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3231B1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 Google Patents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231B1
KR100923231B1 KR1020060098457A KR20060098457A KR100923231B1 KR 100923231 B1 KR100923231 B1 KR 100923231B1 KR 1020060098457 A KR1020060098457 A KR 1020060098457A KR 20060098457 A KR20060098457 A KR 20060098457A KR 100923231 B1 KR100923231 B1 KR 10092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jacket
strap
bracket
t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2515A (en
Inventor
오희동
손호철
이인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31B1/en
Publication of KR2008003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5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3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7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by a blade element cutting or tearing into a quantity of material; Pultrusion of a fill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embers, e.g. a flat strap, yielding through stretching, pulling a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1피스 자켓을 적용하며 자켓의 끝단에 이너 브라켓을 용접하고, 이너 브라켓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하며, 이너 브라켓과 자켓의 외부를 감싸며 자켓의 슬롯에 연결되도록 홀을 가진 로워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칼럼에서 로워 브라켓의 차체와 연결되는 홀과 동일 크기를 갖는 테어 스트랩의 홀을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겹치게 구비하여 차체에 볼팅함으로서 충돌시 테어 스트랩이 원하는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비용을 절감하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칼럼 패키지(package)를 여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과 상기 자켓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소정 길이만큼 슬롯이 일측면에 형성된 이너 브라켓과 상기 자켓과 상기 이너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에 연결되도록 소정 위치에 홀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과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에 구비되는 레이크 볼트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과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컬링부를 갖는 테어 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테어 스트랩 홀이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테어 스트랩의 돌출된 컬링부를 굴곡하여 상기 레이크 볼트로 고정 및 결합하여 차체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Figure R1020060098457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 자켓, 이너 브라켓, 로워 브라켓, 테어 스트랩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n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which applies a one-piece jacket, welds an inner bracket to an end of the jacket, forms a slot to slide on the inner bracket, and an inner bracket In the column consisting of a lower bracket having a hole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jacket and the jacket slot, the hole of the tear strap having the same size as the hol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lower bracket is overlapped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Bolting to the car body ensures that the tare strap can achieve the desired shock absorbing performance in the event of a crash, reduce costs and increase rigidity, and provide an automotive rake tilt steering column that allows easy selection of column packages. A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t is welded to one side of the jacket and the jacket, the inner brack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o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wer bracke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jacket and the inner bracket, the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connected to the slot and It has a hinge point including a rake bolt provided in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has a tare strap hol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 shape Comprising a tare strap having a protruding curling portion, the tare strap hole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protruding curling portion of the tare strap is bent and fixed and coupled with the rake bolt to the vehicle body Characterized by bolting on.

Figure R1020060098457

Lake Tilt Steering Column, Jacket, Inner Bracket, Lower Bracket, Tear Strap

Description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a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a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A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a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2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컬링 후의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fter cur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는 평면도 및 단면도,8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링 후의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9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fter cur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과 이너 브라켓의 결합도.12 is a coupling view of the tear strap and the inner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 10 : 이너 브라켓1: Lake Tilt Steering Column 10: Inner Bracket

