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8764B1 -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764B1
KR100918764B1 KR1020030048461A KR20030048461A KR100918764B1 KR 100918764 B1 KR100918764 B1 KR 100918764B1 KR 1020030048461 A KR1020030048461 A KR 1020030048461A KR 20030048461 A KR20030048461 A KR 20030048461A KR 100918764 B1 KR100918764 B1 KR 10091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s
sequence
golay complementary
length
complementary sequ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388A (ko
Inventor
서창호
황찬수
카츠마르코스다니엘
채찬병
최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764B1/ko
Priority to US10/891,613 priority patent/US7292641B2/en
Publication of KR2005000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7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11Complementary
    • H04J13/0014Go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pace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Reduction thereof by selection of pilot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B개의 부반송파들을 상기 N개로 분할한 B/N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로 생성하고, 상기 N개의 시퀀스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한다.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안테나, 채널 추정, PAPR, 골래이 상보 시퀀스,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Description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PREAMBLE SEQUENCE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도 1은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긴 프리앰블 시퀀스(long preamble sequence)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short preamble sequence)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에서 IFFT 수행시 부반송파들과 프리앰블 시퀀스와의 매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길이 104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매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개의 송신 안테나들과 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피크대 평균 전력비를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기지국(Node B)과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 프레임(frame)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송 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상호 동기를 획득하여야 하며, 상기 동기 획득을 위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프레임의 시작을 알 수 있도록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 타이밍(frame timing)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프레임 타이밍에 따라서 수신되는 프레임을 복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는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미리 약속하고 있는 특정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OFDM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에서 사용되는 프리앰블 시퀀스는 피크대 평균 전력비(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 이하 "PAPR"이라 칭하기로 한다)가 작은 것을 사용하며,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프리앰블은 긴 프리앰블로서 대략적 동기(coarse synchronization)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리앰블과, 미세 주파수 동기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짧은 프리앰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프리앰블은 상기 짧은 프리앰블만을 이용하여 미세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시퀀스로서 PAPR이 작은 것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다중 반송파(multi carrier) 통신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반송파들, 즉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부반송파들 각각의 직교성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래서 상기 부반송파들 각각간에는 상호 직교성을 가지도록 위상(phase)이 설정되는데, 상기 부반송파들을 통한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상기 위상이 변경될 경우 상기 부반송파들간의 신호가 겹쳐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상 변경으로 인해 겹쳐진 신호의 크기는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증폭기(amplifier)의 선형 구간을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정상적인 신호 송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최소의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다중화하여 여러 사용자들, 즉 사용자 단말기들에 대한 데이터들을 전송한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도 프레임의 시작을 알려주는 프레임 프리앰블이 프레임의 시작점에서부터 일정 구간동안 전송된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 내에 상기 각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는 데이터가 불규칙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는 버스트 프리앰블이 각 데이터의 앞부분에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시작점을 알기 위해서는 데이터 프리앰블을 수신하여야만 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데이터의 시작점에 대한 동기를 맞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모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포착하여 동기를 맞추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이 아닌 통신 시스템, 즉 상기 OFDM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과 소스 코딩(source coding) 방식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방식 및 변조(modulation) 방식 등에 있어서 동일하다. 물론,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확산(spreading)하여 전송하는 반면에,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라 칭하기로 한다)한 후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는 형태로 전송한다. 그래서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상기 CDMA 통신 시스템에 비해서 광대역 신호를 비교적 간단한 하드웨어(hardware) 구조만을 가지고도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에 대한 변조를 수행한 후에는 다수의 비트(bit)/심볼(symbol)열을 묶어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 해당하는 IFFT 입력으로 병렬화된 비트/심볼열을 입력하면 출력으로 IFFT되어진 시간 영역(time domain)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된 시간영역 신호는 광대역 신호를 여러 개의 협대역(narrow band) 부반송파 신호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한 것으로, 한 OFDM 심볼 구간동안 다수개의 변조 심볼들이 상기 IFFT 과정을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OFDM 통신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이 IFFT된 OFDM 심볼을 그대로 전송하게되면 이전에 송신한 OFDM 심볼과 현재 송신하는 OFDM 심볼간에 간섭(interference)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심볼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보호 구간을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 구간은 시간 영역의 OFDM 심볼의 마지막 일정 샘플(sample)들을 복사하여 유효 OFDM 심볼에 삽입하는 형태의 "Cyclic Prefix" 방식이나 혹은 시간 영역의 OFDM 심볼의 처음 일정 샘플들을 복사하여 유효 OFDM 심볼에 삽입하는 "Cyclic Postfix"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Cyclic Prefix 방식 및 Cyclic Postfix 방식의 일정 샘플들은 미리 설정된 설정 샘플들로서 OFDM 통신 시스템에서 그 크기가 미리 결정된다. 상기 보호구간을 시간 영역의 한 OFDM 심볼의 일부분, 즉 한 OFDM 심볼의 처음 부분 혹은 마지막 부분을 복사하여 반복 배치하는 형태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신기에서 수신 OFDM 심볼의 시간/주파수 동기를 잡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하면서 왜곡되고, 수신기는 상기 왜곡된 송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 신호가 왜곡된 형태의 수신 신호를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간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이용하여 시간/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한 후에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 칭하기로 한다)을 통해서 주파수 영역의 심볼로 복조한다. 