30)의 동시 재생 능력으로부터 임계치가 5로 설정된 경우에는, 비디오-1 데이터(181), 오디오-1 데이터(182), 텍스트-1 데이터(187) 및 텍스트-2 데이터(188)가 각각 화상 복호부(15), 음성 복호부(17) 또는 텍스트 복호부(32)에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18)는, 복호된, 비디오-1 데이터(181)에 텍스트-1 데이터(187) 및 텍스트-2 데이터(188)을 중첩시켜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화상 출력부(19)에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면, 재생 장치(30)의 동시 재생 능력으로부터 임계치가 7로 설정된 경우에는, 비디오-1 데이터(181), 오디오-1 데이터(182), 오디오-2 데이터(183), 그래픽-1 데이터(185), 텍스트-1 데이터(187) 및 텍스트-2 데이터(188)가 화상 복호부(15), 음성 복호부(17), 그래픽 복호부(16) 또는 텍스트 복호부(32)에 각각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18)는, 복호된, 비디오-1 데이터(181)에 그래픽-1 데이터(185), 텍스트-1 데이터(187) 및 텍스트-2 데이터(188)를 중첩시켜서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화상 출력부(19)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 재생 장치(30)의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에, 스무스한 움직임으로 그리고 드 롭프레임도 없이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에 따라 재생 장치(30)의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에, 재생 장치(30)의 처리 능력에 맞추어서 영상 데이터를 작성할 필요가 없고, 처리 능력이 다른 재생 장치에서도 공통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순위를 다르게 함으로써, 동일한 처리 능력이라도 다른 그래픽를 겹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 갖음으로써, 모노럴 재생이나 스테레오 재생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데이터를 복수 갖음으로써, 복수 언어로 자막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3의 실시예)
제 2의 우선도표를 이용하는 제 2의 실시예에서는, 우선도 판별부(31)가 데이터의 종류별에 응하여 임계치를 선택하고, 트랙의 우선도와 임계치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응하여 데이터를 각 복호부에 출력하는지 폐기하는지를 선택하고 있지만, 제 3의 실시예는, 데이터의 종류별마다 판별 수단을 마련하고, 입력 데이터의 우선 순위의 판별을 데이터의 종류별마다 행하는 실시예이다.
도 8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40)는,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 입력 데이터 해석부(41), 우선도표 격납부(35),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음성 데이터 격납부(48), 화상 데이터 선택부(43),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 텍스트 데이터 선택 부(47), 음성 데이터 선택부(49),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음성 복호부(17), 화상 처리부(18), 화상 출력부(19) 및 음성 출력부(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는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접속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및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접속되고,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에 따라 이들 각 격납부에 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격납부(42)는, 입력 데이터중 비디오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고, 화상 데이터 선택부(43)에 접속된다.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는, 입력 데이터중 그래픽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고,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에 접속된다.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는, 입력 데이터중 텍스트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고,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에 접속된다. 음성 데이터 격납부(48)는, 입력 데이터중 음성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고, 음성 데이터 선택부(49)에 접속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43)는, 우선도표 격납부(35) 및 화상 복호부(15)에 접속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43)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우선도표 격납부(35)에 격납되어 있는 우선도표를 참조함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에 따라 결정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43)는, 결정된 재생 우선 순위에 응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또는 화상 복호부(15)에 출력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는, 우선도표 격납부(35) 및 그래픽 복호부(16)에 접속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우선도표 격납부(35)에 격납되어 있는 우선도표를 참조함에 의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에 따라 결정한다.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는, 결정된 재생 우선 순위에 응하여 해당 그래픽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또는 그래픽 복호부(16)에 출력한다.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우선도표 격납부(35) 및 텍스트 복호부(32)에 접속된다.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우선도표 격납부(35)에 격납되어 있는 우선도표를 참조함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에 따라 결정한다.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결정된 재생 우선 순위에 응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또는 텍스트 복호부(32)에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선택부(49)는, 우선도표 격납부(35) 및 음성 복호부(17)에 접속된다. 음성 데이터 선택부(49)는,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우선도표 격납부(35)에 격납되어 있는 우선도표를 참조함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에 따라 결정한다. 음성 데이터 선택부(49)는, 결정된 재생 우선 순위에 응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파기하거나,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한다.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및 텍스트 복호부(32)는, 화상 처리부(18)에 접속된다. 화상 처리부(18)는 화상 출력부(19)에 접속된다. 음성 복호부(17)는 음성 출력부(20)에 접속된다.
