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4130B1 - 납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납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130B1
KR100924130B1 KR1020090015922A KR20090015922A KR100924130B1 KR 100924130 B1 KR100924130 B1 KR 100924130B1 KR 1020090015922 A KR1020090015922 A KR 1020090015922A KR 20090015922 A KR20090015922 A KR 20090015922A KR 100924130 B1 KR100924130 B1 KR 10092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molding
wire
line segment
crim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섭
Original Assignee
김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섭 filed Critical 김중섭
Priority to KR102009001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1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납공급부; 상기 납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납을 압착하는 납압착부; 상기 납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납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납을 절곡된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 된 납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90도로 꺾이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납이 압착과정(성형)을 거치면서 납과 전선단자 간의 압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여러 방향에서 납을 압착하며, 이에 따라 납과 전선단자 사이에서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납, 압착

Description

납 압착장치{LEAD PRESSUR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 단자에 납을 압착하는 납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단자에 납을 압착시키는 납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단자와 납 압착단자의 압착불량으로 인한 접속상태 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납땜작업이 압착단자의 압착을 위한 작업공정과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전선 접속용 압착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압착단자는 전선을 각종 전기기기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자로서, 피복된 전선을 압착단자에 수용시킨 후 압착단자를 압착시킴으로써 전선과 압착단자가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착단자는, 프레스의 압력에 의해 피복전선과 납압착부를 압착하다보니 프레스의 압력이 조금만 변경되어도 압착부의 압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납압착부와 피복전선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접속상태 불량 으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하며 그 저항은 열로 변환되고 이는 결국화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압축단자를 납용액에 디핑시키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었으나, 중금속 규제법규에 위반되는 문제가 있어 압축단자와 피복전선의 접촉부위에 대해서만 납땜을 실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납땜은 작업자가 기피하는 작업일 뿐만 아니라 후공정에 의한 납땜에 의해 압착단자와 피복전선 간의 접속상태 불량이 충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선단자와 납 압착단자의 압착불량으로 인한 접속상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납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납 압착과정을 거치면서 납과 전선단자 간의 압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여러방향에서 납을 압착하여 납과 전선단자 사이에서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납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납공급부; 상기 납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납을 압착하는 납압착부; 상기 납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납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납을 절곡된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 된 납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90도로 꺾이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1 성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2개의 다이; 상기 2개의 다이 사이에 형성되는 홈; 상기 다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는 실린더에 의해 상기 홈의 내부로 출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1 성형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성형부재는 경사지게 기울어진 모양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성형부재의 일측면과 타측면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속되게 이루어지는 바닥면은 지면과 수평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납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의해 가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 2 성형부재에 의해 90도로 꺾인 부분을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성형부는 상다이와 상기 상다이와 맞물리도록 압착되는 하다이와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다이는 수평방향의 직선면, 상기 직선면과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의 하부로 돌출된 곡면모양의 돌출면, 상기 돌출면에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의 상부방향으로 수직면,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게 수평방향으로 수평면, 수평면과 연속되게 상기 상다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다이는 상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연속되며 상기 하다이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모양의 제2면, 그리고 상기 제2면과 연속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다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절곡부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며, 상기 절곡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납 압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납이 압착과정(성형)을 거치면서 납과 전선단자 간의 압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여러 방향에서 납을 압착한다.