이렇게 주파수 영역의 심볼들을 복조한 후,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조된 심볼들에 대해서 상기 송신기에서 적용한 채널 코딩에 상응하는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소스 디코딩(source decoding)을 수행하여 정보 데이터로 복호한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은 프레임 타이밍 동기 및 주파수 동기와 채널 추정 모두에 있어 프리앰블 시퀀스를 이용한다. 물론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경우 프 리앰블 이외에 보호 구간과 파일럿(pilot) 부반송파등을 이용하여 프레임 타이밍 동기 및 주파수 동기와 채널 추정 등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의 경우 매 프레임 또는 데이터의 버스트의 시작부분에 미리 알고 있는(known) 심볼들이 전송되며 이때 추정된 시간/주파수/채널 정보를 데이터 전송 부분에서 보호 구간 및 파일럿 부반송파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update)하는데 사용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리앰블 시퀀스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긴 프리앰블 시퀀스(long preamble sequence)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현재 OFDM 통신 시스템에서는 순방향(DL: Down Link) 및 역방향(UL: Up Link) 모두에서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긴 프리앰블 시퀀스는 64 길이의 시퀀스가 4번,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를 가지며, OFDM 통신 시스템의 특성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Cyclic Prefix가 상기 64 길이의 시퀀스가 4번 반복된 형태의 시퀀스 전단과, 상기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의 시퀀스 전단에 첨가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FFT를 수행하기 이전의 신호들은 주파수 영역 신호들이며, IFFT를 수행한 이후의 신호들은 시간 영역 신호들인데, 도 1에 도시한 긴 프리앰블 시퀀스는 IFFT를 수행한 이후의 시간 영역에서의 긴 프리앰블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IFFT를 수행하기 이전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긴 프리앰블 시퀀스 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01
Figure 112003025856115-pat00002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의 긴 프리앰블 시퀀스들, 즉 S(-100:100), P(-100:100) 에 명시된 숫자는 IFFT 수행시 적용하는 부반송파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하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S(-100:100)은 64 길이의 시퀀스가 4번 반복된 형태의 주파수 영역 시퀀스를 나타내며, P(-100:100)은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의 주파수 영역 시퀀스를 나타낸다. 상기 S(-100:100) 및 P(-100:100)의 표현에서 sqrt(2)는 root 2를 의미하며, sqrt(2)*sqrt(2)는 상기 S(-100:100) 및 P(-100:100)의 송신 전력(transmit power)을 증가시키기 위해 2단계로 증폭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긴 프리앰블 시퀀스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short preamble sequence)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는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를 가지며, OFDM 통신 시스템의 특성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Cyclic Prefix가 상기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의 시퀀스 전단에 첨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는 IFFT를 수행한 이후의 시간 영역에서의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를 도시한 것이며, 주파수 영역에서의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는 도 2에서 설명한 P(-100:100)이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긴 프리앰블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생성되어야만 한다.
(1) 낮은 PAPR을 가져야만 한다.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전송단의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의 전송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OFDM 심볼의 PAPR이 낮아야만 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FFT가 수행된 신호는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고, 상기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non-linear) 특성 때문에 낮은 PAPR이 요구되는 것이다. OFDM 심볼의 PAPR은 전송단의 IFFT 출력단에 해당하는 OFDM의 시간 영역 심볼의 최대 전력과 평균전력의 비율이 작아야하고, 상기 최대 전력과 평균전력의 비율이 작기 위해서는 균일한 분포를 가져야한다. 즉, 전송단의 IFFT의 입력단, 즉 주파수영역에서 상호상관이 작은 심볼을 조합하면 출력의 PAPR은 작아지는 것이다.
(2) 통신 초기화에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 추정에 적합해야 한다.
상기 파라미터 추정은 채널 추정과, 주파수 옵셋(frequency offset) 추정과, 시간 오프셋(time offset) 추정을 포함한다.
(3) 낮은 복잡도(complexity)와 낮은 오버헤드(overhead)를 가져야한다.
(4) 대략적 주파수 옵셋 추정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생성된 긴 프리앰블 시퀀스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64 길이의 시퀀스가 4번 반복된 형태의 시퀀스는 시간 옵셋 추정과 대략적 주파수 옵셋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2) 128 길이의 시퀀스가 2번 반복된 형태의 시퀀스는 미세 주파수 옵셋과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긴 프리앰블 시퀀스는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1) 순방향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하기로 한다)의 첫 번째 프리앰블 시퀀스로 사용된다.
(2)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에 사용된다.
(3) 주파수대역 요구 레인징(Bandwidth Request Ranging)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는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1) 역방향 데이터 프리앰블 시퀀스로 사용된다.
(2) 주기적 레인징(Periodic Ranging)에 사용된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초기 레인징과 주기적 레인징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동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역방향 데이터 프리앰블 시퀀스는 채널 추정을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채널 추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PAPR, 성능 그리고 복잡도인데, 기존의 짧은 프리앰블 시퀀스의 경우 PAPR은 3.5805[dB]를 나타낸다. 그리고 채널 추정 알고리즘으로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이하 "MMSE"라 칭하기로 한다)와 LS(Least Square, 이하 "LS"라 칭하기로 한다) 등 다양한 형태의 채널 추정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에서 IFFT 수행시 부반송파들과 프리앰블 시퀀스와의 매핑(mapping)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에서 IFFT 수행시 부반송파들과 프리앰블 시퀀스와의 매핑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OFDM 통신 시스템의 전체 부반송파들의 개수가 256개일 경우, 즉 -128번 부반송파 내지 127번까지의 256개의 부반송파들이 존재하고, 실제 사용되는 부반송파들의 개수가 200개일 경우, 즉 -100번,...,-1번,1번...,100번 까지의 200개의 부반송파들이 사용될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도 3에서 IFFT 전단의 입력 번호들은 주파수 성분들, 즉 부반송파들 번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256개의 부반송파들중 200개의 부반송파들만, 즉 상기 256개의 부반송파들중 0번 부반송파와, -128번 부반송파 내지 -101번 부반송파와, 101번 부반송파 내지 127번 부반송파를 제외한 200개의 부반송파들만을 사용한다. 상기 0번 부반송파와, -128번 부반송파 내지 -101번 부반송파와, 101번 부반송파 내지 127번 부반송파들 각각에는 널 데이터(null data), 즉 0 데이터(0 data)를 삽입하여 전송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0번 부반송파에 널 데이터를 삽입하는 이유는 상기 0번 부반송파가 IFFT를 수행한 뒤에는 시간 영역에서 프리앰블 시퀀스의 기준점, 즉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28번 부반송파 내지 -101번 부반송파까지의 28개의 부반송파들과, 101번 부반송파부터 127번 부반송파까지의 27개의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삽입하는 이유는 상기 -128번 부반송파 내지 -101번 부반송파까지의 28개의 부반송파들과, 101번 부반송파부터 127번 부반송파까지의 27개의 부반송파들이 주파수 영역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 대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에서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을 주기 위함이다.