또한, 우선도표 격납부(35)에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종류별마다 임계치가 기억됨과 함께 각 데이터마다 우선 순위가 기억된다.
도 9는,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는, 데이터의 종류별마다 임계치를 규정하고, 각 데이터에서의 각 트랙마다 우선 순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우선도표에서, 비디오의 임계치는 2로 되고, 비디오-1의 우선 순위는 1로 된다. 오디오의 임계치는 3으로 되고, 오디오-1의 우선 순위는 1로, 오디오-2의 우선 순위는 4로, 오디오 데이터-3의 우선 순위는 3으로, 그리고, 오디오-4의 우선 순위는 2로 된다. 그래픽의 임계치는 3으로 되고, 그래픽-1의 우선 순위는 1로, 그래픽-2의 우선 순위는 4로, 그리고, 그래픽-3의 우선 순위는 2로 된다. 텍스트의 임계치는 2로 되고, 텍스트-1의 우선 순위는 1로, 텍스트-2의 우선 순위는 3으로, 텍스트-3의 우선 순위는 5로, 그리고, 텍스트-4의 우선 순위는 6으로 된다.
다음에, 제 3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 3의 실시예에서의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또 는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판별 결과와 함께 출력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43), 그래픽 데이터 선택부(45),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 및 음성 데이터 선택부(49)는, 취급하는 데이터의 종류별이 다를뿐이고 동작은, 같기 때문에,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의 동작을 이들 각 부분의 대표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에서, 판별 결과와 실제 데이터가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로부터 입력되면,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우선도표 격납부(35)에 액세스함에 의해, 재생 가능한 텍스트 트랙 수(텍스트의 임계치)를 취득한다(S31).
다음에,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우선도표 격납부(35)에 액세스함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에 격납되어 있는 각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를 취득한다(S32).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취득한 임계치 및 우선 순위를 참조함에 의해 해당 텍스트의 실제 데이터에서의 우선 순위와 임계치를 비교한다(S33).
비교한 결과,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해당 텍스트의 실제 데이터에서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높은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의 실제 데이터를 텍스트 복호부(32)에 출력한다(S34). 한편, 비교한 결과, 텍스트 데이터 선택부(47)는, 해당 텍스트의 실제 데이터에서의 우선 순위가 임계치보다도 우선도가 낮은 경우는, 해당 텍스트의 실제 데이터를 폐기한다.
이와 같이 제 3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종류별마다 재생 가능한 트랙 수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재생 능력의 범위에서 각 데이터를 적절하 게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단위 시간에 처리하여야 할 데이터량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하게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4의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서, 모든 데이터 종류별의 트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제 4의 실시예에서는, 이용되지 않은 재생 처리 능력을 전혀 남겨 두지 않도록, 우선 순위에 따라 각 데이터를 재생하는 실시예이다.
도 11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50)는,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 입력 데이터 해석부(41),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음성 데이터 격납부(48), 데이터 선택부(51), 우선도표 격납부(37),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음성 복호부(17), 화상 처리부(18), 화상 출력부(19) 및 음성 출력부(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는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접속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및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접속된다.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및 음성 데이터 격납부(48)는, 데이터 선택부(51)에 접속된다.
데이터 선택부(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장치(50)의 재생 처리 능력과 각 데이터의 우선 순위 및 유무에 의거하여, 각 실제 데이터를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또는 음성 복호부(17)의 어느 하나에 출력하든지 폐기한다. 또한,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와 최대 재생 처리 능력(MaxTrack) 및 각 실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필요에 응하여 판독한다.
