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7785B1 -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785B1
KR100927785B1 KR1020020072241A KR20020072241A KR100927785B1 KR 100927785 B1 KR100927785 B1 KR 100927785B1 KR 1020020072241 A KR1020020072241 A KR 1020020072241A KR 20020072241 A KR20020072241 A KR 20020072241A KR 100927785 B1 KR100927785 B1 KR 10092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al silicide
lower electrode
silicide layer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831A (ko
Inventor
김의식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7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7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6Electrode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5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plasma treatment, e.g. plasma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4Electrodes comprising noble metals or noble metal ox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에 있어서, 플라즈마(Plasma) 처리와 후속 열처리에 의한 메탈 실리사이드(Metal Silicide) 응집 활성화 공정을 통해 하부 전극의 메탈 실리사이드를 큰 그레인(Large Grain) 구조로 형성하여 하부전극의 면적을 증대할 수 있고, 커패시터(Capacitor) 제조 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소자 마진을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하부전극, 고 유전율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capaci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을 실시한 SEM 사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구조물 12 : 플러그
14 : 베리어 층 16 : 하부 금속층
18 : 하부 전극 20 : 메탈 실리사이드
22 : 산화막 24 : 유전체막
26 : 상부 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0.18㎛ 이하 테크(Tech)의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시에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유전체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막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을 형성 한다. 이는 높은 유전율의 유전체막과 실리콘과의 이상 반응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 발생하게 되어 반도체 소자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준안정 폴리실리콘(Metastable Poly Silicon; MPS) 공정을 하부전극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단지 커패시터의 유전체막 두께만으로 정전용량(Capacitance)을 조절하게 된다. 유전체막의 두께만으로 정전용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소자 구현시 공정 마진이 부족하게 되고, 공정 마진이 없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은 커패시터의 재충전 특성을 저하시켜 전체적인 반도체 소자의 수율저하를 발생시킨다. 또한, 유전체막의 두께가 한계에 도달한 경우(더이상 유전체막을 줄일 수 없는 두께) 고유전율의 유전체막 물질의 변경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메탈 실리사이드를 하부 표면 에너지 제어 및 열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메탈 실리사이드의 표면이 2 차원 막형태에서, 3차원 섬형태로 성장시켜 하부금속 배선의 표면적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가 형성된 반도체 구조물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전극 표면의 원자 결합력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표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전극 표면에 메탈 실리사이드층을 증착하는 단계와,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메탈 실리사이드층을 응집시켜 반구형 그레인 구조의 메탈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막을 식각여 제거하는 단계 및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과 상부전극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폴리 실리콘 플러그(12)가 형성된 반도체 구조물(10) 상부에 하부 구조물 또는 폴리 실리콘 플러그(12)를 보호와 금속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베리어 층(14)을 형성한다. 전체 구조 상부에 하부 금속층(16)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 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 플러그(12) 상부에 하부 전극(18)을 형성한다. 전체 구조 상부에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금속층(16)는 TiN막, 티탄-산화막(Ti-Oxide), 루테늄(Ru)막, 루테늄-산화막(Ru-Oxide), 이리듐(Ir)막, 및 이리듐-산화막(Ir-Oxide)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박막을 사용하여 1000 내지 3000Å 두께로 증착한다. 상기 하부 금속층(16) 상에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하부 금속층(16)과 베리어층(14)을 제거함으로써 하부 전극(18)을 형성한다.
플라즈마 처리는 10-3 내지 10-5 torr의 압력, 100내지 5000 와트(W)의 고주파 파워와 100 내지 600℃의 온도 하에서 Ar, N2 또는 NH3 가스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플라즈마 처리의 목적은 후속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메탈 실리사이드층 성장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하부 전극(18) 표면의 원자의 결합을 약하게 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18) 상부에 단차를 따라 하부 전극(18)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을 증착한 다음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반도체 구조물(10) 상에 형성된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을 제거한다(하부 전극(18)의 측벽과 상부에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을 잔류).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은 TiSi2 또는 CoSi2 또는 MoSi2의 박막을 사용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을 실시한 SEM 사진들이다.
도 1d,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20)을 증착한 다음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을 실시하여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을 응집시켜 반구형 그래인 구조로 그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하부 전극(18)의 표면을 확장한다.
구제적으로, 산화막(20)은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 PSG(Phosphorus Silicate Glass) 또는 PE-TEOS(Plasma Enhansed - Tetra Ethyle Ortho Silicate)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은 400 내지 800℃의 온도와 N2 또는 O2 가스 분위기 하에서, 노를 이용한 열처리 또는 급속 열처리를 실시하여, 2차원 적으로 성장 완료된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을 3차원 섬(Island)형태로 전이시키게 된다. 이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원자 결합력이 약해진 하부전극(18) 표면에 증착된 메탈 실리사이드층(20)에 열처리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의 표면 형성 조건이 바뀌게 된다(반구형 그레인 구조). 즉, 메탈 실리사이드층(20) 하부의 표면 에너지를 낮게 해줌으로써 상대적으로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의 표면에너지가 높아져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의 금속들의 응집이 일어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면적에 대한 증가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보다 도 2b의 SEM 사진이 표면적의 응집이 더 발생하였고, 도 2c의 SEM 사진을 보면 금속 알갱이의 응집이 도 2a 또는 도 2b보다 더욱 크게 작용하여 금속의 알갱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섬 성장 메카니즘(Mechanism)은 하부 전극(18)과 메탈 실리사이드층(20)의 측면, 혹은 메탈 실리사이드층(20)과 하부 전극(18)의 상부 계면에서 메탈 실리사이드 그룹 플로인(Group Flowing)이 근간이 되어 표면 에너지가 최소화된 위치에 큰 그레인(Large Grain)이 형성된다.
도 1e를 참조하면, 산화막(22)을 식각한 다음 고유전율의 유전체막(24)과 상부 전극(2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산화막(22)의 식각은 버퍼드 옥사이드 에치(Bufferde Oxide Etch: BOE) 또는 딜루트 에이치에프(Dilute HF; DHF)를 이용한 습식공정을 실시하여 제거한다. 산화막(22) 식각시,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산화막 또는 SiO2 등의 부산물도 함께 제거하여 후속 고유전율의 유전체막(24) 증착시 이상반응을 방지한다. 유전체막(24)은 높은 유전율을 갖는 Ta2O5, TiON, BST, STO 및 PZT 중에서 어느 한 박막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처리와 후속 열처리에 의한 메탈 실리사이드 응집 활성화 공정을 통해 하부 전극의 메탈 실리사이드를 큰 그레인 구조 로 형성하여 하부전극의 면적을 증대할 수 있고, 커패시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충분한 소자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부전극의 면적 증가로 인해 커패시터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전체적인 반도체 소자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어서,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6)

