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5076B1 -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076B1
KR100925076B1 KR1020037005842A KR20037005842A KR100925076B1 KR 100925076 B1 KR100925076 B1 KR 100925076B1 KR 1020037005842 A KR1020037005842 A KR 1020037005842A KR 20037005842 A KR20037005842 A KR 20037005842A KR 100925076 B1 KR100925076 B1 KR 10092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transmitted
transmitting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675A (ko
Inventor
가쯔또시 이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0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무선 자원을 절약한다. 기지국(101)은,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고,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단말기(102)에 송신한다. 단말기(102)는 기지국(101)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그 설정된 송신 빈도로 모드 요구 메시지가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으에 송신된다.
모드 요구 메시지, 기지국, 단말기, 인디케이터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자원을 절감하여, 휴대 전화기의 저소비 전력화를 가능하게 하는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과, 다치 변조 도수를 전파로 품질에 대응하여 변화시켜, 전파로 품질이 좋은 사용자에게는 잡음 내구 특성을 희생으로 하는 대신에,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여, 전파로 품질이 나쁜 사용자에게는 잡음 내구 특성을 중시하여 저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적응 변조 및 부호화율 통신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적용 변조 및 부호화율 통신 방식(이하, 적절하게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이라고도 함)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최근 도입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서 GSM(Global Sy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 HDR(High Data Rate), 1xTREAM 등이 있다. 또한, W-CDMA(Wide 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도 마찬가지의 방식이 추가로 채용될 전망이다.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서는, 이하의 기본 절차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적응 변조 및 부호화율이 실현된다.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 품질을 단말기가 측정된다.
2. 단말기는, 수신 품질 측정 결과로부터 최적이라고 생각되어지는 변조 방식·부호화율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적절하게 모드 요구 메시지라고 함)를 기지국에 통달한다.
3.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모드 요구 메시지와 기지국이 갖는 자원의 상태로부터, 단말기에 실제로 할당하는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로 결정하고, 그 결정한 변조 방식과 호화율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적절하게 송신 모드라고 함)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4. 기지국은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변조하고, 단말기에 송신한다.
5. 단말기는 송신 모드를 수신하고, 그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신 처리를 행한다.
6. 단말기는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 재송 요구를,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던 경우에는 신규 데이터 송신 요구를 기지국에 회신한다.
7. 상기 1∼6 절차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 처리 절차를 도시한 모습을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모드를 단말기에 알리기 위한 하향 제어 채널과, 기지국으로부터의 사용 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데이터 채널과, 단말기로부터의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향 제어 채널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상기 스텝 1 내지 스텝 6을 프레임 주기로 행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즉, 도 1에서 단말기는 현 시점에서의 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그 수신 품질에 따라 기지국에 요구하는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또한, 단말기는 그 송신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모드 요구 메시지와 기지국이 갖는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그 송신 모드를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기에 송신한 송신 모드에 대응하는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부호화와 변조를 행하여, 하향 데이터 채널에 의해 단말기에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먼저 송신되어 오는 송신 모드를 수신하고, 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의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율 등을 인식한다. 또한, 단말기는 그 후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먼저 수신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에 의한 복조, 및 부호화율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에 의한 복호를 행한다. 단말기는 복조 및 복호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가 검출되지 않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의 요구와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한편, 복조 및 복호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 단말기는 동일한 사용자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하는 재송 요구 메시지를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재송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를 단말기에 대하여 재송한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재송되어 온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재차 재송을 요구하는 재송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재송되어 온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의 요구와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 도 1에서의 하향 데이터 채널, 하향 제어 채널, 상향 제어 채널에서의 「하향」 또는 「상향」이라는 용어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에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또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에 각각 사용된다. 즉, 「하향」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에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의 명칭에 사용된다. 또한, 「상향」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신호의 채널 명칭에 사용된다.
또한, 재송 요구 메시지는, 예를 들면 1 비트의 플래그를 채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값이 1일 때는 재송의 요구를 나타내고, 그 값이 0일 때는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의 요구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적응 변조 및 부호화율을 이용한 통신 방식(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을 실현하는 종래의 기지국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은, 송수신 공용 장치(1), 역확산부(2),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 모드 판정부(6), 제어부(7), 제어 데이터 생성부(8),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재송 버퍼(12), 적응 부호화 변조부(13), 안테나(14)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송수신 공용 장치(1), 역확산부(2)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복조한다.
즉, 기지국에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부터, 스펙트럼 확산된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이 송신 신호는 안테나(14)에 의해 수신되고, 송수신 공용 장치(1)에 공급된다. 송수신 공용 장치(1)는 안테나(14)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역확산부(2)에 공급한다. 역확산부(2)는, 송수신 공용 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스펙트럼 역확산하고,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에 공급한다.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는 역확산부(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한다. 즉,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어 오는 송신 신호에는, 도 1에서 설명한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의 업 또는 다운을 요구하는 1 비트의 플래그인 전력 제어 비트가 포함되어 있고,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는 역확산부(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그와 같은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하고, 전력 조정부(10)에 전송한다.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는, 역확산부(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함과 함께, 그 신호를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에 공급한다.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는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재송 요구 메시지를 추출한다.
즉,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어 오는 송신 신호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재송을 요구의 유무를 나타내는 재송 요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고,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는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재송 요구 메시지를 추출하여, 제어부(7)에 전송한다.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는,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재송 요구 메시지를 추출함과 함께, 그 신호를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에 공급한다.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는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모드 요구 메시지를 추출한다.
즉,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어 오는 송신 신호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서 수신 품질로부터 결정된 송신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고,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는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로부터, 모드 요구 메시지를 추출하고, 모드 판정부(6)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교환되는 신호는, 소정의 시간 길이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은, 예를 들면 0.6667msec 단위의 슬롯이, 복수인 N 슬롯만큼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전력 제어 비트는, 슬롯마다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는 슬롯마다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재송 요구 메시지와 모드 요구 메시지는 프레임 단위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와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는 프레임 단위로 재송 요구 메시지와 모드 요구 메시지를 각각 추출한다.
모드 판정부(6)에서는 모드 요구 메시지와 기지국이 갖는 자원의 상태로부터, 최적이 되는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을 결정하고, 부호 자원 및 전력 자원을 사용자(단말기)에게 할당한다.
즉, 모드 판정부(6)는, 예를 들면 기지국의 자원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나타내는 송신 모드를 그대로 단말기에 할당하는 송신 모드(이하, 적절하게 할당 송신 모드라고 함)로서 결정한다. 또한, 모드 판정부(6)는 예를 들면 기지국의 자원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나타내는 송신 모드보다도 사용하는 자원이 적은 송신 모드를 할당 송신 모드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모드 판정부(6)는 할당 송신 모드를 결정하면, 그 할당 송신 모드를 제어부(7)에 공급한다.
제어부(7)는, 우선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로부터의 재송 요구 메시지를 확인하고, 재송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최초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했을 때와 동일한 송신 모드(재송을 요구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했을 때의 송신 모드)와, 재송인 것을 나타내는 재송 표식을, 제어 데이터 생성부(8)와 재송 버퍼(12)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7)는 재송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할당 송신 모드)를, 제어 데이터 생성부(8)와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 전송한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8)는, 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호화 변조부(9)에 공급한다. 또, 제어 데이터 생성부(8)는 제어부(7)로부터 송신 모드 외에, 재송 표식이 공급된 경우, 그 재송 표식도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부호화 변조부(9)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8)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써 부호화 변조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변조 신호를 전력 조정부(10)에 공급한다.