이렇게 전선단자의 상하좌우에서 납을 압착시키기 때문에 전선단자와 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속이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납과 전선단자 사이에서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절단된 납이 절곡성형, 압착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모두 소모되게 함으로써, 납의 압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납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납이 전선단자(1103)에 압착될 경우, 상기 납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상기 납이 전선단자에 압착된 상태에서 미끌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선단자와 납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납공급부; 상기 납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납을 압착하는 납압착부; 상기 납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납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납을 절곡된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 된 납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90도로 꺾이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1 성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2개의 다이; 상기 2개의 다이 사이에 형성되는 홈; 상기 다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설치홈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는 실린더에 의해 상기 홈의 내부로 출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1 성형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며 경사진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성형부재는 경사지게 기울어진 모양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성형부재의 일측면과 타측면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속되게 이루어지는 바닥면은 지면과 수평한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납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의해 가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는, 상기 제 2 성형부재에 의해 90도로 꺾인 부 분을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성형하는 제2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성형부는 상다이와 상기 상다이와 맞물리도록 압착되는 하다이와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다이는 수평방향의 직선면, 상기 직선면과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의 하부로 돌출된 곡면모양의 돌출면, 상기 돌출면에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의 상부방향으로 수직면,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게 수평방향으로 수평면, 수평면과 연속되게 상기 상다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다이는 상면에 형성되는 수평방향의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연속되며 상기 하다이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모양의 제2면, 그리고 상기 제2면과 연속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다이의 측면에 위치하는 절곡부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며, 상기 절곡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지지부와 전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납 압착과정도와 납이 압착된 전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 공급롤과 납 롤링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 공급롤과 납 롤링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 롤링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성형부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성형부재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부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성형부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성형부의 정면도
메인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측판형상의 프레임(102)이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2)에는 상부이동판(116)과 하부이동판(120)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이동판(116)과 하부이동판(120)에서는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전선지지부(1000)가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선지지부(1000)는 판형상의 측판상부에 지지바(120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20)의 후방에는 제1후방지지편(1300)과 제2후방지지편(1400)이 설치된다.
상기 제1후방지지편(1300)과 제2후방지지편(1400) 그리고 지지바(1200) 사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전선(1000)의 전선피복부(1101)가 삽입고정된다.
상기 지지바(120)의 전방에는 전방지지편(1400)과 금속재질의 클립형태의 탄성편(1500)이 설치된다.
전방지지편(1400)과 금속재질의 클립형태의 탄성편(1500)사이에는 전선피복부(1101) 삽입고정되며, 상기 전선지지부(1000)의 전방으로는 전선의 단자(1103)가 돌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이동판(116)과 하부이동판(120)의 양측에는 각각 실린더(901)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와 연결된 하강부는 전선지지부(100)를 하강시키며, 상기 실린더(901)와 연결된 상승부는 전선지지부(1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부이동판(116)을 지난면서 언로딩가드(151에 의해 전선이 분리된 전선지지부(100)는 실린더에 연결된 하강부에 의해 하부이동판(120)으로 하강된다.
상기 하강부에 의해 하강된 전선지지부(1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하부이동판(120)으로 옮겨진다.
하부이동판(120)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전선지지부(100)가 상승부에 위치하면, 상승부에 안착된 전선지지부(100)가 상승된다.
상기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전선지지부(1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 더(903)에 의해 상부이동판(116)(즉, 본 발명의 따른 전선단자 압착장치의 작업방향)으로 옮겨진다.
이와 같이 전선지지부(100)는 상부이동판(116)과 하부이동판(120)을 순차적으로 지나게 된다.
상기 상부이동판(116)의 일측에는 언로딩가드(151)가 설치된다.
상기 언로딩가드(151)는 다수개의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각 판부재의 상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아래로 경사지도록 경사부(151a)를 이룬다.
상기 전선지지부(1000)가 상기 언로딩가드(151)로 이동되면, 상기 언로딩가드(151)의 경사부(151a)는 전선(1100)과 상기 지지바(1200) 사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지지부(1000)가 상기 언로딩가드(151)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경사부(151a)에 의해 상기 전선(1100)은 상기 전선지지부(1000)의 상부로 빠져 나오게 되며, 상기 언로딩가드(151)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는 기둥 형상의 프레임(205)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05)의 일측에는 철심형태의 납(1)이 납공급롤(202)에 감겨있다.
상기 프레임(205)의 상단에는 납압착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와 수직하게 측판(13)이 설치된다.
상기 측판의 타측면에는 브라켓(230)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납롤링부(30)가 설치된다.
상기 납공급롤(202)에 감겨진 납은 가이드롤러(207)와 안내롤러(210)에 의해 납롤링부(30)로 공급된다.
상기 납(1)은 납공급롤(202), 가이드롤러(207) 그리고 안내롤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납공급부에 의해 납롤링부(30)으로 공급된다.
상기 납롤링부(30)는 양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브라켓(215)과, 상기 브라켓(215)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21), 성형롤러(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15)의 상부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성형롤러(221)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롤러(221)가 설치된 회전축은 스테핑롤러(906)와 연결되며, 상기 압착부(30)과 스테핑롤러(906) 사이에는 커플링(223)이 설치된다.
