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7102B1 - 자동식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자동식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102B1
KR100917102B1 KR1020070068855A KR20070068855A KR100917102B1 KR 100917102 B1 KR100917102 B1 KR 100917102B1 KR 1020070068855 A KR1020070068855 A KR 1020070068855A KR 20070068855 A KR20070068855 A KR 20070068855A KR 100917102 B1 KR100917102 B1 KR 10091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eed
hydraulic cylinder
fluid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57A (ko
Inventor
공철규
Original Assignee
공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철규 filed Critical 공철규
Priority to KR102007006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돌출높이가 결정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노면의 통과시 감속을 유도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노면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판(20)과,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중 및 속도에 따라 동작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5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5)과,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51)의 승,하강시 상기 유압실린더(5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5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과 제2실린더관(53)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체이동로(57)와, 상기 유체이동로(57)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트판, 유압실린더, 피스톤, 유체저장통, 오리피스, 유체이동로

Description

자동식 과속방지턱{AUTOMATIC TYPE PROMINENCE FOR OVERSPEED PREVENTION}
본 발명은 자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돌출높이가 결정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방지턱이 구비된 노면의 통과시 감속을 유도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학교주변 등 감속이 요구되는 지점에는 보행자의 안전 및 교통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과속방지턱은 아스콘, 시멘트, 철재판 등으로 제작되어 반영구적으로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작된다.
또한, 설정된 감속조건에 부합하도록 과속방지턱의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모든 통과차량이 속도를 감속시킨 상태로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과속운전을 방지하는데에는 효과적이나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통과차량의 속도에 상관없이 동일한 진동 및 충격을 느끼도록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조성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6-0000015호(2006.11.03, 고안의 명칭: 시간대 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과속방지턱)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하게 시간대별로 과속방지턱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속으로 진입한 경우에도 똑같이 과속방지턱을 통과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운전자로 하여금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과속방지턱이 개시되어야 하는 실정이며,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2007-56928호에서와 같이 속도검출부와, 과속방지돌출부로 구성된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을 발명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감속을 유도함과 아울러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은 속도검출을 위해 필수적으로 센서 등의 부품이 필요하여 과속방지턱의 높이조절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부품구입비용 및 인건비 등의 증가로 원가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품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돌출높이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감속을 유도하도록 함과 아울러 불필요한 진동 및 충격 등 운전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식 과속방지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노면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판(20)과,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중 및 속도에 따라 동작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30)에 유압호스(33)로 연결되는 유체저장통(32)과,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압호스(33)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밸브(35)와, 상기 유압실린더(3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3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37)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4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45)과, 상기 피스톤(4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제1실린더관(42)과 제2실린더관(43)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유압실린더(4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41)에 형성되는 오리피스(47)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5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5)과,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51)의 승,하강시 상기 유압실린더(5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5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과 제2실린더관(53)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체이동로(57)와, 상기 유체이동로(57)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59)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품의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돌출높이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방지턱의 통과시 감속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속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과속방지턱이 하강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불필요한 진동 및 충격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운전자의 기분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불쾌감이 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식 과속방지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턱을 보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의 유압실린더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턱의 플레이트판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식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노면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판(20)과,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중 및 속도에 따라 동작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일측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판(22) 및 제2회동판(24)과, 상기 제1회동판(22)과 제2회동판(24)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저면에 상기 실린더부재가 장착되는 수평연결판(26)으로 구 성된다.