그래서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 S(-100:100) 혹은 P(-100:100)가 상기 IFFT기에 입력되면, 상기 IFFT기는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 S(-100:100) 혹은 P(-100:100)를 해당 부반송파들에 매핑시켜 IFFT를 수행함으로써 시간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출력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통상적인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비트들(information bits)이 발생하면, 상기 정보 비트는 심볼 매핑기(symbol mapper)(411)로 입력된다. 상기 심볼 매핑기(411)는 상기 입력되는 정보 비트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심볼 변환한 뒤 직렬/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4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방식으로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 혹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413)는 상기 심볼 매핑기(411)에서 출력하는 심볼을 입력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 이하 "IFFT기"라 칭하기로 한다)(419)의 입력수인 A 포인트(A point)에 일치하도록 병렬 변환한 후 선택기(selector)(417)로 출력한다. 그리고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preamble sequence generator)(415)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한 후 상기 선택기(417)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기(417)는 해당 시점의 스케줄링(scheduling)에 따라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413)에서 출력하는 신호 혹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415)에서 출력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IFFT기(419)로 출력한다.
상기 IFFT기(419)는 상기 선택기(417)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A-포인트 IFFT를 수행하여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42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421)로는 상기 IFFT기(419)에서 출력되는 신호 뿐만 아니라 길이 L의 Cyclic Prefix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421)는 상기 IFFT기(419)에서 출력한 신호와 상기 Cyclic Prefix를 직렬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423)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23)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421)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변환한 후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기(processor)(42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RF 처리기(425)는 필터(filter)와 전처리기(front end unit) 등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23)에서 출력한 신호를 실제 에어(air)상에서 전송 가능하도록 RF 처리한 후 안테나(antenna)를 통해 전송한다.
그러면 여기서,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Tx ANT)들, 일 예로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시퀀스 및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경우, 수신기에서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들이 겪는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서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서 송신된 데이터들이 겪는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마다 서로 다른 부반송파들을 할당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할당한다면, 수신기에서는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를 위해 할당된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만 가능할 뿐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서 모든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프리앰블 송신 규칙이 필요로 하게 된다.
다음으로 OFDM 통신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낮은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해야만 한다. 현재의 일반적인 OFDM 통신 시스템, 즉 1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는 낮은 PAPR을 갖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구체적인 생성 방안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상기 1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2개 이상, 즉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 역시 낮은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는 낮은 PAPR을 갖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구체적인 생성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낮은 PAPR을 갖는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한 구체적인 생성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음으로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에서의 채널 추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IFFT기 입력들, 즉 상기 IFFT기 포인트(point)들의 개수가 A이고 실제 사용되는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B라고 가정할 때,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03
또한,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channel response)을
Figure 112008007641000-pat00004
라 정의하면,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를 FFT를 수행한 이후의 신호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05
,
수학식 2에서 Zk는 백색 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이하 "AWGN"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FFT를 수행한 후의 신호 Yk를 송신기와 수신기간 상호 규약하에 미리 알고 있는 신호 Xk로 나누면 되는데,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06
그러면 여기서 다수개, 일 예로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가지는 OFDM 통신 시스템의 채널 추정 동작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경우, 수신기에서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서 송신된 신호들의 채널 상태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서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OFDM 통신 시스템의 경우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만약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서로 다른 부반송파들을 할당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한다면, 수신기는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 추정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부반송파들에 대해서만 채널 추정이 가능할 뿐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대해서는 채널 추정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채널 추정이 불가능한 부반송파들은 채널 추정한 부반송파들의 채널 상태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채널 추정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선택적(frequency selective) 특성이 크고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상기 보간에 의한 채널 추정 성능은 저하된다. 따라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의 모든 부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추정이 가능한 채널 추정 방안에 대한 필요성 역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정확한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장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B개의 부반송파들을 상기 N개로 분할한 B/N 길이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상기 N개 시퀀스 생성기들과,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시퀀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장치는;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하며, M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채널 추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입력하여 제1행렬을 합성하는 제1행렬 합성기와, 상기 M개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M개의 수신 신호들을 입력하여 제2행렬을 합성하는 제2행렬 합성기와, 상기 제1행렬과 제2행렬을 곱셈하여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행렬 곱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장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B개의 부반송파들을 상기 N개로 분할한 B/N 길이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시퀀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과,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시간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상기 N개의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들과, 상기 N개의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직렬 변환하고, 상기 직렬 변환된 신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호 구간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방법은;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B개의 부반송파들을 상기 N개로 분할한 B/N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N개의 시퀀스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시퀀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방법은;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송신하며, M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채널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입력하여 제1행렬을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M개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M개의 수신 신호들을 입력하여 제2행렬을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행렬과 제2행렬을 곱셈하여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방법은;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B개의 부반송파들을 상기 N개로 분할한 B/N 길이의 시퀀스를 N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N개의 시퀀스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시퀀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켜 할당하며,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할당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주파수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해당 송신 안테나의 시간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N개의 시간 영역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직렬 변환하고, 상기 직렬 변환된 신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호 구간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이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비트들(information bits)이 발생하면, 상기 정보 비트는 심볼 매핑기(symbol mapper)(511)로 입력된다. 상기 심볼 매핑기(511)는 상기 입력되는 정보 비트들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심볼 변환한 뒤 직렬/병렬 변환기(serial to parallel converter)(5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 방식으로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 혹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직렬/병렬 변환기(513)는 상기 심볼 매핑기(511)에서 출력하는 심볼을 입력하여 B×N 포인트(B×N point)에 일치하도록 병렬 변환한 후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B는 상기 종래 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체 부반송(sub-carrier)파들 wnd에서 시간 영역에서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의 기준점, 즉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는 부반송파, 즉 0번 부반송파와, 주파수 영역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 대역에 해당되는 부반송파들, 즉 보호 구간(guard interval)에 해당하는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부반송파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N은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Tx ANT)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시공간 부호기(space-time coder), 데이터 다중화기(data multiplexer)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의 사용 목적이 일 예로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Tx antenna diversity) 획득이라면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는 시공간 부호기로 구현되고,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의 사용 목적이 데이터 용량 증가라면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는 데이터 다중화로 구현된다.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된 신호는 선택기(selector)(519) 내지 선택기(531)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들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 즉 N개로 구비된다.