상기 성형롤러(221)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롤러(2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에 의해 전선단자와 맞닿는 납(1)의 표면에도 요철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납(1)이 전선단자(1103)에 압착될 경우, 요철에 의해 상기 납(1)이 전선단자(1103)에 압착된 상태에서 미끌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선단자(1103)와 납(1)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브라켓(215)의 하부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가이드롤러(221)가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215)의 입구(즉, 상기 납이 공급되는 부분)에는 가이드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4)에는 상기 납이 삽입되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215)의 출구에는 상기 납롤링부(30)에 의해 압착된 납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5)와 상기 가이드부(225)의 상부를 덮는 커버(226)가 설치된다.
상기 납롤링부(30) 내부를 지나는 납은 상기 성형롤러(221)와 가이드롤러(221) 사이에서 롤링되면서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납작한 편 형상으로 압착된다.
즉, 도 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납(1)은 직사각형 편 형상으로 상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0)와 수직하게 측판(13)이 설치된다.
상기 측판(13)의 측면과 상기 메인플레이트(10)의 바닥면 사이에는 판 형상 의 브라켓(302)이 설치된다.
상기 측판(13)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샤프트(308)가 삽입설치 된다.
상기 샤프트(308)에는 레버(305), 샤프트롤러(309), 커터(311)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305)는 상기 측판(13)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롤러(309), 커터(311)는 상기 측판(13)의 타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커터(311)는 상기 레버(30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터(311)의 날이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레버(305)는 상기 측판(13)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실린더(907)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907)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측판(13)의 일측면 상부에는 상부 슬라이드블럭(331)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드블럭(331)에는 실린더(914, 915)와 연결된 제1 상부슬라이드(327)와 제2 상부슬라이드(33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327)의 하부에는 고정부(326)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의 하부에는 판형상의 제1성형부재(33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327)의 하부(즉, 측판(13)의 일측면 하부)에는 제1 하부 슬라이드블럭이(314) 설치되며,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드블럭(314)에는 실린더(910)와 연결된 제1 하부슬라이드(3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하부 슬라이드블럭(314)의 상면에는 판 형상의 가이드(33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312)의 일측에는 장공형상의 관통공(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0) 내부에는 후술할 제2 이동부재(317)가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317)가 상기 관통공(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312)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 상기 관통공(20)의 상하길이는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312)가 상하 이동가능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히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26)는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327)에 의해 상기 납롤링부(30)의 출구측(즉, 압착된 납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5)와 상기 커터(311) 사이)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333)의 하부(즉, 측판(13)의 일측면 하부)에는 제2 하부 슬라이드블럭(342)이 설치되며,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드블럭(342)에는 실린더(916)와 연결된 제2 하부슬라이드(343)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드블럭(342)의 상면에는 2개의 다이(336, 337)가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다이(336, 337) 사이에는 홈(21)즉, 다이 상면의 하부로 형성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 슬라이드블럭(342)의 전방 상면과 상기 다이(336, 337) 하면 사이에는 돌출판 형상의 가이드가(344)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344)의 상면은 상기 홈(21)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제1 성형부재(334)는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333)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홈(21) 내부로 출입가능하게 된다.
상기 다이(337)의 일측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 내부에는 나사형상의 스토퍼(338)가 상기 다이의 타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설치홈이 형성된 다이의 일측에는 커버(341)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338)가 설치홈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341)와 상기 스토퍼(338)의 헤드 사이에는 스프링(340)과 와셔(339)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338)퍼 몸체의 끝단부는 경사지도록 경사부(23)를 이룬다.
상기 스토퍼(338)의 경사부(23)는 상기 홈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성형부재(334)가 상기 홈(21) 내부에서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343)의 상부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343)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홈(21)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측판(13)의 일측면에는 실린더(912)가 설치되며 이 실린더(912)에는 판형상의 제1 이동부재(32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이동부재(325)는 상기 실린더(912)에 의해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312)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측판(13)의 일측면에는 실린더(911)가 설치되며 이 실린더(911)에는 판형상의 제2 이동부재(317)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317)는 제1 하부슬라이드(312)에 형성된 관통공(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측판(13)의 타측면 전방부에는 브라켓(426)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실린더(921)가 위치한다.
