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59B1 -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4059B1 KR100924059B1 KR1020080034029A KR20080034029A KR100924059B1 KR 100924059 B1 KR100924059 B1 KR 100924059B1 KR 1020080034029 A KR1020080034029 A KR 1020080034029A KR 20080034029 A KR20080034029 A KR 20080034029A KR 100924059 B1 KR100924059 B1 KR 100924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universal joint
- elastic body
- support device
- adjusting n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 B61G7/12—Adjustable coupling bars, e.g. for centralisat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3—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protection in case of crash, collision, impact,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 조립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손쉽게 수평상태로 조정 및 유지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차 유니버셜조인트 조립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universal joints for electric vehi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universal joints for easy assembly by allowing the universal joint to be easily adjusted and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본 발명은 외주면에 조정너트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길게 형성되어지고, 일측 끝단에는 지지판(11)이 돌출 형성되어져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나사체결 되어지며 하기의 탄성체(30)의 장력을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력조정너트(20)와, 상기 몸체(10)와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동 및 좌우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측면은 하기의 탄성체(30)에 의해 탄성지지 되어져 일측 끝단이 연결기단부(301)에 지지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동지지판(40)과, 상기 몸체(10)에 나사체결 되어지고 일측면은 상기 유동지지판(40)과 밀착지지 되어져, 유니버셜조인트의 들어올림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정너트(50)와 , 상기 장력조정너트(20) 및 유동지지판(40) 사이에 삽입되어져 유동지지판(40)을 탄성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탄성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long screw thread to the adjustment nut is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upport plate 11 is protruded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0) configured to support the universal joint, and screwed to the body (10) The tension adjusting nut 2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elastic body 30 below, and the body 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and move left and right within a limited range, and one side thereof is the elastic body 30 below.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low support plate 40 and one side end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connector end portion 301, and screwed to the body 10 and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w support plate 40 And a length adjusting nut 50 configured to adjust a lifting angle of the universal joint and the tension adjusting nut 20 and the flow support plate 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flow support plate 40. That consists of the elastic body 30, which lock is characterized in the configuration.
전동차,유니버셜조인트,지지장치,스포트 Electric Vehicle, Universal Joint, Supporting Device, Spo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 조립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차의 완충기와 연결기 사이에 설치되어져 전동차가 곡선주행하거나 상하진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비틀림이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손쉽게 수평상태로 조정 및 유지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차 유니버셜조인트 조립용 지지장치(이하 “지지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a universal join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universal joint installed between a shock absorber and a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so as to alleviate torsion or impact caused when the electric vehicle curves or vibrates up and dow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universal joint assembly suppor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pport device") that facilitates assembly by making it easy to adjust and maintain in a horizontal state.
일반적으로 궤도위에서 운행하게 되는 지하철(기차 포함)은 동시에 많은 인원이나 화물을 다량으로 수송하기 위해 다수의 차량이 서로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어져 길게 구성되게 되는데, 이와같이 다수의 차량이 연결되어 운행될때는 각 차량과의 순간속도 차이로 인한 전후충격과, 곡선의 궤도위를 주행할때 발생하게 되는 비틀림과, 주행시의 진동으로 인한 상하요동을 완화하고, 각 차량을 일정거리로 유지하기 위해 첨부도면 1과 같이 차량의 하부 전,후측 양끝단에는 연결장치(100) 에 의해 각 차량이 연결되게 된다. In general, subways (including trains) that run on track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large number of vehicl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ong time to transport a large number of people or cargo at the same time, when a large number of vehicles are connected and operated in this way Front and back shock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antaneous speed with each vehicle, torsion caused when driving on the track of the curve, and up and down fluctuations due to the vibration during driving, and to maintain each vehicle at a certain distance 1 Each vehicle is connected to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hicle by the connecting
