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3216B1 -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216B1
KR100923216B1 KR1020090072226A KR20090072226A KR100923216B1 KR 100923216 B1 KR100923216 B1 KR 100923216B1 KR 1020090072226 A KR1020090072226 A KR 1020090072226A KR 20090072226 A KR20090072226 A KR 20090072226A KR 100923216 B1 KR100923216 B1 KR 10092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transmission line
groove
disc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중
이희철
이만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9007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having single supports directly connected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판과 기초판에 형성된 절곡홈과 전선홈의 일치되는 부분에 따라 송전선을 쉽게 고정하여 송전선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2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 기초판(20);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회전판(30);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40);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 통되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되는 고정볼트(50);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송전선(1)과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임시고정고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72226
기초판, 회전판, 절곡홈, 전선홈, 호형홈, 스프링, 임시고정고리

Description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 A spacer for a power transmission line on steel tower }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과 기초판에 형성된 절곡홈과 전선홈의 일치되는 부분에 따라 송전선을 쉽게 고정하여 송전선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이다.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통상, 상기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빗게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 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송전선들에 연결되는 클램프와, 클램프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와, 봉체에 부착되는 절연관 및 다수개의 날개판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송전선들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고,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 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하나의 프레임에 다수의 송전선 클램핑장치가 일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 클램핑장치는 작업자가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볼트 결합하거나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어 고공에서 장시간 힘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매번 전용공구를 휴대한 상태로 공구를 교체해 가며 송전선 취부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수밖에 없고, 작업시간이 많이 경과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페이서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여 시공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제공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 두개를 회전시켜서 송전선을 삽입한 후 놓으면 간단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자체 하중으로 인한 송전선로의 늘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로용 스페이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전선에 고정하는 상간 스페이서에 있어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의 중앙에 중심홀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을 중심으로 원판체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이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의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에 다수개의 통풍홀이 형성된 기초판; 기초판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의 중앙에 중심홀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을 중심으로 원판체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이 기초판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의 일측에 기초판 의 고정돌기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에 다수개의 통풍홀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홈은 수직부와 일체로 절곡부가 형성되어 기초판의 전선홈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회전판; 일단은 기초판의 고정돌기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의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 기초판의 중심홀과 회전판의 중심홀에 관통되어 기초판과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볼트;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의 전선홈과 회전판의 절곡홈의 수직부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중 상부 2개의 송전선을 삽입할 때 송전선과 손잡이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임시고정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과 기초판에 설치된 스프링이 늘어나도록 회전시킨 후 송전선을 일치된 절곡홈 수직부와 전선홈에 삽입한 후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회전하여 절곡홈의 절곡부에 송전선이 위치하여 쉽게 고정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가벼운 절연 재질로 스페이서가 형성되므로 송전선 무게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풍홀로 이해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효과가 있다.
임시고정고리로 미리 상부 두개의 송전선을 위치 고정시키고 하부의 두개 송전선을 삽입후 힘을 제거하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에 고정하는 상간 스페이서(10)로서,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스프링(40)에 의하여 탄력지지되도록 구성되고, 기초판(20)에는 4개의 전선홈(23)이 형성되며, 회전판(30)에는 기초판(20)과 대응되는 4개의 절곡홈(33)이 형성되어 송전선(1)을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기초판(2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전선홈(23)은 4개가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전선홈(23) 두개는 동일 수평선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전선홈(23)의 나머지 두개는 동일 수평선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 각각 2개씩의 송전선(1)을 고정하여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된다.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한 스프링(40)의 일단이 고정된다.
기초판(20)의 원판체(21)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다.
회전판(30)은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회전판(30)은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판(30)은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된다.
통풍홀(36)은 회전판(30)의 절곡홈(33)중 절국부(33-2)와 기초판(10)의 전선홈(23)이 일치될 때, 기초판(10)의 통풍홀(26)과 일치되어 바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길이 형성되어 풍격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스프링(40)의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회전판(30)과 기초판(20)은 고정볼트(50)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0)이 당기는 위치로 원위치되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1)을 고정하게 된다.
고정볼트(50)는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통되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된다.
임시고정고리(60)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임시고정고리(60)의 일단은 송전선(1)에 걸리고, 임시고정고리(60)의 타단은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의 손잡이를 각각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판(30)의 절곡홈(33) 수직부(33-1)와 기초판(20)의 전선홈(23)이 일치되고, 일치된 공간으로 송전선(1)이 삽입된다. 즉 상부의 두개 송전선(1)이 삽입된 후 임시고정고리(60)를 걸어 임시로 고정한 후 아래쪽 두개의 송전선(1)을 전선홈(23)과 수직부(33-1)에 삽입하고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회전판(30)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홈(33)의 절곡부(33-2)가 전선홈(23)의 위치에 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막혀 송전선(1)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송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송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송전선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의 회전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의 기초판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송전선 10 : 스페이서
20 : 기초판 21 : 원판체
22 : 중심홀 23 : 전선홈
24 : 호형홈 25 : 고정돌기
26 : 통풍홀 27 : 손잡이
30 : 회전판 31 : 원판체
32 : 중심홀 33 : 절곡홈
33-1 : 수직부 33-2 : 절곡부
34 : 호형홈 35 : 고정돌기
36 : 통풍홀 37 : 손잡이
40 : 스프링 50 : 고정볼트
51 : 너트 60 : 임시고정고리