상기 실린더(921)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스페이스 브라켓(423)이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스 브라켓(423)의 전면과 후면에는 판형상의 제1 가이드벽(422a)와 제2 가이드벽(422b)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벽(422a)와 제2 가이드벽(422b)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스 브라켓(423)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제1 가이드벽(422a)와 제2 가이드벽(422b)에는 고정홈(422c, 422d)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22c, 422d)은 상기 제1 가이드벽(422a)과 제2 가이드벽(422b)의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절입되게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홈(422c, 422d)에는 전선이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제1 가이드벽(422a)과 제2 가이드벽(422b)은 상기 실린더(92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이동판(116)과 연결된 브라켓(111)에는 실린더(920)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는 샤프트(417)을 통해 슬라이드캠(412)이 설치된 브라켓(416)을 상하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드캠(412)의 상부에는 하부레버(403)와 상부레버(402)사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03)에는 켐플로우(917)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03)와 상부레버(402)의 측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스프링(406)이 설치(즉, 하부레버(403)와 상부레버(402)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03)와 상부레버(40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걸이(404)와 상기 스프링걸이(404) 외측에 설치되는 나사모양의 스프링걸이(405)에 의해 상기 스프링(406)은 상기 하부레버(403)와 상부레버(402)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부레버(402)의 중심부에는 브라켓(407)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레버(402)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브라켓(407)에 설치된 상기 상부레버(402)의 중심부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레버(402)의 상부에는 압착대(401)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캠(412)이 상승하면, 상기 상부레버(402)가 회전함에 따라, 양측의 상기 상부레버(402)의 상면이 오므려지면서 상기 압착대(401)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압착대(401)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425)의 일측에는 브라켓(427, 428)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실린더(922)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에는 제2 성형부재(429)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성형부재(429)도 실린더(922)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하이동 하게 된다.
상기 제2 성형부재(429)는 경사지게 기우어진 모양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성형부재(429)의 일측면(429a)과 타측면(429c)는 같은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429a)과 타측면(429c)에 연속되게 이루어지는 바닥면(429b)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성형부재(429)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바닥면(429b)은 수평방향을 유지하며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납롤링부(30)에서 롤링된 납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럭(314)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납이 제1 하부슬라이드블럭(314) 위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327)가 하강하고, 제1 하부슬라이드(31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납을 상하로 누르며 고정하게 되고, 상기 커터(311)는 상기 압착된 납이 일정한 길이형태의 편 이 되도록 절단한다.
일정한 길이형태의 편으로 절단된 납은 제1 이동부재(325)에 의해 상기 가이드(335)의 상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이동부재(325)는 상기 커터(311)에 의해 절단된 납을 상기 홈(21)의 상부(즉, 상기 다이(336, 337)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납이 다이(336, 337)의 상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333)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성형부재(334)는 상기 납을 상기 홈(21)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납은 상기 홈(21) 내부에서 전제적으로 J형상으로 절곡되게 성형된다.(제1 성형단계)
J형상으로 절곡된 납은 제1선분(3)과 상기 제1선분(3)에 대해 절곡되게 이루어진 제2선분(5), 그리고 상기 제2 선분(5)에 대해 절곡되게 이루어지는 제3선분(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선분(3)의 길이는 제3선분(7)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 홈(21)내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된 납은,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25)에 의해 상기 다이(336, 337) 내부(즉, 홈(21) 내부)에서 상승한다.
납이 홈(21) 내부에서 상승하면, 상기 제2 이동부재(317)는 상기 홈(21) 내 부에서 절곡된 납을 상기 가이드(344)의 상면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제1 성형단계에 의해 성형된 납(1)에 전선의 단자(1103)를 놓는 단계에 의해 서로 접하게 된다.
납이 상기 가이드(344)의 상면 끝단부에 위치하면, 슬라이드켐(412)이 상승하면서 상기 압착대(401)은 상기 J형상으로 절곡된 납을 압착(즉, 제1선분(3)과 제3선분(7)을 압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벽(422a)와 제2 가이드벽(422b)이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홈(422c, 422d)에는 전선이 고정지지 된다.