이때, 상기 제1회동판(22)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플레이트판(2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을 노면에 매설시키는 경우 상기 제1회동판(22)이 차량의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설치되게 하여 차량의 진행에 따른 원활한 동작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30)와, 상기 유압실린더(30)에 유압호스(33)로 연결되는 유체저장통(32)과,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압호스(33)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밸브(35)와, 상기 유압실린더(3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3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3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부로 차량이 지나가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판(20)을 가압하여 상기 유압실린더(30) 내부의 피스톤(31)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30)에 내장된 유체가 상기 유압호스(33)를 통해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이동되어 지고, 차량이 지나간 후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7)의 탄성력으로 상기 피스톤(31)을 다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이동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압실린더(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통과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판(20)의 하강으로 상기 피스톤(31)이 하측방향으로 하강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30) 내부의 유체 이동량을 상기 유량조절밸브(35)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판(20)를 가압하는 시간에 비례하게 유체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고속으로 진입하는 차량과 저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판(20)을 가압하는 시간이 상이하여 상기 피스톤(31)의 하강거리가 상이하게 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돌출상태가 정해지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저속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의 방지와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유압실린더(4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4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45)과, 상기 피스톤(4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제1실린더관(42)과 제2실린더관(43)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유압실린더(4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41)에 형성되는 오리피스(4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부로 차량이 지나가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판(20)을 가압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 내부의 피스톤(41)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제1실린더관(42)에 내장된 유체가 상기 피스톤(41)에 형성된 오리피스(47)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관(43)으로 이동되어 지고, 차량이 지나간 후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으로 상기 피스톤(41)을 다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41)의 상승으로 상기 제2실린더관(43)에 내장된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47)를 통해 상기 제1실린더관(42)으로 유입되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5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5)과,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51)의 승,하강시 상기 유압실린더(5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5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과 제2실린더관(53)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체이동로(57)와, 상기 유체이동로(57)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59)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판(20)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유압실린더(50)의 피스톤(51)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에 내장된 유체가 상기 유체이동로(57)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관(53)으로 이동되어 지고, 상기 플레이트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사라진 경우에는 상기 탄성스프링(55)의 탄성력으로 상기 피스톤(51)을 다시 상승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51)의 상승으로 상기 제2실린더관(53)에 내장된 유체가 상기 유체이동로(57)를 통해 상기 제1실린더관(52)으로 유입되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체이동로(57)에 상기 조절밸브(59)가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차량의 통행이 없는 경우에는 플레이트판(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어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31)이 상승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노면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하여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통과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판(20)은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유압실린더(30)의 피스톤(3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31)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0)에 내장된 유체는 유압호스(33)를 통해 유체저장통(32)으로 이동되어 지며, 차량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지나간 후에는 탄성스프링(37)이 상기 피스톤(31)을 가압하여 다시 상승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피스톤(31)의 상승으로 유압호스(33)를 통해 상기 유압실린더(30)로 이동되어 최초의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차량의 통과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돌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량의 진입속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판(20)을 통과하는 시간이 상이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체의 이동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판(20)의 하강거리가 상이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이 저속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많은 양의 유체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판(20)의 하강되어 노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되고,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적은 양의 유체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판(20)의 하강거리가 적어 돌출된 상태에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고속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판(20)의 이동거리가 거의 없는 상태 즉,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운전자가 저속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판(20)의 이동거리가 많아 노면과 거의 수평을 이룬 상태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경우에 감속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판(20)의 하강에 따라 유압실린더에 내장된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통(32)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유체의 이동을 위한 다른 구조로 설계하여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40)의 피스톤(41)에 오리피스(47)를 형성하여 유압실린더(40)의 제1실린더관(42)의 유체를 상기 피스톤(41)의 하강시 오리피스(47)를 통해 제2실린더관(43)으로 유입시켜 플레이트판(20)을 하강시킬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과 제2실린더관(53)을 서로 연결되게 유체이동로(57)를 구비하여 피스톤(51)의 하강시 제1실린더관(52)의 유체가 제2실린더관(53)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턱을 보인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의 유압실린더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속방지턱의 플레이트판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린더부재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가이드홈
20: 플레이트판 22: 제1회동판
24: 제2회동판 26: 수평연결판
30, 40, 50: 유압실린더 31, 41, 51: 피스톤
32: 유체저장통 33: 유압호스
35: 유량조절밸브 37, 45, 55: 탄성스프링
42, 52: 제1실린더관 43, 53: 제2실린더관
47: 오리피스 57: 유체이동로
59: 조절밸브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노면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플레이트판(20)과,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중 및 속도에 따라 동작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일측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판(22) 및 제2회동판(24)과, 상기 제1회동판(22)과 제2회동판(24)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저면에 상기 실린더부재가 장착되는 수평연결판(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회동판(22)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판(20)이 승,하강되며,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판(20)을 승,하강시키는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50)의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판(20)의 상승을 위해 피스톤(51)을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55)과,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외주면에 상기 피스톤(51)의 승,하강시 상기 유압실린더(50) 내부의 유체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피스톤(51)에 의해 분할된 상기 유압실린더(50)의 제1실린더관(52)과 제2실린더관(53)을 상호 연결시키는 유체이동로(57)와, 상기 유체이동로(57)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과속방지턱.