Claims (1)

  1. 송전선에 고정하는 상간 스페이서에 있어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2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 기초판(20);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회전판(30);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40);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통되어 기초판(20) 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되는 고정볼트(50);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송전선(1)과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임시고정고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20090072226A 2009-08-06 2009-08-06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Active KR10092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226A KR100923216B1 (ko) 2009-08-06 2009-08-06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226A KR100923216B1 (ko) 2009-08-06 2009-08-06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216B1 true KR100923216B1 (ko) 2009-10-27

Family

ID=4156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226A Active KR100923216B1 (ko) 2009-08-06 2009-08-06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513B1 (ko) 2010-09-30 2012-06-13 한국전력공사 통신선 분리 배열 장치
KR101812154B1 (ko) 2016-12-29 2017-12-28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KR101885223B1 (ko) 2017-12-20 2018-08-06 (주)한송엔지니어링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1979143B1 (ko) * 2018-01-04 2019-05-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페이서-댐퍼 부싱 교체 장치
CN109950847A (zh) * 2019-02-16 2019-06-2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输电线路防舞间隔器
KR102160032B1 (ko) 2020-05-07 2020-09-25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43A (ja) * 1995-05-19 1996-11-29 Hitachi Cable Ltd 多導体スペーサ
KR19990049130A (ko) * 1997-12-11 1999-07-05 엄순천 스페이스 댐퍼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KR100891280B1 (ko) 2008-08-26 2009-04-06 (주)다인그룹이엔씨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43A (ja) * 1995-05-19 1996-11-29 Hitachi Cable Ltd 多導体スペーサ
KR19990049130A (ko) * 1997-12-11 1999-07-05 엄순천 스페이스 댐퍼
KR100794340B1 (ko) 2007-06-28 2008-01-1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를 교체할 수 있게 한스페이서 지그 및 그 스페이서 지그를 이용한 스페이서댐퍼의 교체공법
KR100891280B1 (ko) 2008-08-26 2009-04-06 (주)다인그룹이엔씨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513B1 (ko) 2010-09-30 2012-06-13 한국전력공사 통신선 분리 배열 장치
KR101812154B1 (ko) 2016-12-29 2017-12-28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KR101885223B1 (ko) 2017-12-20 2018-08-06 (주)한송엔지니어링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1979143B1 (ko) * 2018-01-04 2019-05-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페이서-댐퍼 부싱 교체 장치
CN109950847A (zh) * 2019-02-16 2019-06-2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输电线路防舞间隔器
KR102160032B1 (ko) 2020-05-07 2020-09-25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216B1 (ko)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0899184B1 (ko)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0899771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812154B1 (ko)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KR100880880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US20120326001A1 (en) Base structure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JP2010284093A (ja) 鳥害防止装置
CN207504520U (zh) 防鸟装置
US8985535B1 (en) Wind resilient mast arm mounting assembly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CN103579983B (zh) 输电线路防鸟针板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JP5059164B2 (ja) 電線用防鳥装置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US3494584A (en) Multi-purpose fuse cut-out and insulator bracket
CN103583505B (zh) 输电线路防鸟装置及区域性综合防鸟方法
KR100865074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160032B1 (ko)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KR100926647B1 (ko) 송전선 처짐 방지장치
KR200361539Y1 (ko) 고압 전신주 전도방지용 지중앵커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8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