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9476B1 - 골수 추출기 - Google Patents

골수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476B1
KR100909476B1 KR1020080114407A KR20080114407A KR100909476B1 KR 100909476 B1 KR100909476 B1 KR 100909476B1 KR 1020080114407 A KR1020080114407 A KR 1020080114407A KR 20080114407 A KR20080114407 A KR 20080114407A KR 100909476 B1 KR100909476 B1 KR 10090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r
bone marrow
locking groove
inner needle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476B1/ko
Priority to PCT/KR2009/000503 priority patent/WO2010058882A1/ko
Priority to US13/129,698 priority patent/US20110288438A1/en
Priority to EP09827648A priority patent/EP2351531A1/en
Priority to CN2009801457789A priority patent/CN102215762B/zh
Priority to JP2011536208A priority patent/JP201250909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76B1/ko
Priority to TW098137761A priority patent/TWI371258B/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61B2010/0258Marrow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의 선단부와 후측부에 각각 파쇄날과 걸림홈을 형성하여 외부 침봉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 침봉에는 몸체의 선단부와 후측부에 각각 파쇄날과 연결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걸림레버가 돌출형성되는 내부 침봉을 삽입 장착하되, 상기 내부 침봉은 상기 걸림홈에 걸림레버가 끼움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선단부가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출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구동수단의 헤드의 작동시, 상기 내부 침봉과 외부 침봉은 회전작동을 통해 뼈를 함께 파쇄하고, 상기 뼈의 파쇄 후에는 외부 침봉은 그대로 놓은 상태에서 내부 침봉만을 제거한 후 주사기 식으로 골수를 흡입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수 추출기, 외부 침봉, 케이스, 선단부, 파쇄날, 후측부, 내부 침봉, 몸체, 헤드.