전력 조정부(10)에서는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제어 비트에 따라, 도 1에서 설명한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즉, 전력 제어 비트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1 비트의 플래그로서, 전력 조정부(10)는 전력 제어 비트가 1일 때에는,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1㏈ 올리고, 전력 제어 비트가 0일 때에는,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1㏈ 내리도록, 부호화 변조부(9)로부터의 변조 신호를 처리한다. 이에 의해, 하향 제어 채널의 데이터를 최적의 전력에 의해 단말기에 전송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 CDMA를 이용한 통신에서는, 이러한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의 제어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력 조정부(10)에서 송신 전력이 조정된 변조 신호는 확산부(11)에 공급된다.
한편,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는 도 1에서 설명한 하향 데이터 채널에 송 신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배치된 패킷 데이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는 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부호화율에 의해,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또한 그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 처리를 실시한다.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는, 이와 같이 하여,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 변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변조 신호를 재송 버퍼(12)에 공급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지금 부호화율(부호화 방식)로서, R=1/2와 R=3/4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변조 방식으로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3개의 송신 모드 #0 내지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송신 모드는 3개에 한하지 않고,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조합에 의해 다수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호화율 R=1/2는 1 비트의 입력 데이터에 관하여, 1 비트의 용장 비트가 부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부호화율 R=3/4는 3 비트의 입력 데이터에 관하여, 1 비트의 용장 비트가 부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부호화율 R=1/2에서는 R=3/4와 비교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용장 비트 수가 많은 만큼, 오류 정정 능력이 강하지만, 송신 가능한 데이터 수가 적어진다. 한편, 부호화율 R=3/4에서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용장 비트 수가 적기 때문에, 오류 정정 능력은 부호화율 R=1/2보다도 뒤떨어지지만, 송신 가능한 데이터 수는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QPSK 변조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된 데이터가 2 비트 단위로, 4 심볼 중 1 심볼로 맵되고, 16QAM에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화된 데이터가 4 비트 단위로, 16 심볼 중 1 심볼로 맵된다. 송신 가능한 심 볼 레이트를 일정하게 하면, 실제에 송신 가능한 데이터는 16QAM이 QPSK보다도 더 많아지지만, 16QAM에서는 심볼간의 거리가 QPSK와 비교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잡음 특성이 나빠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
지금, R=1/2과 QPSK의 조합, R=1/2와 16QAM의 조합, R=3/4와 16QAM의 조합을, 각각 송신 모드 #0, #1, #2로 하면, 데이터 전송량의 관계는 송신 모드 #0 (R=1/2, QPSK)<송신 모드 #1(R=1/2, 16QAM)<송신 모드 #2(R=3/4, 16QAM)로 된다. 한편, 잡음 내구 특성의 관계는 송신 모드 #0(R=1/2, QPSK)>송신 모드 #1(R=1/2, 16QAM)>송신 모드 #2(R=3/4, 16QAM)로 된다.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하면, 잡음이 적어, 전파로가 양호한 경우(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량이 많은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조합(송신 모드)을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 잡음이 많은 열악한 전송로인 경우(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잡음 내구 특성이 높은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억제하여, 오류 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3개의 송신 모드 #0 내지 #2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의 도 2의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 입력되는 패킷 데이터는, 스위치(21)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0인 경우, 스위치(21)는 단자(21a)를 선택함과 함께, 스위치(24)는 단자(24a)를 선택한다.
단자(21a)는 부호화부(22a)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송신 모드가 #0인 경 우, 패킷 데이터는 스위치(21)로부터 부호화부(22a)에 공급된다. 부호화부(22a)는 공급되는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율 R=1/2로 부호화함으로써, 오류 정정 부호를 부가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QPSK 변조부(23a)에 공급한다. QPSK 변조부(23a)는 부호화부(22a)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QPSK 변조함으로써 변조 심볼 맵핑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변조 신호를 스위치(24)의 단자(24a)에 공급한다. 송신 모드가 #0인 경우, 스위치(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24a)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QPSK 변조부(23a)가 출력하는 변조 신호는 스위치(24)를 통해, 재송 버퍼(12)(도 2)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1인 경우, 스위치(21)는 단자(21b)를 선택함과 함께, 스위치(24)는 단자(24b)를 선택한다. 단자(21b)는 부호화부(22b)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송신 모드가 #1인 경우, 패킷 데이터는 스위치(21)로부터 부호화부(22b)에 공급된다. 부호화부(22b)는 공급되는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율 R=1/2로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16QAM 변조부(23b)에 공급한다. 16QAM 변조부(23b)는 부호화부(22b)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16QAM 변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변조 신호를, 스위치(24)의 단자(24b)에 공급한다. 송신 모드가 #1인 경우, 스위치(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24b)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16QAM 변조부(23b)가 출력하는 변조 신호는 스위치(24)를 통해 재송 버퍼(12)(도 2)에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2인 경우, 스위치(21)는 단자(21c)를 선택함과 함께, 스위치(24)는 단자(24c)를 선택한다. 단자(21c)는 부호화부(22c)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송신 모드가 #2인 경우, 패킷 데이터는 스위치(21)로부터 부호화부(22c)에 공급된다. 부호화부(22c)는 공급되는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율 R=3/4로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16QAM 변조부(23c)에 공급한다. 16QAM 변조부(23c)는 부호화부(22c)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16QAM 변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변조 신호를 스위치(24)의 단자(24c)에 공급한다. 송신 모드가 #2인 경우, 스위치(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24c)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16QAM 변조부(23c)가 출력하는 변조 신호는 스위치(24)를 통해 재송 버퍼(12)(도 2)에 공급된다.
도 2로 되돌아가, 재송 버퍼(12)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변조된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기억함과 함께, 확산부(11)에 공급한다. 그리고, 재송 버퍼(12)는 제어부(7)로부터 재송 표식을 수신하면, 기억한 사용자 데이터를 재송 데이터로서, 재차 확산부(11)에 공급한다. 또한, 재송 버퍼(12)는 제어부(7)로부터 재송 표식을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즉 단말기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정상 수신된 경우,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정상 수신된 것을 소거(삭제)한다.
확산부(11)는 전력 조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와, 재송 버퍼(12)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를, 별개의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확산하고, 이에 의해 얻어지는 확산 신호를 송수신 공용 장치(1)에 공급한다. 송수신 공용 장치(1)는 확산부(11)로부터의 확산 신호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14)로부터 전파로서 단말기로 송출한다.
여기서, 전력 조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가 도 1의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서,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가 도 1의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이다.
이어서, 도 5는 적응 변조 및 부호화율을 이용한 통신 방식(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을 실현하는 종래의 단말기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사용자 단말기)는, 송수신 공용 장치(31), 역확산부(32),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 모드 선택부(36),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 제어부(38),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 오류 검출부(40), 재송 메시지 생성부(41),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산부(45), 안테나(46)로 구성된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46)로 수신되고, 송수신 공용 장치(31)에서 필요한 처리가 실시된 후, 역확산부(32)에 공급된다. 역확산부(32)는, 송수신 공용 장치(31)로부터의 신호를 스펙트럼 역확산함으로써, 도 1의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와,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역확산부(32)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에 공급한다. 또한, 역확산부(32)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와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에 공급한다.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에 시간 다중되는 파일럿 신호로부터 신호 대 잡음비(SNR(Signal to Noise Ratio))를 추정한다. 즉, 도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확산부(11)는 전력 조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에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시간 다중하고, 그 후 스펙트럼 확산을 행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에는 전력 조정부(10)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 외에 파일럿 신호가 포함된다.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의 SNR을,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그 추정 SNR을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에 공급한다.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는 하향 제어 채널의 추정 SNR이 희망하는 SNR 보다도 좋은 경우에는 값이 0인 전력 제어 비트를, 나쁜 경우에는 값이 1인 전력 제어 비트를,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에서의 SNR의 추정과,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에서의 전력 제어 비트의 생성은 슬롯마다 실행되고, 도 2의 기지국은 단말기에서 하향 제어 채널이 항상 일정한 SNR로 수신할 수 있도록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복조, 복호하고,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여, 제어부(38)에 공급한다.
