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6400B1 -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 Google Patents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400B1
KR100916400B1 KR1020080032160A KR20080032160A KR100916400B1 KR 100916400 B1 KR100916400 B1 KR 100916400B1 KR 1020080032160 A KR1020080032160 A KR 1020080032160A KR 20080032160 A KR20080032160 A KR 20080032160A KR 100916400 B1 KR100916400 B1 KR 100916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ook
hood
bracket
hook struct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400B1/ko
Priority to US12/275,149 priority patent/US8083270B2/en
Priority to DE102008060989.7A priority patent/DE102008060989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8Arrangements for protection of pedestri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14Hood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26Spring projected
    • Y10T292/0928Operating means
    • Y10T292/0934Rig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45Operating means
    • Y10T292/0948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45Operating means
    • Y10T292/0951Rigid
    • Y10T292/0959Swinging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42Rigid engaging means
    • Y10T292/444Swinging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후드의 이면에 장착되고 삽입부를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삽입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는 안전후크,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후크에 고정되어 안전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록킹이 해제되는 안전후크 구조를 자동차의 후드에 장착함으로써 후드의 외측 패널과 내측패널 사이의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후드에 보행자가 충돌할 경우 안정된 완충력으로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고, 더불어 안전후크의 제조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드, 안전후크, 래치, 브라켓

Description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SAFETY HOOK STRUCTURE FOR HOOD}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를 록킹하는 안전후크를 개선하여 후드 내의 완충공간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후드에 충돌하는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 소음에 대한 차음 기능도 겸하도록 후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는 카울 톱 아우터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그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후드의 록킹 구조는 후드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걸림고리를 형성하는 스트라이커, 라디에이터 그릴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1차로 록킹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즉, 상기 후드의 록킹 구조는 차내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하여 래치를 작동시켜 스트라이커의 록킹을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드와 라디에이터 그릴 사이에는 운전자의 부주위로 인해 레 버를 조작할 경우에도 후드가 들어 올려지지 않도록 2차로 록킹하는 안전후크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후크 구조(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에 장착하는 브라켓(31), 상기 브라켓(3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는 손잡이(32a)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라디에이터 그릴(20)에 장착되는 걸림고리(21)에 걸려서 록킹되도록 록킹부(32b)를 형성한 안전후크(32), 안전후크(32)의 회전축을 통과하여 브라켓(31)에 고정하는 고정편(33), 상기 고정편(33)에 체결되어 안전후크(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안전후크 구조(30)는 후드(10)와 라디에이터 그릴(20) 사이의 틈새로 손을 넣고, 상기 안전후크(32)의 손잡이(32a)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안전후크(32)의 록킹부(32b)가 걸림고리(21)에서 이탈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드(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드는 래치 및 안전후크 구조를 통해 후드가 갑자기 열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드(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11)과, 엔진룸을 보호하는 내측 패널(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에는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는 차량의 범퍼에 보행자가 충돌할 경우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10)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하는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후드(10)는 도 1에 표시된 'B'부분 같이, 안전후크(3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2) 사이를 밀착시켜야 하며, 그에 따라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보행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후크 구조를 개선하여 후드의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 사이의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을 크게 확보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하고, 더불어 안전후크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조의 용이성을 가지는 후드의 