20 : 이너 브라켓 21 : 슬롯20: inner bracket 21: slot

30 : 로워 브라켓 31 : 홀30: lower bracket 31: hole

40 : 테어 스트랩 41 : 테어 스트랩 홀40: Tear Strap 41: Tear Strap Hole

42 : 테어 세션 43 : 컬링부42: tear session 43: curling unit

46 : 테어 스트랩 가이드 47 : 후크46: Tear Strap Guide 47: Hook

50 : 힌지 포인트 51 : 레이크 볼트50: hinge point 51: rake bol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피스 자켓을 적용하며, 자켓의 끝단에 이너 브라켓을 용접하고, 이너 브라켓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하며, 이너 브라켓과 자켓의 외부를 감싸고, 자켓의 슬롯에 연결되도록 홀을 가진 로워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칼럼에서 로워 브라켓의 차체에 연결되는 홀과 동일 크기를 갖는 테어 스트랩의 홀을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겹치게 구비하여 차체에 볼팅함으로서 충돌시 테어 스트랩이 원하는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비용을 절감하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칼럼 패키지(package)를 여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hock absorption of the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pply a one-piece jacket, to weld the inner bracket to the end of the jacket, and to form a slot to slide the inner bracket (sliding)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jacket, and the lower bracket having a hole to be connected to the slot of the jacket in the column of the lower strap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hol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lower bracket concentric with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By overlapping bolts to the body to achieve the desired shock-absorbing performance in the event of a crash, reduce the cost and increase the rigidity, car lake tilt can be easily selected column package It's about a steering colum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시스템은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는 조작 기구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조작 기구의 운동 방향을 바꾸어 주는 기어 기구와, 상기 기어 기구의 작동을 전륜에 전달하고 좌·우륜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링크 기구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 기구의 스티어링 샤프트 및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를 감싸는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는 충격 사고시 스티어링 휠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includes an operating mechanism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to a steering gear and a link to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a gear mechanism for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by reduc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perating mechanism, Link mechanisms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gear mechanism to the front wheel and correctly support the relationship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nd the steering shaft of the operating mechanism and the steering column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steering column) in the steering wheel in the event of an impact accident The shock absorb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driver from injuring.

상기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 장치는 차체의 충격시 스티어링 샤프트와 스티어링 칼럼의 변형으로 충격 에너지가 흡수 되도록 하는 충격 흡수 장치로서, 차량 충돌 및 사고로 인한 큰 충격 전달시 그물 모양의 자켓(jacket)이 수축하면서 층격을 흡수하는 메시 타입(mesh type)과 벨로우즈관을 이용한 벨로우즈 타입(bellows type)과 볼과 슬리브를 이용한 볼 슬리브 타입(ball-sleeve type)으로 구분된다.The shock absorber of the vehicle is a shock absorber that absorbs the impact energy by deforma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column during the impact of the vehicle body, the net-shaped jacket shrinks during the transmission of a large impact due to vehicle collisions and accidents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a mesh type that absorbs lamellas, a bellows type using a bellows tube, and a ball-sleeve type using a ball and a sleeve.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00)은 스티어링 칼럼인 중공 형상의 원통 형태인 로워 자켓(lower jacket,120), 어퍼 자켓(upper jacket,110), 로워 마운팅 브라켓(lower mounting bracket,130), 그리고 볼 슬리브(ball-sleeve,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ere, as shown in Figure 1, the steering column 100 is a hollow cylindrical shape of the steering column (lower jacket, 120, upper jacket, 110, lower mounting bracket (lower mounting bracket, 130, and a ball-sleeve 140.

여기서, 볼 슬리브(140)는 상·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를 감싸는 스티어링 칼럼(100)의 스티어링 칼럼 자켓인 로워 자켓(120)의 외주면과 어퍼 자켓(110)의 내주면 사이에 다수개의 볼이 삽입되어 형성된 볼 슬리브(140)가 압입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Here, the ball sleeve 140 has a plurality of ball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jacket 120, which is a steering column jacket of the steering column 100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steering shafts (not show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jacket 110. The ball sleeve 140 is inserted is formed to form a press-fit.

즉, 조립시 다수개의 볼이 삽입된 볼 슬리브(140)를 로워 자켓(120) 및 어퍼 자켓(110) 사이에 끼우고 프레스로 어퍼 자켓(110)을 가압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during assembly, the ball sleeve 140 into which a plurality of balls are inserted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jacket 120 and the upper jacket 110 and presses the upper jacket 110 by pressing.

