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8124B1 -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124B1
KR100908124B1 KR1020070068819A KR20070068819A KR100908124B1 KR 100908124 B1 KR100908124 B1 KR 100908124B1 KR 1020070068819 A KR1020070068819 A KR 1020070068819A KR 20070068819 A KR20070068819 A KR 20070068819A KR 100908124 B1 KR100908124 B1 KR 10090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cantilever
blood pressure
stopper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29A (ko
Inventor
김종팔
신건수
배상곤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124B1/ko
Priority to US11/968,665 priority patent/US7584666B2/en
Publication of KR2009000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1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6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piezo-resistiv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ssure Sensor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는: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고정단 측에 형성된 피에조 리지스터;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에 연결된 금속배선 및 전극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외팔보의 하부에는 상기 외팔보의 자유단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센서; 혈압측정

Description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onometry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혈압은 동맥혈압, 모세관혈압, 정맥혈압 등으로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혈압은 동맥혈압을 뜻한다. 동맥혈압은 심장박동에 의하여 변동한다.
비침습적으로(non-invasively)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의 하나인 tonometry 측정방법은 압력 센서를 손목의 요골동맥에 위치시키고 압력 센서를 요골동맥 방향으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압력 센서의 센싱부는 혈압에 의해서 변형을 하게 되며, 이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혈압을 잴 수 있게 된다.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는 측정 대상의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며, 이 전기적 신호는 신호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혈압으로 읽힌다. 상기 압력 센서 및 신호처리 시스템은 혈압계를 구성한다.
일본특허공개번호 제2000-214027호 및 2004-279090호에는 다이아프램 압력센 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압력센서는 (100) 표면을 가진 단결정 실리콘의 하부를 에칭하여 상부에 피에조미터를 형성한 구조이다. 도 1은 개시된 압력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리기판(10)의 상부에 단결정 실리콘 기판(20)이 배치된다. 실리콘 기판(20)의 표면은 (100) 결정방향을 가지며, 하부는 KOH 또는 TMAH로 비등방성 습식식각하여 형성된 센싱부(30)가 형성된다. 센싱부(30)에는 피에조 리지스터(piezoresistor)(40)가 형성되어 있다. 요골동맥의 직경은 대략 1.2 mm 이상이다.
실리콘 기판(20)의 두께가 500 ㎛인 경우, 실리콘 이방성 습식식각되는 각도가 54.7 도가 되므로, 식각 경사에 따른 폭(W)은 대략 350 ㎛가 된다. 따라서, 센서를 어레이 형태로 배열하는 경우, 이웃하는 센서 사이의 데드 폭(dead width)은 700 ㎛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어레이 압력센서로 이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센싱부(30)의 과도한 수직 변형을 막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실리콘 기판(20)의 하부로부터 장시간 습식 식각을 하여 일정한 두께, 예컨대 10 ㎛의 센싱부(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일정해야 하며, 실리콘 기판(20)의 하부 뿐만 아니라 미도시된 배선 등을 위한 상부면에서의 제조공정도 필요하다. 또한, 실리콘 기판(20)의 하부와 유리기판(10)을 본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의 데드 폭을 줄이고, 센싱부의 변형을 막아주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별도의 기판과의 본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체형(monolithic)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는: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고정단 측에 형성된 피에조 리지스터;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에 연결된 금속배선 및 전극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외팔보의 하부에는 상기 외팔보의 자유단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기판은 상기 상부면에 (111)결정면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팔보의 폭은 10~500 ㎛일 수 있으며, 상기 외팔보로부터 상기 스토퍼 사이의 깊이는 1~5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팔보는 복수의 외팔보이며, 상기 복수의 외팔보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외팔보의 이웃하는 외팔보들은 서 로 반대방향으로 외팔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외팔보의 각 외팔보는 서로 마주보는 외팔보 쌍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판, 상기 외팔보 및 상기 스토퍼는 일체형 구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는: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양단 지지보;
상기 양단 지지보의 양단 측에 각각 형성된 피에조 리지스터; 및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에 연결된 금속배선 및 전극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양단 지지보의 하부에는 상기 양단 지지보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서 외팔보 형성영역의 고정단 측에 피에조 리지스터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과 연결되는 배선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외팔보 형성영역을 한정하는 제1영역을 노출시키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제4 단계;
상기 식각된 제1영역의 측면에 벽면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제1영역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하여 벽면 보호막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1 벽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상기 제1 벽면을 식각하여 외팔보 및 상기 외팔보의 변형을 한정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제7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단계는 p형 임플랜테이션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은: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서 양단 지지보 형성영역의 양단 측에 각각 피에조 리지스터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과 연결되는 배선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양단 지지보 형성영역을 한정하는 제1영역을 노출시키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제4 단계;
상기 식각된 제1영역의 측면에 벽면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제1영역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하여 벽면 보호막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1 벽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상기 제1 벽면을 식각하여 양단 지지보 및 상기 양단 지지보의 변형을 한정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제7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에 따르면, 스토퍼가 센싱부의 과도한 변형을 막아주며, 센싱부 및 스토퍼가 기판과 일체형 구조이다.
