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7641B1 -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641B1
KR100907641B1 KR1020090022906A KR20090022906A KR100907641B1 KR 100907641 B1 KR100907641 B1 KR 100907641B1 KR 1020090022906 A KR1020090022906 A KR 1020090022906A KR 20090022906 A KR20090022906 A KR 20090022906A KR 100907641 B1 KR100907641 B1 KR 10090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housing
stopper
locking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filed Critical 이상옥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린 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래치볼트를 역전시킬 수 있어 도어의 힌지방향에 무관하게 장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도어에 고정되는 노출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결합부를 갖는 내장체와,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고, 상기 내장체와 연결되도록 대응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체와, 상기 진퇴체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체를 포함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탄성부재; 상기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역전을 방해하도록 래치볼트와 결합되는 구; 상기 래치볼트에서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상기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에 대응되는 대응걸림체를 갖는 스토퍼; 및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풀리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걸림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티스, 래치볼트, 경사면, 역전, 스토퍼, 걸림, 해제

Description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MORTIS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핸들을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린 문이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경사면을 구비한 래치볼트를 역전시킬 수 있어
도어의 힌지방향에 무관하게 장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어 있어 장착작업 편리성 및 오류 수정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모티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의 좌우 위치 여부에 무관하게 모티스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래치볼트의 경사면 방향을 역전시킬 수 있는 종래기술로는
슬레이지 록크 캄파니의 특허등록 제0062246호(1993.05.26) [문 자물쇠]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모티스 잠금장치를 도어에 장착할 경우 도어 측면에 노출되는 패널(해당 공보에서는 '보호판'으로 지칭)을 제거하면 래치볼트가 돌출되어 선회를 통한 역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동일한 기술내용과 관련된 것으로는 주식회사 세이퍼의 실용신안등록 제0292256호(2002.10.02) [디지털 도어록]이 있다.
또 주식회사 테크업의 특허등록 제0807590호(2008.02.20)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모티스 잠금장치를 도어에 장착하기 전에, 나아가 핸들과 모티스 잠금장치를 결합하기 전에
래치볼트의 경사면을 전환한 다음, 이후 모티스와 핸들의 결합과 함께 도어 장착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세 선행기술들은 모두 래치볼트의 경사면 방향전환을 위하여 특정 부품의 해체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자가 실수로(숙련되지 않은 설치 작업자나 일반인의 경우에는 더욱 더) 래치볼트의 방향을 잘 못 설정한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과정이 번잡하고 복잡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한편 주식회사 현대정밀의 특허등록 제0679176호(2007.01.30) [원터치형 도 어록]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선회되는 형태로 래치볼트의 역전이 가능한데,
평상시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래치볼트가 하우징에서 벗어나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데,
래치볼트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래치볼트에 대한 스토퍼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걸림편을 당기면 스토퍼에 구비된 비틀림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스토퍼가 들리면서 언록킹되어 래치볼트가 돌출되고,
이에 따라 선회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래치볼트의 역전후에는 래치볼트의 노출부를 가압하여 하우징 내로 들여보낸 상태에서 스토퍼의 누름편을 눌러 다시 록킹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역시 스토퍼의 조작이 도어에 매립되는 모티스 잠금장치의 하우징 부위에 있으므로
래치볼트의 역전을 위해서는 잠금장치 장착 전에 방향전환을 하여야 하며,
역시 실수로 방향 전환을 잘 못 한 경우에는 도어에서 모티스 잠금장치를 분해 분리한 후 시정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상기 최초 두 공지기술보다도 더 복잡하고 불편하다.
