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20524B1 -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 Google Patents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524B1
KR100920524B1 KR1020090005438A KR20090005438A KR100920524B1 KR 100920524 B1 KR100920524 B1 KR 100920524B1 KR 1020090005438 A KR1020090005438 A KR 1020090005438A KR 20090005438 A KR20090005438 A KR 20090005438A KR 100920524 B1 KR100920524 B1 KR 100920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pport
support frame
perforated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삼석
Original Assignee
고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삼석 filed Critical 고삼석
Priority to KR102009000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통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반복적으로 차량의 통행에 따른 복공판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공판의 상호간에 부딪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에 있어서, 지하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강재보에 안착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복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개도로, 복공판, 지하공사

Description

복개도로용 복개장치{A covering plate in road for deck plate device}
본 발명은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통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반복적으로 차량의 통행에 따른 복공판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공판의 상호간에 부딪힘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시설 공사는 기존의 도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지면을 굴착되는 지면에 강재기둥과 강재보 등을 연결한 후 그 상부에 다수의 복공판을 연결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복공판의 설치는 도로의 교통소통에 최대한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맞춘 것으로, 지하철 공사 외에도 노후 교량의 보수시 우회도로를 건설하는 등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임시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사용하는 복공판은 일반적으로 강재로 이루어지며 평평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복공판은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수십 내지 수백개의 판이 강재보의 상부에 올려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복공판이 평평하게 배열된 위로 차량이 지나다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복공판은 잦은 차량의 통행시 강재보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이동되어 지하철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인자로 잠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37309호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가 제시된바 있다.
이렇게 실용신안등록 제337309호의 "지하철 공사 도로용 이탈방지 체결식 복공판 구조"를 통해 복공판의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복공판의 설치와 해체도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복공판(900)은 보강빔(510)의 상부에 미끄럼 방지덮개(540)가 설치된 부재이며 지하철 공사 현장의 상부에 설치된다. 보강빔(510)은 모서리 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앵커홀(512)이 형성되고 내측에 2개의 긴 사각홈(5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 덮개(540)는 강판 부재로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앵커홀(5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빔(510)에는 하부 모서리에 격자형 및 일자형으로 고정 앵커(520)와 마찰방지 고무판(5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밀착되면 그 체결 앵커홀(512)(542)에 이탈방지 체결앵커(550)가 고정앵커(5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 조정 공구(600)에 의해 조임 너트(552)를 이탈방지 체결 앵커(550)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공판(900)은 보강빔(510)과 미끄럼 방지 덮개(540)가 이탈방지 체결앵커(550)에 의해 일체 구조로 구성되는 한편 그 이탈방지 체결앵커(550)가 복공판 받침빔(30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계로, 차량이 그 복공판의 상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유동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으며, 또한 복공판(900)이 설치된 후 지하철 공사 현장의 하부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9620호 "지하철 공사를 위한 복개도로용 체결식 복공판"이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89620호 "지하철 공사를 위한 복개도로용 체결식 복공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의 암, 수 앵커고리(1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서로 보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횡방향 고정턱(116)이 형성된 복공판(112)과, 상기 복공판(112)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되 사방에 암, 수 앵커고리(114a)에 체결 앵커봉(122)을 삽입할 수 있는 반원형의 앵커홀(124)이 형성된 복공상판(120)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복공판들에서는 차량의 잦은 통행시 판 사이에 틈새의 발생으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 빗물 또는 이물질이 낙하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통행시의 충격으로 인해 복공판 상호간에 충돌 현상이 발행하므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는 작업자들이 소음에 시달리는 등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우천시 차량이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시에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어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동절기에 지하 공사 현장으로부터 올라오는 냉기에 의해 복공판의 상부에 빙판이 발생하게 되어 이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이 이 빙판에 의해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공판의 상부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우천시 또는 동절기에 복공판의 상부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시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복공판과 이웃하는 복공판의 사이가 미끄럼방지부재에 의해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복공판의 상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 등이 아래의 지하 공사 현장으로 유입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복공판의 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복공판과 이웃하는 복공판이 이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시에 복공판의 유동 및 비틀림 등이 방지되어 공사 현장에 설치된 복공판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공판은 지하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강재기둥과 강재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보의 상부에 지지부를 안착시킨 후 복공판을 지지부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복공판의 파손시 간편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공판의 미끄럼방지부재의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에 있어서, 지하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강재보에 안착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복공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끝단부 사이에 구비되되,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면과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프레임 각각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개의 지지프레임 하부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가 구비된 외측에 위치되게 고정바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근접 위치에 강재보에 안착되는 고무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공판은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과 미끄럼방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판과 미끄럼방지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공판은 지지부에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복공판의 