안전후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드를 록킹하는 안전후크 구조는, 자동차의 후드를 록킹하는 안전후크 구조에 있어서, 후드의 이면에 장착되고 삽입부를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삽입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는 안전후크,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후크에 고정되어 안전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과 회동부의 상호 대응면에는 안전후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수단은 삽입부 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회동부 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측벽이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과 안전후크에는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록킹이 해제되는 안전후크 구조를 자동차의 후드에 장착함으로써 후드의 외측 패널과 내측패널 사이의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고, 더불어 안전후크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제조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의 이면에 장착되는 브라켓(100), 상기 브라켓(10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드(10)를 록킹하는 안전후크(200), 상기 안전후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0)은 후술되는 안전후크(200)를 후드(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통해 후드(10)의 내측 패널(12)에 장착되며, 저면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 삽입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전후크(200)는 후드(10)를 록킹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일측에는 상 기 삽입부(110)의 삽입홈(111)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선단에는 라디에이터 그릴(20)에 장착된 걸림고리(21)에 걸려서 록킹되도록 록킹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안전후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안전후크(200)는 탑승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손잡이부(23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된 회동부(210)를 중심으로 록킹부(23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고리(21)로부터 이탈하며, 이에 따라 록킹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10)의 삽입홈(111)과 회동부(210)의 상호 대응면에는 안전후크(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11), 및 상기 삽입홈(111)의 내벽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11)에 걸려서 지지되어 회동부(2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112)를 구비한다.
즉, 상기 조절수단은 삽입홈(111)을 중심으로 회동부(210)가 회전할 경우 회동부(210)에 형성된 걸림홈(211)의 양측 내벽이 걸림돌기(112)의 양측벽에 각각 걸려서 지지됨에 따라 회동부(2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0)와 회동부(210) 사이에는 삽입홈(111) 내에서 회동부(210)가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후크(200)는 브라켓(100)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함 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안전후크의 상하 회전에 필요한 회전공간(도 1에 표시된 'A'부분 참조)을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드(10)의 외측 패널(11)과 내측 패널(10) 사이의 보행자 보호용 완충공간(도 4에 표시된 'B'부분 참조)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안전후크(20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100)과 안전후크(200) 사이에 위치하고 삽입부(110)와 회동부(2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브라켓(100)을 관통한 후 절곡됨에 따라 고정되고, 하단은 안전후크(200)의 수직면을 관통한 후 절곡됨에 따라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안전후크(200)의 록킹부(230)가 걸림고리(21)에 록킹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에 장착된 후드래치(미도시)를 통해 후드(10)의 록킹을 해제하면, 후드(10)는 소정 높이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안전후크(200)의 록킹부(220)에 의해 다시 록킹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후드(10)와 라디에이터 그릴(20)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안전후크(200)의 손잡이부(230)를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키면, 안전후크(200)는 브라켓(100)를 중심으로 좌 또는 우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안전 후크(200)의 록킹부(230)가 걸림고리(21)에서 이탈하면서 록킹이 해제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후드(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00)는 안전후크(200)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함에 따라 비틀림 탄성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후, 안전후크(200)를 회전시킨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전후크(200)는 원위치로 복위하며, 이와 같은 상태로 후드(10)를 하강시키면 안전후크(200)의 록킹부(230)가 걸림고리(21)에 걸리면서 다시 록킹상태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부호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는 전술한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양측단이 걸려서 고정되는 브라켓(100')과 안전후크(200')의 표면에 탄성부재(300)의 양측단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2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240)는 탄성부재(300)의 양끝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안전후크(200)의 안전된 회전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브라켓 110 : 삽입부
200 : 안전후크 210 : 회동부
300 : 탄성부재