이와같은 연결장치(100)는 첨부도면 1a에서 보는바와 같이 평면의 철판양면에 탄성력을 갖는 고무가 접합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탄성체에 의해 전동차의 전후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일측이 전동차 차측에 고정되는 완충기(400)와, 각 차량을 일정거리로 유지시키기 위해 길게 형성되고 공기배관등이 내장되어 지는 연결기(300)로 구성되게 되며, 완충기(400)와 연결기(400) 사이에는 유니버셜조인트(200)가 설치되게 된다.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1a, the connecting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0)는 중앙부에 핀공(210)이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원기둥이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상호 수직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서, The
일측은 상기 완충기(400)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플랜지(401)내에 삽입되어져 수직핀(410)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기(300) 끝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플랜지(301)내에 삽입되어져 수평핀(310)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게 결속되어지게 된다.One side is inserted into a pair of
이와같이 구성되는 유니버셜조인트(200)는 몸체 대부분이 완충기(400) 및 연결기(300)의 플랜지(401,301)내에 삽입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노출부위가 협소하여 작업공간이 부족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수 있는 특성 때문에 조립시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된다.The
이와같은 이유로 인해 종래에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유니버셜조인트의 일부분을 들고 눈대중으로 수평을 맞추면서 완충기의 플랜지내에 삽입하여 조립을 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뿐만 아니라 장시간 작업시에는 손의 통증이 유발 되거나 손가락을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a person directly holds a part of the universal joint by hand and inserts it into the flange of the shock absorber while leveling with the eye mass, thereby assembling not only remarkably, but also causing hand pain when working for a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nger or hurt your fin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유니버셜조인트(200)를 수평상태로 조정 및 유지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충기(400)의 플랜지(401)내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손쉽게 삽입하여 조립할수 있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device for easily inserting and assembling the universal joint into the
또한, 조립후에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자동적으로 탈착되어 아래부위로 이탈되게 함으로써 조립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게 구성되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도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device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lower part after assemb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ssembly work.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길게 형성되어지고, 일측 끝단에는 지지판(11)이 돌출 형성되어져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몸체(10)와,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 is formed long, the
상기 몸체(10)에 나사체결 되어지며 하기의 탄성체(30)의 장력을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력조정너트(20)와,
상기 몸체(10)와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동 및 좌우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측면은 하기의 탄성체(30)에 의해 탄성지지 되어져 일측 끝단이 연결기단부(301)에 지지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동지지판(40)과,
상기 몸체(10)에 나사체결 되어지고 일측면은 상기 유동지지판(40)과 밀착지지 되어져, 유니버셜조인트의 들어올림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정너트(50)와,Screwed to the
상기 장력조정너트(20) 및 유동지지판(40) 사이에 삽입되어져 유동지지판(40)을 탄성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탄성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는 사람이 직접 유니버셜 조인트(200)를 손으로 잡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조립할 필요가 없이 지지장치(100)에 의해 간단하게 수평상태로 조정 및 유지할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할뿐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work because it can be easily adjusted and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state by the
또한, 조립후에는 자동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이탈될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작업에 방해가 되지않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ach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ssembly has the advanta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operation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를 조립상태로 도시한 전체조립도이며.Figure 2 is an overall assembly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를 분해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는 첨부도면 도2 내지 도3에서 보는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 끝단에는 유니버셜조인트를 지지할수 있는 지지판(11)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몸체(10)와,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10) 외주면 나사에 취부되어져 하기의 탄성체(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정너트(20)와, 상기 몸체(10)와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동 및 좌우 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측 끝단이 연결기단부(301)에 지지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동지지판(40)과, 상기 몸체(10) 외주면 나사에 취부되고 일측은 상기 유동지지판(40)과 밀착지지되어져, 유니버셜조인트의 들어올림 각도를 조절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정너트(50)와, 상기 장력조정너트(20) 및 유동지지판(40) 사이에 삽입되어져 유동지지판(40)을 탄성지지 되도록 구성되는 탄성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crew of the
