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9169B1 -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 Google Patents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69B1
KR101749169B1 KR1020160107047A KR20160107047A KR101749169B1 KR 101749169 B1 KR101749169 B1 KR 101749169B1 KR 1020160107047 A KR1020160107047 A KR 1020160107047A KR 20160107047 A KR20160107047 A KR 20160107047A KR 101749169 B1 KR101749169 B1 KR 10174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essure
coupled
plate member
distributing means
bea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Priority to KR102016010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으로,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H빔의 자유단부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풍압분산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풍압분산수단을 통해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SIDEWALK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WIND PRESSURE}
본 발명은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H빔의 자유단부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풍압분산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풍압분산수단을 통해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도로에서는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양단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교량이나 도로 모두 차량통행면적을 확보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인도의 폭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도로의 폭을 유지하면서 인도를 가설하여 가설인도를 설치할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설인도를 설치할 때 교량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교량 구조물 외측은 강이나 바다에 접하고 있고 도로의 경우에도 도로면 외측은 별도의 상부하중 지지를 위한 지하구조물이 구축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교량 또는 도로의 양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점으로 하는 캔틸레버 구조로서 가설인도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인도는 시일이 경과 되면 강풍의 풍압에 의해 보행데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로나 교량 외측의 콘크리트 벽면을 타고 발생되는 상향 풍압에 의해 가설인도의 H빔이나 장선이 휘어지거나 보행데크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여 유지비용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의 특허문헌으로는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특허등록 제1353753호)"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설인도는 내구성에만 주안점을 두었을 뿐 풍압에 대한 대처 구조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37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H빔의 자유단부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풍압분산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풍압분산수단을 통해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보행데크 이외에 상향 풍압을 유통할 수 있는 스틸그레이팅을 슬라이딩 결합시켜 풍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교량 또는 도로의 양단 콘크리트벽에 캔틸레버 형태로 결합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상부면에 상호 간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다수의 장선프레임;과, 상기 장선프레임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가이드빔;과, 상기 장선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된 가이드빔에 하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행데크; 및 상기 각 H빔의 자유단부에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결합되어 충돌에 의해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하는 풍압분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풍압분산수단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각 H빔에 결합되는 고정판에 의해 블라인드 형태로 고정되되, 판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심봉과, 상기 심봉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판에 구비되는 파이프를 통해 풍압에 의해 심봉과 판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부재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토퍼봉이 배치되어 회동하는 판부재와 가설인도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H빔의 자유단부 상부면에는 난간이 연결된 난간프레임이 더 결합되고, 상기 난간프레임의 자유측벽에는 풍압분산수단과 H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연장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풍압분산수단의 판부재(51)는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풍압분산수단은 상기 각 H빔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거나 다수의 H빔에 동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판부재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조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장선프레임 중 적어도 2개 이상에는 상부면에 "T"형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T"형 가이드레일의 사이에는 강풍의 유통을 위한 스틸그레이팅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0발명에서, 상기 스틸그레이팅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목재 또는 합성목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보행데크의 사이에는 보행데크를 보강하는 다수의 고정수단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장선프레임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과, 하부는 상기 나사축에 체결되고 상부는 2개의 보행데크를 일체로 하향 가압하는 접시머리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따르면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H빔의 자유단부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풍압분산수단을 연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압분산수단의 하부에서 불어오는 강풍은 풍압분산수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스틸그레이팅으로 유도함으로써 가설인도와 충돌되는 풍압을 약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난간 및 난간프레임을 제외한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에서 H빔에 결합된 