또 래치볼트 방향 전환 후 래치볼트를 하우징에 다시 수납하는 과정에서는 한 손으로는 래치볼트를 가압하고, 다른 손으로는 스토퍼의 누름편을 눌러 래치볼트와 스토퍼가 걸리도록 조작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을 배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주식회사 현대금속의 특허공개 제2008-0043203 호(2008.05.16)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의 경우에도 대동소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래치볼트의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도록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래치볼트의 진퇴체 경사면의 역전을 제한하는 구속수단이 진퇴체를 위한 하우징의 노출체 출입공 주변 플렌지인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래치볼트에서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며,
특히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발휘되어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방향 전환 후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다시 구속수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조작이 래치볼트 진퇴체를 하우징 내로 가압하면 되는 단순동작이면 되므로 편리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도어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래치볼트 경사면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풀리도록 하는 걸림해제수단이 단순히 하우징 노출체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으로 구성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내장체의 결합부 및 상기 진퇴체의 대응결합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면이 원형인 형태여서 진퇴체의 분리 없이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증대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치볼트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열되며, 특히 상기 회동축과 어긋난 위치에 누름부를 갖는데, 즉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또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과 연계(다시 말해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통공을 통하여 접근가능)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 상호간의 언록킹이 작은 힘에 의해서도 가능한 모티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도어에 고정되는 노출체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결합부를 갖는 내장체와,
경사면과 걸림면을 갖고, 상기 내장체의 결합부와 연결되도록 대응결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을 드나드는 진퇴체와,
상기 진퇴체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체를 포함하는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진퇴체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탄성부재;
상기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역전을 방해하는 구속수단;
상기 래치볼트에서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상기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에 대응되는 대응걸림체를 갖는 스토퍼; 및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풀리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걸림해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우징 노출체의 출입공 주변 플렌지이고,
상기 스토퍼에는 대응걸림체를 탄지하여 상기 대응걸림체가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에 걸리도록 탄성을 발휘하도록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스프링은 상기 대응걸림체가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에 걸리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상기 걸림해제수단이 상기 하우징 노출체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에서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는 상기 진퇴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래치볼트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열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축과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누름부를 갖는데, 즉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또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과 연계(다시 말해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통공을 통하여 접근가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는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어 있어 숙련자 뿐 아니라 숙련되지 않은 설치 작업자나 일반인의 경우에도 모티스 잠금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래치볼트의 설치 방향 오류를 해소할 수 있어 편리하고 작업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정상적인 작동 중에 래치볼트 경사면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풀리도록 하는 걸림해제수단이 단순히 하우징 노출체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 번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오작동이 발생될 문제가 없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래치볼트에서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며, 특히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발휘되어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방향 전환 후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가 다시 구속수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조작이 래치볼트 진퇴체를 하우징 내로 가압하면 되는 단순동작이면 되므로 편리성이 더욱 증진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는 상기 래치볼트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을 갖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열되어 있으며,
나아가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 배열되며, 특히 상기 회동축과 어긋난 위치에 누름부를 갖는데, 즉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또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과 연계(다시 말해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통공을 통하여 접근가능)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 상호간의 언록킹이 작은 힘에 의해서도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내장체의 결합부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접면이 원형 형태여서 진퇴체의 분리 없이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이 보다 증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의 경사면(23B)쪽을 정면으로 하며, 경사면은 실내측, 즉 도어 내측을 향하게 되며,
진퇴체(23)의 걸림면(23C)쪽을 배면으로 하고, 걸림면은 실외측, 즉 도어 내측을 향한다.
또 도어가 고정되는 문틀의 장붓구멍에 결합되는 래치볼트(20) 진퇴체(23) 쪽을 외측 또는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내측 또는 후방으로 정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 잠금장치는 하우징(10) 내측, 즉 도어 패널에 수납되는 매립체(15) 내부에는 하우징(10) 노출체(11)의 상하 출입공(11B)(11A)을 드나드는 데드볼트(40) 및 래치볼트(20)(특히 진퇴체(23)가 구 비되며,
데드볼트(40)는 도면부호로 지시되지 않은 자체 스프링 및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핸들에 의하여 진퇴되어 록킹-언록킹 기능을 수행한다.
조작에 따라 핸들(H)과 축설 연결된 레버(H1)가 선회 후퇴하면서 레버와 암수 결함된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가 후퇴하고, 이에 따라 진퇴체(23)도 후퇴하여 문의 개방이 가능하며,
핸들(H)을 놓으면 통상 비틀림코일스프링(미(未)지시됨)의 힘에 의하여 핸들은 원상 복귀되며, 래치볼트(20)는 자체 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전진 돌출된다.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는 경사면(23B)이 정면, 즉 실내측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어 핸들(H)(도면에서는 편의상 핸들(H)이 수직 배열되어 있으나, 통상 수평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을 조작하지 않아도
도어를 강제로 닫는 탄성장치(통상 유압 속도조절 장치를 갖는 도어클로우저)에 의하여 열린 문이 완전히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래치볼트(20) 진퇴체(23) 경사면(23)의 방향은 모티스 잠금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면에서 상기 래치볼트(20)의 내장체(21)에는 상기 핸들(H)과 연계된 레버(H1)의 구속을 받지 않고 후퇴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티스 잠금장치의 도어 장착시 상기 노출체(11)의 상하 브라켓(13)에 형성된 고정공(13a)을 통하여 나사못를 박아 고정하는 형태가 보편화 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는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볼트의 경사면 역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해제수단이 하우징의 노출체 측에 구비되어 있어 장착작업 편리성 및 오류 수정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래치볼트(20)는 하우징(10)의 매립체(15)에 수용되는 내장체(21)와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 외부에 위치한 진퇴체(23)를 갖고, 상기 진퇴체는 경사면(23B) 및 걸림면(23C)을 갖는다.