또한, 어레이 형태의 혈압측정용 압력센서는 센싱부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데드 폭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보다 정밀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혈압측정요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서만 가공하며, 식각 깊이도 비교적 낮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특히 (111) 표면을 가진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여 센싱부의 하부를 용이하게 식각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10)에는 다섯 개의 외팔보(130)가 서로 나란하게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외팔보(130)의 고정단은 외팔보(130)의 변형에 의한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위치이다. 이 위치에 피에조 리지스터(1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110)으로서 (111) 표면을 가진 단 결정 실리콘 n형 기판(110)이 사용되며, 피에조 리지스터(piezoresistor)(140)는 보론 임플랜테이션에 의한 p형 영역이 된다. 피에조 리지스터(140)의 양측에는 배선(150), 예컨대 Au 배선(150) 및 전극패드(152)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패드(152)에 전류계(미도시) 등을 설치하면 피에조 리지스터(14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읽을 수 있으며, 따라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외팔보(130)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외팔보들(1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외팔보(130)와 기판(110) 사이의 갭(g)은 수 ㎛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인 데드 폭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외팔보(130)의 폭(w1)은 수십 ㎛ 내지 수백 ㎛ 로 형성될 수 있다. 성인의 요골동맥의 지름이 1.2 mm ~ 3 mm인 것을 감안하면, 10~500 ㎛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팔보(130)의 두께는 1~50 ㎛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선(150) 및 전극패드(152)는 실리콘 기판(110) 상에 금속물질, 예컨대 Au을 증착한 후, 금속물질의 패터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100)는 센싱부인 외팔보(1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외팔보(130)의 과도한 변형, 특히 외팔보(130)의 자유단의 과도한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토퍼(112)가 형성된다. 이 스토퍼(112)는 외팔보(130)의 형성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조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외팔보(130)로부터 스토퍼(112) 까지의 깊이는 외팔보(13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략 1~50 ㎛ 로 형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114는 절연층을 가리킨다.
한편, 압력센서(100)의 표면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 느낌이 양호하게 고무, 폴리이미드, 실리콘 등의 박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팔보(130), 피에조 리지스터(140), 스토퍼(112)는 실리콘 기판(110)의 반도체 공정에 의해 형성되므로, 압력센서(100)는 일체형(monolithic)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100)를 손목의 요골동맥의 길이 방향으로 외팔보를 배치하면,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어레이 형태의 압력센서를 요골동맥의 직경 방향으로 배치하면, 연속적으로 혈압 프로파일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피에조 리지스터 형성부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b 내지 도 4e는 도 2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111) 표면을 가지는 n형 단결정 실리콘 기판(210) 상에 피에조 리지스터 영역에 보론을 주입(implantation)하여 피에조 리지스터(240)을 형성한다. 피에조 리지스터(240)은 p형 영역이 되며,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도 2의 피에조 리지스터(140)에 해당된다. 이어서, 기판(210) 상에 피에조 리지스터 (240)을 덮는 절연층(214)을 형성하고, 이어서 절연층(214)을 패터닝하여 피에조 리지스터(240)을 노출시킨다. 상기 절연층(214)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기판(210) 상에 금속 물질, 예컨대 Au 또는 Al을 증착하고, 이 금속물질층을 패터닝하여 피에조 리지스터(240)의 양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250) 및 전극패드(252)를 형성한다. 이어서, 배선(250) 및 전극패드(252)를 덮는 절연층(218), 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기판(210) 상에 형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팔보 형성영역(232)의 측면을 따라서 소정 갭(g), 예컨대 5 ㎛ 갭으로 기판(210)을 노출시킨다. 