풍압분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판부재에 결합되는 보조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풍압분산수단이 적용된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풍압분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난간 및 난간프레임을 제외한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H빔에 결합된 풍압분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판부재에 결합되는 보조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H빔의 자유단부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풍압분산수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풍압분산수단을 통해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100)는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H빔(10)과, 장선프레임(20)과, 가이드빔(30)과, 보행데크(40) 및 풍압분산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H빔(10)은 교량 또는 도로의 양단 콘크리트벽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결합되어 가설인도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가설인도가 캔틸레버 형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H빔(10)은 교량 또는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고, 그 하부에는 교량 또는 도로의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1)에 의해 보강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선프레임(20)은 가설인도의 전체 강성을 증대시키거나 보행데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H빔(10)의 상부면에 상호 간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장선프레임(20)은 상기 H빔(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장선프레임(20)은 도 3과 같이, H빔(10)에 체결된 볼트머리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가이드레일(G)이 형성되며, 이는 상향 풍압에 의한 장선프레임(20)의 상향 이탈을 견고히 방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빔(30)이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가이드빔(30) 역시 장선프레임(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행데크(40)는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 결합된 가이드빔(30)에 하부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G)이 형성되며, 이 역시 강풍에 의해 발생되는 상향 풍압에 의해 보행데크(40)의 이탈을 견고히 방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보행데크(40)는 가설인도의 표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각 보행데크(40)의 사이에는 보행데크(40)의 상호 간 연결하는 다수의 고정수단(70)이 더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각 고정수단(70)은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71)과, 하부는 상기 나사축(71)에 체결되고 상부는 2개의 보행데크(40)를 일체로 가압하는 접시머리 고정핀(7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70)은 다수의 보행데크(40)를 상호 간 연결시켜 가압함으로써, 풍압에 의해 미세 유동되는 보행데크(40)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또한 고정수단(70)의 접시머리 고정핀(72)은 저면 4개소에 스파이크(721)가 형성되어 보행데크(40)의 표면에 고정됨으로써, 미세 유동에 따라 발생되는 접시머리 고정핀(72)의 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풍압분산수단(5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각 H빔(10)의 자유단부에 하부(처마)에 블라인드 형태로 결합되어 강풍과 충돌시키고, 이에 따라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H빔(10)의 자유단부 상부면에는 난간(62)이 연결된 난간프레임(60)이 더 결합되고, 상기 난간프레임(60)의 자유측벽에는 풍압분산수단(50)과 H빔(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판(61)이 하향 연장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풍압분산수단(50)은 판부재(51)로 이루어져 강풍의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을 상쇄하는 기능을 하며, 이 때 그 재질은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부재(51)는 도 5와 같이, 각 H빔(10)에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판(52)에 의해 블라인드 형태로 고정되는데, 이 때 상기 고정판(52)은 전면에 판부재(51)의 면상에 결합되는 결합판(521)이 구비되어 판부재(51)를 블라인드 형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러한 상기 판부재(51)는 그 길이에 따라 상기 각 H빔(10)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거나 다수의 H빔(10)에 동시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판부재(51)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조판부재(5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판부재(511)는 강풍의 충돌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조판부재ㅍ를 통해 판부재(51)의 교체 없이 판부재(51)의 높이를 증감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판부재(511)는 도 6과 같이, 실시예로 도브테일 결합방식으로 판부재(51)의 하단에 결합되지만, 이외에 다양한 슬라이딩 끼움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볼팅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판부재(51)는 유연한 고무 또한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보조판부재(511)는 비철금속으로 구성하여 강풍의 풍압에 따라 판부재와 보조판부재(511)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판부재(51)는 비철금속 재질로 구성하고, 보조판부재(511)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하여 구성할 있다.
한편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에는 보행데크(40) 이외에 스틸그레이팅(41)을 결합시켜 상향 풍압을 유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틸그레이팅(41)은 도 3과 같이, 도로 또는 교량의 콘크리트벽을 타고 상향으로 올라오는 강풍을 스틸그레이팅(41)으로 유도함으로써 가설인도와 충돌되는 풍압을 약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장선프레임(20) 중 적어도 2개 이상에는 상부면에 "T"형 가이드레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T"형 가이드레일(21)의 사이에는 강풍 유통을 위한 스틸그레이팅(41)이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틸그레이팅(41)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표면을 미끄럼방지층(미도시)을 코팅하거나, 목재 또는 합성목재(411)를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강풍을 유통시키는 스틸그레이팅으로 한정하지 아니하고, 타공판 또는 메쉬망과 같은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스틸그레이팅이라 명시하였지만, 유통수단과 같은 넓은 범위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다, 강가 등에서 불어오는 강풍 또는 바람은 풍압분산수단(50)의 판부재(51)에 충돌되어 풍압이 분산된다.