이때, 로워 자켓(120)의 크기에 따른 볼 슬리브(140)의 압입성 향상을 위해 상기 볼 슬리브(140)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 slot (not shown)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leeve 140 to improve the indentability of the ball sleeve 14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wer jacket 120.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100)의 볼 슬리브(140)는 스티어링 칼럼 자켓인 로워 자켓(120) 및 어퍼 자켓(110)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볼이 삽입된 볼 슬리브를 조립하여 차량 충돌로 인한 충격시 볼 슬리브(140)가 로워 자켓(120)과 어퍼 자켓(110)에 압입되면서 소성 변형을 일으켜 충격 흡수를 하게된다.The ball sleeve 140 of the steering column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sembles a ball sleeve in which a plurality of balls inserted between the lower jacket 120 and the upper jacket 110, which are steering column jackets, is assembled into a vehicle. When the impact due to the impact, the ball sleeve 140 is pressed into the lower jacket 120 and the upper jacket 110 to cause plastic deformation to absorb the shock.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는 로워 자켓과 어퍼 자켓의 2 피스(piece) 자켓을 구비하여 단가 상승과 그에 따른 강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cludes a lower jacket and a two-piece jacket of the upper jacke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it cost increases and the rigidity decreases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 상기 자켓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소정 길이만큼 슬롯이 형성된 이너 브라켓; 상기 자켓과 상기 이너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소정 위치에 상기 슬롯에 연결되도록 홀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에 구비되도록 레이크 볼트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과 일치되는 크기로 축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컬링부를 갖는 테어 스트랩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테어 스트랩 홀이 상기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테어 스트랩의 컬링부를 굴곡하여 상기 레이크 볼트로 차체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tegral jacket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 inner bracket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and formed with a slot by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bracket provided outside the jacket and the inner bracket and having a hol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lo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hinge point including a rake bolt to be provided in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The tare strap hole may have a tare strap hol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curling part protruding in a “├” shape, and the tare strap hole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n automotive rake tilt steering column, which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a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curling part of the tear strap is bent to the vehicle body with the rake bol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과 상기 자켓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소정 길이만큼 슬롯이 일측면에 형성된 이너 브라켓, 자켓과 이너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슬롯에 연결되도록 소정 위치에 홀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 로워 브라켓의 홀에 구비되는 레이크 볼트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 그리고, 로워 브라켓의 홀과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컬링부를 갖는 테어 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테어 스트랩 홀이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테어 스트랩의 돌출된 컬링부를 굴곡하여 레이크 볼트로 고정 및 결합하여 차체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and the integral jacket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inner bracke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racket, the jacket and the inner bracket by a predetermined length A lower bracket having a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lot, a hinge point including a rake bolt provided at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a size corresponding to a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Comprising a tear strap hole formed in each of the tear strap has a tear strap hole, and formed to protrude in a "├" shape, the tear strap hole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the curved curled portion of the tear strap By fixing and coupling with the rake bol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ing to the vehicle body.

그리고, 테어 스트랩은 길이 방향의 중심 소정 위치 컬링부의 외측으로 테어 세션을 형성하고, 테어 세션의 길이는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re strap forms a tare session outside the center predetermined position cur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tare session is variable.

또한, 테어 스트랩의 컬링부를 이너 브라켓의 상측면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rling portion of the tear str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racket.

그리고, 테어 세션의 컬링부를 이너 브라켓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ling part of the tear session is bolted to the inner bracket.

또한, 테어 스트랩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테어 스트립의 벤딩 방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tear strip by forming a guide on the tear strap.