KR1020070068855A 2007-07-09 2007-07-09 자동식 과속방지턱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55A KR100917102B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식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55A KR100917102B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식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57A KR20090005657A (ko) 2009-01-14
KR100917102B1 true KR100917102B1 (ko) 2009-09-15

Family

ID=4048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102B1 (ko) 2007-07-09 2007-07-09 자동식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842A3 (en) * 2010-02-11 2011-12-15 Johnson & Nicholson (M) Sdn Bhd. Height adjustable speed bump
KR101197030B1 (ko) 2010-08-02 2012-11-06 한상문 과속방지안전장치
WO2014117420A1 (zh) * 2013-01-31 2014-08-07 北京工业大学 一种活塞式可变道路限速控制装置
CN108221728A (zh) * 2016-12-21 2018-06-29 新疆生产建设兵团公路科学技术研究所 自动道路车辆减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676B1 (ko) * 2007-12-24 2010-03-08 변문기 과속방지턱 장치
KR101334825B1 (ko) * 2012-06-29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하중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발전 시스템
CN103938565B (zh) * 2014-05-06 2015-11-11 三峡大学 单向砂粘缸减速带
US9453309B2 (en) * 2014-09-12 2016-09-27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communicating roadway information
CN104358218B (zh) * 2014-10-11 2016-08-24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控减速墩
CN104594244B (zh) * 2014-12-23 2017-01-04 北京航空航天大学 自动升降公路减速带
CN108842647A (zh) * 2017-03-01 2018-11-20 六安永贞匠道机电科技有限公司 车辆动能的回收方法
CN108442264A (zh) * 2018-03-29 2018-08-24 南京亚欣照明有限公司 一种具有地埋灯的市政隧道警示装置
CN108677783B (zh) * 2018-06-22 2020-09-04 泰州市津专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柔性道路减速带
CN108691447A (zh) * 2018-08-09 2018-10-23 绵阳鹏志远科技有限公司 地下停车场安全防护机构
CN110863444B (zh) * 2018-08-27 2024-09-2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智能减速带
CN109944177A (zh) * 2019-02-20 2019-06-28 中国市政工程中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防止汽车弹跳的市政道路减速装置
ES1231685Y (es) * 2019-04-12 2019-09-20 Eminens Tech S L Dispositivo reductor de velocidad para vehículos
DE102020109215A1 (de) * 2020-04-02 2021-10-07 Stabilu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Regulierung einer Fahrgeschwindigkeit eines Fahrzeugs
CN115961574B (zh) * 2021-10-09 2025-06-20 华鹏海 一种气动升降减速带
CN116289689B (zh) * 2023-03-31 2024-10-01 吉林建筑科技学院 一种道路减速带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4707A1 (en) * 1992-06-03 1993-12-09 Richard Michael James Traffic speed control unit and assembly
US6010277A (en) * 1995-06-15 2000-01-04 Follman; Aaron Road speed limiting device
KR200419835Y1 (ko) * 2006-04-14 2006-06-26 김경환 수동식 공압 헬스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4707A1 (en) * 1992-06-03 1993-12-09 Richard Michael James Traffic speed control unit and assembly
US6010277A (en) * 1995-06-15 2000-01-04 Follman; Aaron Road speed limiting device
KR200419835Y1 (ko) * 2006-04-14 2006-06-26 김경환 수동식 공압 헬스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9842A3 (en) * 2010-02-11 2011-12-15 Johnson & Nicholson (M) Sdn Bhd. Height adjustable speed bump
KR101197030B1 (ko) 2010-08-02 2012-11-06 한상문 과속방지안전장치
WO2014117420A1 (zh) * 2013-01-31 2014-08-07 北京工业大学 一种活塞式可变道路限速控制装置
CN108221728A (zh) * 2016-12-21 2018-06-29 新疆生产建设兵团公路科学技术研究所 自动道路车辆减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57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102B1 (ko) 자동식 과속방지턱
KR101792649B1 (ko)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US4502673A (en) Integral shock absorber and spring assembly
KR20080108848A (ko) 속도반응식 과속방지턱
CA1197529A (en) Shock absorber and air spring assembly
CN103507899B (zh) 车辆的车高调节装置
DE102013110219B4 (de) Fahrzeughöhensteuer/Regel-Einrichtung für ein Motorrad
CN203583394U (zh) 一种具有识别车速的自动调节减速带
KR20100041740A (ko) 도로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장치
US4445673A (en) Shock absorber and air spring assembly
CN104428199A (zh) 车高调整装置
KR100778457B1 (ko) 차량의 주행속도 감속용 도로의 과속방지턱
KR102023410B1 (ko) 속도감응식 과속방지시스템
CN108677783A (zh) 一种柔性道路减速带
US4729538A (en) Apparatus for hydraulically actuating a vehicle seat
CN104494441B (zh) 汽车油门防误踩装置
US7476052B2 (en) Retractable fluid-filled speed bump/vehicle restrictor
KR20100111763A (ko) 일정속도 이상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 과속방지턱
CN103057378A (zh) 一种车身高度控制装置和方法
JP2003127858A (ja) レールへの塗油装置
RU214910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подвеска автомобиля
CN108842648B (zh) 一种自适应减速带
JP4371962B2 (ja) 可変減衰力ダンパー
CN106758918A (zh) 环状无缝过渡式车辆减速设备
CN107654558A (zh) 一种汽车减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2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