제어부(38)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에 배치되어 있는, 하향 데이터 채널에 적용되는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정보, 즉 송신 모드를 검출하고,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의 모드 설정(제어)을 행한다.
즉, 도 6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8)는 우선 최초로, 단계 S1 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로부터 송신 모드를 검출하고,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는 제어부(38)는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QPSK 변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QPSK 변조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QPSK 복조하고, 또한 부호화율 R=1/2로 복호하도록,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다음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3으로부터 S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단계 S2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QPSK 변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부호화율이 R=1/2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부호화율이 R=1/2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16QAM 복조하고, 또한 부호화율 R=1/2로 복호하도록,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다음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5로부터 S1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S4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또한 부호화율이 R=1/2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부호화율이 R=3/4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부호화율이 R=3/4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16QAM 복조하고, 또한 부호화율 R=3/4로 복호하도록,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8)는 다음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7로부터 S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단계 S6에서, 송신 모드가 나타내는 변조 방식이 16QAM이고, 또한 부호화율이 R=3/4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송신 모드가 상술한 3개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8)는 그 송신 모드는 오류로 하여,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특별히 제어하지 않고, 다음 제어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6로부터 S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5로 되돌아가,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SNR을 추정한다. 이 SNR의 추정에는, 하향 데이터 채널상에 시간 다중되는 파일럿 심볼 혹은 하향 데이터 채널과 병렬하여 송신되는 파일럿 채널 심볼이 이용된다.
즉, 도 2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확산부(11)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에,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시간 다중하고, 그 후 스펙트럼 확산을 행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에는, 파일럿 신호가 포함된다. 또한, 확산부(11)는 다른 파일럿 신호를, 전력 조정부(10)나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로부터 공급되는 변조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에 이용되는 확산 부호와 는 서로 다른 확산 부호에 의해 스펙트럼 확산하고, 송수신 공용 장치(1) 및 안테나(14)를 통하여, 하향 데이터 채널이나 하향 제어 채널과 병렬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SNR을, 그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 또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와 병렬에 송신되어 오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하고, 그 추정 SNR을 모드 선택부(36)에 공급한다.
모드 선택부(36)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추정 SNR을, 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로서 그 수신 품질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율이 소정값 이하로 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의 조합, 즉 송신 모드를 결정(선택)한다. 또한, 모드 선택부(36)는 그 결정한 송신 모드를 기지국에 요구하도록, 그 송신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에 공급한다.
또,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에 의한 하향 데이터 채널의 SNR의 추정과, 모드 선택부(36)에 의한 모드 요구 메시지의 생성은 프레임마다 실행된다.
여기서, 모드 선택부(36)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품질로부터, 전송로의 잡음이 적고, 따라서 전송로가 양호하다고 추정되는 경우(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량이 많은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이 조합된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전송로의 잡음이 많으므로, 따라서 전송로가 열악하다고 추정되는 경우(수신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량을 억 제하고, 오류 특성이 강고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이 조합된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드 선택부(36)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율이 소정값 이하로 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즉, 도 7은 상술한 3개의 송신 모드 #0(R=1/2, QPSK), #1(R=1/2, 16QAM), #2(R=3/4, 16QAM) 각각에 대한 수신 품질과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율(FER : Frame Error Rate)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모드 선택부(36)는, 예를 들면 수신 품질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율(FER)이 10% 이하로 되는 송신 모드를 선택한다. 이 경우, 도 7에 의하면, 모드 선택부(36)에서는 수신 품질이 -8㏈ 이하인 경우, -8㏈보다 크고 -4㏈보다 작은 경우, -4㏈ 이상인 경우에 각각 송신 모드 #0(R=1/2, QPSK), #1(R=1/2, 16QAM), #2(R=3/4, 16QAM)가 선택된다.
한편,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도 6에서 설명한 제어부(38)에 의한 제어에 따라 복호,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사용자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40)에 공급한다. 또,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복호할 때, 그 신호에 용장 비트로서 포함되어 있는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오류 정정을 행한다.
오류 검출부(40)는, 예를 들면 Cyclic Redundancy Check(CRC)를 이용한 패리티 검출을 행하여,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에서 복호된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에 공급한다.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는, 오류 검출부(40)로부터 오류가 없는 취지의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예를 들면 값이 0인 재송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에 공급한다. 또한,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는 오류 검출부(40)로부터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예를 들면 값이 1인 재송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에 공급한다.
재송 메시지 삽입부(42)는,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로부터 공급되는 재송 요구 메시지를, 도 1에서 설명한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에 프레이밍하고,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에 공급한다.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는 모드 선택부(36)로부터 공급되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재송 메시지 삽입부(42)로부터 공급되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에 프레이밍하고,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에 공급한다.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는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제어 비트를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로부터 공급되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 프레이밍하고, 확산부(45)에 공급한다. 확산부(45)는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로부터의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스펙트럼 확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확산 신호를, 송수신 공용 장치(31)에 공급한다. 송수신 공용 장치(31)는 확산부(45)로부터의 확산 신호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전파를 이용하여 안테나(46)로부터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하면, 단말기가 수신 품질로부터, 희망하는 변조 방식, 부호화율의 조합(송신 모드)을, 기지국에 보고(모드 요구)하고, 기지국은 이것에 기초하여 실제로 할당하는 변조 방식, 부호화 방식의 조합을 선택하므로, 단말기의 수신 정황(수신 품질)에 맞게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단말기측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가 언제 송신되어 올지 판단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지국에 항상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모드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해서는, 상향 무선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간섭이 방대해진다. 또한, 기지국에서, 단말기에 송신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단말기에서 쓸데 없는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불필요한 모드 요구 메시지 등의 송신을 억제하고, 상향 무선 자원의 절감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제어 방법은,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제어 방법은, 송신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송신 장치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를,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과, 송신 장치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 및 제1 프로그램에서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판정되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가 송신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제2 프로그램에서는, 송신 장치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가 생성되고,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그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가 송신 장치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판정되고,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가 수신 장치에 송신된다. 또한, 송신 장치에서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 보가 생성되고,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그 설정된 송신 빈도로, 소정의 정보가 송신 장치에 송신된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지국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QPSK 변조 방식에 의한 데이터의 맵핑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16QAM 변조 방식에 의한 데이터의 맵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종래의 단말기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어부(38)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수신 품질과 오류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기지국(101)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단말기(102)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기지국(10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단말기(1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단말기(1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단말기(1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단말기(10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은 기지국(101)과 단말기(102)와의 사이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하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케이싱 내에 있는지와는 무관함)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1)과,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등의 단말기(102)로 구성되어 있고, 기지국(101)과 단말기(102)와의 사이에서는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8의 실시예에서는 1개씩의 기지국(101)과 단말기(102)밖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이나 단말기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8의 기지국(10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9 중, 도 2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9에서, 기지국은 송수신 공용 장치(1), 역확산부(2),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 모드 판정부(6), 제어부(7),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재송 버퍼(12), 적응 부호화 변조부(13), 데이터 버퍼(111),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9의 기지국은, 데이터 버퍼(111)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어 데이터 생성부(8) 대신에,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가 설치되어 있는 것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2의 기지국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버퍼(111)와 재송 버퍼(12)는, 1개씩밖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버퍼(111)와 재송 버퍼(12)는 기지국(101)에 등록되어 있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준비되어 있다. 즉, 기지국(101)은 예를 들면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의 에리어(셀)에 존재하는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지만, 데이터 버퍼(111)와 재송 버퍼(12)는 기지국(101)이 담당하는 단말기마다 준비된다.