다른 실시예로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과; 자켓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소정 길이만큼 슬롯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면 소정 위치에 테어부가 형성된 이너 브라켓, 자켓과 상기 이너 브라켓의 외측에 구비되며, 슬롯에 연결되도록 일측 소정 위치에 홀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 로워 브라켓의 홀에 구비되는 레이크 볼트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 그리고 중심 소정 위치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각각 형성된 테어 세션이 형성된 테어 스트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테어 스트랩이 테어부를 통해 레이크 볼트가 구비된 힌지 포인트에 걸리도록 상기 테어 스트랩의 끝단을 후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integral jacket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inner bracket is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the slot is formed on one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racket, the jacket and the inner bracket having a tare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hole is provided at one predetermined position to be connected to the slot. The lower bracket is formed, the hinge point including a rake bolt provided in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and a tare strap formed with a tare session each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redetermined position, the tare strap is formed through the tare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tear strap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so that the hinge point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컬링 후의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링 후의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 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어 스트랩과 이너 브라켓의 결합도이다.2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after cur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a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ap, FIG. 9 is a cur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ear strap of FIG.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tare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tear strap and an inner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 구조는 자켓(10)과, 이너 브라켓(20), 로워 브라켓(30), 테어 스트랩(40), 그리고 힌지 포인트(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acket 10, an inner bracket 20, a lower bracket 30, a tear strap 40, And it consists of a hinge point (50).

상기 자켓(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일체형 1피스(piece)로 형성되며, 상기 자켓(10)의 일측 단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소정 길이의 슬롯(21)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 브라켓(20)이 구비되고, 상기 자켓(10)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21)에 연결되도록 홀(31)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30)이 구비된다.The jacket 10 is formed in one piece (piece)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10, the inner bracket 20 is formed with a slot 21 of a predetermined length ) Is provided, the lower bracket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jacket 10 and the inner bracket 20, the hole 3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lot (21).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슬롯(21)에 구비되며, 레이크 볼트(51)로 체결 및 조립되는 힌지 포인트(50)와,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일치되는 크기로 축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41)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컬링부(43)를 갖는 테어 스트랩(40)이 구비된다.The hinge bracket 50 is provided in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slot 21 of the inner bracket 20, and is fastened and assembled with the rake bolt 51, and the lower bracket ( The tare strap 40 has a tare strap hole 41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curling portion 43 protruding in a "├" shap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31 of the 30. 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테어 스트랩 홀(41)이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테어 스트랩(41)의 컬링부(43)를 굴곡하여 상기 레이 크 볼트(51)로 차체에 볼팅한다.Here, the tare strap hole 41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the curling portion 43 of the tare strap 41 is bent to the rake bolt 51 Bolt to the body.

그리고,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컬링부(43)의 외측으로 테어 세션(42)을 형성한다. 상기 테어 세션(42)의 길이는 가변 가능 하여 컬랩스(collapse)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n, a tear session 42 is formed outside the curling portion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tear strap 40. The length of the tear session 42 may be variable to adjust the collapsing length.

따라서, 상기 테어 세션(42)이 형성된 상기 테어 스트랩(40)은 차량의 충돌시, 상기 테에 세션(42)이 찢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테어 세션(42)이 찢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컬링부(43)를 상기 이너 브라켓(20)과 용접하여 일체화시켜 충돌시 상기 자켓(10)이 아래로 밀려 내려갈 때 상기 자켓(10)과 일체화되어 있는 이너 브라켓(20)이 함께 밀려 내려가면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상기 컬링부(43)는 상기 이너 브라켓(20)과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찢어질 수 있으며 이 찢어지는 힘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re strap 40 in which the tare session 42 is formed may absorb the shock while the session 42 is torn in the rim when the vehicle collides, so that the tare session 42 may be torn. In order to integrate the curling part 43 of the tare strap 40 with the inner bracket 20 by integrating the inner bracket 20 when the jacket 10 is pushed dow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n inner bracket ( 20 is pushed down together, the curling portion 43 of the tear strap 40 is integrated with the inner bracket 20, the tear strap 40 can be torn and the impact by this tearing force It can absorb.

여기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컬링부(43)와 상기 이너 브라켓(20)은 볼트 체결할 수 있다.Here, the curling portion 43 and the inner bracket 20 of the tear strap 40 may be bolted.

다른 실시예로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 구조는 자켓(10)과, 이너 브라켓(20), 로워 브라켓(30), 테어 스트랩(40), 그리고 힌지 포인트(50)로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rake tilt steering column 1 for a vehicle may include a jacket 10, an inner bracket 20, a lower bracket 30, a tear strap 40, and a hinge point 50. It is composed.