상기 내장체(21)의 결합부(21A)와 상기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는 도면에서는 상호 선회 가능하도록 접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며, 각각
걸림돌기(21a) 및 끼움부(21b)와 요홈부(23a)를 갖는 형태이지만
이러한 회동형 결합부 구조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대안적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42364호(2004년02월06일)의 공보 도 3에 도시된 형태나 실용신안등록 제0382712호(2005년04월15일)의 공보 도 3에 도시된 결합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볼트에 의한 고정 없이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 외측으로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부재(S)는 상기 하우징의 매립체(15)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래치볼트와 결합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통상적인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다양한 소재(합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등)와 형상의 탄성부재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래치볼트(20)의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가 임의로 변위되어 진퇴체(23) 경사면(23B) 방향이 변화되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역전을 방해하도록 래치볼트와 결합되어야 하는데,
특히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가 구속수단에 머무르게 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구속수단은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가 상호 선회되는 형태이므로 결국 진퇴체(23)의 선회를 방해하는 형태여야 하며,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가 상기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머물게 하는 역할은 스토퍼(30)가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별도의 구성요소(부품)의 도입 없이 상기 구속수단(R)은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 주변 플렌지(11a)(도 2 참조)가 기능하도록 되어 있는데(선회방지를 위하여 진퇴체(23) 및 출입공(11B)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 형상, 특히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피를 위한 임의의 구속수단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래치볼트(20) 내장체(21)의 결합부(21A)에서 끼움부(21b)는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 요홈부(23a) 후방 헤드(미지시됨)에 비하여 전후 폭이 더 커서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의 상호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진퇴체(23)의 요홈부(23a)는 상기 내장체(21)의 걸림돌기(21a)에 의하 여 이탈이 방지되고 선회 운동 또한 가능하다.
상기 래치볼트(20)는 진퇴체(23)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체(25)를 갖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걸림체가 진퇴체(23)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승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지만
이러한 걸림체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걸림체(25)에 의한 진퇴체(23)의 돌출 정도를 제한은 결국 래치볼트 진퇴체의 경사면 역전을 방해하는 구속수단 위치에 상기 래치볼트(20)의 내장체 결합부(21A) 및 진퇴체 대응결합부(23A)가 머물러 제한된다는 의미와 일맥상통하며,
이러한 기능은 스토퍼(30), 특히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25)에 대응되는 대응걸림체(31)가 수행한다.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25)의 형상 및 형성 위치가 바뀌면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31) 역시 변화되어야 한다.
상기 스토퍼(30)의 대응걸림체(31)는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에 결합되어 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한 진퇴체(23)의 하우징(10) 출입공(11A) 외측 전진을 방해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 및 상기 스토퍼의 대응걸림체가 풀리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체(11) 측에 구비된 걸림해제수단(F)에 의하여 언록킹되는데,
상기 걸림해제수단(F)은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까지 연결되는 통공(11C)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해제수단(F), 결국 통공(11C)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래치볼트(20)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30), 결국 대응걸림체(31)는 스프링(35)이 구비되어 있어 외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 일정하게 세팅된 자세로 스토퍼가 복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무엇보다도 상기 스프링(35)은 상기 대응걸림체(31)가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에 걸리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래치볼트 진퇴체 경사면(23B)의 방향전환 후 진퇴체(23)를 가압 후퇴시켜
노출체(11) 출입공(11A) 주변 플렌지(11a), 결국 구속수단(R)에 래치볼트(20)의 내장체 결합부(21A) 및 진퇴체 대응결합부(23A)가 다시 수용 제한되도록 할 경우
상기 스프링(35)에 의하여 스토퍼(30)의 대응걸림체(31)가 복귀되어 양 걸림체(31)(25)가 다시 도킹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점은 래치볼트 진퇴체 경사면(23B) 방향전환이 모티스 잠금장치 분해 해체 없이 설치상태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능과 함께
경사면(23B) 역전후 래치볼트의 평상시 기능으로의 복원을 위한 조작 편리성에의 획기적 증대를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과 종래기술을 근본적으로 차별화시키는 양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 1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10)의 해당 위치에 고정 배열
스프링(35)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상 및 소재(합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 등)의 것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해제수단(F)을 이루는 통공(11C)에 막대(F1)를 투입하여 스토퍼(3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스프링(35)을 변형시키면서 선회하여