데이터 버퍼(111)는 기지국(101)에 입력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배치된 패킷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고, 필요에 대응하여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 공급한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종래의 제어 데이터에 데이터 인디케이터 비트를 더 포함시켜 송신한다.
즉,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여, 그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로서의 데이터 인디케이터 비트(이하, 적절하게, 단순히 인디케이터라고도 함)를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켜, 부호화 변조부(9)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데이터 버퍼(111)와 재송 버퍼(12)를 감시하고 있으며,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102)에 데이터 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즉 예를 들면 값이 1인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또한,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데이터 버퍼(111) 및 재송 버퍼(12) 중 어디에도,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디케이터의 값을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즉 예를 들면 값이 0인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단순하게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할 때에, 단말기(102)로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값이 1인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도록 했지만, 인디케이터를 1로 하는지의 여부, 즉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는 데이터 버퍼(111)나 재송 버퍼(12)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 외에, 단말기(102)에 소정 시간만큼 사용자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았는지의 여부나(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송신되지 않았음), 혹은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소정 비트 이상의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등도 고려하여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주기 M이 M=∞가 아니고, 임의의 유한의 값일 때, 즉 M 프레임마다 모드 요구 메시지가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으로 반송될 때에, 단말기(102)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이 어느 한 임계값 이상이면, 인디케이터를 1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라는 것은 단말기(102)에 대하여, 지금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기지국(101)은 단말기(102) 외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단말기도 포함시킨 다수의 단말기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그 후 각 단말기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단말기(102)에 사용자 데이터가 즉시 송신된다고는 할 수 없다.
즉, 기지국(101)은, 예를 들면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는 각 단말기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나,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는 각 단말기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어느 정도의 시간만큼 송신되지 않고 기억된 상태로 되어 있거나, 또한 각 단말기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 등에 기초하여, 각 단말기에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101)은, 예를 들면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많은 단말기일수록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101)은, 예를 들면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고 기억된 상태로 되어 있는 시간이 긴 단말기일수록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101)은 예를 들면, 평균 수신 품질이 높은 단말기일수록 우선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따라서,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나, 그 사용자 데이터가 장시간 송신되지 않은 경우, 혹은 단말기(102)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이 높은 경우에는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는 우선적으에 송신되게 되므로, 단말기(102)에 대하여, 지금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그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나, 그 사용자 데이터가 장시간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혹은 단말기(102)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이 높은 경우에, 인디케이터의 값을 단말기(102)에 대하여, 지금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1로 세트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단말기(102)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은, 예를 들면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에서 추출되는 모드 요구 메시지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모드 요구 메시지가 나타내는 송신 모드는, 단말기(102)에서 도 5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이, 단말기(102)에서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모드 요구 메시지가 나타내는 송신 모드에 기초하여, 단말기(102)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추정한 수신 품질로부터 단말기(102)에서의 평균 수신 품질을 구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이상과 같이 하여,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고, 그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 키는 것 외에, 단말기(102)에 의한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즉,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예를 들면 인디케이터가 1이고,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의 송신 빈도를, 송신 주기가 K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함과 함께, 인디케이터가 0이고,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는 경우의 송신 빈도를 송신 주기가 K보다 큰 M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한다. 즉,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의 송신 빈도를 기준으로 하면,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에는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보다도 낮은 송신 빈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예를 들면 전송로의 혼잡 상태, 즉 기지국(101)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의 수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와 1인 경우 각각의 송신 빈도를 설정(제어)한다.
또, 빈도 정보가 예를 들면, 모드 요구 메시지가 프레임에 배치되어 송신되는 송신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그 값은 유한의 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의 송신 주기는 무한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해서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의 송신 주기는, 예를 들면 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하여 모드 요구 메시지가 프레임마다 송신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에서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의 빈도 정보 K와,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의 빈도 정보 M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세트)할 수 있지만, 빈도 정보 K 또는 M은, 값이 1 또는 0인 인디케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고정의 값으로 결정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빈도 정보 K와 M을 미리 결정해 두는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에서 빈도 정보 K 및 M을 인디케이터와 함께, 제어 데이터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즉, 빈도 정보 K 또는 M을, 값이 1 또는 0의 인디케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해 두는 경우에는, 인디케이터의 값에 의해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에 일의로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에는 빈도 정보 K 및 M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인디케이터를 포함시킬 뿐으로, 등가적으로 빈도 정보 K 및 M이 포함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10은, 도 8의 단말기(102)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0에서, 도 5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0에서, 단말기(사용자 단말기)는 송수신 공용 장치(31), 역확산부(32),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 모드 선택부(36),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 제어부(38),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 오류 검출부(40), 재송 메시지 생성부(41),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산부(45), 안테나(46), 송신 모드 판정부(121)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의 단말기(102)는 송신 모드 판정부(121)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도 5의 단말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송신 모드 판정부(121)에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 복조, 복호된 제어 데이터가 공급된다. 송신 모드 판정부(121)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와 빈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빈도 정보가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와 1인 경우의 송신 빈도를 M 또는 K 프레임마다로 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면, 송신 모드 판정부(121)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 M 프레임마다 하향 데이터 채널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도록,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 K(<M) 프레임마다, 하향 데이터 채널의 수신 품질을 추정하도록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를 제어한다.
여기서, 모드 선택부(36)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로부터 수신 품질이 공급되면, 그 수신 품질에 대응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에 공급한다. 따라서,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가, M 또는 K 프레임마다 수신 품질을 추정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는, 단말기(102)에서는 송신 모드는 M 또는 K 프레임마다 각각 송신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빈도 정보 K 또는 M을 값이 1 또는 0인 인디케이터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해 두는 경우에는, 송신 모드 판정부(121)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의 값에 의해 빈도 정보 K 또는 M을 일의로 결정하고, 데 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를 제어한다.
이어서,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9의 기지국(10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단계 S11에서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데이터 버퍼(111)와 재송 버퍼(12)를 참조함으로써 판정한다.
단계 S11에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2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변수 ind에 1이 세트되고, 인디케이터 ind가 1인 경우의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 K와 함께 송신되어, 단계 S14로 진행한다.
즉, 단계 S12에서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값이 1인 인디케이터 ind와 빈도 정보 K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로부터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를 통해 안테나(14)에 공급되고, 안테나(14)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한편, 단계 S12에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3로 진행하고,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변수 ind에 0이 세트되고, 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의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 M과 함께 송신되어, 단계 S14로 진행한다.
즉, 단계 S13에서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는 값이 0인 인디케이터 ind와 빈도 정보 M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로부터,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를 통해 안테나(14)에 공급되고, 안테나(14)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단계 S14에서는, 단말기(10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가 수신된다.
즉, 단말기(10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는 안테나(14)로 수신되고, 송수신 공용 장치(1) 및 역확산부(2)를 통해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에 공급된다.
