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597B1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4597B1 KR100914597B1 KR1020070022011A KR20070022011A KR100914597B1 KR 100914597 B1 KR100914597 B1 KR 100914597B1 KR 1020070022011 A KR1020070022011 A KR 1020070022011A KR 20070022011 A KR20070022011 A KR 20070022011A KR 100914597 B1 KR100914597 B1 KR 1009145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ycol
- ether
- meth
- sulfoxy
- formul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04B24/2647—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8—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 카르복실산(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 | 반응성계면활성제 | 공중합체염의 고형분함량(중량%) | 중량평균분자량 | 중화제 | |
EO몰수 | 공중합체내함량(중량%) | 공중합체내함량(중량%) | 공중합체내함량(중량%) | ||||
실시예 1 | 55 | 84.9 | 14.1 | 1.0 | 40.2 | 35,000 | TEA |
실시예 2 | 55 | 84.9 | 14.1 | 1.0 | 40.2 | 35,000 | MDEA |
실시예 3 | 80 | 88.1 | 10.9 | 1.0 | 40.1 | 39,000 | TEA |
실시예 4 | 80 | 88.1 | 10.9 | 1.0 | 40.1 | 39,000 | MDEA |
실시예 5 | 110 | 93.3 | 5.7 | 1.0 | 40.2 | 43,500 | TEA |
실시예 6 | 110 | 93.3 | 5.7 | 1.0 | 40.2 | 43,500 | MDEA |
비교예 1 | 55 | 84.9 | 14.1 | 1.0 | 40.2 | 35,000 | NaOH |
구분 | W/B(중량%) | S/A(체적%) | 단위 재료량(kg/㎥) | Admixture | |||||
W | C | F/A | S1 | S2 | G | 사용량(B×%) | |||
실시예 1~6비교예 1~2 | 42.5 | 47.0 | 154 | 330 | 33 | 417 | 433 | 933 | 0.4 |
구분 | 첨가량(결합재중량대비중량%) | 콘크리트슬럼프(㎝) | 공기량(%) | 압축강도(MPa) 및 강도발현율(설계기준강도 24MPa 대비 %) | ||||||
콘크리트혼화제 | 초기 | 60분 | 초기 | 60분 | 16시간 | 19시간 | 36시간 | 42시간 | 72시간 | |
실시예1 | 0.4 | 21.0 | 18.0 | 6.2 | 4.1 | 0.4 | 0.9 | 7.6 | 8.9 | 18.0 |
1.7% | 3.8% | 31.7% | 37.1% | 75.0% | ||||||
실시예2 | 0.4 | 21.0 | 18.5 | 5.7 | 3.9 | 0.5 | 1.0 | 7.6 | 9.4 | 19.6 |
2.1% | 4.2% | 31.7% | 39.2% | 81.7% | ||||||
실시예3 | 0.4 | 20.5 | 19.5 | 6.1 | 4.2 | 0.5 | 1.2 | 8.0 | 10.7 | 19.8 |
2.1% | 5.0% | 33.3% | 44.6% | 82.5% | ||||||
실시예4 | 0.4 | 21.0 | 20.0 | 5.8 | 3.8 | 0.7 | 1.4 | 8.3 | 11.3 | 20.9 |
2.9% | 5.8% | 34.6% | 47.1% | 87.1% | ||||||
실시예5 | 0.4 | 20.0 | 13.0 | 6.0 | 4.3 | 0.5 | 1.2 | 6.8 | 9.3 | 18.1 |
2.1% | 5.0% | 28.3% | 38.8% | 75.4% | ||||||
실시예6 | 0.4 | 20.5 | 16.0 | 5.9 | 4.1 | 0.6 | 1.3 | 7.8 | 9.8 | 19.2 |
2.5% | 5.4% | 32.5% | 40.8% | 80.0% | ||||||
비교예1 | 0.4 | 20.0 | 18.0 | 6.0 | 4.5 | 0.3 | 0.8 | 6.5 | 7.6 | 15.0 |
1.3% | 3.3% | 27.1% | 31.7% | 62.5% | ||||||
비교예2 | 0.8 | 22.0 | 11.5 | 6.0 | 3.9 | 0.4 | 0.5 | 5.1 | 7.3 | 16.7 |
1.7% | 2.1% | 21.3% | 30.4% | 69.6% |
Claims (11)
-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5 중량%, b)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 또는 그의 염 3 내지 45 중량%; 및 c)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설페이트 염 0.5 내지 20 중량%로부터 중합된 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틸디에탄올아민 및 부틸디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중화제 용액인, 에탄올아민계 또는 알킬디에탄올아민계 용액으로 중화시킨 공중합체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R2O는 탄소수 2 내지 4의 옥시알킬렌이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며,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며,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50 내지 200의 정수이며;[화학식 2]상기 화학식 2에서,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M1은 수소원자,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으로 표시되며;[화학식 3]상기 화학식 3에서,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R6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 페닐렌, 또는 알킬페닐렌이며,R7은 탄소수 1 내지 4의 옥시알킬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며,n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10 내지 50의 정수이며,M2는 수소원자, 1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아민이다.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b)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 산의 1 가 금속염, 2 가 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 아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설페이트 염은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노닐페닐프로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2-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2-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2-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부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펜테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펜테닐에테르, 또는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펜테닐에테르의 술폭시폴리알킬렌글리콜알릴에테르류;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비닐-5-메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비닐-5-메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비닐-5-메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비닐-5-에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프로페닐-5-프로필)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프로페닐-5-프로필)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 또는 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프로페닐-5-부틸)페닐에테르의 술폭시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비닐페닐에테르류;2-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 에테르, 2-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4-메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술폭시폴리에틸렌글리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2-술폭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 또는 2-술폭시폴리부틸렌글리콜-3-(4-에틸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의 2-술폭시폴리알킬렌글리콜-3-(4-알킬페녹시)프로필렌알릴에테르류; 및이들을 각각 1 가 금속, 2 가 금속,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으로 중화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공중합체의 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