양 걸림체(31)(23)가 상호 풀려 래체볼트(20) 진퇴체(23), 결국 내장체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의 대응결합부(23A)가 구속수단(R)인 플렌지(11a)에서 벗어나
진퇴체(23) 경사면(23B)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상태로 변화되도록 하는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축(33)과 어긋난 위치에 누름부(37)를 갖는데, 즉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동축의 축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또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과 연계(다시 말해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통공을 통하여 접근가능)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래치볼트(20) 및 스토퍼(30)의 걸림체(25) 및 대응걸림체(31) 언록킹이 작은 힘에 의해서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통공(11C)은 상기 하우징 노출체(11)에 상시 설치된 버튼이 구비된 형태가 아니어서
스토퍼(30)가 정상적인 모티스 잠금장치 작동 중에 풀려
래치볼트 경사면(23B)이 역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한 번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오작동이 발생될 문제가 없어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해제수단(F)을 이루는 막대(F1)를 하우징(10) 노출체(11) 통공(11C)에 끼워 스토퍼(30)의 누름부(37)를 가압하면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스프링(35)을 변형하면서 스토퍼가 선회되고
이에 따라 대응걸림체(31)가 래치볼트(20) 걸림체(25)에서 벗어나 풀리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래치볼트(20)가 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하여 전진하여
출입공(11A) 외측에 래치볼트(20)의 내장체 결합부(21A) 및 진퇴체 대응결합부(23A)가 노출되고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래치볼트(20)의 내장체 결합부(21A) 및 진퇴체 대응결합부(23A) 노출 정도는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이 가능한 임의의 노출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 상기 스토퍼(30)의 누름부(37)는 홈 형태로 되어 있어 막대(F1)는 후방 가압 직선운동을 하고 스토퍼(30)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함에도
최종적인 양 걸림체((25)(31)의 언록킹 풀림까지 미끄러짐 등의 실패 없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걸림해제 동작 후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돌출된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일면이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일면과 접촉하여
스프링(35)의 복원력에도 스토퍼(30)가 원위치 되는 것을 막게 된다.
진퇴체 경사면(23B) 역전후 다시 진퇴체(23)를 가압하면 내장체(21)와 함께 후퇴하면서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일면에서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일면이 벗어나면서
다시 도 4a 및 도 4b의 상태와 같이, 래치볼트(20) 걸림체(25)의 타면이 스토퍼(30)의 대응 걸림체(31) 타면이 상호 엇물리는 형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스프링(35)의 탄성이 발휘될 수 있어 스토퍼(30)가 선회하여 원위치 되고
이에 따라 다시 래치볼트(20)의 양 결합부(21A)(23A)는 구속수단(R), 즉 하우징 노출체 출입공(11A)의 플렌지(11a)에 의하여 구속되어
임의 역전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특히 전자식 잠금장치(통상 '디지털 도어락'으로도 지칭) 등에서의 전동 조작 구성 및 동작과정 등을 비롯한 통상의 모티스 잠금장치 관련 공지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래치볼트 관련 구성(진퇴체의 경사면쪽(실내측)에서 관찰)을 중심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잠금장치에서 래치볼트 관련 구성(진퇴체의 걸림면쪽(실외측)에서 관찰)을 중심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걸림해제수단을 구성하는 막대를 사용하여 조작하기 전의 래치볼트 관련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걸림해제수단을 구성하는 막대를 사용하여 조작한 후의 래치볼트 관련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노출체
11A,11B: 출입공 11a: 플렌지
11C: 통공 13: 브라켓
13a: 고정공 15: 매립체
20: 래치볼트 21: 내장체
21A: 결합부 21B: 슬라이드홈
23: 진퇴체 23A: 대응결합부
23B: 경사면 23C: 걸림면
25: 걸림체 S: 탄성부재
30: 스토퍼 31: 대응걸림체
33: 회동축 35: 스프링
37: 누름부 40: 데드볼트
F: 걸림해제수단 F1: 막대
H: 핸들 H1: 레버

Claims (8)

  1. 출입공이 형성되고 도어에 고정되는 노출체(11)를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결합부(21A)를 갖는 내장체(21)와,
    경사면(23B)과 걸림면(23C)을 갖고, 상기 내장체(21)의 결합부(21A)와 연결되도록 대응결합부(23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 노출체(11)의 출입공(11A)을 드나드는 진퇴체(23)와,
    상기 진퇴체(23)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체(25)를 포함하는 래치볼트(20);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체(23)가 노출되도록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고 상기 래치볼트와 결합된 탄성부재(S);
    상기 래치볼트(20) 진퇴체(23)의 경사면(23B) 역전을 방해하도록 래치볼트(20)와 결합되는 구속수단;
    상기 래치볼트(20)에서 내장체(21)의 결합부(21A) 및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가 상기 구속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상기 래치볼트의 걸림체(25)에 대응되는 대응걸림체(31)를 갖는 스토퍼(30); 및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 및 상기 스토퍼(30)의 대응걸림체(31)가 풀리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노출체(11) 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30)까지 연결되는 통공(11C)을 포함하는 걸림해제수단(F);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우징(10) 노출체(10)의 출입공(11A) 주변 플렌지(1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에는 대응걸림체(31)를 탄지하여 상기 대응걸림체가 상기 래치볼트(20)의 걸림체(25)에 걸리도록 탄성을 발휘하도록 스프링(35)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20)에서