즉, 제1선분(3), 제2 선분(5), 제3선분(7)은 상기 전선의 단자부분을 둘러싸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선분(3)과 제3선분(7)사이가 압착되면서, 상기 납은 상기 전선의 단자부분에 압착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2 성형부재(429)가 하강하면서, 제1선분(3)의 윗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성형부재(429)의 바닥면(429b)이 제1선분(3)의 윗부분을 가압하게 되며, 이렇게 가압된 제1선분(3)의 윗부분은 제1 선분(3)에 대해 90도로 꺾인 제4선분(9)으로 성형된다.(가압단계)
상기 제1 성형부(즉, 다이(336, 337),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333), 압착 대(401) 등)에 의해 상기 전선 단자(1103)에 제1 선분(3), 제2 선분(5), 제3선분(7), 그리고 제4선분(9)으로로 이루어진 납(1)이 압착되면, 상기 전선지지부(1000)는 옆 방향으로 이동하게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성형부의 옆에는 제2 성형부(700)가 설치된다.
프레임(102)의 하부에 설치되는 브라켓(507)에는 실린더(924)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924)에는 하다이(504)와 절곡부(501)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다이(504)의 상면에는 수평방향의 제1면(504a)과 상기 제1면과 연속되며 상기 하다이(504)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모양의 제2면(504b), 그리고 상기 제2면(504b)과 연속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3면(504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다이(504)의 측면에 인접하게 절곡부(501)가 설치된다.
상기 절곡부(501)의 일측면의 상부에는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면(501a)과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며, 상기 절곡부의 타측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501b)로 이루어진다.
수직면(501a)과 경사면(501b)에 의해 상기 절곡부(501)의 상부에는 뾰족한 절곡날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가이드(505)에는 브라켓(509)이 설치되며, 브라켓(509)의 상부에는 실린더(925)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925)에는 상다이(5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다이(510)는 상기 하다이(504)와 절곡부(501)에 맞물리는 구성이다.
상기 상다이(510)의 하면은 수평방향의 직선면(510a)과 상기 직선면(510a)과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510)의 하부로 돌출된 돌기를 이루는 곡면모양의 돌출면(510b)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510b)에 연속되며, 상기 상다이(510)의 상부방향으로 수직면(510c)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과 연속되게 수평방향으로 수평면(510d)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면(510d)와 연속되게 상기 상다이(51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10e)가 형성된다.
상기 상다이(510)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하다이(504)와 절곡부(501)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돌출면(504b)과 제2면(510b)는 서로 거의 맞물리게 된다.
또한, 제3면(504c)과 경사면(501b)은 수평면(510d)과 경사면(510e)에 서로 거의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1 성형부를 지난 전선지지부(1000)가 제2 성형부(700)앞에 위치하면, 상기 상다이(510)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하다이(504)와 절곡부(501)가 상부로 이동하여 납을 압착하게된다.
이때, 제1 선분(3)은 수직면(510c)위에 위치하며, 제2선분(5)과 제4선분(9)는 수직면(510c)과 수평면(510d)에 각각 접하게 되며, 제3 선분(7)은 수직면(510c)에 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경사면(510e)은 제4선분(9)의 일단부를 하부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제4선분(9)의 일단부는 경사면(501b)와 경사면(510e)에 의하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인 제5 선분(9a)로 성형된다.(제2 성형단계)
상기 제2 성형부(700)의 옆에는 제2 성형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기둥형상의 프레임(436)에는 실린더(92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에는 샤프트(409)가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실린더(923)는 샤프트(409)를 통해 슬라이드캠(434)을 상하이동 시킨다.