그리고, 단계 S15로 진행하고,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는 공급되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추출하고, 그 전력 제어 비트를 전력 조정부(10)에 공급함과 함께,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에 공급하여,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는, 전력 조정부(10)가 전력 제어 비트 추출부(3)로부터의 전력 제어 비트에 대응하여,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는,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가 공급되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부터 재송 요구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재송 요구 메시지를 제어부(7)에 공급함과 함께,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에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18로 진행하고, 제어부(7)는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로부터 공급되는 재송 요구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기(102)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8에서, 단말기(102)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 수신할 수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재송 요구 메시지가 재송을 요구할 만한 것은 아니며,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인 경우, 단계 S19로 진행하고, 제어부(7)는 재송 버퍼(12)를 제어함으로써, 기억된 재송 데이터 중 단말기(102)에서 정상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것을 소거하고,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18에서, 단말기(102)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 수신할 수 없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재송 요구 메시지가 재송을 요구하는 것인 경우, 제어부(7)는 그 재송을 요구받은 사용자 데이터를 인식하고, 단계 S19를 스킵하여,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 재송 버퍼(12)는 재송이 요구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송 데이터가 기억된 상태로 된다.
단계 S20에서는,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가 재송 요구 메시지 추출부(4)로부터 공급되는 상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부터 모드 요구 메시지를 추출하고, 모드 판정부(6)에 공급하여,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서는, 모드 판정부(6)가 모드 요구 메시지 추출부(5)로부터 공급되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나타내는 단말기(102)로부터 요구된 송신 모드와, 기지국(101)이 갖는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서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송신 모드)을 결정한다. 또한, 단계 S16에서는 모드 판정부(6)는 결정한 송신 모드를 제어부(7)에 공급하여,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제어부(7)가 데이터 버퍼(111)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2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제어부(7)는 직전의 단계 S21에서 모드 판정부(6)로부터 공급된 송신 모드를 제어 데이터 생성부(8)에 공급하고, 제어 데이터 생성부(8)는 그 송신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8)로부터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를 통해 안테나(14)에 공급되고, 안테나(14)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그 후, 단계 S24로 진행하고,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에 송신됨과 함께, 그 사용자 데이터가 재송 데이터로서 재송 버퍼(12)에 기억된다.
즉, 단계 S24에서는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배치된 패킷 데이터가, 데이터 버퍼(111)로부터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부(7)는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배치된 패킷 데이터)를 부호화, 변조하도록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를 제어한다. 적응 부호화 변조부(13)는 제어부(7)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버퍼(111)로부터 공급되는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를 부호화, 변조하고, 재송 버퍼(12)를 통해 확산부(11)에 공급함과 함께, 재송 데이터로서, 재송 버퍼(12)에 공급하여 기억시킨다. 이하,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 리가 행해지고, 이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로서, 안테나(14)로부터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22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5 내지 S27로 진행하고, 재송 버퍼(12)에 기억된 재송 데이터의 송신(재송)이 행해진다.
즉, 단계 S25에서는 제어부(7)는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재송 데이터가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고, 그 재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재송의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5에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재송 데이터가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기억되어 있어도, 그 재송 데이터의 재송 요구가 없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6 및 S27을 스킵하여, 단계 S11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25에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재송 데이터가 재송 버퍼(12)에 기억되어 있고, 그 재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재송의 요구가 있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6으로 진행하고, 제어부(7)는 그 재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했을 때와 동일한 송신 모드를, 제어 데이터 생성부(8)에 공급하고, 제어 데이터 생성부(8)는 그 송신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생성부(8)로부터, 부호화 변조부(9), 전력 조정부(10),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를 통해 안테나(14)에 공급되고, 안테나(14)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서 송신된다.
그 후, 단계 S27로 진행하고, 재송 버퍼(12)에 기억된 재송 요구가 있던 재송 데이터가 판독되며, 확산부(11)에 공급된다. 이하, 확산부(11) 및 송수신 공용 장치(1)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며, 이에 의해 재송 데이터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로서, 안테나(14)로부터 단말기(102)에 송신(재송)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재송 데이터가 송신(재송)된 후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101)에서는 단말기(102)로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을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ind를, 단말기(102)에 송신하도록 했으므로, 단말기(102)에서는 인디케이터 ind에 기초하여, 기지국(101)에의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나타내는 빈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단말기(102)에 의한 기지국(101)에의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를, 기지국(101)의 부하 상태 등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10의 단말기(10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기(102)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가 복조 및 복호되고, 인디케이터 ind가 취득된다. 계속해서 이 인디케이터가 "0" 또는 "1" 중 어느 하나가 판단되 고, 0인 경우에는, 단말기(102)의 수신 품질을 기지국으로 귀환하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M 프레임마다 기지국(101)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인디케이터 비트가 "l"인 경우에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M보다 작은 K 프레임마다 기지국(101)으에 송신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단말기(102)는 하향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제어 데이터 중 송신 모드를 체크하고, 수신 데이터가 어떤 부호화율로 부호화되고, 어떤 변조 방식으로 변조되어 송신되어 왔는지 판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모드가 QPSK와 R=1/2의 조합, 16QAM과 R=1/2의 조합, 16QAM과 R=3/4의 조합인 3개의 송신 모드 #0 내지 2 중 어느 하나가 판정된다. 그리고, 그 송신 모드에 대응하여 적절한 수신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가 행해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어서, 도 12 내지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0의 단말기(102)의 처리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우선,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말기(102)가 행하는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처리하는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데이터 채널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단계 S31에서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되어 있는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가 수신된다. 즉, 단계 S31에서는 기지국(101)으로부터의 하향 제어 채널과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가 안테나(46)로 수신되고, 송수신 공용 장치(31)에서 필요한 처리가 실시된 후, 역확산부(32)에 공급된다. 또한, 단계 S31에서는, 역확산부(32)는 송수신 공용 장치(31)로부터의 신호를 스펙트럼 역확산함으로써, 도 1의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와,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역확산부(32)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를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와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에 공급한다. 또한, 역확산부(32)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와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에 공급한다.
그 후, 단계 S32로 진행하고,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 중 인디케이터 ind를 복조, 복호하고, 송신 모드 판정부(121)에 공급하여,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에 빈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그 빈도 정보도 복조, 복호하여, 송신 모드 판정부(121)에 공급한다.
단계 S33에서는 송신 모드 판정부(121)가 인디케이터 ind가 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3에서, 인디케이터 ind가 1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인디케이터 ind가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0으로 되어 있는 경우, 단계 S34로 진행하고, 송신 모드 판정부(121)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 P를, M 프레임으로 설정하고(주기가 M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하여),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에 공급한다.
그 후, 단계 S3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따라서, 이 경우, 하향 데이터 채널의 복조 복호는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단계 S33에서 인디케이터 ind가 1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인디케이터 ind가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1로 되어 있는 경우, 단계 S35으로 진행하고, 송신 모드 판정부(121)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 P를, M보다 작은 K 프레임으로 설정하며(주기가 M 프레임보다도 적은 K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하고),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에 공급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에는, 송신 빈도 P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주기가 M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되고, 인디케이터 ind가 1인 경우에는, 송신 빈도 P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주기가 K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K와 M의 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M>K이므로, 인디케이터 ind가 0 또는 1인 경우에는, 각각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빈도가 적거나 또는 많아지도록 설정되게 된다.