Description

골수 추출기{Bone-marrow extractor}
본 발명은 골수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뼈를 파쇄한 후 뼈에 내재되어 있는 골수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골수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수액은 골수천자침(bone marrow puncture needle)을 사용하여 장골(ilium)을 수동으로 천자해서 채취한다.
이러한 종류의 골수천자침은 관 형상의 외장(外套: mantle) 내에 내침(inner needle)을 삽입 장착함과 동시에, 내침의 선단을 외장으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한다.
다음으로 외장에 핸들을 장착한 골수천자침을 피부를 관통시켜 뼈에 찌르고, 침 선단이 골수에 다다르면 내침만을 분리해서 외장을 골수강에 유치하도록 해서 사용된다.
이 골수천자침을 사용한 골수액의 채취 방법으로서는, 보통 흡인법이 이용된다. 흡인법은 골수천자침의 외장을 시린지(syringe)에 접속하고, 흡인력에 의해 골수액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1군데에서 채취되는 골수액의 양은 몇 밀리리터로 적 기 때문에, 다수의 장소를 천자하고, 골수액을 채취할 필요가 있고, 또한 말초혈이 다량 혼입되기 때문에, 동종의 골수이식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GVHD(이식편대숙주반응병: Graft Versus Host Disease)의 위험성이 높고, 면역억제요법이 필수로 된다.
따라서,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골수 관류법(灌流法)이 개발되었다. 골수 관류법에서는 멸균한 생리 식염수 등의 관류액을 이용하여 골수를 천천히 관류하기 위하여 2개의 골수침을 골수에 유치한다.
일측의 골수침에 골수채취세트를 연결하고, 이 세트의 골수액 채취백에 주사용 시린지나 윤액 펌프의 튜브를 연결 흡인한다.
또한 타측의 골수침에 연결된 권류액 인입 시린지를 통해 권류액을 천천히 골수 안으로 주입하고, 골수액을 씻어 내려보내어 채취용 세트에 필요한 양의 골수액을 단시간에 채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채취된 골수액은 골수 이식뿐만 아니라, 재생 의료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채용되는 골수천자침은 핸들을 잡고 수동으로 뼈에 삽입하는 구성으로서, 천자 속도 등의 면에서 골수 관류법에 이용하는 데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강력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전동 드릴을 사용하여 골수침으로 단시간에 굴착 천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드릴날을 구비한 내침 및 선단에 각도를 갖는 칼날을 구비하고, 기어감속기구를 통해 내침의 회전에 대하여 감속 회전되는 외장으로 이루어지는 골수침이 제안되어 있다(국제공개 제WO 03/015637호 팸플릿).
그러나 상기 골수침은 뼈의 파쇄시 잔여물이 체내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수 추출 부위에 위치한 뼈나 신체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뼈를 파쇄하면서 침투하는 내부 침봉과 상기 내부 침봉이 삽입장착되고 뼈를 파쇄하면서 골수를 추출하는 외부 침봉으로 골수 추출기를 구성하여, 골수 추출시 골수 구역에 위치한 뼈나 신체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수 추출기에 있어서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의 선단부와 후측부에 각각 파쇄날과 걸림홈을 형성하여 외부 침봉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 침봉에는 몸체의 선단부와 후측부에 각각 파쇄날과 연결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걸림레버가 돌출형성되는 내부 침봉을 삽입 장착하되, 상기 내부 침봉은 상기 걸림홈에 걸림레버가 끼움 삽입되면 상기 몸체의 선단부가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출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구동수단의 헤드의 작동시, 상기 내부 침봉과 외부 침봉은 회전작동을 통해 뼈를 함께 파쇄하고, 상기 뼈의 파쇄 후에는 외부 침봉은 그대로 놓은 상태에서 내부 침봉만을 제거한 후 주사기 식으로 골수를 흡입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뼈를 파쇄하면서 침투하는 내부 침봉과 상기 내부 침봉이 삽입장착되고 뼈를 파쇄하면서 골수를 추출하는 외부 침봉으로 골수 추출기를 구성하여, 골수 추출시 골수 구역에 위치한 뼈나 신체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침봉과 외부 침봉에 형성되는 파쇄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뼈의 파쇄시 부하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침봉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침봉의 선단부에 의하여 필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수 추출시 내부 침봉을 제거한 후 주사기 식으로 골수를 손쉽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외부 침봉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내부 침봉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골수 추출기(10)는 상, 하 관통형성되는 외부 침봉(20)과, 상기 외부 침봉(20)의 내부에 삽입장착되고 회전작동을 통해 외부 침봉(20)과 함께 뼈(50)를 파쇄하는 내부 침봉(30)과, 상기 내부 침봉(30)에 회전력을 가하는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력이 제공되는 구동수단의 회전가동용 헤드(4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침봉(20)은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선단부(22)에 형성되는 파쇄날(23)과,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부(24)에 형성되는 걸림홈(2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21)는 중공형상으로 선단부(22)의 지름은 작고 후측부(24)의 지름은 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렌치, 스패너 등을 이용해서 상기 케이스(21)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 회전부(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단부(22)는 뼈(50)의 원활한 파쇄를 위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22)에 형성되는 파쇄날(23)은 회전작동에 따른 파쇄시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측부(24)에 형성되는 걸림홈(25)은 'ㄴ'자 형상으로 상부 끝단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25)의 폭은 후설 할 내부 침봉(30)의 걸림레버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홈(25)은 상부가 연통되는 수직부(25a)와 상기 수직부(25a)와 일체로 연통형성되는 수평부(25b)가 'ㄴ'자 형상으로 걸림레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침봉(20)의 내부에 삽입장착되는 내부 침봉(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선단부(32)에 형성되는 파쇄날(33)과, 상기 몸체(31)의 후단부(34)에 형성되는 연결부(35)와, 상기 몸체(31)의 외주면 도중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레버(36)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3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단부(32)는 뼈(50)의 원활한 파쇄를 위하여 끝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파쇄날(33)은 회전작동에 따른 파쇄시 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부(34)에 형성되는 연결부(35)는 상기 구동수단의 헤드(40)와 결합을 위해 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레버(36)는 외부를 향해 소정구간 돌출형성된다.
상기 내부 침봉(30)의 선단부(32)는 종단면이 쐐기형상인 소형의 원추형 제1 선단부(32)로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침봉(20)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선단부(32)가 출몰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된 외주면이 종단면이 머리부가 잘라진 형태의 대형의 절두 원추형 제2 선단부(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외부 침봉(30, 20)의 제1 및 제2 선단부(32, 22)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레버(36)가 끼움 삽입된 상태가 되면, 상기 내외부 침봉(30, 20)의 제1 및 제2 선단부(32, 22)의 외주면이 연속하는 쐐기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침봉(30)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수단의 헤드(40)는 상기 내부 침봉(30)의 연결부(35)에 연결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정, 역모터나 엔진과 같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골수 추출기(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선단부(22)에 형성되는 파쇄날(23)과, 상기 케이스(21)의 후측부(24)에 형성되는 걸림홈(25)이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침봉(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파쇄날(23)은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5)은 ' ㄴ'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침봉(20)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선단부(32)에 형성되는 파쇄날(33)과, 상기 몸체(31)의 후단부(34)에 형성되는 연결부(35)와, 상기 몸체(31)의 외주면 도중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레버(36)가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 침봉(30)을 삽입장착한다.
이때,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레버(36)가 끼움 삽입되면 상기 몸체(31)의 선단부(32)가 케이스(21)의 선단부(22)에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침봉(30)의 나선형 파쇄날(33)과 외부 침봉(20)의 나선형 파쇄날(23)이 연속형성되어 회전작동시 뼈(50)의 원활한 파쇄와 더불어 분쇄물의 원활한 이동을 도우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침봉(30)의 연결부(35)와, 정역회전작동하는 구동수단의 헤드(40) 접속부를 장착하면, 골수 추출기(10)의 가동을 위한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골수 추출을 위해 상기 구동수단의 헤드(40)를 작동시키면, 상기 내부 침봉(30)과 외부 침봉(20)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작동을 하면서 뼈(50)를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 침봉(30)은 몸체(31)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걸림레버(36)를 통해 외부 침봉(20)에 전달함으로써 함께 뼈(50)를 파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침봉(30)과 외부 침봉(20)의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뼈(50)의 파쇄가 완료되면, 상기 외부 침봉(20)은 신체에 그대로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침봉(30)만을 제거한 후 상기 외부 침봉(20)의 하부에 개방된 공간을 통해 주사기 식으로 골수를 추출 흡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골수 추출기(10)의 작업을 통해 골수 추출시 골수 구역에 위치한 뼈나 신체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골수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외부 침봉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내부 침봉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추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수 추출기, 20 : 외부 침봉,
21 : 케이스, 22 : 선단부,
23 : 파쇄날, 24 : 후측부,
25 : 걸림홈, 30 : 내부 침봉,
31 : 몸체, 32 : 선단부,
33 : 파쇄날, 34 : 후단부,
35 : 연결부, 36 : 걸림레버,
40 : 구동수단의 헤드