또한, 0번 안테나(ANT #0)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preamble sequence generator)(517)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한 후 상기 선택기(519)로 출력한다. 이런 식으로 마지막 송신 안테나인 N-1번 안테나(ANT #N-1)에 대응하는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한 후 상기 선택기(531)로 출력한다. 상기 0번 안테나(ANT #0)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 내지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의 동작은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선택기(519)는 해당 시점의 스케줄링(scheduling)에 따라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하는 신호 혹은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17)에서 출력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IFFT"라 칭하기로 한다)기(5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519)에서 출력한 신호는 상기 IFFT기(521)의 입력들중 상기 0번 안테나에 대응되는 입력들로 일대일 매핑되어 입력된다. 그리고 도 5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 및 선택기 구조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각각 구비되며,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은 물론이다. 다만,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0번 안테나에 대응하는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17) 및 선택기(519)와, N-1번 안테나에 대응하는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 및 선택기(531)만을 도시하였을 뿐이다.
즉, 상기 선택기(519)는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17)에서 출력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할 것인지 혹은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한 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17) 혹은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IFFT기(521)로 출력한다. 상기 IFFT기(521)는 상기 선택기(519)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A 포인트 IFFT를 수행하여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52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23)로는 상기 IFFT기(521)에서 출력되는 신호 뿐만 아니라 길이 CP의 Cyclic Prefix 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Cyclic Prefix는 보호 구간 신호이며, 상기 보호 구간은 시간 영역의 OFDM 심볼의 마지막 일정 샘플(sample)들을 복사하여 유효 OFDM 심볼에 삽입하는 형태의 "Cyclic Prefix" 방식이나 혹은 시간 영역의 OFDM 심볼의 처음 일정 샘플들을 복사하여 유효 OFDM 심볼에 삽입하는 "Cyclic Postfix" 방식중 어느 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Cyclic Prefix 방식 및 Cyclic Postfix 방식의 일정 샘플들은 미리 설정된 설정 샘플들로서 OFDM 통신 시스템에서 그 크기가 미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 구간을 Cyclic Prefix 방식으로 삽입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23)는 상기 IFFT기(521)에서 출력한 신호와 상기 Cyclic Prefix 신호를 직렬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525)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25)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23)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변환한 후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처리기(processor)(52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RF 처리기(527)는 필터(filter)와 전처리기(front end unit) 등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25)에서 출력한 신호를 실제 에어(air)상에서 전송 가능하도록 RF 처리한 후 0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이런 식으로,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한 후 선택기(531)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기(531)는 해당 시점의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하는 신호 혹은 상기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에서 출력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IFFT기(53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531)에서 출력한 신호는 상기 IFFT기(533)의 입력들중 상기 N-1번 안테나에 대응되는 입력들로 일대일 매핑되어 입력된다.
즉, 상기 선택기(531)는 상기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에서 출력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할 것인지, 혹은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한 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따라 상기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 혹은 상기 다수 안테나 송신 부호기(515)에서 출력한 신호를 상기 IFFT기(533)로 출력한다. 상기 IFFT기(533)는 상기 선택기(531)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A 포인트 IFFT를 수행하여 병렬/직렬 변환기(53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35)로는 상기 IFFT기(533)에서 출력되는 신호 뿐만 아니라 길이 CP의 Cyclic Prefix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35)는 상기 IFFT기(533)에서 출력한 신호와 상기 Cyclic Prefix 신호를 직렬 변환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는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535)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변환한 후 RF 처리기(539)로 출력한다. 상기 RF 처리기(539)는 필터와 전처리기 등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37)에서 출력한 신호를 실제 에어상에서 전송 가능하도록 RF 처리한 후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
도 5에서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즉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도 5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는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10)와, 1번 안테나 프리앰블 생성기(620)와, ... , N-1번 프리앰블 생성기(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의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10)와 도 5의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17)는 참조 부호는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도 6의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30) 또한 도 5의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529)와 참조 부호만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면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규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에서 전체 A개의 부반송파들 중에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는 0번 부반송파와, 보호 구간을 위한 고주파 대역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B개의 부반송파들만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N개이고, 상기 IFFT기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부반송파들의 개수가 B개이기 때문에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은 B/N개의 서로 겹치지 않는 부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써 송신 안테나들간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0번 안테나는 B개의 부반송파들 중 해당 부반송파 인덱스(index)의 상기 N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들에만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N에 대한 잉여류가 0이라 함은 상기 해당 부반송파의 인덱스를 N으로 나눈 나머지가 0임을 나타낸다(sub carrier index % N = 0). 물론, 여기서 상기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는 부반송파, 즉 0번 부반송파의 인덱스가 0이기 때문에 상기 N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에 해당하지만 상기 0번 부반송파에는 널 데이터(null data)만이 송신되어야하므로 제외된다. 따라서, 실제 프리앰블 시퀀스가 매핑되는 길이는 B/N이 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실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10)는 최소 피크대 평균 전력비(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 이하 "PAPR"이라 칭하기로 한다) 시퀀스 생성기(61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13)로 구성된다. 상기 최소 PAPR 시퀀스 생성기(611)는 도 5의 IFFT기(521)를 통해 IFFT를 수행한 후의 PAPR이 최소인, 일 예로 상기 IFFT를 수행한 후의 PAPR이 3[dB] 이하인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07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13)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13)는 상기 최소 PAPR 시퀀스 생성기(611)에서 출력한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08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09
의 각 엘리먼트(element)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1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0
"라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1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0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N이 된다.