여기서, 우선도표 격납부(37)에는, 트랙의 종류별에 관계없이 모든 트랙에 대해 끝까지 우선 순위를 붙인 우선도표가 기억된다.
도 12는,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우선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우선도표는, 예를 들면, 비디오-1의 우선 순위는 1로, 비디오-2의 우선 순위는 9로, 오디오-1의 우선 순위는 6으로, 오디오-2의 우선 순위는 2로, 오디오-3의 우선 순위는 11로, 오디오-4의 우선 순위는 12로, 그래픽-1의 우선 순위는 4로, 그래픽-2의 우선 순위는 10으로, 그래픽-3의 우선 순위는 5로, 그래픽-4의 우선 순위는 15로, 그래픽-5의 우선 순위는 17로, 텍스트-1의 우선 순위는 3으로, 텍스트-2의 우선 순위는 7로, 텍스트-3의 우선 순위는 8로, 텍스트-4의 우선 순위는 13으로, 텍스트-5의 우선 순위는 14로, 그리고, 텍스트-6의 우선 순위는 16으로 된다. 또한, 수치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는 높고, 수치가 클수록 우선 순위는 낮다.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및 텍스트 복호부(32)는, 화상 처리부(18)에 접속된다. 화상 처리부(18)는 화상 출력부(19)에 접속된다. 음성 복 호부(17)는 음성 출력부(20)에 접속된다.
다음에, 제 4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제 4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또는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판별 결과와 함께 출력한다.
도 13에서,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재생 장치(50)의 MaxTrack를 판독한다(S41).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화상 데이터 격납부(42)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4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능력의 일부를 비디오 데이터에 할당하였기 때문에, 그 분만큼을 MaxTrack로부터 뺀다(S4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오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음성 데이터 격납부(48)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44).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능력의 일부를 오디오 데이터에 할당하였기 때문에, 그 분만큼을 MaxTrack로부터 뺀다(S45).
이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우선적으로 재생 능력을 할당하기 때문에, 최저한도의 영상의 재생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MaxTrack > 0인지의 여부, 즉, 재생 장치(50)에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6).
판단의 결과, MaxTrack > 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에 여력이 있기 때문에,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 능력이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선택한다(S4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능력의 일부를 해당 실제 데이터에 할당하였기 때문에, 그 분만큼을 MaxTrack로부터 뺀다(S48).
한편, 판단의 결과, MaxTrack ≤ 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에 여력이 없기 때문에, 재생하여야 할 트랙의 선택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 4의 실시예에서는,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 능력이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재생 처리 능력이 있는 중에는 순차적으로에 선택하기 때문에, 재생 장치(50)의 재생 처리 능력을 남기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5의 실시예)
제 4의 실시예에서는, 재생 가능한 트랙을 결정할 때에 데이터 선택부가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각 트랙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은 동등하다고 간주하고, 트랙 수에 의해서만 재생 가능한 트랙을 결정하였다. 한편, 제 5의 실시예에서는, 각 트랙의 재생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재생 가능한 트랙을 결정하는 실시예이다. 이 때문에, 제 4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쪽이 더욱 낭비 없이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는, 우선도표 격납부(37)가 우선도표를 격납하는 불휘발성의 기억 회로뿐만 아니라 처리중의 각 데이터를 격납하는 판독기록 가능한 기억 회로(예를 들면, RAM(random-access memory))와 데이터 선택부(51)에 접속되어 시간을 재는 타이머(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데이터 선택부(51)가 후술하는 도 14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외에는, 도 11에 도시한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트랙에 관해, 그 재생 처리에서의 단위 시간(예를 들면, QT의 경우에는, 타임 스케일(Time scale)과 샘플 듀레이션(Sample duration)과의 곱)이 동일하다고 한다.
다음에, 제 5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 5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또는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판별 결과와 함께 출력한다.