외팔보 형성영역(232)의 폭은 대략 500 ㎛ 이하, 예컨대 10~500 ㎛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갭(g) 영역의 기판(210) 영역을 소정 깊이로 1차 건식 식각을 하여 홈(216)을 형성한다. 이 홈(216)의 깊이는 외팔보의 두께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략 1~50 ㎛ 일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기판(210) 상으로 절연층(미도시), 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형성한 다음, 기판(210)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미도시된 절연층을 건식식각하여 기판(210) 상면 및 홈(261) 바닥에 형성된 상기 미도시된 절연층을 모두 제거한다. 이에 따라서, 홈(216)의 측면에는 벽면 보호막(26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벽면 보호막은 후술하는 희생층 식각과정에서 구조물(외팔보 포함) 벽면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벽면 보호막(260)에 노출된 홈(261) 바닥면을 소정 깊이로 수직 건식식각한다. 이 때 수직 식각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희생층의 깊이, 즉 구조물(외팔보)의 저면과 스토퍼(21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 후 이방성 습식식각을 수행하면 홈(261) 벽면의 벽면 보호막(260)이 존재하는 곳은 측면으로 식각이 되지 아니하며, 벽멱 보호막(260)이 존재하지 않는 부 분으로 습식식각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111) 방향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KOH나 TMAH와 같은 이방성 습식식각액에서 스토퍼(212)의 상면이나 구조물(230)의 저면(231)쪽으로는 식각이 매우 느리게 일어나며, (111) 면에 수직한 측면 방향으로는 식각이 빠르게 진행되어서, 구조물의 저면(231) 및 스토퍼(212) 사이의 실리콘이 제거된다. 이 결과, 외팔보형성영역(232)의 하부가 식각되면서 외팔보(230)가 형성된다. 또한, 외팔보(230)가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12)가 형성된다. 상기 외팔보(230)으로부터 상기 스토퍼(212) 사이의 깊이는 대략 1~50 ㎛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실리콘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성영역(232)를 포함하는 절연층(218)과, 실리콘 옥사이드로 형성된 벽면 보호막(26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거하면 도 2 및 도 3의 압력센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으로 기판의 상면 만 가공하여 기판과 일체형의 압력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식각 깊이가 작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300)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압력센서(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310)에는 다섯 쌍의 외팔보(330)가 서로 나란하게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외팔보(330)의 고정단 측에 피에조 리지스터(3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310)으로서 (111) 표면을 가진 단결정 실리콘 n형 기판(310)이 사용되며, 피에조 리지스터(piezoresistor)(340)는 보론 임플랜테이션에 의한 p형 영역이 될 수 있다. 피에조 리지스터(340)의 양측에는 배선(350), 예컨대 Au 배선(350) 및 전극패드(352)가 형성되어 있다.
외팔보(330) 쌍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외팔보(330) 쌍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외팔보(330)와 기판(310) 사이의 갭(g)은 수 ㎛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인 데드 폭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300)는 센싱부인 외팔보(3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외팔보(330)의 과도한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토퍼(312)가 형성된다. 참조번호 314는 절연층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외팔보(330), 피에조 리지스터(340), 스토퍼(312)는 실리콘 기판(310)의 반도체 공정에 의해 형성되므로, 압력센서(300)는 일체형(monolithic)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400)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압력센서(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판(410)에는 다섯 개의 양단 지지보(430)가 서로 나란하게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양단 지지보(430)의 양단에 피에조 리지스터(4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410)으로서 (111) 표면을 가진 단결정 실리콘 n형 기판(410)이 사용되며, 피에조 리지스터(piezoresistor)(440)는 보론 임플랜테이션에 의한 p형 영역이 될 수 있다. 피에 조 리지스터(440)의 양측에는 배선(450), 예컨대 Au 배선(450) 및 전극패드(452)가 형성되어 있다.