상기 자켓(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일체형 1피스(piece)로 형성되며, 상기 자켓(10)의 일측 단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소정 길이의 슬롯(21)이 형성되어 있는 이너 브라켓(20)이 구비되고, 상기 자켓(10)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21)에 연결되도록 홀(31)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30)이 구비된다.The jacket 10 is formed in one piece (piece)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10, the inner bracket 20 is formed with a slot 21 of a predetermined length ) Is provided, the lower bracket 3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jacket 10 and the inner bracket 20, the hole 3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lot (21).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슬롯(21)에 구비되며, 레이크 볼트(51)로 체결 및 조립되는 힌지 포인트(50)와,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일치되는 크기로 축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41)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컬링부(43)를 갖는 테어 스트랩(40)이 구비된다.The hinge bracket 50 is provided in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slot 21 of the inner bracket 20, and is fastened and assembled with the rake bolt 51, and the lower bracket ( The tare strap 40 has a tare strap hole 41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curling portion 43 protruding in a "├" shap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31 of the 30. I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테어 스트랩 홀(41)이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테어 스트랩(41)의 컬링부(43)를 굴곡하여 상기 레이크 볼트(51)로 차체에 볼팅한다.Here, the tear strap hole 41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curling part 43 of the tear strap 41 is bent to the rake bolt 51. Bolt to the body.

이때, 상기 테어 스트랩(40)에 가이드(46)를 형성하여 상기 충돌시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벤딩(bending)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uide 46 may be formed on the tare strap 40 to prevent the tare strap 40 from bending during the collision.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가이드(46)는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컬링부(43)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46)에 가이드됨으로써, 충돌시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벤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충격 흡수를 할 수 있다.The guide 46 of the tare strap 4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are strap 40, and the end of the curling portion 43 is guided to the guide 46, so that the tare strap in case of collision ( 40)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and stable shock absorption can be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 구조는 자켓(10)과, 이너 브라켓(20), 로워 브라켓(30), 테어 스트랩(40), 그리고 힌지 포인트(5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acket 10, an inner bracket 20, a lower bracket 30, a tear strap 40, and It consists of a hinge point 50.

그리고, 상기 자켓(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일체형 1피스(piece)로 형성되며, 상기 자켓(10)의 일측 단에 용접되어 구비되며, 소정 길이의 슬롯(21)이 형성되며 상부면에 테어부(53)가 형성된 이너 브라켓(20)이 구비되고, In addition, the jacket 10 is formed in one piece (piece)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10, a slot 2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ner bracket 20 having a tear part 53 is provided,

상기 자켓(10)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21)에 연결되도록 홀(31)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30)이 구비된다.A lower bracket 30 is provided outside the jacket 10 and the inner bracket 20 and has a hole 31 formed therei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lot 21.

그리고,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 및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슬롯(21)에 구비되며, 레이크 볼트(51)로 체결 및 조립되는 힌지 포인트(50)와, 중심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테어 세션(42)이 구비된 테어 스트랩(4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hinge point 50 provided in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the slot 21 of the inner bracket 20, fastened and assembled by the rake bolt 51, and at a central position There is provided a tear strap 40 with a formed tear session 42.