도 14에서,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1, T2, Tr, Tc, Ts) 등의 변수를 초기화한다(S51).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취득하고, 해당 현재 시각을 변수(T1)에 대입한다(S5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임 투 샘플 아톰과 미디어 핸들러 아톰으로부터 계산하여 비디오 데이터(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취득한다(S5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1프레임을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할당되어 있는 처리 시간을 계산하고, 해당 처리 시간으로부터 트랙의 선택 등의 처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 시간(Tc)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변수(Tr)에 대입한다(S54). 변수(Tr)은, 1프레임을 재생하기 위해 할당된 실효적인 시간이다.
여기서, 보정 시간(Tc)는, 미리 소정의 초기치로서 우선도표 격납부(37)에 격납하여 두고, 그 후, 이 재생 장치를 사용중에 실제로 소요한 시간으로 변경한다. 소정의 초기치는, 예를 들면, 반드시 트랙의 선택의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다수의 트랙을 포함하고 있고, 게다가,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랙을 식별 선택하는 처리에서 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도록 데이터를 배치하고 있는 입력 데이터를 복수 준비 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실제로 재생 장치에 입력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높은 트랙을 식별 선택하는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 결과에서 가장 시간을 소요한 경우의 처리 시간으로 한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화상 데이터 격납부(42)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5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판독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Ts)에 대입한다(S56). 여기서, 재생 처리에 소요하는 시간은, 데이터의 코덱(codec) 타입에 응하여 다르다. 이 때문에, 각 코덱 타입에 관해, 재생 장치에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재생 처리를 행하고, 처리 시간을 실측하고, 얻어진 처리 시간의 데이터로부터 통계 처리, 예를 들면, 평균치를 구함에 의해 결정한다. 또한, 코덱 타입이란, 데이터 부호화나 복호화한 방법의 종류로서, 예를 들면, 비디오의 경우에는 MPEG2 등이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로부터 변수(Ts)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Tr)의 값으로 한다(S5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S55에서 판독한 비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재생 리스트에 추가한다(S58). 재생 리스트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트랙 ID의 테이블로서 준비한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오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음성 데이터 격납부(48)로부 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59).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Ts)에 대입한다.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로부터 변수(Ts)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Tr)의 값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선택부(51)는, S59에서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재생 리스트에 추가한다(S60).
이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우선적으로 재생 능력을 할당하기 때문에, 최저한도의 영상의 재생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Tr > 0인지의 여부, 즉, 재생 장치에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1).
판단의 결과, Tr > 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에 여력이 있기 때문에,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의 적부(適否)가 아직 판단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선택한다(S6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Ts)에 대입한다(S6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와 변수(Ts)와의 대소를 비교하고, 변수(Tr) > 변수(Ts)인 경우에는,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선택부(51)는, S62에서 선택한 데이터의 트랙을 재생 리스트에 추가한다(S6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로부터 변수(Ts)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Tr)의 값으로 하고, 처리를 S61로 되돌린다(S66).
한편, S61에서, 변수(Tr) ≤ 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또한, S64에 있어서 변수(Tr) ≤ 변수(Ts)인 경우에는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데 충분한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경우에는,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이머으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취득하고, 해당 현재 시각을 변수(T2)에 대입한다(S6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2)로부터 변수(T1)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보정 시간(Tc)에 대입하고, 보정 시간(Tc)를 실제로 재생 장치가 소요한 시간으로 변경한다(S68).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리스트에 따라 재생하여야 할 각 데이터를 데이터의 내용에 응하여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하고, 재생 장치는, 영상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제 5의 실시예에서는,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 능력이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실제의 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재생 처리 능력이 있는 중에는 순차적으로에 선택하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을 제 4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더욱 남기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6의 실시예)
제 5의 실시예에서는, 재생 장치에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는 경우에, 우선 순위의 가장 높은 트랙으로부터 순번대로 이 트랙의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재생 처리 가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재생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트랙의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재생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일 없이 트랙의 선택을 종료하고 있지만, 제 6의 실시예에서는, 이 경우에 다른 트랙의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재생 처리 가능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문에, 제 5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쪽이 더욱 낭비 없이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6의 실시예에서의 재생 장치는, 우선도표 격납부(37)가 우선도표를 격납하는 불휘발성의 기억 회로뿐만 아니라 처리중의 각 데이터를 격납하는 판독기록 가능한 기억 회로(예를 들면, RAM(random-access memory))와 데이터 선택부(51)에 접속되고 시간을 재는 타이머(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데이터 선택부(51)가 후술하는 도 15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외에는, 도 11에 도시한 구성과 같기 때문에,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제 6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에서, 입력 데이터가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되고, 데이터 선택부(51)에서 우선 순위의 가장 높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 리스트에 선택되는 S51부터 S60까지의 처리는, 도 14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선택부(51)는, Tr >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1).