양단 지지보(430)와 기판(410) 사이의 갭(g)은 수 ㎛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인 데드 폭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400)는 센싱부인 양단 지지보(4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양단 지지보(430)의 과도한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스토퍼(412)가 형성된다. 참조번호 414는 절연층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양단 지지보(430), 피에조 리지스터(440), 스토퍼(412)는 실리콘 기판(410)의 반도체 공정에 의해 형성되므로, 압력센서(400)는 일체형(monolithic) 구조이다.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는 제2 실시예의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에서 외팔보 또는 양단 지지보의 패터닝 형상이 다르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혈압측정용 센서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혈압측정용 압력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300,400: 압력센서 110,210,310,410: 기판
130,230,330: 외팔보 140,240,340,440: 피에조 리지스터
150,250,350,450: 배선 152,252,352,452: 금속패드
260:벽면 보호막 430: 양단 지지보

Claims (24)

  1.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고정단 측에 형성된 피에조 리지스터;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에 연결된 금속배선 및 전극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외팔보의 하부에는 상기 외팔보의 자유단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상기 상부면에 (111)결정면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의 폭은 1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로부터 상기 스토퍼 사이의 깊이는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는 복수의 외팔보이며, 상기 복수의 외팔보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웃하는 외팔보는 각각의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으로 향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외팔보가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팔보의 각 외팔보는 각각의 고정단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외팔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기 외팔보 및 상기 스토퍼는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9.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양단 지지보;
    상기 양단 지지보의 양단 측에 각각 형성된 피에조 리지스터;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에 연결된 금속배선 및 전극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양단 지지보의 하부에는 상기 양단 지지보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상기 상부면에 (111)결정면이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지지보의 폭은 1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지지보로부터 상기 스토퍼 사이의 깊이는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지지보는 복수의 양단 지지보며, 상기 복수의 양단 지지보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기 양단 지지보 및 상기 스토퍼는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15.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서 외팔보 형성영역의 고정단 측에 피에조 리지스터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과 연결되는 배선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외팔보 형성영역을 한정하는 제1영역을 노출시키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제4 단계;
    상기 식각된 제1영역의 측면에 벽면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제1영역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하여 벽면 보호막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1 벽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상기 제1 벽면을 식각하여 외팔보 및 상기 외팔보의 변형을 한정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제7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111) 결정 표면을 가진 단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1 단계는 p형 임플랜테이션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의 폭은 10~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로부터 상기 스토퍼 사이의 깊이는 1~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20. 실리콘 기판의 상부면에서 양단 지지보 형성영역의 양단 측에 각각 피에조 리지스터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피에조 리지스터의 양측과 연결되는 배선 및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양단 지지보 형성영역을 한정하는 제1영역을 노출시키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식각하는 제4 단계;
    상기 식각된 제1영역의 측면에 벽면 보호막을 형성하는 제5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제1영역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하여 벽면 보호 막이 형성되지 아니한 제1 벽면을 형성하는 제6 단계;
    상기 벽면 보호막에 노출된 상기 제1 벽면을 식각하여 양단 지지보 및 상기 양단 지지보의 변형을 한정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제7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111) 결정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단계는 p형 임플랜테이션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지지보의 폭은 10~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지지보로부터 상기 스토퍼 사이의 깊이는 1~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70068819A 2007-07-09 2007-07-09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090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19A KR100908124B1 (ko) 2007-07-09 2007-07-09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1/968,665 US7584666B2 (en) 2007-07-09 2008-01-03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19A KR100908124B1 (ko) 2007-07-09 2007-07-09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29A KR20090005629A (ko) 2009-01-14
KR100908124B1 true KR100908124B1 (ko) 2009-07-16

Family

ID=4025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19A Active KR100908124B1 (ko) 2007-07-09 2007-07-09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84666B2 (ko)
KR (1) KR100908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20B1 (ko) * 2008-01-04 201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촉힘 센서 패키지, 이를 구비한 혈압 측정계, 및 상기접촉힘 센서 패키지 제조방법
US8011237B2 (en) * 2008-02-22 2011-09-0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Piezoelectric module for energy harvesting, such as in a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O2010055734A1 (ja) * 2008-11-17 2010-05-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半導体圧力センサ
US8680390B2 (en) 2009-10-16 2014-03-25 Kesumo Llc Foot-operated controller
US8680751B2 (en) 2010-12-02 2014-03-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Hybrid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chemical and mechanical energy
US9188497B2 (en) * 2011-01-28 2015-11-17 The University Of Tokyo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US9076419B2 (en) 2012-03-14 2015-07-07 Bebop Sensors, Inc. Multi-touch pad controller