사이에는 충격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공판의 상부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판을 구비함으로써, 우천시 또는 동절기에 복공판의 상부에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시 미끄럼에 의해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공판과 이웃하는 복공판의 사이가 미끄럼방지부재에 의해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복공판의 상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 등이 아래의 지하 공사 현장으로 유입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공판의 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복공판과 이웃하는 복공판이 이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시에 복공판의 유동 및 비틀림 등이 방지되어 공사 현장에 설치된 복공판의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공판은 지하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강재기둥과 강재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강재보의 상부에 지지부를 안착시킨 후 복공판을 지지부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복공판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복공판의 파손시 간 편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공판의 미끄럼방지부재의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복공판의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이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10)는 지하철 공사나 기존의 도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지면을 굴착되는 지면에 강재기둥(1)과 강재보(2) 등을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부(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프레임(14)이 구비되되, 이 지지프레임(14)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양끝단부 사이에 위치되되, 지지 프레임(14)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14)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외측부에 위치한 상단부와 연결프레임(16)의 상단 외측 방향에는 다수개의 나사공(17)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6)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8)가 구비되되, 상기 걸림돌기(18)는 지지프레임(14)의 폭 방향 일측면과 지지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양끝단부에 구비된 연결프레임(16) 중 일측에 구비된 연결프레임(16)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다수개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4)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부에 구비된 연결프레임(14) 중 일측부에 구비된 연결프레임(16)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연결프레임(16)은 "I" 형상으로 형성된 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돌기(18)는 "I"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용접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4)이 연결 고정된 폭 방향 하단부에 고정바(20)가 구비되고, 이 고정바(20)의 외측 방향으로 강재보(2)에 안착되는 고무패드(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4)의 길이 방향 양측부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바(20)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강부재(2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복공판(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복공판(30)은 지지부(12)의 지지프레임(14) 상부에 안착되되, 지지부(12)의 나사공(17)과 대응되게 제1체결공(34)이 형성된 상판(3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상판(32)의 상부에 안착되어 차량의 통행시에 미끄럼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상판(32)의 제작시 미끄럼방지부재(36)를 일체로 제작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상판(32)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미끄럼방지부재(36)를 접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6)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돌기를 더 형성하여 차량의 서행을 유도함과 동시에 차량의 통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6)의 가장자리부에는 상판(32)의 제1체결공(34)과 대응되는 제2체결공(3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공판(30)의 미끄럼방지부재(36)에 형성된 제2체결공(37)과 상판(32)에 형성된 제1체결공(34)에 볼트(39)를 끼워 지지부(12)의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에 형성된 나사공(17)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히나, 볼트(39)를 제2체결공(37)과 제1체결공(34) 및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에 나서공(17)을 끼워 별도의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부재(36)에 형성된 제2체결공(37)은 상판(32)의 제1체 결공(34)보다 지름을 크게 형성하여 볼트(39)의 체결시 볼트(39) 머리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12)와 복공판(30)의 사이에는 복공판(30)의 상부로 차량이 통행시에 진동 및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충격방지부재(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가 강재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10)는 먼저, 상기 지지부(12)에 복공판(30)을 견고하게 볼트(39)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에 지하철 공사나 기존의 도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지면을 굴착되는 지면에 강재기둥(1)과 강재보(2) 등 기초 공사의 강재보(2)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부(1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무패드(22)가 상기 강재보(2)의 상부에 위치되게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다수개를 강재보(2)의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지하공사 현장의 상부를 안전하게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로 인하여 교통체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복개장치(10)를 강재보(2)에 설치시에 지지프레 임(14) 및 연결프레임(16)에 형성된 걸림돌기(18)의 하부로 이웃하는 복개장치(10)의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형식으로 하여 이웃하는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통행시에 복개장치(10)가 유동 되거나 비틀림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12)의 지지프레임(14) 및 연결프레임(16)에 복공판(30)을 고정시키는 볼트(37)가 복공판(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차량의 통행시 차량이 덜컹거림을 방지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공판(30)의 미끄럼방지부재(36)가 이웃하는 미끄럼방지부재(36)와 측면이 서로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복개장치(10)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복공판(30)의 상부로부터 물이나 이물질 등이 아래의 지하 공사 현장으로 유입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12)의 측면에 걸림돌기(18)를 형성하여 지지부(12)과 이웃하는 지지부(12)이 이 걸림돌기(18)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하여 다수개의 복개장치(1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복공판(30)의 상부를 통과시에 복개장치(10)의 유동 및 비틀림 등이 방지되어 공사 현장에 설치된 복개장치(10)의 파손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공사 현장에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통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반복적으로 차량의 통행에 따른 복공판의 비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복공판의 상호 간에 부딪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복개도로용 복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공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복공판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공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복공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를 보인 요부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가 강재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 : 복개장치 12 : 지지부
14 : 지지프레임 16 : 연결프레임
17 : 나사공 18 : 걸림돌기
20 : 고정바 22 : 고무패드
24 : 보강부재 30 : 복공판
32 : 상판 34, 37 : 제1,2체결공
36 : 미끄럼방지부재 39 : 볼트
40 : 충격방지부재