상기 슬라이드캠(434)의 하부에는 하부레버(432)와 상부레버(431)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32)에는 켐플로우(917)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32)와 상부레버(431)의 측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는 스프링(406)이 설치(즉, 하부레버(432)와 상부레버(43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레버(432)와 상부레버(43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걸이(404)와 상기 스프링걸이(404) 외측에 설치되는 나사모양의 스프링걸이(405)에 의해 상기 스프링(406)은 상기 하부레버(432)와 상부레버(43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상부레버(431)의 중심부에는 브라켓(407)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레버(431)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브라켓(407)에 설치된 상기 상부레버(431)의 중심부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레버(431)의 하부에는 압착대(43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캠(434)이 하강하면, 상기 상부레버(402)가 회전함에 따라, 양측의 상기 상부레버(402)의 하부가 오므려지면서 상기 압착대(430)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상기 제2 성형부(700)를 지난 전선지지부(1000)가 제3 성형부(600)앞에 위치하면, 상기 슬라이드캠(434)이 하강하면서 상기 압착대(430)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선분(3)과 제5 선분(9a)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제5선분은 상기 제3 선분(7)과 접하게 된다.(제3 성형단계)
제4성형부(800)는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펀치(601)와 하펀치(6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펀치(601)의 하부에는 후술할 돌출부가 삽입가능한 삽입홈(601a)가 형성된다.
상기 하펀치(602)의 상부에는 돌기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상면(602a)이 형성된다.
전선지지부(1000)가 제4 성형부(800)앞에 위치하면, 상기 상펀치(601)는 하강하고, 상기 하펀치(602)는 상승하게 된다.
제2 선분(5)은 상면(602a)에 놓이게 되며, 상기 제1선분(3), 제4선분(9), 그리고 제 5선분(9a)는 삽입홈(601a)에 놓이게 된다.
이때, 삽입홈(601a)과 상면(602a)이 맞물리면서, 제4선분(9)과 제2 선분(5)은 압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자 압착장치의 작업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선이 고정된 전선지지부(1000)는 상부이동판(116)에서 작업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선지지부(1000)가 제1 성형부앞에 위치하면, 커터(311)는 상기 납롤링부(30)에서 압착된 납이 일정한 길이형태의 편이 되도록 절단한다.
즉, 상기 제1 이동부재(325)는 상기 커터(311)에 의해 절단된 납을 상기 홈(21)의 상부(즉, 상기 다이(336, 337)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납이 다이(336, 337)의 상면)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333)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성형부재(334)에 의해 상기 납은 상기 홈(21) 내부에서 전제적으로 J형상으로 절곡되게 성형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317)는 상기 홈(21) 내부에서 절곡된 납을 상기 가이드(344)의 상면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납이 상기 가이드(344)의 상면 끝단부에 위치하면, 슬라이드켐(412)이 상승하면서 상기 압착대(401)은 상기 J형상으로 절곡된 납을 압착(즉, 제1선분(3)과 제3선분(7)을 압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벽(422a)와 제2 가이드벽(422b)이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홈(422c, 422d)에는 전선이 고정지지 된다.
즉, 제1선분(3), 제2 선분(5), 제3선분(7)은 상기 전선의 단자부분을 둘러싸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선분(3)과 제3선분(7)사이가 압착되면서, 상기 납은 상기 전선의 단자부분에 압착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2 성형부재(429)가 하강하면서, 제1선분(3)의 윗부분(즉, 상기 납(1)의 일단부)을 가압하게 되며, 이렇게 가압된 제1선분(3)의 윗부분은 제1 선분(3)에 대해 90도로 꺾인 제4선분(9)으로 성형된다.
전선지지부(1000)가 제2 성형부(700)앞에 위치하면, 상기 상다이(510)가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하다이(504)와 절곡부(501)가 상부로 이동하여 납을 압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4선분(9)의 일단부는 경사면(501b)와 경사면(510e)에 의하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인 제5 선분(9a)로 성형된다.
전선지지부(1000)가 제3 성형부(600)앞에 위치하면, 상기 슬라이드캠(434)이 하강하면서 상기 압착대(430)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선분(3)과 제5 선분(9a)이 압착됨에 따라, 상기 제5선분(9a, 즉, 상기 납(1)의 일단부)은 상기 제3 선분(7, 즉, 상기 납(1)의 타단부)과 접하게 된다.
전선지지부(1000)가 제4 성형부(600)앞에 위치하면 상다이와 하다이가 압착되면서 강기 전선 단자(1103)에 압착된 단자의 상하부(즉, 제2선분(5)과 제4선분(9))를 한번 더 압착해준다.