풍압이 분산된 강풍은 풍압이 약화되기 때문에 가설인도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들어오는 풍압 역시 약화 되고, 이에 따라 가설인도의 H빔(10) 및 장선프레임(2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보행데크(40)의 이탈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풍압분산수단(50)의 하부에서 불어오는 강풍은 풍압분산수단(5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스틸그레이팅(41)으로 유도함으로써 가설인도와 충돌되는 풍압을 약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풍압분산수단이 적용된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풍압분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풍압분산수단(50)은 판부재(51)의 상단에 결합되는 심봉(5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52)은 심봉(512)을 삽입하는 파이프(52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2실시예에서는 판부재(51) 및 심봉(512)을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심봉(512)의 양단을 파이프(522)에 삽입시켜 풍압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판부재(51)는 풍압에 의한 휘어짐을 없애고, 더불어 강풍의 풍압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풍압을 약화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는 회동하는 판부재(51)가 가설인도의 H빔(10) 저면과 충돌하여 H빔(10)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봉(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봉(80)은 H빔(10)의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판부재(51)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켜 판부재(51)와 가설인도의 H빔(10)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풍압저감수단은 판부재의 형태 이외에, 미세망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H빔 11: 브라켓
20: 장선프레임 21: "T"형 가이드레일
30: 가이드빔
40: 보행데크 41: 스틸그레이팅 411: 합성목재
50: 풍압분산수단 51: 판부재 511: 보조판부재
512: 심봉 52: 고정판
521: 결합판 522: 파이프
60: 난간프레임 61: 보호판 62: 난간
70: 고정수단 71: 나사축 72: 접시머리 고정핀
721: 스파이크
80: 스토퍼봉
100: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G: 가이드레일

Claims (13)

  1. 가설인도에 있어서,
    교량 또는 도로의 양단 콘크리트벽에 캔틸레버 형태로 결합되는 H빔(10);
    상기 H빔(10)의 상부면에 상호 간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다수의 장선프레임(20);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가이드빔(30);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 결합된 가이드빔(30)에 하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행데크(40); 및
    상기 각 H빔(10)의 자유단부에 하부에 블라인드 형태로 결합되어 충돌에 의해 풍압을 분산시켜 풍압에 의한 가설인도의 파손을 방지하는 풍압분산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풍압분산수단(50)은 판부재(51)로 이루어져 상기 각 H빔(10)에 결합되는 고정판(52)에 의해 블라인드 형태로 고정되되, 판부재(51)의 상단에 결합되는 심봉(512)과, 상기 심봉(512)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판(52)에 구비되는 파이프(522)를 통해 풍압에 의해 심봉(512)과 판부재(51)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부재(51)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토퍼봉(80)이 배치되어 회동하는 판부재(51)와 가설인도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빔(10)의 자유단부 상부면에는 난간(62)이 연결된 난간프레임(60)이 더 결합되고, 상기 난간프레임(60)의 자유측벽에는 풍압분산수단(50)과 H빔(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보호판(61)이 연장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분산수단(50)의 판부재(51)는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분산수단(50)은 상기 각 H빔(10)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거나 다수의 H빔(10)에 동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재(51)는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조판부재(5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선프레임(20) 중 적어도 2개 이상에는 상부면에 "T"형 가이드레일(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T"형 가이드레일(21)의 사이에는 강풍의 유통을 위한 스틸그레이팅(4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그레이팅(41)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목재 또는 합성목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행데크(40)의 사이에는 보행데크(40)를 보강하는 다수의 고정수단(70)이 결합되되,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장선프레임(20)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71)과, 하부는 상기 나사축(71)에 체결되고 상부는 2개의 보행데크(40)를 일체로 하향 가압하는 접시머리 고정핀(7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13. 삭제
KR1020160107047A 2016-08-23 2016-08-23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Active KR10174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47A KR101749169B1 (ko) 2016-08-23 2016-08-23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047A KR101749169B1 (ko) 2016-08-23 2016-08-23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169B1 true KR101749169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047A Active KR101749169B1 (ko) 2016-08-23 2016-08-23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425B1 (ko) *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20200136724A (ko) * 2019-05-28 2020-12-08 전채욱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 점검용 통로 조립체
KR102501119B1 (ko) * 2022-02-23 2023-02-17 주식회사 파크조경 시공단차 조정이 가능한 확장형 인도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6315A (ja) * 2001-03-07 2002-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橋 梁
KR200442005Y1 (ko) * 2008-05-20 2008-09-29 이영주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KR100951752B1 (ko) * 2009-08-31 2010-04-08 이종근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101511290B1 (ko) * 2014-05-12 2015-04-13 주식회사 이진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6315A (ja) * 2001-03-07 2002-09-18 Mitsubishi Heavy Ind Ltd 橋 梁
KR200442005Y1 (ko) * 2008-05-20 2008-09-29 이영주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KR100951752B1 (ko) * 2009-08-31 2010-04-08 이종근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101511290B1 (ko) * 2014-05-12 2015-04-13 주식회사 이진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425B1 (ko) *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WO2020071582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20200136724A (ko) * 2019-05-28 2020-12-08 전채욱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 점검용 통로 조립체
KR102226768B1 (ko) * 2019-05-28 2021-03-10 전채욱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 점검용 통로 조립체
KR102501119B1 (ko) * 2022-02-23 2023-02-17 주식회사 파크조경 시공단차 조정이 가능한 확장형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20130082052A (ko) 교량용 확장 인도교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KR101082429B1 (ko) 토목건축 구조물의 확장 지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확장 시공방법
KR101749169B1 (ko)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20150025031A (ko) 교량 확장 인도교용 데크부 설치장치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100974417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확장 보도부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326928B1 (ko) 복합 고가교량의 스틸그레이팅 설치 구조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04814B1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200167497Y1 (ko) 교량 점검로
KR101296749B1 (ko) 교량용 보조 도로 구조물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KR101029144B1 (ko) 교량용 보도
KR101814532B1 (ko)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JP2000226815A (ja) 落橋防止構造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861570B1 (ko)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