판단의 결과, Tr > 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에 여력이 있기 때문에,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의 적부가 아직 판단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선택한다(S6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Ts)에 대입한다(S6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와 변수(Ts)의 대소를 비교하고, 변수(Tr) > 변수(Ts)인 경우에는,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선택부(51)는, S62에서 선택한 데이터의 트랙을 재생 리스트에 추가한다(S6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r)로부터 변수(Ts)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Tr)의 값으로 하고, 처리를 S61로 되돌린다(S66).
한편, S61에서, 변수(Tr) ≤ O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취득하고, 해당 현재 시각을 변수(T2)에 대입한다(S6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2)로부터 변수(T1)를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보정 시간(Tc)에 대입하고, 보정 시간(Tc)을 실제로 재생 장치가 소요한 시간으로 변경한다(S68).
또한, S64에서, 변수(Tr) ≤ 변수(Ts)인 경우에는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 리하는데 충분한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트랙을 제외하고 다른 트랙 중에서 남아 있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재생 가능한 트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 선택부(51)는,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의 적부가 아직 판단되어 있지 않은 트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의 결과,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처리의 적부의 판단을 하고 있지 않는 트랙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S61로 되돌리고, 재생 처리의 적부의 판단을 하고 있지 않은 트랙이 없는 경우에는, S67의 처리 및 S68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 6의 실시예에서는, 재생 처리 능력이 있는 중에는 이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재생 가능한 트랙을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전부 찾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을 제 5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더욱 남기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7의 실시예)
제 5 및 제 6의 실시예에서는, 전제 조건으로서, 모든 트랙에 관해 그 재생 처리에서의 단위 시간이 동일하다라고 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 전제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보다 일반적인 실시예이다.
도 16은, 제 7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선택부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입력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 데이터 해석부(41)에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 데이터 해석부(41)는, 트랙 프로퍼티 아톰 내에 기술된 식별자를 참조하여 실제 데이터의 데이터 종류별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격납부(42), 그래픽 데이터 격납부(44), 텍스트 데이터 격납부(46) 또는 음성 데이터 격납부(48)에 판별 결과와 함께 출력한다.
도 16에서,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1, T2, Rt, Rc, Rp, Tc, Tf) 등의 변수를 초기화한다(S81).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임 투 샘플 아톰과 미디어 핸들러 아톰으로부터 계산하여 비디오 데이터(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를 취득한다(S8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1프레임을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할당되어 있는 처리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변수(Tf)에 대입한다(S83). 변수(Tf)는, 1프레임을 재생하기 위해 할당된 시간이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트랙의 선택 등의 처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보정 시간(Tc)을 변수(Tf)로 나눗셈하고, 나눗셈 결과를 Rc에 대입한다(S80).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각 트랙을 예를 들면, 우선도표에 따라, 우선 순위 순서로 다시 나열한다(S8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시작시에서 재생하는 트랙을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선택한다(S86).