두 번째로, 상기 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2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Golay Complementary Sequence)/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Complex Golay Complementary Sequence) 생성기(62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23)로 구성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21)는 도 5의 IFFT기(521)를 통해 IFFT를 수행한 후의 PAPR이 최소인, 일 예로 상기 IFFT를 수행한 후의 PAPR이 3[dB] 이하인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2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2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1번 송신 안테나는 상기 0번 송신 안테나와는 달리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0이 아닌 부반송파 위치에 시퀀스가 실리기 때문에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23)를 통한 후 동일한 간격으로 프리앰블 시퀀스가 매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규칙적으로 프리앰블 시퀀스가 매핑될 경우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사용하면 항상 3[dB] 이하의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는 그 길이가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3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4
인 정수)이어야 한다는 길이상의 제한 조건이 있기 때문에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의 길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5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6
인 정수)의 길이 제한 조건으로 인해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사용에 제한이 발생되는 경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사용하면 낮은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pair) [A,B]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C,D]를 이용하여 길이 L+M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E,F,G,H]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경우엔 길이가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7
혹은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8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19
인 정수)으로 확장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동작은 하기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23)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21)에서 출력한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0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1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1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2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2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3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1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N이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인 상기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63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3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로 구성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31)는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4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5
는 그 길이에 따라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이다. 또한, 상기 N-1번 송신 안테나 역시 상기 0번 송신 안테나와는 달리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0이 아닌 부반송파 위치에 시퀀스가 실리기 때문에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를 통한 후 동일한 간격으로 프리앰블 시퀀스가 매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31)는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 조건에 상응하도록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여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631)에서 출력한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6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N-1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B/N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7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63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8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29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N에 대한 잉여류가 N-1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N이 된다.
도 6에서는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500)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하기에 앞서,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규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서 설명한 OFDM 통신 시스템이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4이므로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해당하는 IFFT기의 전체 부반송파들의 개수가 128이고, 시간 영역에서 DC 성분을 나타내는 0번 부반송파와 고주파 대역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하고 104개의 부반송파들만이 사용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4이고 사용 가능한 부반송파들의 개수가 104이기 때문에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은 26개의 서로 겹치지 않은 부반송파들을 사용함으로써 각 송신 안테나들간에 직교성을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0번 송신 안테나는 104개의 부반송파들 중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들에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한다. 따라서, 실제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들에 매핑되는 프리앰블 시퀀스의 길이는 26이 된다.
또한, 도 7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7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과 동일한 구성이며,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전체 부반송파들의 개수에 따라 시퀀스들의 길이만 상이해질 뿐이다. 그러면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실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710)는 최소 PAPR 시퀀스 생성기(71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13)로 구성된다. 상기 최소 PAPR 시퀀스 생성기(711)는 최소 PAPR을 가지는 길이 26(104/4)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0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1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13)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13)는 상기 최소 PAPR 시퀀스 생성기(711)에서 출력한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2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0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3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1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4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5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36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0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4가 된다.
두 번째로, 상기 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72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23)로 구성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인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37
를 생성하 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2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가 생성하는 시퀀스의 형태는 프리앰블 시퀀스 길이 및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는 길이 26의 시퀀스를 생성하므로 골래이 상보 시퀀스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38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39
상기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40
를 생성하는 방법은 하기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23)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에서 출력한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1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1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2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2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3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4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1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4가 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5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37
세 번째로, 상기 2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73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3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33)로 구성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31)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인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7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33)로 출력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33)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31)에서 출력한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8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1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49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0
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에서 생성한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1
과 동일한 골래이 상보 시퀀스로 생성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3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2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3
에서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2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4가 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4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38
마지막으로, 상기 3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74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41)와,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43)로 구성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41)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인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6
를 생성하여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4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7
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21)에서 생성한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8
Figure 112008007641000-pat00059
와 동일한 골래이 상보 시퀀스로 생성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43)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741)에서 출력한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0
를 입력하여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3인 부반송파들에 상기 길이 26의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1
의 각 엘리먼트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743)의 매핑 동작에 따라 생성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2
"라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3
는 부반송파 인덱스의 4에 대한 잉여류가 3인 각 엘리먼트들간의 부반송파 거리는 4가 된다.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4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39
여기서, 상기 1번 안테나 내지 3번 안테나 각각을 통해서 송신될 프리앰블 시퀀스들, 즉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0
와,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1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2
를 IFFT를 수행한 후의 거친 후의 PAPR은 1.9010[dB]가 된다.
