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7382B1 -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 Google Patents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382B1
KR100907382B1 KR1020070094128A KR20070094128A KR100907382B1 KR 100907382 B1 KR100907382 B1 KR 100907382B1 KR 1020070094128 A KR1020070094128 A KR 1020070094128A KR 20070094128 A KR20070094128 A KR 20070094128A KR 100907382 B1 KR100907382 B1 KR 10090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tube
pipe
bar structure
b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156A (ko
Inventor
장수민
Original Assignee
장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민 filed Critical 장수민
Publication of KR2008005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3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로, 다절관을 포함하고, 이 다절관은 서로 중첩하며 각 관 사이의 중첩부분에는 속관을 설치한 것으로, 그 특징은 각 부분의 관이 모두 대칭구조이며, 최상단 혹은 최하단의 관을 제외하고 관의 횡단면은 모두 다각형 구조이며, 최소 한 개 사이드가 안으로 오목된 구조가 아니며, 이 구조는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보장할 수 있고, 속관을 설치하기 편리하며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우산스프링의 평형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여 자동우산의 체적을 축소하는 동시에 안정적이고,정상적으로,순조롭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우산, 중간 바, 속관, 중관, 외관

Description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Mid bar structure with reducible gap for umbrella }
본 발명은 우산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 우산의 중간 바 구조이며, 이 구조는 중간 바에 우산을 펼치는 스프링을 설치하는 각도에서 출발하여 최대한 중간 바의 간격을 감소시켜 스프링의 설치와 조립에 유리하게 하는 것이다.
자동적으로 펼치고 접는 우산의 중간 바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절관으로 구성되어 다절관 사이는 서로 네스트 되어 있으며 차례로 펼치고 접는 효과를 가지는데 중간 바의 내부는 빈 것이며 자동으로 펼치고 접기 위해 스프링이 설치되며 우산스프링이 기본적으로 전체의 중간 바을 관통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서술한 구조에 대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여 우산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한다.
첫째, 우산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순조로운 조합이다. 즉 중간 바의 각 관은 양호한 맞물림 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분리되어서는 아니된다.
둘째, 우산의 각 관 사이의 공간이 적절하여 우산스프링이 중간 바에서의 평형을 유지해야 한다. 즉 각 관의 내부 직경은 지나치게 작으면 아니 된다. 지나치게 작으면 우산스프링을 순조롭게 설치하지 못하며 지나치게 커도 아니 되는데 지나치게 크면 여러 관 사이의 내부간격을 증가하여 우산스프링의 왜곡을 초래하여 순조롭게 우산을 펼치거나 접을수 없고 우산스프링이 중간 바의 각 관내에서의 평형성을 파괴,특히 4절관 이상의 자동우산은 관의 맞물림 관계가 더욱 엄격하여 설사 1mm의 차이가 있어도 자동우산스프링의 평형을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알려진 선행기술 중 하나는, 신축식 중간 바의 다절 우산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우산은 개량 우산의 중간 바의 구조로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횡단면을 활모양 오목면 구조로 설계, 상관의 치수가 가장 작고 그 횡단면은 여러 개의 활모양 오목면 상한이 있으며 두 개 인접한 상한 사이에는 접철부를 형성, 제일 아래의 관이 원형일 때까지 위에서 아래로 관의 볼록 상한이 점차 증가한다. 이 중간 바의 설계목적은 주로 중간 바의 점유 체적을 감소하여 우산을 펼치고 접을 때의 체적을 감소하는 것으로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 문제를 고려하지 않았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알려진 기술은, 상기와 같은 유사한 해결방안을 제공하였는데 중간 바의 축선을 기준으로 각 관이 차례로 오목상한을 형성하였으며 각 관과 외부 관 사이의 오목 상한 차이는 크기를 같게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우산을 펼치고 접는 조작의 원활함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그립감이 있다.
위에서 서술한 두 가지 설계 예는 이론적인 기대 효과가 있지만 실제 응용에서 두 가지 결점이 있다. 우선,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배합은 각 관의 횡단면 구조를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관 하부의 속관의 설치 및 배합을 고려해야 하는바, 속관은 두 배합관을 원활하게 결합하고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것으로 위에서 서술한 구조는 속관이 내부 오목 상한을 변형 형성한 것으로 실제 실현이 불가능하므로 현재 구체적인 응용에서 아직 위에서 서술한 구조를 가진 우산은 상용화되거나 만들어지지 않았다. 자동우산을 접을 때 우산스프링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는 평형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자신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왜곡하여서는 아니 되는데 다절관의 배합 맞물림 관계는 필연적으로 관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초래하며 만약 최소 내경관과 최대 내경관 사이의 간격이 지나치게 크면 우산을 접을 때 우산스프링이 필연적으로 왜곡되어 순조롭게 우산을 접을 수 없거나 아예 접을 수 없게 되는데 특히 4절 이상의 자동우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위에서 서술한 구조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목상한과 원의 배합으로 인해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는데 중간 바가 차지하는 체적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중간 바 내부의 간격이 증가하여 우산스프링의 평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내부 간격을 가진 우산용 중간 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는 우산스프링이 수시로 평형을 유지할 수 있어 우산을 자동으로 펼치고 접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격을 감소할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는 중간 바의 각 관의 맞물림 결합 특징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바 내의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우산스프링의 평형성을 유지하며 또한 될 수 있는 한 중간 바의 체적을 감소하여 4절 이상의 다절 우산 및 체적이 작은 자동우산을 제조하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산용 중간 구조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중간 바 구조로 다절관을 포함하고, 이 다절관은 서로 중첩하며 각 관들 간의 중첩부분에는 속관을 설치한 우산용 중간 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관들은 대칭 구조이며, 최상단 또는 최하단의 관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관들의 횡단면은 정다각형 구조이며, 안으로 대칭적인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새로운 다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는 충분한 중간 바 내부공간을 보증하여 우산스프링을 수납할 수 있으며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작아 우산스프링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고 왜곡 변형되지 않게 한다.