여기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상기 테어부(53)를 통해 상기 레이크 볼트(51)가 구비된 힌지 포인트(50)에 걸리도록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끝단을 후크(hook,47)형상으로 형성한다.Here, a hook (47) shape of the end of the tare strap 40 so that the tare strap 40 is caught by the hinge point 50 provided with the rake bolt 51 through the tare portion (53). To form.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lake tilt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 구조는 자켓(10)과, 이너 브라켓(20), 로워 브라켓(30), 테어 스트랩(40), 그리고 힌지 포인트(50)로 구성되며, 중심에 테어 세션(42)이 형성된 상기 테어 스트랩(40)은 차량의 충돌시, 상기 테어 세션(42)이 찢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테어 세션(42)이 찢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컬링부(43)를 상기 이너 브 라켓(20)과 용접하여 일체화시켜 충돌시 상기 자켓(10)이 아래로 밀려 내려갈 때 상기 자켓(10)과 일체화되어 있는 이너 브라켓(20)이 함께 밀려 내려가면서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상기 컬링부(43)는 상기 이너 브라켓(20)과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찢어질 수 있으며 이 찢어지는 힘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1 is composed of a jacket 10, an inner bracket 20, a lower bracket 30, a tear strap 40, and a hinge point 50. The tear strap 40 in which the tear session 42 is formed may absorb the impact as the tear session 42 is torn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and the tear strap 42 may be torn to allow the tear session 42 to be torn. The inner bracket 20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jacket 10 is integrated when the curling part 43 of the 40 is welded and integrated with the inner bracket 20 so that the jacket 10 is pushed down during a collision. The curling portion 43 of the tear strap 40 is integrated with the inner bracket 20 while being pushed down together, and the tear strap 40 may be torn and absorbs an impact by the tear force.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1피스 자켓을 적용하며 자켓의 끝단에 이너 브라켓을 용접하고, 이너 브라켓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슬롯을 형성하며, 이너 브라켓과 자켓의 외부를 감싸며 이너 브라켓의 슬롯에 연결되도록 홀을 가진 로워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칼럼에서 로워 브라켓의 차체와 연결되는 홀과 동일 크기를 갖는 테어 스트랩의 홀을 로워 브라켓의 홀과 동심을 이루도록 겹치게 구비하여 차체에 볼팅하는 구성을 갖는 자동차용 레이트 틸트 스티어링 칼럼은 비용을 절감하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칼럼 패키지(package)를 여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one-piece jacket, weld the inner bracket to the end of the jacket, form a slot to slide on the inner bracket, and wrap the outer bracket and the outer of the jacket In the column consisting of a lower bracket having a hole to be connected to the slot of the inner bracket, a hole of a tare strap having the same size as the hol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lower bracket is provided to overlap the hole of the lower bracket so as to be bolted to the body The late tilt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can reduce cost and increase rigidity, and can have an effect of selecting a column package with ea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Claims (7)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10);An integrated jacket 10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상기 자켓(10)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슬롯(21)이 일측면에 형성된 이너 브라켓(20);An inner bracket 20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10 and having a slot 21 formed on one side thereof; 상기 자켓(10)과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21)에 연결되도록 홀(31)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30); A lower bracket (30) provided outside the jacket (10) and the inner bracket (20) and having a hole (31)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lot (21);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에 구비되는 레이크 볼트(51)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50); 그리고,A hinge point 50 including a rake bolt 51 provided in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테어 스트랩 홀(41)을 가지며, "├"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컬링부(43)를 갖는 테어 스트랩(40);The curling part 4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has a tear strap hole 41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a “├” shape. Tear strap 40 having;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테어 스트랩 홀(41)이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과 동심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테어 스트랩(41)의 돌출된 컬링부(43)를 굴곡하여 상기 레이크 볼트(51)로 고정 및 결합하여 차체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It is made, including, the tear strap hole 41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by bending the protruding curling portion 43 of the tear strap 41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 fixed to the rake bolt 51 and bolted to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컬링부(43)의 외측으로 테어 세션(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tear session (42) outwardly of the curling portion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tear strap (4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컬링부(43)를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상측면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l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elding the curling portion (43) of the tear strap (40)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bracket (20).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테어 세션(42)의 컬링부(43)를 상기 이너 브라켓(20)에 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ling portion 43 of the tear session (42) is bolted to the inner bracket (2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하측에 가이드(46)를 형성하고, 상기 컬링부(43)의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46)에 가이드되어 상기 테어 스트립(40)의 벤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The guide 46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ear strap 40, and the end of the curling portion 43 is guided to the guide 46 to prevent bending of the tear strip 40 Shock-absorbing structure of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체형 자켓(10);An integrated jacket 10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상기 자켓(10)의 일측 단에 용접되며, 슬롯(21)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에 테어부(53)가 형성된 이너 브라켓(20);An inner bracket 20 welded to one end of the jacket 10, a slot 21 formed at one side, and a tare portion 53 form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자켓(10)과 상기 이너 브라켓(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롯(21)에 연결되도록 홀(31)이 형성된 로워 브라켓(30);A lower bracket (30) provided outside the jacket (10) and the inner bracket (20) and having a hole (31)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lot (21); 상기 로워 브라켓(30)의 홀(31)에 구비되는 레이크 볼트(51)를 포함하는 힌지 포인트(50); 그리고A hinge point 50 including a rake bolt 51 provided in the hole 31 of the lower bracket 30; And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테어 세션(42)이 형성된 테어 스트랩(40);A tear strap 40 having a tear session 42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테어 스트랩(40)이 상기 테어부(53)를 통해 상기 레이크 볼트(51)가 구비된 힌지 포인트(50)에 걸리도록 상기 테어 스트랩(40)의 끝단을 후크(47)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레이크 틸트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It is made, including, but the hook of the end of the tare strap 40 so that the tare strap 40 is caught by the hinge point 50 is provided with the rake bolt 51 through the tare portion (53)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rake tilt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KR1020060098457A 2006-10-10 2006-10-10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457A KR100923231B1 (en) 2006-10-10 2006-10-10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457A KR100923231B1 (en) 2006-10-10 2006-10-10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515A KR20080032515A (en) 2008-04-15
KR100923231B1 true KR100923231B1 (en) 2009-10-27