그 후,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신호 중 송신 모드의 복조 및 복호를 개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송신 모드를 제어부(38)에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송신 모드의 복조 및 복호를 항상 행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 ind가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1로 되어 있는 경우에,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송신 모드의 복조 및 복호를 개시한다. 즉,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는 송신 모드의 복조 복호를, 인디케 이터 ind가 1인 경우에만 행하고, 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에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ind는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 외에,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송신 모드의 복조 및 복호를 지시하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향 제어 채널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송신 모드의 복조 및 복호를 항상 행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 ind가 1로 되어 있는 경우에 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2)에서의 부하를 경감시키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단계 S36의 처리 후에는, 단계 S37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7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0이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8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함으로써,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QPSK 복조시키고, 또한 부호화율 R=1/2로 복호시킨다. 또한, 단계 S38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복조 및 복호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40)에 공급하여,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37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0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9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1인지의 여 부를 판정한다. 단계 S39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1이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0으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함으로써,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16QAM 복조시키고, 또한 부호화율 R=1/2로 복호시킨다. 또한, 단계 S40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복조 및 복호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40)에 공급하여,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39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1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1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2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1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2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2를 스킵하여,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41에서, 제어 데이터 복조 복호부(37)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모드가 송신 모드 #2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2로 진행하고, 제어부(38)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를 제어함으로써,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를 16QAM 복조시키고, 또한 부호화율 R=3/4으로 복호시킨다. 또한, 단계 S42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복조 및 복호에 의해 얻어진 사용자 데이터를 오류 검출부(40)에 공급하여,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말기(102)가 행하는 재송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송 요구 메시지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단계 S51에서, 오류 검출부(40)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던 경우, 단계 S5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51에서,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공급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2로 진행하고, 오류 검출부(40)는 사용자 데이터 복조 복호부(39)로부터 공급된 사용자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에 공급하고,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서는,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는 오류 검출부(40)로부터, 오류가 없는 취지의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예를 들면 값이 0인 재송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에 공급한다. 또한, 재송 요구 메시지 생성부(41)는 오류 검출부(40)로부터, 오류가 있는 취지의 판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예를 들면 값이 1인 재송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고,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에 공급한다.
재송 요구 메시지 삽입부(42)에 공급된 재송 요구 메시지는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산부(45), 송수신 공용 장치(31), 및 안테나(46)를 통해,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01)으에 송신되고, 그 후 단계 S5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어서,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말기(102)가 행하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모드 요구 메시지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단계 S61에서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는 프레임 수를 카운트하는 변수 p에, 초기값으로서의 예를 들면 0을 세트하고, 단계 S62로 진행한다. 단계 S62에서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가 변수 p를 1만 인크리먼트하고, 단계 S6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3에서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가, 변수 p가 도 12의 단계 S34 또는 S35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 P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3에서, 변수 p가 송신 빈도 P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상향 제어 채널의 1 프레임분의 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62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63에서, 변수 p가 송신 빈도 P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전회의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으로부터, P 프레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단계 S64로 진행하고,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는 역확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의 SNR, 즉 수신 품질을 추정하고, 모드 선택부(36)에 공급하여,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서는, 모드 선택부(36)는 데이터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5)로부터 공급되는 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결정(선택)하고, 그 송신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모드 요구 메시지는 모드 선택부(36)로부터, 모드 요구 메시지 삽입부(43),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 산부(45), 송수신 공용 장치(31), 및 안테나(46)를 통해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01)으에 송신되고, 그 후 단계 S61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따라서, 도 14의 모드 요구 메시지 송신 처리에서는, 도 12의 단계 S34 또는 S35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 P가 나타내는 P 프레임마다 송신된다.
즉, 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에는, 송신 빈도 P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주기가 M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되고, 인디케이터 ind가 1인 경우에는 송신 빈도 P는 모드 요구 메시지의 송신 주기가 K 프레임마다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K와 M의 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M>K이므로, 인디케이터 ind가 0 또는 1인 경우에는, 각각 모드 요구 메시지는 적거나 또는 많은 빈도에 송신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K=1 및 M=∞로 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에는 모드 요구 메시지는 송신되지 않고, 인디케이터 ind가 1인 경우에는 모드 요구 메시지는 프레임마다 송신된다.
이상과 같이, 단말기(102)에서는 데이터 송신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ind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가 기지국(101)에 있으며, 무선 자원이 없으면 데이터가 단말기(102)에 송신되는 상태)에만, 기지국(101)에서의 적응 변조 및 부호화율의 결정에 필요한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무선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ind에 의해, 데이터 송신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인디케이터 ind가 0인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에서의 인디케이터 ind(빈도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빈도 정보를 포함함) 이외의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말기(102)에서의 처리가 간소화되어,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말기(102)가 행하는 전력 제어 비트를 송신하는 전력 제어 비트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단계 S71에서 제어 채널 수신 품질 추정부(33)는 하향 제어 채널 신호의 SNR인 수신 품질을 추정하고, 그 추정 수신 품질을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에 공급하여, 단계 S72로 진행한다.
단계 S72에서는,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는 하향 제어 채널의 추정 수신 품질이 희망하는 SNR인 희망 수신 품질보다도 좋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2에서, 추정 수신 품질이 희망 수신 품질보다도 좋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3로 진행하고,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는 값이 1인 전력 제어 비트를 생성한다. 이 전력 제어 비트는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산부(45), 송수신 공용 장치(31) 및 안테나(46)를 통해 상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01)으에 송신되고, 그 후 단계 S71로 되돌아가고,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72에서, 추정 수신 품질이 희망 수신 품질보다도 좋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4로 진행하고,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는 값이 0인 전력 제어 비트를 생성한다. 이 전력 제어 비트는 전력 제어 비트 생성부(34)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 삽입부(44), 확산부(45), 송수신 공용 장치(31), 및 안테나(46)를 통해 상 향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01)으에 송신되고, 그 후 단계 S71로 되돌아가,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송신 빈도 K와 M을 각각 K=1과 M=∞로 한 경우의 기지국(101)과 단말기(102)와의 사이의 교환을 설명한다. 또, K=1은 인디케이터가 1인 경우에, 모드 요구 메시지가 프레임마다 송신되는 것을 의미하고, M=∞는 인디케이터가 0인 경우에, 모드 요구 메시지가 정말에 송신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기지국(101)에서, 단말기(102)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값이 0인 인디케이터가 송신된다. 그 후, 기지국(101)(도 9)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억되면, 값이 0부터 1로 된 인디케이터가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또, 기지국(101)에서, 값이 1로 된 인디케이터의 송신이 개시된 후에는,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게 될 때까지, 값이 1인 인디케이터가,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계속 송신된다. 그리고, 기지국(101)에서, 데이터 버퍼(111) 및 재송 버퍼(12) 중 어디에도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인디케이터의 값은 0으로 된다.
인디케이터가 1로 된 후, 기지국(101)에서는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D1)가 결정되고, 그 송신 모드(D1)가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 자 데이터가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D1)에 따라 부호화, 변조되고, 그 부호화, 변조된 분의 사용자 데이터(D2)가 하향 데이터 채널에 의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D2)의 데이터량을 X로 나타내면, 사용자 데이터(D2) 가 송신됨으로써, 데이터 버퍼(111)의 데이터량(도 16에서 거친 피치의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사용자 데이터(D2)의 데이터량 X만큼 감소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부호화, 변조된 사용자 데이터(D2)가 재송을 위해 재송 버퍼(12)에 재송 데이터로서 기억되기 때문에, 재송 버퍼(12)의 데이터량(도 16에서, 가는 피치의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사용자 데이터(D2)의 데이터량 X만큼 증가한다.