도 7에서는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참조부호만 상이할 뿐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들(811)(813)과,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로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는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시퀀스의 길이가
Figure 112008007641000-pat00069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0
인 정수)인 경우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고자 하는 시퀀스의 길이가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1
(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2
인 정수)인 경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PAPR 특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는 생성하고자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의 길이가 상기 길이 조건에 부합하는지에 따라 우선적으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가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할 경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이용해서 길이 L×M 혹은 2×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역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길이 L×M 혹은 2×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1)는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쌍(pair)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1)에서 생성한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쌍을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3
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3)는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생성하여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3)에서 생성한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쌍을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4
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1) 및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13)는 별도의 합성 규칙없이 이미 생성되어 있는 길이 L 및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사용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는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발생기(811)에서 출력한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5
과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발생기(813)에서 출력한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6
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한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7
과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8
을 합성하여 길이 K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K는 L×M 혹은 2×L×M 혹은 L+M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가 생성한 길이 K의 시퀀스를
Figure 112008007641000-pat00079
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가 상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0
과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1
을 합성하여 길이 K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는 생성해야 하는 시퀀스의 길이에 따라 3가지 합성 규칙을 적용하여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합성 규칙을 나타내는 변수를 "Method"라고 정의한다. 첫 번째로, 제1합성 규칙을 사용할 경우, 즉 상기 Method = 0일 경우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는 길이 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는 과정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제2합성 규칙을 사용할 경우, 즉 상기 Method = 1일 경우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는 길이 2×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2×L×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는 과정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 번째로, 제3합성 규칙을 사용할 경우, 즉 상기 Method = 2일 경우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815)는 길이 L+M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L+M의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는 과정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샐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900)는 도 8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8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참조부호와 입출력되는 시퀀스들의 길이만 상이할 뿐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900)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들(911)(913)과,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로 구성된다.
도 9에서는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길이 1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이용하여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911)는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2
을 생성하여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3
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84
그리고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913)는 길이 1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5
을 생성하여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로 출력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는 상기 제1합성 규칙(Method=0)을 사용하여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을 생성한다.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는 상기 제1합성 규칙을 사용하여 생성된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쌍들중 PAPR이 최소인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6
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915)에서 출력하는 길이 26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87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88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1011단계에서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는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이 아닐 경우, 즉 데이터 송신 구간일 경우 상기 송신기는 10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13단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IFFT기 입력단의 해당 부반송파들에 매핑되도록 제어하고, 송신기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1011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송신기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한편, 상기 101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일 경우 상기 송신기는 10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015단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0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3
을 매핑하고, 1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4
을 매핑하고, 이런 방식으로 마지막인 N-1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5
을 매핑한 후 종료한다.
이런 식으로,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는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함으로써 수신측에서의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길이 104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길이 104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매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1111단계에서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는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인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이 아닐 경우, 즉 데이터 송신 구간일 경우 상기 송신기는 11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13단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IFFT기 입력단의 해당 부반송파들에 매핑되도록 제어하고, 송신기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1111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송신기로 송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한다.
한편, 상기 1111단계에서 검사 결과 상기 송신할 신호 구간이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구간일 경우 상기 송신기는 11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15단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0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6
을 매핑하고, 1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7
을 매핑하고, 2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8
을 매핑하고, 3번 안테나에 해당하는 IFFT기의 입력으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49
을 매핑한 후 종료한다.
이런 식으로,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는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함으로써 수신측에서의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가 N개이고, 수신 안테나(Rx ANT)들의 개수가 M개인 OFDM 통신 시스템의 채널 추정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개의 송신 안테나들과 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수신 안테나들의 개수 M은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의 길이 M과 동일한 파라미터로 기재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개수를 나타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즉, 상기 수신 안테나들의 개수 M이 나타내는 값과 상기 골래이 상보 시퀀스 길이 M이 나타내는 값은 동일할 수도 혹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호간에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서 출력하는 시간 영역(time-domain)에서의 신호는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096
, 단 , n = 0, 1, ... , A-1이고, t = 0, 1, ... , M-1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08007641000-pat00097
는 t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의미한다. 상기 t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된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098
가 채널을 통과한 후 m번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는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0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1
는 t번 송신 안테나와 m번 수신 안테나 사이의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을 나타내고,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2
는 t번 송신 안테나와 m번 수신 안테나 사이의 시간 영역에서의 백색 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이하 "AWGN"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5에서 Q는 채널의 다중 경로(multipath) 개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5를 행렬식으로 변환하면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3025856115-pat00102
상기 수학식 6에서 y는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3
를 나타내고,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4
, 여기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05
는 전치(transpose) 행렬을 나타내고, z는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5
를 나타내고,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6
와 같이 표현된다. 또한, 수학식 6의 x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7
그리고 상기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 행렬 h는 하기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8
여기서, 최적의 채널 추정 성능을 위해서 최대 근사(ML: Maximum Likelihood, 이하 "ML"이라 칭하기로 한다) 채널 추정을 하면 하기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된다.