JP5778619B2 (ja) * 2012-05-02 2015-09-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6150565B2 (ja) * 2013-03-08 2017-06-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6041309B2 (ja) * 2013-03-08 2016-12-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6041308B2 (ja) * 2013-03-08 2016-12-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JP6266270B2 (ja) * 2013-05-20 2018-01-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運動フォーム解析装置および運動フォーム解析方法
JP6144540B2 (ja) * 2013-06-03 2017-06-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圧力センサ
DE102013016712A1 (de) * 2013-10-09 2015-05-07 Universität Duisburg-Essen Verfahren und Messanordnung zur Erfassung von Pulsdruckwellen repräsentierenden Messwerten
US9442614B2 (en) 2014-05-15 2016-09-13 Bebop Sensors, Inc. Two-dimensional sensor arrays
US9753568B2 (en) * 2014-05-15 2017-09-05 Bebop Sensors, Inc. Flexible sensors and applications
US10362989B2 (en) 2014-06-09 2019-07-30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 integrated with a glove
US9863823B2 (en) 2015-02-27 2018-01-09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s integrated with footwear
DE102015104410B4 (de) * 2015-03-24 2018-09-13 Tdk-Micronas Gmbh Drucksensor
US9827996B2 (en) 2015-06-25 2017-11-28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s integrated with steering wheels
US10884496B2 (en) 2018-07-05 2021-01-05 Bebop Sensors, Inc. One-size-fits-all data glove
US11480481B2 (en) 2019-03-13 2022-10-25 Bebop Sensors, Inc. Alignment mechanisms sensor systems employing piezoresistive materi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495A (ko) * 1998-03-20 1999-10-15 김충환 압력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762A (en) * 1988-07-14 1992-03-17 University Of Hawaii Multidimensional force sensor
US5083466A (en) * 1988-07-14 1992-01-28 University Of Hawaii Multidimensional force sensor
US5101669A (en) * 1988-07-14 1992-04-07 University Of Hawaii Multidimensional force sensor
US5109701A (en) * 1989-04-03 1992-05-05 Sarcos Group Field-based movement sensor
JPH0694744A (ja) * 1992-09-09 1994-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加速度検出装置
WO1994017363A1 (en) * 1993-01-29 1994-08-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Angular velocity sensor
US5444244A (en) * 1993-06-03 1995-08-22 Park Scientific Instruments Corporation Piezoresistive cantilever with integral tip for scanning probe microscope
JPH08297139A (ja) * 1995-04-26 1996-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加速度センサ
US5771902A (en) * 1995-09-25 1998-06-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icromachined actuators/sensors for intratubular positioning/steering
US6073484A (en) * 1995-07-20 2000-06-1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icrofabricated torsional cantilevers for sensitive force detection
US6000280A (en) * 1995-07-20 1999-12-1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Drive electrodes for microfabricated torsional cantilevers
JP2000214027A (ja) 1999-01-26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圧力センサ
US6479920B1 (en) * 2001-04-09 2002-11-1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Direct charge radioisotope activation and power generation
JP2004264053A (ja) * 2003-02-10 2004-09-24 Tokyo Electron Ltd 加速度センサ及び傾斜検出方法
JP2004279090A (ja) 2003-03-13 2004-10-07 Denso Corp 半導体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TW589752B (en) * 2003-05-28 2004-06-01 Au Optronics Corp Semiconductor acceleration sensor
US7104134B2 (en) * 2004-03-05 2006-09-12 Agilent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cantilever pressure sensor
US7032454B2 (en) * 2004-03-05 2006-04-25 Agilent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cantilever pressure sensor array
US7461559B2 (en) * 2005-03-18 2008-12-09 Citizen Holdings Co., Lt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495A (ko) * 1998-03-20 1999-10-15 김충환 압력센서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alidation of a noninvasive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 pediatric intensive care patients,Wankum, P.C, EMBS/BMES Conf.2002.Proc.of the Second Joint,Vol.3,23-26Oct.2002 Pages1944-1945vol.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3793A1 (en) 2009-01-15
KR20090005629A (ko) 2009-01-14
US7584666B2 (en)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124B1 (ko) 혈압측정용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6444487B1 (en) Flexible silicon strain gage
US7481113B2 (en) Semiconductor sensor with projection for preventing proof mass from sticking to cover plate
WO2005062060A1 (ja) 半導体型3軸加速度センサ
US8748997B2 (en) Contact-force sens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10040683A (ko) 반도체 압력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H10116996A (ja) 複合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複合デバイス
JP2822486B2 (ja) 感歪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15056A (ja) 加速度センサ
CN105668500B (zh) 一种高灵敏度宽量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10136858B2 (en) Method for inspecting pressure pulse wav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pulse wave sensor
KR20080023398A (ko)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힘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JP6773007B2 (ja) 静電容量式圧力センサ
JP2003194851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01232A (ja) 圧脈波センサおよびこれを備えた脈波測定装置
JP6528602B2 (ja) 圧脈波センサ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JP2006349563A (ja) 慣性力センサ
JP6812953B2 (ja) 静電容量式圧力センサ
JP2001044449A (ja) 力検出センサ及び力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00083541A (ko) 정전용량형 로드 셀과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하중 측정 방법
JP4898124B2 (ja) アレイ型接触圧センサ
KR102074213B1 (ko) 관통 전극을 이용한 정전 방식 압력 센서 및 제작 방법
JP2006214963A (ja) 加速度センサ及び電子機器並びに加速度センサの製造方法
CN110207864A (zh) 敏感膜和传力导杆一体化的微力传感器及其加工方法
EP1335194A1 (en) Flexible silicon strain g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