각 구성부분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Looking more closely at each component,
상기 몸체(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길게 형성되어진 나사형식으로 구성되며, 일측 끝단에는 지지판(11)이 돌출되어 형성되어지고 , 타측 끝단에는 편평하게 양측면부의 나사부를 일정부분 제거하여 안내 평면부(12)를 형성하고 안내평면부(12)에는 핀공(13)이 길쭉하게 관통 형성된다.The
지지판(11)은 유니버셜조인트(200)의 하부 내면을 지지하게 되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를 형성하는게 유리하다.The
상기 장력조정너트(20)는 외주면이 육각으로 형성되어진 통상의 너트 형상으로서, 상기 몸체(10)와는 와셔(60)와 함께 나사체결되며, 일측면이 하기의 탄성체(30)를 지지하여 너트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탄성체(30)의 장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상기 유동지지판(40)은 중앙부에 안내공(41)이 길쭉하게 일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되어지고 측부에는 고정용 핀공(42)이 관통하여 형성되어진다.The
이와같이 구성된 유동지지판(40)의 안내공(41)에는 상기 몸체(10)의 안내 평면부(12에 삽입되어 제한된 범위내에서 좌우 유동할수 있도록 결속되고, 측부의 핀공(42)에 삽입되는 고정핀(70)에 의해 결속되어져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속된다.The
또한, 일측면은 하기의 탄성체(3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타측은 길이조정너트(50)와 밀착 지지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ollowing
이와같이 구성된 유동지지판(40)의 일측 끝단은 연결기(300)의 하부 단부(301)에 지지되게 되며, 단부와 연결되는 끝단 부위는 유니버셜조인트 지지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를 형성하는게 유리하다.One end of the
상기 길이조정 너트(50)는 외주면이 육각으로 형성되어진 통상의 너트 형상으로서, 상기 몸체(10)와는 와셔(60)와 함께 나사체결되며, 일측면이 상기의 유동지지판(40)을 밀착지지 하여 너트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지지판(11)과 유동지지판(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니버셜 조인트(200)의 들어올림 각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상기 너트(50) 간단히 손으로 동작할수 있도록 나비너트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The
상기 탄성체(30)는 탄성력을 갖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력조정너트(20)와 유동지지판(40) 사이에 삽입되어져 유동지지판(40)을 탄성지지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ocess of using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몸체(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11)의 끝단을 유니버셜조인트(200)의 하측 내공 끝단에 걸치고 유동지지판(40)의 돌출부 끝단을 연결기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301)에 걸쳐서 유니버셜조인트(200) 가 대략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First, the
다음으로 길이조정너트(50)를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유니버셜조인트(200)의 들어올림 각도를 조절하면서 완충기의 플랜지(401)내에 삽입될수 있는 위치가 되도록 조정하게 된다.Next, while adjusting the lifting angle of the
길이조정너트(50)는 일반적인 나사와 같이 오른나사를 채용하게 되며, 왼쪽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풀림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이와 밀착지지되어 있는 유동지지판(40)이 탄성체(30)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려서 지지판(11) 과 유동지지판(4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유니버셜조인트(200)는 상승하게 되고, 반대로 오른쪽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하강하게 되어 수평상태로 조정,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The
만약 지지판(11)과 유동지지판(40)의 간격이 넓어 길이조정너트(50)가 지나치게 풀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동지지판(4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30)의 탄성력이 약해져서 유니버셜조인트(200)의 무게에 의해 유동지지판(40)은 고정핀(70)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발생하여 탄성체(30)의 탄성력을 이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유니버셜조인트(200)를 수평상태로 들어올릴수가 없게 되는데, 이때는 장력조정너트(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탄성체(30)가 적당한 탄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조정하게 된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와 반대로 길이조정너트(50)가 지나치게 조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체(30)의 탄성력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유니버셜조인트(200)가 완충기 플랜지(401)내에 삽입되고 난 이후에도 스스로 이탈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지지장치를 손상시키거나 조립작업에 장애를 발생하게 되므로 길이조정너트(40) 및 장력조정너트(50)을 이용하여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또한 적당한 탄성력을 유지할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유니버셜조인트(200)가 완충기(400)내 플랜지(401)내에 삽입되고 난후 완충기(400)를 연결기(300) 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완충기(400)의 하부 플랜지(401)가 본 발명 지지장치의 지지판(11)과 접촉하게 되고 점차로 지지판(11)을 밀게 된다.When the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지지판(11)이 우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돌출부 끝단이 연결기 단부에 걸쳐져 있는 유동지지판(40)은 탄성체(30)의 탄성력을 이기고 고 정핀(7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본 지지장치(100)는 자동적으로이탈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로우프(80))에 의해 메달리게 된다.When the
도1은 전동차용 연결장치의 개요도이며,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도 1a 는 도1의 “A"부 상세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 view "A" part of FIG.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를 조립상태로 도시한 전체조립도이며.Figure 2 is an overall assembly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를 분해상태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며,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도4는 유니버셜조인트가 본 발명에 의한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며.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iversal joi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도5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가 유니버셜조인트 조립후 이탈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fter the universal joint assembly.