삭제
Figure 112003025856115-pat00111
수학식 9에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12
는 허미시안(Hermitian) 행렬을 의미하며, 수학식 9의 채널 응답 h*이 실제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이 되는 것이다. 실제 채널 등화(Equalization) 과정은 주파수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FFT를 수행한 후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은 하기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59
수학식 10에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14
(
Figure 112008007641000-pat00115
) 행렬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함으로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프리앰블 시퀀 스들이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의 모든 부반송파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정확한 채널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시간 영역에서 채널 추정을 수행하므로 보간에 의한 성능 저하없이 정확한 채널 추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채널 추정기는 M개의 IFFT기들, 즉 IFFT기(1211) 내지 IFFT기(1215)의 M개의 IFFT기들과, 2개의 행렬 합성기들(1217)(1219)과, 행렬 곱셈기(1221)와,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이하 "FFT"라 칭하기로 한다)기(1223)로 구성된다. 먼저, 기지국에서 0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0
는 상기 IFFT기(1211)로 입력되고, 상기 IFFT기(1211)는 상기 0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1
에 대해서 IFFT를 수행하여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2
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미리 규약되어 있으며,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3
은 N-1번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는 주파수 영역의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를 나타내며,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4
은 상기 주파수 영역의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가 IFFT 수행된 시간 영역의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를 나타낸다. 상기 기지국에서 1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5
는 상기 IFFT기(1213)로 입력되고, 상기 IFFT기(1213)는 상기 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6
에 대해서 IFFT를 수행하여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7
를 출력한다. 이런식으로, 상기 기지국에서 M-1번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8
1는 상기 IFFT기(1215)로 입력되고, 상기 IFFT기(1215)는 상기 N-1번 안테나 프리앰블 시퀀스
Figure 112008007641000-pat00169
에 대해서 IFFT를 수행하여
Figure 112008007641000-pat00170
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행렬 합성기(1217)는 상기 M개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수신된 시간 영역의 수신 신호들, 즉 0번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시간 영역의 수신 신호 y0 내지 M-1번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시간 영역의 수신 신호 yM-1를 사용하여 행렬(matrix) y를 합성하여 상기 행렬 곱셈기(12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행렬 y = (y0 y1 ... yM-1)이다. 또한, 상기 행렬 합성기(1219)는 상기 IFFT기(1211) 내지 IFFT기(1215)에서 출력한
Figure 112008007641000-pat00171
내지
Figure 112008007641000-pat00172
을 입력하여 행렬
Figure 112008007641000-pat00116
를 합성하여 상기 행렬 곱셈기(122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x = (x0 x1... xN-1)이다.
상기 행렬 곱셈기(1221)는 상기 행렬 합성기(1217)에서 출력한 행렬 y와 상기 행렬 합성기(1219)에서 출력한 행렬
Figure 112003025856115-pat00117
를 입력하고, 상기 행렬 y와 행렬
Figure 112003025856115-pat00118
를 곱셈한 후 상기 FFT기(122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행렬 곱셈기(1221)에서 출력하는 값은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 추정값으로서
Figure 112003025856115-pat00119
이 된다. 상기 FFT기(1223)는 상기 행렬 곱셈기(1221)에서 출력한 시간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 추정값
Figure 112003025856115-pat00120
을 입력하여 FFT를 수행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응답 추정값 H*를 획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렇게 최소 PAPR을 가지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은 OFDM 통신 시스템 전체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함으로써 수신기가 정확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OFDM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프리앰블 시퀀스의 길이에 상응하여 골래이 상보 시퀀스 혹은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등을 사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함으로써 길이 제한이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개수 제한까지 존재하지 않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5)

  1.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개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고려하여 B/N 길이의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N개 시퀀스 생성기들과,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매핑시켜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은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시퀀스 생성기들 각각은;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1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와,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B/N 길이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4.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개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고려하여 B/N 길이의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매핑시켜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은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을 생성하는 과정은;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B/N 길이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입력하여 제1행렬을 합성하는 제1행렬 합성기와,
    M개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M개의 수신 신호들을 입력하여 제2행렬을 합성하는 제2행렬 합성기와,
    상기 제1행렬과 상기 제2행렬을 곱셈하여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행렬 곱셈기를 더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렬은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Figure 112009027444857-pat00121
    수학식 11에서 x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H는 허미시안(Hermitian) 행렬을 나타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행렬은 상기 M개의 수신 신호들의 집합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은 하기 수학식 12와 같이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Figure 112009027444857-pat00122
    수학식 12에서 h*은 상기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나타내고, y는 상기 제2행렬을 나타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입력하여 제1행렬을 합성하는 과정과,
    M개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M개의 수신 신호들을 입력하여 제2행렬을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행렬과 상기 제2행렬을 곱셈하여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렬은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Figure 112009027444857-pat00123
    수학식 13에서 x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의 집합을 나타내며, H는 허미시안(Hermitian) 행렬을 나타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행렬은 상기 M개의 수신 신호들의 집합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은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표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Figure 112009027444857-pat00124
    수학식 14에서 h*은 상기 시간 영역의 채널 응답을 나타내고, y는 상기 제2행렬을 나타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프리앰플 시퀀스 매핑기들 각각은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들 각각이 연결되는 송신 안테나들에 상응하게 미리 결정된 위치의,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에 상응하게 미리 결정된 위치의,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17.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개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고려하여 B/N 길이의 시퀀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매핑시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주파수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과,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시간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N개의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들과,
    상기 N개의 역고속 푸리에 변환기들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역고속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직렬 변환하고, 상기 직렬 변환된 신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호 구간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기들 각각은;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을를 N개 생성하는 N개의 시퀀스 생성기들과,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매핑시켜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들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은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시퀀스 생성기들 각각은;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1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와,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제2골래이 상보 시퀀스 생성기와,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상기 B/N 길이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골래이 상보 시퀀스/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합성기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프리앰플 시퀀스 매핑기들 각각은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매핑기들 각각이 연결되는 송신 안테나들에 상응하게 미리 결정된 위치의,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22. 주파수 영역에서 A개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고,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개의 부반송파들과 상기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고려하여 B/N 길이의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고,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에 널 데이터를 매핑시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주파수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역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상기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시간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영역의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을 직렬 변환하고, 상기 직렬 변환된 신호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호 구간 신호를 삽입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은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 각각을 생성하는 과정은;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생성하는 과정과,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길이 L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와 상기 길이 M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를 합성하여 상기 B/N 길이의 골래이 상보 시퀀스 및 복소 골래이 상보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시퀀스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A개의 부반송파들 중 상기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각각이 송신되는 송신 안테나들에 상응하게 미리 결정된 위치의, 상기 B/N개의 부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B/N 길이의 시퀀스들의 구성 성분들 각각을 일대일 매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방법.