Claims (10)

  1.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에 있어서,
    지하공사 현장에 설치되는 강재보에 안착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이 통과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복공판과, 상기 지지부와 복공판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방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끝단부 사이에 구비되되,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에 용접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면과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프레임 각각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프레임 하부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재가 구비된 외측에 위치되게 고정바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근접 위치에 강재보에 안착되는 고무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미끄럼방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미끄럼방지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공판은 지지부에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개 도로용 복개장치.
  10. 삭제
KR1020090005438A 2009-01-22 2009-01-22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KR100920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38A KR100920524B1 (ko) 2009-01-22 2009-01-22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38A KR100920524B1 (ko) 2009-01-22 2009-01-22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524B1 true KR100920524B1 (ko) 2009-10-09

Family

ID=4157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38A KR100920524B1 (ko) 2009-01-22 2009-01-22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5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19B1 (ko) * 2009-11-18 201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콘크리트 복공판
KR101705071B1 (ko) * 2016-05-26 2017-02-13 (주)태평양기술산업 일체형 상부판과 주형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2663429A (zh) * 2021-01-26 2021-04-16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可周转使用的土建施工工地内承载重车的临时路面
KR102719397B1 (ko) * 2023-07-03 2024-10-23 (주)세한테크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44Y1 (ko) * 2003-10-24 2004-01-31 주식회사 에스코건설 복공판
KR200416824Y1 (ko) * 2006-03-03 2006-05-23 고준현 구조보강용 복공판
KR20080096920A (ko) * 2007-04-30 2008-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논슬립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가설교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44Y1 (ko) * 2003-10-24 2004-01-31 주식회사 에스코건설 복공판
KR200416824Y1 (ko) * 2006-03-03 2006-05-23 고준현 구조보강용 복공판
KR20080096920A (ko) * 2007-04-30 2008-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논슬립층이 형성된 섬유강화폴리머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가설교량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19B1 (ko) * 2009-11-18 201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콘크리트 복공판
KR101705071B1 (ko) * 2016-05-26 2017-02-13 (주)태평양기술산업 일체형 상부판과 주형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2663429A (zh) * 2021-01-26 2021-04-16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可周转使用的土建施工工地内承载重车的临时路面
KR102719397B1 (ko) * 2023-07-03 2024-10-23 (주)세한테크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0920524B1 (ko) 복개도로용 복개장치
KR101283689B1 (ko) 교통안전시설물의 지주보강구조
KR101604640B1 (ko) 인도교의 설치공법 및 그 설치공법에 의해 설치된 인도교
KR100855231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KR101749169B1 (ko)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KR102484097B1 (ko) 후타 보존 부분교체형 핑거조인트와 핑거조인트의 조립방법 및 교체방법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20160146059A (ko) 이중 구조의 보강 지주가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0742516B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1005372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655397B1 (ko) 완충용 차막이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430532Y1 (ko) 난간지지봉 결합구조
KR20140013197A (ko) 철도교량의 궤도공사용 안전장치와 그 조립 및 설치방법
KR20120124657A (ko) 와이어 타입 안전 펜스
KR20090096257A (ko) 형강 부착형 차량방호레일
JP2008255686A (ja) 駐車場用の緑化パネル
KR200255623Y1 (ko) 도로의 가드레일 및 중앙분리대용 지주봉
KR101353774B1 (ko) 보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200268165Y1 (ko)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KR20160003162U (ko) 도난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2593126B1 (ko) 격자형 그레이팅의 하중보강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보강판 설치방법
KR200464370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도로분리대용 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