Claims (3)

  1. 자동차의 후드를 록킹하는 안전후크 구조에 있어서,
    후드의 이면에 장착되고 삽입부를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삽입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부를 구비하는 안전후크, 및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전후크에 고정되어 안전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과 회동부의 상호 대응면에는 안전후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수단은 삽입부 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회동부 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의 측벽이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안전후크에는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KR1020080032160A 2008-04-07 2008-04-07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KR10091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60A KR100916400B1 (ko) 2008-04-07 2008-04-07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US12/275,149 US8083270B2 (en) 2008-04-07 2008-11-20 Safety hook structure for hood
DE102008060989.7A DE102008060989B4 (de) 2008-04-07 2008-12-08 Sicherheitshaken-Struktur für eine Ha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60A KR100916400B1 (ko) 2008-04-07 2008-04-07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400B1 true KR100916400B1 (ko) 2009-09-07

Family

ID=4105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160A KR100916400B1 (ko) 2008-04-07 2008-04-07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83270B2 (ko)
KR (1) KR100916400B1 (ko)
DE (1) DE102008060989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7697A (zh) * 2013-04-12 2014-10-1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重置特征的可塌缩发动机罩缓冲器
KR20150121342A (ko) * 2014-04-18 2015-10-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형 집진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2021A1 (en) * 2009-04-07 2010-10-07 Jordan Kahn Company Grilling apparatus
CN102971471B (zh) * 2010-06-29 2016-05-1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车辆发动机罩锁扣组件
US8579061B2 (en) 2011-01-21 2013-11-12 Chrysler Group Llc Vehicle compartment cover coupling
KR101261921B1 (ko) * 2011-07-18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장치
KR101382791B1 (ko) * 2012-07-30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KR20140023048A (ko) * 2012-08-16 201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충격감지센서
US9421851B2 (en) 2015-01-08 2016-08-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onneau cover latch apparatus
US10590683B2 (en) 2015-06-15 2020-03-17 Magna Closures Inc. Vehicle hood latch and method of unlatching a vehicle hood
DE102015116775A1 (de) * 2015-10-02 2017-04-06 Kiekert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Fronthauben mit elektrischem Antrieb u.rastbarem Stellglied
JP6687220B2 (ja) * 2017-04-14 2020-04-2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フードロッ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26B1 (ko) * 2000-11-24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안전레버와 샤프트의 고착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953A (en) * 1914-04-01 1914-06-23 Albert Bujewski Gate-latch.
US1144537A (en) * 1914-04-11 1915-06-29 Charles Edward Percy Gabriel Lock for sliding doors.
FR589604A (fr) 1924-11-24 1925-06-02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e fixation de capots de véhicules
DE502743C (de) 1926-07-15 1930-07-17 Auguste Leon Jean Gerard Federverschluss fuer Motorschutzhauben von Kraftfahrzeugen
US1885713A (en) * 1931-10-10 1932-11-01 Trumbull Electric Mfg Co Electric siwtch box latch and handle
US1974621A (en) 1933-03-20 1934-09-25 Bassick Co Hood catch
US2236735A (en) * 1939-05-15 1941-04-01 American Forging & Socket Co Latching mechanism
US2326069A (en) * 1941-11-26 1943-08-0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abinet latch
US2877035A (en) * 1954-11-08 1959-03-10 Stewart Warner Corp Hood latch
US2894379A (en) * 1957-09-16 1959-07-14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049371A (en) * 1959-08-25 1962-08-14 Arrow Hart & Hegeman Electric Spring held and biased latch
US3088765A (en) * 1960-09-01 1963-05-07 Chicago Forging & Mfg Co Lock assembly
US3415086A (en) 1967-07-27 1968-12-10 Shapiro Levine And Crane Locking bayonet connector securement
CA1002995A (en) 1973-04-27 1977-01-04 Richard L. Moore Security lock
IT1023405B (it) * 1973-12-24 1978-05-10 Daimler Benz Ag Dispositivo per assicurare cofani o coperchi a cerniera in partico lare il cofano del motore di autoveicoli
US4236853A (en) * 1978-09-18 1980-12-02 Acf Industries, Incorporated Plated container pedestal locking member
US4351170A (en) * 1980-09-02 1982-09-28 Clompus I Bertram Key actuated locking bolt
US4424993A (en) * 1981-05-29 1984-01-1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Latch mechanism for luminaire
JPH01134169A (ja) 1987-11-19 1989-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DE4001141C1 (en) * 1990-01-17 1991-04-18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Safety catch for car bonnet - incorporates separate control hook and safety hook
US5046768A (en) * 1990-07-16 1991-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imary and secondary hood latch with pop-up and presenter lever
EP1606484B1 (en) * 2003-02-21 2008-02-13 Magna Closures Inc. Hood latch assembly
KR200377616Y1 (ko) 2004-12-20 2005-03-14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잠금장치
FR2888699A1 (fr) 2005-07-13 2007-01-19 France Telecom Dispositif de codage/decodage hierach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426B1 (ko) * 2000-11-24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안전레버와 샤프트의 고착방지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7697A (zh) * 2013-04-12 2014-10-1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重置特征的可塌缩发动机罩缓冲器
CN104097697B (zh) * 2013-04-12 2016-09-2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重置特征的可塌缩发动机罩缓冲器
KR20150121342A (ko) * 2014-04-18 2015-10-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형 집진후드
KR101599208B1 (ko) * 2014-04-18 2016-03-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형 집진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83270B2 (en) 2011-12-27
US20090250945A1 (en) 2009-10-08
DE102008060989B4 (de) 2019-03-14
DE102008060989A1 (de)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400B1 (ko) 후드용 안전후크 구조
JP5526004B2 (ja)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JP5170314B2 (ja) 自動車ドア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JP2002129823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ヒンジ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1102095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629842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6474190B1 (en) Hood unlocking apparatus of automobile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JP5663738B2 (ja) 自動車の開閉部のためのノブ
KR10108077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6541175B2 (ja) 車両のセカンダリーラッチ機構
KR100387882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JP6732384B2 (ja) ドア構造
JP4085302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100107275A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JP4904834B2 (ja) 車両のフード支持構造
KR100489000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후드힌지 장치
KR102128317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열림 방지구조
JP2009090846A (ja) 自動車の側部構造
JP6960355B2 (ja) フードロックレバー構造
KR101494228B1 (ko) 액티브 후드 래치 어셈블리
JP6740558B2 (ja) 車両用リフター装置
KR100380351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