Family

ID=3953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4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3231B1 (en) 2006-10-10 2006-10-10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6221B1 (en) * 2019-02-28 2024-11-0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Steering Column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985A (en) * 1997-11-01 1999-06-05 인 죤슨 Test Mod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37706U (en) * 1998-03-11 1999-10-15 배길훈 Shock-absorb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using wave strap
JP2000127991A (en) 1998-10-30 2000-05-09 Nsk Ltd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and automobile
KR20050026717A (en) * 2003-09-06 2005-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nergy absorbing tilting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985A (en) * 1997-11-01 1999-06-05 인 죤슨 Test Mod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37706U (en) * 1998-03-11 1999-10-15 배길훈 Shock-absorb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using wave strap
JP2000127991A (en) 1998-10-30 2000-05-09 Nsk Ltd Shock absorbing steering device and automobile
KR20050026717A (en) * 2003-09-06 2005-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nergy absorbing tilting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515A (en)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95B1 (en)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with shock absorber
US7914044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H085095Y2 (en) Shock absorption type steering column device
JP4914314B2 (en) Bumper device for vehicle
KR100923231B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JP2749125B2 (en) Car steering column tube
KR100820007B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KR100837993B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KR20080043666A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Lake Tilt Steering Column
KR101131283B1 (en) Collis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KR101095969B1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Convoluted Tube Assembly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KR200158237Y1 (en) Shock Absorber of Vehicle Steering Column Tube
KR101046186B1 (en) Mounting Bracket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100853591B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with Shock Absorption Spring
KR100369488B1 (en) Steering Column Column Tube
KR20070028875A (en) Shock-absorbing structure of car steering column
KR100192310B1 (en) Shock absorber of steering wheel
KR200187368Y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KR19990019892A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Steering Column
JPH06286618A (en) Impact energy absorbing type steering wheel
KR20000006057U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KR19980064371U (en) Steering shaft of car
KR20040050133A (en) Collapsing Structure of Automobile Steering Columns
JP2000264224A (en) Steering wheel with shock absorbing funciton
KR20040087790A (en) Impact-Energy Absorb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