KR1020030048461A 2003-07-15 2003-07-15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1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61A KR100918764B1 (ko) 2003-07-15 2003-07-15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891,613 US7292641B2 (en) 2003-07-15 2004-07-15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reamble sequenc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461A KR100918764B1 (ko) 2003-07-15 2003-07-15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388A KR20050008388A (ko) 2005-01-21
KR100918764B1 true KR100918764B1 (ko) 2009-09-24

Family

ID=3405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4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8764B1 (ko) 2003-07-15 2003-07-15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92641B2 (ko)
KR (1) KR100918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018B2 (en) 2008-08-11 2023-06-06 Equo Ip Llc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4872B2 (en) * 2003-08-29 2011-01-04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R2871314B1 (fr) * 2004-06-07 2006-09-15 Nortel Networks Ltd Procede pour estimer des symboles d'un signal numerique et recept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KR100790115B1 (ko) * 2004-10-29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339930B2 (en) 2005-05-16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Pilot transmission and channel estimation with pilot weighting
CN1933470A (zh) * 2005-09-13 2007-03-21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分布式多发多收-正交频分复用系统帧同步方法及装置
CN101300754B (zh) 2005-10-31 2012-02-2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移动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无线电接入信息的方法
US8583995B2 (en) * 2005-11-16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processor
US8910027B2 (en) * 2005-11-16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Golay-code generation
US8429502B2 (en) * 2005-11-16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for millimeter-wave systems
EP1955509A4 (en) 2005-11-28 2011-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D TRANSMITTING A CODE SEQU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81191A4 (en) * 2006-01-31 2011-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ECEPTION STATION APPARATUS, TRANSMISSION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7945214B2 (en) * 2006-03-24 2011-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ducing overhead for multi-input, multi-output transmission system
ES2507554T3 (es) 2006-06-09 2014-10-15 Tq Lambda Llc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móvil
US20080112506A1 (en) * 2006-11-13 2008-05-15 Motorola, Inc. Transmission power optimization
EP2122954A2 (en) * 2007-01-15 2009-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generating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 papr) binary preamble sequences for ofdm systems
US20080207258A1 (en) * 2007-02-26 2008-08-28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Multimode transmitter with digital up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01690065B (zh) 2007-04-19 2013-01-0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生成用于正交频分多址系统中的初始测距的信号的方法和设备
CN101394226A (zh) * 2007-09-18 2009-03-25 Nxp股份有限公司 蜂窝电话系统的具有多Zadoff-Chu序列的随机接入前同步码
US8472497B2 (en) * 2007-10-10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Millimeter wave beaconing with directional antennas
US8856628B2 (en) * 2007-10-10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usage of extended golay codes
US8831063B2 (en) * 2008-03-18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carrier burst structure for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and tracking
US7821914B2 (en) * 2008-03-31 2010-10-26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generation and set of implementation efficient preambles for OFDM systems
US9198133B2 (en) * 2010-03-12 2015-11-24 Sunrise Micro Devices, Inc. Power efficient communications
JP5556640B2 (ja) * 2010-12-10 2014-07-23 アイコム株式会社 プリアンブル生成装置、プリアンブル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82989B2 (ja) * 2011-10-26 2015-09-24 アイコム株式会社 通信機および通信方法
CN102801683B (zh) * 2012-08-17 2015-07-1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ofdm系统帧同步与频率同步联合方法
WO2016141992A1 (en) * 2015-03-12 2016-09-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9860349B2 (en) * 2015-03-25 2018-01-02 Newracom,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and wireless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US9806814B2 (en) * 2015-11-24 2017-10-31 Futurewei Tecnologies, Inc. Joint acquisition of chromatic dispersion and frequency offset in optical systems
CN112511206B (zh) * 2016-06-30 2022-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序列设计方法及装置
WO2018113901A1 (en) * 2016-12-19 2018-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construction based on a golay sequence
CN109547373B (zh) * 2018-11-16 2021-12-10 西安宇飞电子技术有限公司 用于ofdm系统频域强干扰环境的频偏估计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973A (ja) 1998-08-19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fdm用プリアンブル生成方法及びofdm用変調回路
KR20030007481A (ko) * 2000-03-30 2003-01-2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30041278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영역의 이퀄라이저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US7233625B2 (en) 2000-09-01 2007-06-19 Nortel Networks Limited Preamble design fo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8973A (ja) 1998-08-19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fdm用プリアンブル生成方法及びofdm用変調回路
KR20030007481A (ko) * 2000-03-30 2003-01-23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233625B2 (en) 2000-09-01 2007-06-19 Nortel Networks Limited Preamble design fo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KR20030041278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영역의 이퀄라이저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018B2 (en) 2008-08-11 2023-06-06 Equo Ip Llc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12127264B2 (en) 2008-08-11 2024-10-22 Equo Ip Llc Timing alignment procedure for a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3381A1 (en) 2005-01-20
KR20050008388A (ko) 2005-01-21
US7292641B2 (en)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64B1 (ko)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38095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557159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621432B1 (ko)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다중셀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AU20052392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amble sequence for adaptive antenna system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A254225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KR10090557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77091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EP2148483B1 (en) OFDM system with subcarrier group phase rotation
EP1679849B1 (en) OFD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herein the pilot symbols are weighted in order to reduce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KR2003003584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4002925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40087622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38456B1 (ko) 프리앰블 심벌을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 및 그 생성 방법 및 타이밍/주파수 동기 획득하는 방법
KR20050011292A (ko)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5001833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40108070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4010807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50011057A (ko)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방법
KR20040097549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5001105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50109875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