이렇게 전선 단자에 납이 압착된 전선이 지지된 전선지지부(1000)는 상기 언로딩가드(151)로 이동하며, 상기 언로딩가드(151)에 의해 전선지지부(1000)와 납이 압착된 전선이 분리된다.
이렇게 전선지지부(1000)는 상기 언로딩가드(151)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납이 압착된 전선(1100)은 상기 언로딩가드(151)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선단자와 납 압착단자의 압착불량으로 인한 접속상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납 압착장치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지지부와 전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 압착장치의 납 압착과정도와 납이 압착된 전선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 공급롤과 납 롤링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 공급롤과 납 롤링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납 롤링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성형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성형부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성형부재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부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성형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성형부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성형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납 10: 메인플레이트
13: 측판 30: 납롤링부
100: 전선지지부 151: 언로딩가드
202: 납공급롤 311: 커터
334: 제1 성형부재 429: 제2 성형부재
510: 상다이 504: 하다이
600: 제4 성형부 700: 제3 성형부
1000: 전선지지부 1100: 전선
1101: 전선피복부 1103: 단자

Claims (4)

  1. 납공급부;
    상기 납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납을 압착하는 납압착부;
    상기 납압착부에 의해 압착된 납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납을 절곡된 모양으로 성형하는 제1 성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성형부재에 의해 성형 된 납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90도로 꺾이도록 성형하는 제2 성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 압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15922A 2009-02-25 2009-02-25 납 압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2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22A KR100924130B1 (ko) 2009-02-25 2009-02-25 납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922A KR100924130B1 (ko) 2009-02-25 2009-02-25 납 압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29A Division KR20100096973A (ko) 2009-06-02 2009-06-02 납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130B1 true KR100924130B1 (ko) 2009-10-29

Family

ID=4156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9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4130B1 (ko) 2009-02-25 2009-02-25 납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1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1673A (ja) * 1990-11-14 1992-06-29 Shinetsu Densen Kk ピン端子付きリード線とその製造法
KR950023990U (ko) * 1994-01-25 1995-08-23 이지봉 단자압착기
JP3454055B2 (ja) * 1996-11-22 2003-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100446944B1 (ko) 2003-11-21 2004-09-01 (주)케이엠 디지텍 전선단자 압착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1673A (ja) * 1990-11-14 1992-06-29 Shinetsu Densen Kk ピン端子付きリード線とその製造法
KR950023990U (ko) * 1994-01-25 1995-08-23 이지봉 단자압착기
JP3454055B2 (ja) * 1996-11-22 2003-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100446944B1 (ko) 2003-11-21 2004-09-01 (주)케이엠 디지텍 전선단자 압착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44579A3 (en) Terminal applicato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006112B1 (ko) 납 압착장치
CN101227052A (zh) 压接设备和金属端子
CN114160709A (zh) 一种扁线成型冲压模具及冲压设备
KR100924130B1 (ko) 납 압착장치
US4001931A (en) Wire termination method
CN119419558B (zh) 一种汽车线束端子压接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00096973A (ko) 납 압착장치
US3965558A (en) Wire termination apparatus
KR100974630B1 (ko) 자동에어 조절이 가능한 전원단자압착기
CN114160708A (zh) 一种扁线成型冲压模具及冲压设备
CN219874401U (zh) 一种精密自动端子压接模具
CN208050828U (zh) 一种弹簧冲钩设备
CN216881457U (zh) 一种扁线成型冲压模具及冲压设备
CN114160707B (zh) 一种扁线成型冲压模具及冲压设备
CN216881459U (zh) 一种扁线成型冲压模具及冲压设备
KR200438398Y1 (ko) 단자결착기의 전선스토퍼
KR20100034978A (ko) 부스바 가공장치
CN212849260U (zh) 用于汽车线束端子的自动压接装置
CN211958207U (zh) 一种金属丝全自动打端机
CN216672134U (zh) 一种用于端子压模的辅助装置
CN219041000U (zh) 一种端子压接模具
CN209119533U (zh) 用于欧式管状端子的压接装置
JP5506278B2 (ja) 端子圧着装置
CN216420949U (zh) 一种高稳定的异形针生产用冲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60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