여기서, 이 재생 시작시에서 재생하는 트랙을 선택하는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재생 시작시에서의 트랙을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에서,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처리의 총 처리량을 나타내는 변수(Rt)에 변수(Rc)를 대입한다(S111).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비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화상 데이터 격납부(42)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11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판독한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Rs)에 대입한다(S113). 여기서,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량은, 예를 들면 QT인 경우에는, 1샘플(1프레임)의 처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1샘플의 듀레이션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오디오 데이터의 처리량은, 1샘플의 처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1샘플의 듀레이션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그래픽 데이터의 처리량은, 1샘플의 처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영상의 1프레임분의 시간(비디오 데이터의 1샘플의 듀레이션 시간과 같다)으로 나눈 값이다. 그리고, 특수 효과의 처리량은, 영상의 1프레임분을 재생 처리하는 연산에 소요하는 시간을 영상의 1프레임분의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s)의 값을 더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Rt)의 값으로 한다(S114).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오디오 데이터의 트랙을 식별하고, 화상 데이터 격납부(4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S11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Rs)에 대입한다(S116).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s)의 값을 더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Rt)의 값으로 한다(S11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가 1.0 이하인지의 여부, 즉, 재생 장치에 재생 처리 능력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8).
판단의 결과, 변수(Rt) ≤ 1.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이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의 적부가 아직 판단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선택한다(S119).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Rs)에 대입한다(S120).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s)의 값을 더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Rt)의 값으로 하고, 처리를 S118로 되돌린다(S121).
한편, S118에서 판단의 결과, 변수(Rt) > 1.0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 능력이 잔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처리를 메인 루텐인 S87(도 16)로 되돌린다(S122).
도 16으로 되돌아와,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시작시에 재생하여야 할 데 이터로서 선택한 각 데이터를 데이터의 내용에 응하여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하고, 재생 장치는, 영상의 재생을 시작한다(S8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이 종료된 트랙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8). 판단의 결과,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종료의 트랙이 없는 경우에는, S88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판단의 결과,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종료의 트랙이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하고, 변수(T1)에 대입한다(S89).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재생 종료의 트랙을 재생 리스트로부터 삭제한다(S90).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를 재계산한다(S91). 여기서, 변수(Rt)의 재계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Rt의 재계산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에서,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c)의 값을 대입한다(S131).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재생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트랙 수를 계수하고, 계수 결과를 변수(n)에 대입한다(S13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루프 변수(j)에 0을 대입하여 초기화한다(S13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j)와 변수(n)의 대소 관계를 판단하고, 변수(j) < 변수(n)인 경우에는, 재생 리스트에서의 j번째의 트랙의 처리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Rs에 대입한다(S135).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s)의 값을 더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Ri)의 값으로 한다(S136).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루프 변수(j)에 1을 가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루프 변수(j)의 값으로 함으로써, 루프 변수(j)를 증가시키고, 처리를 S134로 되돌린다(S137). 이와 같이 하여 재생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트랙의 총 처리량이 재계산된다.
한편, S134에서, 변수(j)≥변수(n)인 경우에는, 재생 처리가 종료된 트랙을 삭제한 후의 재생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전 트랙에 관해 각 처리량이 계산되고, 총 처리량이 재계산되었기 때문에, 처리를 메인 루틴인 S91(도 16)로 되돌린다(S138).
재생 처리가 종료된 트랙의 처리량만큼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에 여력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이 여력으로 재생 처리할 수 있는 트랙을 검색하고 재생하고자, S92 내지 S100의 처리를 행한다.
즉, 도 16으로 돌아와,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함에 의해,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선택한다(S92).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이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기 위해 필요 한 처리량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변수(Rp)에 대입한다(S93).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p)의 값을 더한 가산 결과가 1.0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94).
판단의 결과, (변수(Rt)+변수(Rp)) ≤ 1.0인 경우에는, 선택한 트랙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한 트랙을 재생 리스트에 추가한다(S95). 그리고,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Rt)에 변수(Rp)의 값을 더하고, 가산 결과를 새로운 변수(Rt)의 값으로 하고, 처리를 S92로 되돌린다(S96).