단말기(102)(도 10)에서는,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D2)가 수신되고, 복조 및 복호된다. 지금, 사용자 데이터(D2)에 오류가 있다고 하면,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해서는, 재송을 요구하는 재송 요구 메시지로서의 NACK(D3)가 반송된다. 이 경우, 기지국(101)의 재송 버퍼(12)에 존재하는 데이터량 X만큼의 재송 데이터(사용자 데이터(D2))는 오류없이 송신된 것이 확인될 때까지, 즉 기지국(101)이 재송을 요구하지 않는 재송 요구 메시지로서의 ACK(Acknowledge)를,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할 때까지, 재송 버퍼(12)에 계속 저장하게 된다.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그 후 기지국(101)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다음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D7)가 결 정되고, 그 송신 모드(D7)가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다음의 사용자 데이터가,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D7)에 따라, 부호화, 변조되고, 그 부호화, 변조된 만큼의 사용자 데이터(D8)가 하향 데이터 채널에 의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D8)의 데이터량을 Y로 나타내면, 사용자 데이터(D8) 가 송신됨으로써, 데이터 버퍼(111)의 데이터량은 사용자 데이터(D8)의 데이터량 Y 만큼 감소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부호화, 변조된 사용자 데이터(D8)가 재송을 위해, 재송 버퍼(12)에 재송 데이터로서 기억되기 때문에, 재송 버퍼(12)의 데이터량은 사용자 데이터(D2)의 데이터량 Y만큼 증가한다.
단말기(102)(도 10)에서는,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D8)가 수신되고, 복조, 복호된다. 지금, 사용자 데이터(D8)에 오류가 없고, 단말기(102)에서 정상 수신된다고 하면,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해서는 재송을 요구하지 않는 취지의 재송 요구 메시지(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 수신할 수 있던 취지와, 신규 사용자 데이터를 요구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재송 요구 메시지)로서의 ACK(D9)가 반송된다.
기지국(101)은 ACK(D9)를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D8)에 대한 송신이 성공했다고 하여, 재송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 Y만큼의 사용자 데이터(D8)인 재송 데이터를 소거한다.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그 후 기지국(101)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거나, 또한 다음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D10)가 결정되고, 그 송신 모드(D10)가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적응 부호화 변조부(13)에서 데이터 버퍼(111)에 기억된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거나, 또한 다음 사용자 데이터가 모드 판정부(6)에서 결정된 송신 모드(D10)에 따라, 부호화, 변조되고, 그 부호화, 변조된 만큼의 사용자 데이터(D11)가 하향 데이터 채널에 의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Dll)의 데이터량을 Z로 나타내면, 사용자 데이터(D11)가 송신됨으로써, 데이터 버퍼(111)의 데이터량은 사용자 데이터(D11)의 데이터량 Z만큼 감소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부호화, 변조된 사용자 데이터(D11)가 재송을 위해, 재송 버퍼(12)에 재송 데이터로서 기억되기 때문에, 재송 버퍼(12)의 데이터량은 사용자 데이터(D11)의 데이터량 Z만큼 증가한다. 또,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D11)의 송신에 의해, 데이터 버퍼(111)에서의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0으로 되어 있다.
단말기(102)(도 10)에서는,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Dl 1)가 수신되고, 복조, 복호된다. 지금, 사용자 데이터(D11)에 대해서도, 사용자 데이터(D8)와 마찬가지로 오류가 없고, 단말기(102)에서 정상 수신된 것으로 하면,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해서는, 재송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재송 요구 메시지로서의 ACK(D12)가 반송된다.
기지국(101)은, ACK(D12)를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D11)에 대한 송신이 성공하였다고 하여, 재송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 Z만큼의 사용자 데이터(D11)인 재송 데이터를 소거한다.
기지국(101)에서는, 데이터량 Z의 사용자 데이터(D11)의 송신이 완료되면, 데이터량 X의 사용자 데이터(D2)에 대한 재송 동작이 개시된다. 즉, 기지국(101)은 재송 버퍼(12)에 기억된 사용자 데이터(D2)로서의 재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모드(D4)를 최초로 사용자 데이터(D2)를 송신했을 때의 송신 모드(Dl)와 동일한 송신 모드로 결정하고, 그 송신 모드(D4)를 단말기(102)에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1)에서는, 재송 버퍼(12)에 기억된 사용자 데이터(D2)와 동일한 재송 데이터(D5)가 하향 데이터 채널에 의해 단말기(102)에 송신된다.
단말기(102)(도 10)에서는,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된 재송 데이터(D5)가 수신되고, 복조 및 복호된다. 지금, 재송 데이터(D5)가 오류가 없고, 단말기(102)에서 정상 수신되었다고 하면, 단말기(102)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해서는 재송을 요구하지 않는 취지의 재송 요구 메시지로서의 ACK(D6)가 반송된다.
기지국(101)은 ACK(D6)를 수신하면, 재송 데이터(D5)에 대한 송신이 성공했다고 하여, 재송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량 X만큼의 재송 데이터(D5)(사용자 데이터(D2)와 동일함)를 소거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1)은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를 "1"로 하여, 그 인디케이터를 수신한 단말기(102)는 K 프레임마다, 즉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빈도 K가 K=1이므로, 1 프레임마다 모드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101)으로 반송한다. 또한,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단말기(102)에 전송되어 오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재송 데이터가 없었던 경우에는, 기지국(101)은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인디케이터를 "0"으로 하고, 그 인디케이터를 수신한 단말기(102)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M 프레임마다 반송, 즉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빈도 M이 M=∞이므로, 모드 요구 메시지의 반송을 금지한다.
여기서,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빈도 M을 M=∞로 했기 때문에, 데이터 버퍼(111) 또는 재송 버퍼(12)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102)에서, 모드 요구 메시지의 반송은 전혀 되지 않지만, 송신 빈도 M은 유한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디케이터 비트가 0을 나타낼 때에는, 단말기(102)에서 송신 빈도 M이 나타내는 유한의 프레임 수마다, 모드 요구 메시지가 기지국(101)으로 반송된다.
이상과 같이, 단말기(102)는, 단말기(102)에의 송신 모드를 정하는 모드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기지국(101)으로부터 요구되었을 때에만 빈번하게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기(102)에서의 무선 자원의 제약을 도모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기지국(101)의 제어 데이터 생성부(112)나, 단말기(102)의 송신 모드 판정부(121) 등에서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범용 컴퓨터 등에 인스톨된다.
그래서, 도 17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 퓨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205)나 ROM(203)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인공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에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이라고 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유선으에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함으로써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208)에서 수신하고, 내장하는 하드디스크(205)에 인스톨할 수 있다.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02)를 내장하고 있다. CPU(202)에는 버스(201)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210)가 접속되어 있고, CPU(20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207)가 조작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 (2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혹은, CPU(202)는 하드디스크(2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고, 통신부(208)에서 수신되어 하드디스크(2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209)에 장착된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로부터 판독되어 하드디스크(2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20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CPU(202)는 상술한 흐름도에 따른 처리, 혹은 상술한 블록도의 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20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206)로부터 출력, 혹은 통신부(208)로부터 송신, 또한 하드디스크(205)에 기록시킨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에 각종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 단계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한대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며,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의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부터의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부호화율이나 변조 방식을 결정하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예를 들면 HDR 방식에서는, 단말기에서 그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가 결정되고, 그 송신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요구 메시지가 기지국에 송 신되어 오므로, 본 발명은 HDR 방식과 같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모드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오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연하지만, 기타 예를 들면 W-CDMA 방식 등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W-CDMA 방식 등에서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을 나타내는 수신 품질 메시지가 송신되고, 기지국에서 그 수신 품질 메시지가 나타내는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지국에서 단말기에서의 수신 품질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가 결정되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모드와 인디케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제어 채널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았지만, 송신 모드와 인디케이터는 동일한 채널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채널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자원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정보와 상기 빈도 정보는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가능성 정보만을 송신함으로써, 등가적으로, 상기 가능성 정보와 그 가능성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빈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상기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 에 따라,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는, 그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재송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의 송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제어 방법.