Claims (5)

  1. 골수 추출기에 있어서,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의 선단부와 후측부에 각각 파쇄날과 걸림홈을 구성하여 외부 침봉을 마련하고,
    상기 외부 침봉에는 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파쇄날과 연결부가 형성된 내부 침봉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내부 침봉은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레버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외부 침봉의 선단부 외주면의 파쇄날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가 삽입되는 외부 침봉의 걸림홈은 'ㄴ'자 형상으로 관통형성되어, 일정각도 외부 침봉에 대하여 내부 침봉이 자유 회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외부 침봉의 몸체 선단부는 상기 쐐기형 파쇄날이 출몰 가능하게 개구부가 형성된 외주면이 종단면이 머리부가 잘라진 형태의 대형의 절두 원추형 제1 선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추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침봉의 선단부는 종단면이 나선형 파쇄날 형태인 원추형 제2 선단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내외부 침봉의 제1 및 제2 선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레버가 끼움 삽입된 상태가 되면, 상기 내외부 침봉의 제1 및 제2 선단부의 외주면이 연속하는 쐐기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추출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연통형성되는 케이스(21)는 중공형상으로 선단부(22)의 지름은 작고 후측부(24)의 지름은 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렌치나 스패너를 이용해서 상기 케이스(21)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 회전부(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추출기.
KR1020080114407A 2008-11-18 2008-11-18 골수 추출기 Active KR10090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07A KR100909476B1 (ko) 2008-11-18 2008-11-18 골수 추출기
PCT/KR2009/000503 WO2010058882A1 (ko) 2008-11-18 2009-02-02 골수 추출기
US13/129,698 US20110288438A1 (en) 2008-11-18 2009-02-02 Bone marrow harvesting device
EP09827648A EP2351531A1 (en) 2008-11-18 2009-02-02 Bone marrow extractor
CN2009801457789A CN102215762B (zh) 2008-11-18 2009-02-02 骨髓提取器
JP2011536208A JP2012509095A (ja) 2008-11-18 2009-02-02 骨髓抽出器
TW098137761A TWI371258B (en) 2008-11-18 2009-11-06 Bone-marrow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407A KR100909476B1 (ko) 2008-11-18 2008-11-18 골수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476B1 true KR100909476B1 (ko) 2009-07-28