-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50 내지 95중량%,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단량체 또는 그의 염 3 내지 4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설페이트 염 0.5 내지 20 중량%를 중합개시제 하에서 공중합하는 단계; 및b) 상기 제조된 공중합체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틸디에탄올아민 및 부틸디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중화제 용액인, 에탄올아민계 또는 알킬디에탄올아민계 용액으로 중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R2O는 탄소수 2 내지 4의 옥시알킬렌이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며,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며,R3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이며,m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50 내지 200의 정수이며;[화학식 2]상기 화학식 2에서,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M1은 수소원자, 1가 금속, 2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 아민으로 표시되며;[화학식 3]상기 화학식 3에서,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이며,R6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 페닐렌, 또는 알킬페닐렌이며,R7은 탄소수 1 내지 4의 옥시알킬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2종 이상인 경우에는 블록상 또는 랜덤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며,n은 옥시알킬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10 내지 50의 정수이며,M2는 수소원자, 1가 금속, 암모늄 또는 유기아민이다.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공중합은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공중합은 0 내지 120 ℃의 반응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공중합은 티올계 연쇄이동제를 더 투입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제의 제조방법.
-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 1항 기재의 시멘트 혼화제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011A KR100914597B1 (ko) | 2007-03-06 | 2007-03-06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011A KR100914597B1 (ko) | 2007-03-06 | 2007-03-06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1670A KR20080081670A (ko) | 2008-09-10 |
KR100914597B1 true KR100914597B1 (ko) | 2009-08-31 |
Family
ID=4002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20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4597B1 (ko) | 2007-03-06 | 2007-03-06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45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361B1 (ko) | 2011-12-22 | 2012-06-11 | (유)코리아레미콘 | 음이온 용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첨가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06466B2 (ja) * | 2010-11-19 | 2012-08-22 | 花王株式会社 |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
JP5848633B2 (ja) | 2011-03-15 | 2016-01-27 | 花王株式会社 | 水硬性組成物用分散剤 |
JP6334067B2 (ja) * | 2015-08-25 | 2018-05-30 | 株式会社日本触媒 | セメント用添加剤、セメント組成物、およびセメント用添加剤用原料 |
JP6602149B2 (ja) * | 2015-10-16 | 2019-11-06 | 株式会社日本触媒 | セメント用添加剤およびセメント組成物 |
CN112979206B (zh) * | 2019-12-13 | 2022-09-20 |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提高混凝土流动性的牺牲剂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9528A (ko) * | 2003-04-10 | 2004-10-21 |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 폴리카르복실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콘크리트 2 차 제품의제조방법 |
KR100484725B1 (ko) * | 2002-06-28 | 2005-04-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성능 감수효과를 가진 시멘트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KR20050072911A (ko)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케비 |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0668942B1 (ko) * | 2004-12-03 | 2007-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시멘트 혼화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07
- 2007-03-06 KR KR1020070022011A patent/KR10091459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4725B1 (ko) * | 2002-06-28 | 2005-04-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성능 감수효과를 가진 시멘트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KR20040089528A (ko) * | 2003-04-10 | 2004-10-21 |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 폴리카르복실산계 시멘트 분산제 및 콘크리트 2 차 제품의제조방법 |
KR20050072911A (ko) * | 2004-01-08 | 2005-07-13 | 주식회사 케비 | 시멘트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0668942B1 (ko) * | 2004-12-03 | 2007-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시멘트 혼화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361B1 (ko) | 2011-12-22 | 2012-06-11 | (유)코리아레미콘 | 음이온 용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첨가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1670A (ko) | 2008-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4725B1 (ko) | 고성능 감수효과를 가진 시멘트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
KR101717176B1 (ko)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US9650297B2 (en) | Additive including cross-linked polycarboxylic copolymer and c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
KR101539350B1 (ko)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
JP2018528908A (ja) | セメント混和物で使用するための合成保水剤及びレオロジー調整剤 | |
KR100914597B1 (ko)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
KR100904607B1 (ko)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
KR101003695B1 (ko) | 시멘트 혼화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조성물 | |
KR100860470B1 (ko) | 시멘트 혼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
JP2017206393A (ja) | 水硬性組成物用混和剤 | |
KR102454727B1 (ko)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 |
US11427509B2 (en) | Cement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polycarboxylic acid-based copolymer | |
KR101617416B1 (ko)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의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
KR101206470B1 (ko) | 조기 강도 발현 콘크리트 혼화제용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혼화제 | |
KR102410007B1 (ko) | 폴리카르본산계 공중합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 |
JP2003206169A (ja) | セメント分散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 |
KR102569805B1 (ko) | 시멘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
KR100655561B1 (ko) | 시멘트 혼화제 | |
JPH09241059A (ja) | セメント分散剤およびそれを含むセメント組成物 | |
KR20180076177A (ko) | 시멘트 첨가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