    상기 내장체(21)의 결합부(21A) 및 상기 진퇴체(23)의 대응결합부(23A)는 상기 진퇴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래치볼트(20)의 진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회동축(33)을 갖고, 상기 회동축(33)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회동축(33)의 축선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통공(11C)을 통하여 접근가능한 누름부(3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20090022906A 2008-09-02 2009-03-18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Active KR100907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935 2008-09-02
KR20080011935 2008-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41B1 true KR100907641B1 (ko) 2009-07-14

Family

ID=41337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06A Active KR100907641B1 (ko) 2008-09-02 2009-03-18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KR1020090028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4-01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642B1 (ko) 2008-09-02 2009-04-01 데드볼트 자동 록킹 구조를 갖는 모티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07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540A (ko) 2022-03-07 2023-09-14 최용조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20230131541A (ko) 2022-03-07 2023-09-14 전진찬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76Y1 (ko) 2010-02-24 2012-04-26 주식회사 아이레보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105590B1 (ko) 2010-04-13 2012-01-17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1598961B1 (ko) * 2015-02-0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설치가 용이한 범용 디지털 도어록용 모티스락
KR101895216B1 (ko) 2017-06-16 2018-09-10 (주)주영메카트로닉스 도어록용 모티스
KR101878462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모티스용 래치를 구비한 모티스
KR102380471B1 (ko) 2021-03-12 2022-03-29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잠김 장치
KR102456722B1 (ko) 2021-07-21 2022-10-18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이중 잠김 장치
KR102453941B1 (ko) 2021-08-04 2022-10-11 주식회사 라오나크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2547431B1 (ko) 2021-10-24 2023-06-22 주식회사 라오나크 모티스 안티 패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684A (en) 1991-05-17 1992-06-23 Yeh Ming Tien Door lock with invertable bolt
JPH10184131A (ja) 1996-12-26 1998-07-14 Kuriki Seisakusho:Kk ラッチ錠
KR19980065803A (ko) * 1997-01-15 1998-10-15 홍동표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20050025845A (ko) * 2003-09-08 2005-03-14 남경훈 도어 자물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05Y1 (ko) 2003-05-12 2003-08-09 금강산업 주식회사 도어록 잠금장치
KR200352026Y1 (ko) 2004-03-04 2004-06-02 주식회사 T4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550309B1 (ko) * 2004-05-19 2006-02-07 박지순 도어록 장치
KR100855307B1 (ko) 2007-09-20 2008-08-29 (주)나이락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 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684A (en) 1991-05-17 1992-06-23 Yeh Ming Tien Door lock with invertable bolt
JPH10184131A (ja) 1996-12-26 1998-07-14 Kuriki Seisakusho:Kk ラッチ錠
KR19980065803A (ko) * 1997-01-15 1998-10-15 홍동표 록킹부의 방향 교환이 용이한 도어의 언록킹 장치
KR20050025845A (ko) * 2003-09-08 2005-03-14 남경훈 도어 자물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540A (ko) 2022-03-07 2023-09-14 최용조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20230131541A (ko) 2022-03-07 2023-09-14 전진찬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42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41B1 (ko) 장착된 상태 그대로 역전이 가능한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 잠금장치
JP6490762B2 (ja) ロック装置
JP2011047133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0807590B1 (ko)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JP5733877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4823874B2 (ja) 電気錠
JP6196426B2 (ja) 扉錠
JP2008127881A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09008180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3063694U (ja) 防水用ハンドル装置
KR100699557B1 (ko) 선박 휠하우스의 슬라이드식 도어용 도어록의 잠금장치
JP5759048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JP2004204662A (ja) 扉錠のラッチ引き戻し装置
JP4198382B2 (ja) グレモン錠
JP2009062776A (ja) 開口部装置
KR20110023421A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JP2012219562A (ja) 錠装置
KR100721281B1 (ko) 도어록의 모티스
JP4050064B2 (ja) グレモン錠
JP2007327254A (ja) ドア錠
JP2021055369A (ja) クレセント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