  6.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의 송신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와,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부호화율과 상기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제1 송신 빈도를 설정하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송신 빈도보다 낮은 제2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 정보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와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가능성 정보와 대응되어 있는 상기 빈도 정보가 나타내는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가능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지시하는 빈도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빈도 정보도 수신하며,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빈도 정보가 나타내는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송신 모드를 송신하고,
    상기 가능성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송신 모드의 복조와 복호를 개시하는 복조 복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수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부호화율과 상기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제어 방법.
  14.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수신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부호화율과 상기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부호화율과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수신 장치에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가능성 정보를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에서 상기 부호화율과 상기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정보의 송신 빈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서 설정된 송신 빈도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37005842A 2001-08-28 2002-08-28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8696 2001-08-28
JP2001258696 2001-08-28
PCT/JP2002/008646 WO2003021855A1 (fr) 2001-08-28 2002-08-28 Appareil d'emission, procede de commande d'emission, appareil de reception et procede de commande de rece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675A KR20040036675A (ko) 2004-04-30
KR100925076B1 true KR100925076B1 (ko) 2009-11-04

Family

ID=1908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5076B1 (ko) 2001-08-28 2002-08-28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77492B2 (ko)
EP (1) EP1422856B1 (ko)
JP (1) JP4038728B2 (ko)
KR (1) KR100925076B1 (ko)
CN (1) CN1287543C (ko)
WO (1) WO2003021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4539B (en) * 2003-07-31 2006-06-14 Fujitsu Lt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KR20050019388A (ko) * 2003-08-19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패킷데이터와 관련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US7397776B2 (en) * 2003-10-03 2008-07-08 Nvid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and dynamically optimiz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US7643443B2 (en) * 2003-10-03 2010-01-05 Nvid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ly and dynamically optimiz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network
KR100634575B1 (ko) * 2004-05-12 2006-10-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업링크 성능 향상을 위한 적응변조코딩 방법 및 장치
GB0422394D0 (en) * 2004-10-08 2004-11-10 Nokia Corp Coding selection method
US7751363B1 (en) * 2004-11-22 2010-07-06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traffic and associated control channels
JP4457868B2 (ja) * 2004-11-25 2010-04-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移動局
US7477622B2 (en) * 2005-01-28 2009-01-13 Qualcomm, Incorporated Superposition 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67722B1 (en) 2005-04-26 2019-03-27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à r.l. Fixed hs-dsch or e-dch allocation for voip (hs-dsch without hs-scch/e-dch)
US7583611B1 (en) * 2005-08-01 2009-09-01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non-cognitive radios and cognitive radios
US8743708B1 (en) 2005-08-01 2014-06-03 Rockwell Collins, Inc.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cognitive, dynamic media access control
JP4673778B2 (ja) * 2006-03-23 2011-04-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方法
EP2001257A4 (en) * 2006-03-29 2013-01-16 Nec Corp BASISSTAT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US20090049823A1 (en) * 2006-04-07 2009-02-26 Navin Khadiy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mission abatement system
US8085819B2 (en) * 2006-04-24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Superposition 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25281A (ko) * 2006-06-19 2009-03-10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 및 방법
US20080021702A1 (en) * 2006-06-28 2008-01-24 Shaojie Ch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mechanism for suppressing uplink noise
US8125935B2 (en) * 2006-12-27 2012-02-28 Alcatel Lucent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t transmitters and receivers
JP2008193414A (ja) * 2007-02-05 2008-08-21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上り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送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9413489B2 (en) 2007-04-27 2016-08-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ata-driven, variable-rate,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LTE non-real-time bursty traffic
US8312310B2 (en) * 2007-05-01 2012-11-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lock frequency and modulation method based on current state
WO2010005988A2 (en) * 2008-07-07 2010-01-14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space-time power control for mimo transmissions
US9026123B2 (en) 2008-07-09 2015-05-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p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693897B2 (ja) * 2008-12-24 2011-06-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EP3905771A1 (en) * 2009-04-21 2021-11-03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Terminal apparatus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JP5123434B2 (ja) * 2009-06-12 2013-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基地局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局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1138979A1 (en) * 2010-05-03 2011-11-10 Pantech Co., Ltd. Method for feedback and receive channel information method, receiver and transmitter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835251B (zh) * 2010-05-04 2012-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功率控制方法及设备
EP2429249B1 (en) * 2010-09-14 2012-10-17 Alcatel Lucent Method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elem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JP5720793B2 (ja) * 2011-09-20 2015-05-20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ノード装置
US9794889B2 (en) * 2014-05-09 2017-10-17 Huawei Device Co., Ltd. Power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DE102016101041B4 (de) * 2016-01-21 2018-11-22 Infineon Technologies Ag Konzept für Car2X-Kommunikation
CN113395382B (zh) * 2020-02-27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间数据交互的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526A (ko) * 1998-03-02 1999-10-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채널의통신장치및방법
KR20010023388A (ko) * 1998-06-30 2001-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2001103032A (ja) 1999-07-23 2001-04-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fdm変復調回路
KR20010033887A (ko) * 1998-11-06 2001-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609A (en) * 1990-09-27 1996-02-20 Radish Communications Systems, Inc.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automatic switching between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JP2776094B2 (ja) * 1991-10-31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変調通信方法
US6778558B2 (en) * 1998-02-23 2004-08-1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mental redundancy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DE69914351T2 (de) * 1998-04-17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Funkkommunikationsgerät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Übertragungsrate
US6330278B1 (en) * 1999-07-28 2001-12-11 Integrity Broadband Networks, Inc. Dynamic adaptive modulation negotiation for point-to-point terrestrial links
AU2001243476A1 (en) * 2000-03-07 2001-09-17 Vyyo, Ltd. Adaptive downstream modulation schem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JP3821636B2 (ja) * 2000-08-21 2006-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6760882B1 (en) * 2000-09-19 2004-07-06 Intel Corporat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US7016296B2 (en) * 2000-10-16 2006-03-21 Broadcom Corporation Adaptive modulation for fixed wireless link in cable transmission system
US6940915B2 (en) * 2000-11-30 2005-09-06 Nokia Mobile Phones Ltd. Adaptive learning method and system to adaptive modulation
US6549759B2 (en) * 2001-08-24 2003-04-15 Ensemble Communications, Inc. Asymmetric adaptive modul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39226A1 (en) * 2001-08-24 2003-02-27 Kwak Joseph A. Physical layer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526A (ko) * 1998-03-02 1999-10-25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순방향링크채널의통신장치및방법
KR20010023388A (ko) * 1998-06-30 2001-03-2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010033887A (ko) * 1998-11-06 2001-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JP2001103032A (ja) 1999-07-23 2001-04-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fdm変復調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7543C (zh) 2006-11-29
US20040047425A1 (en) 2004-03-11
EP1422856A4 (en) 2007-06-13
US7277492B2 (en) 2007-10-02
WO2003021855A1 (fr) 2003-03-13
CN1476693A (zh) 2004-02-18
EP1422856B1 (en) 2012-04-18
KR20040036675A (ko) 2004-04-30
EP1422856A1 (en) 2004-05-26
JPWO2003021855A1 (ja) 2004-12-24
JP4038728B2 (ja)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076B1 (ko)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과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925078B1 (ko)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
JP4803197B2 (ja) 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426200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1161024B (zh) 移动通信系统、移动台和基站以及通信控制方法
JP4652578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利用可能な容量の使用を最大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917502B1 (ko) 송신 장치 및 송신 제어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수신 제어방법
RU24116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ибрид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проса на повторную передачу
KR20080007555A (ko) 데이터 속도 적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08004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4173019A (ja) 基地局装置及び送信割り当て制御方法
JPH082747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224516A (ja)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2333988B1 (en) Radio channel control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JP2006020239A (ja) マルチコードパケット伝送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