한편, S94로 판단의 결과, (변수(Rt)+변수(Rp)) > 1.0인 경우에는, 선택한 트랙을 재생할만큼의 재생 처리 능력이 잔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선택한 트랙의 재생을 단념하고, 데이터 선택부(51)는, 타이머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취득하고, 현재 시각을 변수(T2)에 대입한다(S97).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변수(T2)로부터 변수(T1)을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보정 시간(Tc)에 대입하고, 보정 시간(Tc)을 실제로 재생 장치가 소요한 시간으로 변경한다(S98).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보정 시간(Tc)을 변수(Tf)로 나눗셈하고, 나눗셈 결과를 Rc에 대입한다(S84).
다음에, 데이터 선택부(51)는, 우선도표 격납부(37)에 액세스하고, 재생 리스트에 응하여 재생하여야 할 각 데이터를 데이터의 내용에 응하여 화상 복호부(15), 그래픽 복호부(16), 텍스트 복호부(32) 또는 음성 복호부(17)에 출력하고, 재생 장치는, 영상의 재생을 시작한다(S100). 그리고, 데이터 선택부(51)는, 처리를 S88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제 7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트랙에 관해 그 재생 처리에서의 단위 시간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도, 각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트랙으로서 재생 처리 능력이 아직 할당되어 있지 않은 트랙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트랙을 실제의 처리량을 고려하여 재생 처리 능력이 생기면 순차적으로에 선택하기 때문에, 재생 장치의 재생 처리 능력을 제 4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남기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생 장치에서는, 판별 수단은,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우선 순위표에 의해 참조하고,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소정의 복호 수단에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처리 능력에 응하여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함에 의해,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재생하기 때문에, 스무스한 움직임이며 드롭프레임이 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입력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우선 순위표에 의해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재생할 수 있는 처리량(재생 처리 능력)을 데이터의 우선 순위 순서에 할당하여 재생하여야 할 데이터의 일람표를 작성하고, 이 일람표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복호 수단에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장치는,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 내에서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서, 스무스한 움직임이며 드롭프레임이 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처리 능력의 범위에서 우선 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서, 편집자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특수 효과 등으로부터 재생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될 수 있는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의 영역과, 상기 제 1의 영역에 격납된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시간축상에서 관련지어서 관리하기 위해 해당 복수의 실제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관리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2의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영역에 격납된 해당 관리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를 갖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각각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2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의 종별을 해석하는 해석 스텝과,
    상기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의 각 종별에 대응하여 복호하여야 할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상기 실제 데이터를 복호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 중에서 복호 대상으로서 결정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스텝과,
    상기 해석 스텝의 처리에 의해 해석된 상기 종별과 상기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그래픽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상기 복호 수단의 복호 대상에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판별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5.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될 수 있는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의 영역과, 상기 제 1의 영역에 격납된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시간축상에서 관련지어서 관리하기 위해 해당 복수의 실제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관리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2의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영역에 격납된 해당 관리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갖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각각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2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의 종별을 해석하는 해석 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의 각 종별에 대응하여 복호하여야 할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복호 대상으로서 결정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해석 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종별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상기 복호 수단의 복호 대상에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판별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능력과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비교함에 의해, 복호하여야 할 텍스트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7.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될 수 있는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의 영역과, 상기 제 1의 영역에 격납된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시간축상에서 관련지어서 관리하기 위해 해당 복수의 실제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관리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2의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영역에 격납된 해당 관리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갖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의 처리에 의해 입력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의 각각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2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의 종별을 해석하는 해석 스텝과,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의 각 종별에 대응하여 복호하여야 할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상기 실제 데이터를 복호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 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실제 데이터 중,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 중에서 복호 대상으로서 결정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 스텝과,