  1. 플러그가 형성된 반도체 구조물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표면의 원자 결합력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표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표면에 메탈 실리사이드층을 증착하는 단계;
    전체 구조 상부에 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메탈 실리사이드층을 응집시켜 반구형 그레인 구조의 메탈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과 상부전극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표면처리 공정은 10-3 내지 10-5 torr의 압력, 100 내지 5000 와트(W)의 고주파 파워와 100 내지 600℃의 온도 하에서 Ar, N2 또는 NH3 가스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공정은 400 내지 800℃의 온도와 N2 또는 O2 가스 분위기 하에서, 퍼니스를 이용한 열처리 또는 급속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TiN막, 티탄-산화막, 루테늄막, 루테늄-산화막, 이리듐막 및 이리듐-산화막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박막이며, 1000 내지 3000Å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실리사이드층은 TiSi2 또는 CoSi2 또는 MoSi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Ta2O5막, TiON막, BST막, STO막, 및 PZT막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20020072241A 2002-11-20 2002-11-20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2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41A KR100927785B1 (ko) 2002-11-20 2002-11-20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41A KR100927785B1 (ko) 2002-11-20 2002-11-20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831A KR20040043831A (ko) 2004-05-27
KR100927785B1 true KR100927785B1 (ko) 2009-11-20

Family

ID=3734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2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7785B1 (ko) 2002-11-20 2002-11-20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90B1 (ko) * 2004-06-11 2010-08-2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453724Y1 (ko) * 2009-10-26 2011-05-23 한국특장차주식회사 틸팅형 평판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372A (ko) * 1995-04-21 1996-11-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3900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US6127221A (en) * 1998-09-10 2000-10-03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 situ, one step, formation of selective hemispherical grain silicon layer, and a nitride-oxide dielectric capacitor layer, for a DRAM application
KR20010059998A (ko) * 1999-12-31 2001-07-06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JP2001196562A (ja) * 2000-01-17 2001-07-19 Nec Corp シリンダー型容量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372A (ko) * 1995-04-21 1996-11-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6127221A (en) * 1998-09-10 2000-10-03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 situ, one step, formation of selective hemispherical grain silicon layer, and a nitride-oxide dielectric capacitor layer, for a DRAM application
KR20000043900A (ko) * 1998-12-29 2000-07-15 김영환 캐패시터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KR20010059998A (ko) * 1999-12-31 2001-07-06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JP2001196562A (ja) * 2000-01-17 2001-07-19 Nec Corp シリンダー型容量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831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4254A2 (en) Easy to remove hard mask layer for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USRE45232E1 (en) Method of forming a contact plug for a semiconductor device
CN112750760A (zh) 自对准双图案化
JP3605219B2 (ja) 高集積半導体装置のキャパシター製造方法
JP2002343889A (ja) 半導体素子の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395615B2 (en) Selective silicon formation for semiconductor devices
JP3172832B2 (ja) 半導体装置の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KR100927785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471401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패드 형성 방법
JP283070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051987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302419A1 (en) Method of modifying surface area and electronic device
JP2001223343A (ja) キャパシタの下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40952A (ja) 集積回路の多層配線形成方法
JP408267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830762B2 (ja) 金属層又は金属ケイ化物層の構造化法
KR100548598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20040259344A1 (en) Method for forming a metal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616495B1 (ko) 실리콘 박막과 실리콘막 사이의 격자 부정합을 줄일 수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230052079A (ko)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KR100485159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속홀 형성 방법
KR19990031793A (ko) 헤미스피리컬 그레인층을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JP334215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65329B1 (ko) 반도체 장치의 선택적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100357186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