Family

ID=4133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407A Active KR100909476B1 (ko) 2008-11-18 2008-11-18 골수 추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88438A1 (ko)
EP (1) EP2351531A1 (ko)
JP (1) JP2012509095A (ko)
KR (1) KR100909476B1 (ko)
CN (1) CN102215762B (ko)
TW (1) TWI371258B (ko)
WO (1) WO20100588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855B1 (ko) * 2014-12-29 2016-03-17 주보훈 뼈의 대사증진을 위한 뼈 자극장치 및 뼈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8116A1 (en) 2012-08-16 2014-02-19 AprioMed AB Biopsy assembly for obtaining a tissue sample
US9402602B2 (en) 2013-01-25 2016-08-02 Choon Kee Lee Tissue sampling apparatus
US9750638B2 (en) * 2013-03-15 2017-09-05 Novartis Ag Systems and methods for ocular surgery
CN103405266B (zh) * 2013-05-28 2016-04-20 杨静 骨髓穿刺抽取针
US9925068B2 (en) 2014-05-30 2018-03-27 Treace Medical Concepts, Inc. Bone harvester and bone marrow removal system and method
CN112353463A (zh) * 2018-05-08 2021-02-12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干细胞抽取穿刺结构
US11607323B2 (en) 2018-10-15 2023-03-21 Howmedica Osteonics Corp. Patellofemoral trial extractor
JP7448187B2 (ja) * 2019-11-29 2024-03-12 浅川組運輸株式会社 結合具及びこれを用いた結合方法
CN112914689B (zh) * 2021-01-20 2022-03-25 王文军 一种椎间骨髓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62A (ja) 2001-08-09 2003-04-22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骨髄液採取セット及び骨髄針
US6942669B2 (en) 2000-11-23 2005-09-13 Michel Kurc Drilling device comprising a bone recuperating trephine
KR200436934Y1 (ko) * 2006-11-15 2007-10-18 이상직 자가골 채취구
KR20080069517A (ko) * 2007-01-23 2008-07-28 가부시키가이샤 짐로 골수 드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3726A (en) * 1980-08-26 1982-03-11 Olympus Optical Co Tracheal
US5660186A (en) * 1995-06-07 1997-08-26 Marshfield Clinic Spiral biopsy stylet
CA2360867C (en) * 1999-02-03 2008-08-05 James M. Green Surgical ream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30125749A1 (en) * 2001-12-27 2003-07-03 Ethicon, Inc. Cannulated screw and associated driver system
US7850620B2 (en) * 2002-05-31 2010-12-14 Vidacare Corporation Biops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R2861572B1 (fr) * 2003-10-30 2006-07-28 Patrice Richard Dispositif de prelevement et/ou d'injection de moelle osseuse et system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JP2008228861A (ja) * 2007-03-19 2008-10-02 Yokohama Tlo Co Ltd 医療用の二重刺針、医療用ドリル、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医療用ドリルキ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2669B2 (en) 2000-11-23 2005-09-13 Michel Kurc Drilling device comprising a bone recuperating trephine
JP2003116862A (ja) 2001-08-09 2003-04-22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骨髄液採取セット及び骨髄針
KR200436934Y1 (ko) * 2006-11-15 2007-10-18 이상직 자가골 채취구
KR20080069517A (ko) * 2007-01-23 2008-07-28 가부시키가이샤 짐로 골수 드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855B1 (ko) * 2014-12-29 2016-03-17 주보훈 뼈의 대사증진을 위한 뼈 자극장치 및 뼈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8882A1 (ko) 2010-05-27
CN102215762A (zh) 2011-10-12
US20110288438A1 (en) 2011-11-24
TWI371258B (en) 2012-09-01
EP2351531A1 (en) 2011-08-03
TW201023813A (en) 2010-07-01
JP2012509095A (ja) 2012-04-19
CN102215762B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476B1 (ko) 골수 추출기
ES2376674T3 (es) Broca para obtener médula ósea.
ES2362475T3 (es) Aparato de acceso a la médula ósea.
AU2010288115B2 (en) Catheter comprising a protection system for aspirating, fragmenting and extracting removable material from hollow bodies and/or vessels, in particular of the human or animal body
ES2645720T3 (es) Conjunto dispensador con conjunto de mezclado y aplicación mediante émbolo,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CN115192139A (zh) 碎栓驱动手柄、碎栓驱动装置和碎栓取栓系统
US9572551B2 (en) Biopsy trocar
US20040191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marrow
US200700552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marrow
CN108742768A (zh) 微创取骨设备
CN102271591A (zh) 活组织检查装置
US10456147B2 (en)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bone harvesting surgery
CN106659487A (zh) 一种一次性的骨内穿刺装置及其方法
KR102463887B1 (ko)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KR20120096839A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JP6864945B2 (ja) 低侵襲骨組織手術器具
ES2854173T3 (es) Extractor de tejido para autoinjertos intramedulares
BR112020026963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perfuração de uma camada de osso denso
CN215079456U (zh) 碎骨清理装置
US20210219964A1 (en) Powered bone-graft harvester
CN110477963B (zh) 穿刺活检环锯
CN114569220B (zh) 碎骨清理装置
CN117084749B (zh) 一种安全快速的取骨器
CN215534632U (zh) 骨髓组织采集针
JP2007053983A (ja) 海綿骨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