    상기 해석 스텝의 처리에 의해 해석된 상기 종별과 상기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상기 복호 수단의 복호 대상에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판별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KR1020047004417A 2001-10-02 2002-10-02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6822 2001-10-02
JPJP-P-2001-00306822 2001-10-02
JP2001383413A JP3724719B2 (ja) 2001-10-02 2001-12-17 再生装置
JPJP-P-2001-00383413 2001-12-17
PCT/JP2002/010265 WO2003032636A1 (fr) 2001-10-02 2002-10-02 Le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76A KR20040040476A (ko) 2004-05-12
KR100932579B1 true KR100932579B1 (ko) 2009-12-17

Family

ID=2662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4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2579B1 (ko) 2001-10-02 2002-10-02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7421B2 (ko)
EP (1) EP1434436A4 (ko)
JP (1) JP3724719B2 (ko)
KR (1) KR100932579B1 (ko)
CN (1) CN1290322C (ko)
WO (1) WO2003032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39627B (zh) * 2003-06-18 2015-04-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JP3858883B2 (ja) * 2003-10-28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36537A (ja) 2003-10-29 2005-05-26 Sony Corp ファイル記録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ファイル編集装置、ファイル記録方法、ファイル再生方法、ファイル編集方法、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記録媒体
JP4203812B2 (ja) * 2003-12-29 2009-01-07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記録装置、ファイル記録方法、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再生装置、ファイル再生方法、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182932B2 (ja) 2004-08-04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580211B2 (en) * 2004-11-02 2009-08-25 Mediatek, Inc. DVD recording
EP1839434A1 (en) 2004-12-13 2007-10-03 Muvee Technologies Pte Ltd A method of automatically editing media recordings
CN102479319A (zh) * 2010-11-25 2012-05-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识别方法及其控制电脑
GB2516825B (en) * 2013-07-23 2015-11-25 Canon Kk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encapsulating partitioned timed media data using a generic signaling for coding dependencies
KR20150069760A (ko) * 2013-12-16 2015-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12287128B (zh) 2020-10-23 2024-01-1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多媒体文件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493A (ja) * 2000-03-16 2001-09-28 Seiko Epson Corp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014A (ja) 1997-02-20 1998-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復号化方法、画像復号化装置、画像多重化方法、画像多重化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1346193A (ja) * 2000-05-31 2001-12-1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
JP2001346139A (ja) 2000-06-05 2001-12-14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493A (ja) * 2000-03-16 2001-09-28 Seiko Epson Corp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79859A (ja) 2003-06-27
US20050078939A1 (en) 2005-04-14
CN1561635A (zh) 2005-01-05
JP3724719B2 (ja) 2005-12-07
EP1434436A1 (en) 2004-06-30
CN1290322C (zh) 2006-12-13
US7447421B2 (en) 2008-11-04
KR20040040476A (ko) 2004-05-12
WO2003032636A1 (fr) 2003-04-17
EP1434436A4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854B1 (ko) 오디오및/또는비디오데이터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기록매체의재생방법,기록매체상의정지화를재생하는방법,및기록매체상에정지화를기록하는방법
JP2003507988A5 (ko)
JP4355659B2 (ja) データ処理装置
KR100932579B1 (ko)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US8515243B2 (en) Recording medium containing moving picture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reof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 recording medium
JP2004080196A (ja) Hdコンテンツとsdコンテンツとを記録する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83529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WO2005043901A1 (ja) レジューム再生システム
JP4600756B2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558989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재생리스트 관리방법
US20090074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ccurate editing audio- visual streams
KR100583518B1 (ko) 디지털 기록장치에서의 녹화 품질 설정방법
KR20050072132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위한 장의 경계를 선택하기 위한방법 및 시스템
CN100488245C (zh) 数据处理装置
JP2003203431A (ja) 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及びこれらの方法
JPH11261962A (ja) 動画像記録方法、再生方法、編集方法および装置
KR100920655B1 (ko) 고밀도 광디스크의 스틸 픽처 관리방법
KR100713365B1 (ko) 타이틀 관리 방법
KR20040102962A (ko) Pvr에서의 하이라이트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36475A (ja) 符号化データ再生装置
EP1784013A1 (en) Authoring device, authoring method, author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KR20030063695A (ko) 광디스크의 데이터 재생위치 지정 및 재생방법
KR100722595B1 (ko) 기록 타이틀의 챕터 하이드 레벨 표시 방법
JP4846502B2 (ja)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KR100563690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유저 선호 정보 전송 및 기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1008

Appeal identifier: 2009101008232

Request date: 2009090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9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3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0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