10 : 몸체 11 : 지지판10
20 : 장력조정너트 30 : 탄성체20: tension adjusting nut 30: elastic body
40 : 유동지지판 50: 길이조정너트 40: floating support plate 50: length adjusting nut
60 : 와셔 70 : 고정핀60: washer 70: fixing pin
80 : 로우프80: Rope
100 : 지지장치100: support device
200 : 유니버셜조인트200: universal joint
300 : 연결기 400 : 완충기300: connector 400: shock absorbe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029A KR100924059B1 (en) | 2008-04-14 | 2008-04-14 |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4029A KR100924059B1 (en) | 2008-04-14 | 2008-04-14 |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858A KR20080039858A (en) | 2008-05-07 |
KR100924059B1 true KR100924059B1 (en) | 2009-10-27 |
Family
ID=3964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4029A KR100924059B1 (en) | 2008-04-14 | 2008-04-14 |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405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780B1 (en) | 2012-11-13 | 2014-06-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KR101438365B1 (en) | 2013-10-25 | 2014-09-05 | 대원강업주식회사 | Tension spring assembly for adjusting opening angle of trunk li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7648B1 (en) * | 2021-10-15 | 2023-07-19 | 현대로템 주식회사 | Lifting and shock absorbing devices for railway vehic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4377Y1 (en) * | 1989-12-28 | 1992-06-29 |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 Train coupling supporter |
JPH0544748U (en) * | 1991-11-20 | 1993-06-15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Coupling joint for railway vehicle coupler |
KR19980083603A (en) * | 1997-05-16 | 1998-12-05 | 오상수 | Adjust bolt with adjustable drive belt tension |
KR20030048877A (en) * | 2001-12-13 | 2003-06-25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utomobile propeller shaft with a structure for absorbing a shock along with axial direction |
-
2008
- 2008-04-14 KR KR1020080034029A patent/KR1009240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4377Y1 (en) * | 1989-12-28 | 1992-06-29 |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 Train coupling supporter |
JPH0544748U (en) * | 1991-11-20 | 1993-06-15 | 株式会社日本製鋼所 | Coupling joint for railway vehicle coupler |
KR19980083603A (en) * | 1997-05-16 | 1998-12-05 | 오상수 | Adjust bolt with adjustable drive belt tension |
KR20030048877A (en) * | 2001-12-13 | 2003-06-25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utomobile propeller shaft with a structure for absorbing a shock along with axial direc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780B1 (en) | 2012-11-13 | 2014-06-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KR101438365B1 (en) | 2013-10-25 | 2014-09-05 | 대원강업주식회사 | Tension spring assembly for adjusting opening angle of trunk l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858A (en) | 2008-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081915A (en) | Vehicle suspension support structure | |
KR100924059B1 (en) | Support device for assembling electric universal joint | |
KR101083512B1 (en) | Bogie connection device of rolling stock | |
KR101639787B1 (en) | air-spr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vehicle | |
KR20150113250A (en) | Leaf spring Suspension | |
KR101624506B1 (en) | Camber angle variable rear axle | |
KR100934575B1 (en) | Shock absorber with camber adjustment mount | |
KR20010056013A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CN204222574U (en) | A kind of shock absorber upper bracket | |
US1548905A (en) | Shock absorber | |
JP2010100219A (en) | Vehicle height detector | |
KR20190021718A (en) | Spring pad 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and suspension system comprising this | |
CN203485696U (en) | Vehicle | |
EP2796340A1 (en) | Quick-connection lifter device | |
CN206446441U (en) | Speed changer resilient protection system applied to three-wheeled motor car | |
JP2008296892A (en) | Shock-absorbing towing device | |
CN221623840U (en) | Container bracket connection structure | |
CN114683791B (en) | Robot chassis suspension structure | |
CN208616047U (en) | Shock absorber, body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shock absorber and body | |
CN203485695U (en) | Vehicle | |
KR20110108457A (en) | Front suspension system for truck | |
KR20160004376U (en) | Car shock absorbers device | |
KR20120108689A (en) | Lower part machinery fixing devide of railway vehicle | |
CN108482047B (en) | Plate spring positioning clamp for front axle of passenger car | |
CN107933232B (en) | Support assembly and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