한편, 맨 안쪽의 최소 내경을 갖는 상기 관의 횡단면이 원형 구조이며, 상기 정다각형 구조가 최소한 8각형이며, 상기 관들의 오목부는 각 사이드의 일부분이며 상기 오목부의 양측의 사이드는 대칭 즉 각 사이드의 중간 부분이 안으로 오목한 것이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각 사이드의 길이의 1/10~1/5로 상기 관의 사이드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한다.
상기 오목부는 정다각형의 각 사이드 상에 분포되고, 정다각형의 사이드에 대칭으로 분포되며, 상기 정다각형의 코너가 밖으로 돌출되어 활 모양의 만곡을 형성한 것으로, 오목 구조의 작용과 같고 제조가 편리하고 상기 관의 원활한 작동과 깨끗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정다각형의 코너부가 돌출되어 상기 관의 외관에 외접하며, 상기 정다각형 직선부에 대응하는 횡단면부분이 활모양 부위에 대응하도록 안으로 오목되며 활모양 구조를 구비하여 오목 부분에 의해 상기 관들 간의 간격이 감소된다.
상기 각 관에서 내관의 횡단면은 원형 구조이고, 그 내관을 연결하는 중관의 횡단면은 정다각형이며, 이 정다각형의 코너는 활모양 구조를 형성하고, 중관에 외접하는 각 관의 각 횡단면은 중관의 직선부에 대응하도록 안으로 오목지고 상기 활모양 구조에 대응하는 부위는 활 모양 구조로 이루어져서 중간 바의 체적을 축소할 수 있고, 작은 체적의 자동 우산을 제조하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서술한 구조를 사용하여 앞에서 서술한 두 가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으며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유지하는 동시에 속관의 설치에도 편리하고 또한 최대한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우산스프링의 평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여 자동우산이 체적을 축소하는 동시에 안정적이고 정상적으로 순조롭게 조작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위에서 서술한 구조는 간단하고 구현하기 쉬우며 특히 4절 이상의 다절 우산을 위해 체적을 감소하는 최적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원활한 결합을 유지하는 동시에 속관의 설치에도 편리하고 또한 최대한 중간 바의 각 관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우산스프링의 평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여 자동우산 체적을 축소하는 동시에 안정적이고 정상적으로 순조롭게 조작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하기 쉬우며 특히 4절 이상의 다절 우산을 위해 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절, 즉 우산용 중간 바가 3개 관의 구조인 경우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관의은 내경의 크기 순서에 따라 내관(10), 중관(20)과 외관(30)으로 구별되고, 상기 내관(10)의 횡단면(아래서 서술한 기타 형태는 특별한 지적을 제외하고 모두 횡단면의 형태임)은 원형 구조로 하여 최소 내경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중관(20)은 정5각형의 기초 위에서 형성한 10각형 구조, 즉 정5각형의 코너가 전부 활모양 구조로 전개되어, 상기 중관(20)은 직선부(21)과 활모양부(22)를 구비한 것으로 그 내경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외관(30)의 구조는 상기 중관(20)의 구조에서 변화된 것으로, 상기 중관(20)의 직선부(21)에 대응하는 부분이 약간 안으로 오목되어 오목부(31)을 형성하고, 상기 중관(20)의 활모양부(22)에 대응하는 부분이 활모양부(32)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 설명도로, 중간 바는 5개 관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경의 크기 순서에 따라, 내관(110), 중관1(120), 중관2(130), 중관3(140)과 외관(150)으로 구별된다. 상기 중관2(130) 및 중관3(140)과 외관(150)은 각각 도 1의 내관(10), 중관(20), 외관(30)의 3개 관의 구조와 같고, 내관(110)의 횡단면은 원형구조로 최소 내경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중관1(120)은 정10각형 구조(기타 실시방식에서 정10각형의 각 코너는 모두 활 모양구조로 변형할 수 있거나 활 모양 구조로 대칭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중관이 직선부와 활모양부를 구비하여 중관과 기타 관의 연결간격을 축소할 수 있다)이고, 내관(110)은 원형 구조를 채용하여 중관1(120)과의 연결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삭제
중관2(130)의 횡단면은 원형이고, 중관3(140)은 정5각형의 기초 위에서 형성한 10각형구조, 즉 정5각형의 코너가 전부 활모양 구조로 되어 중관3(140)은 직선부(121)와 활모양부(122)를 구비하여 그 내경을 줄일 수 있고 중관2(130) 및 외관(150)과의 연결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외관(150)의 구조는, 도 1의 외관(30) 구조와 유사하며, 중관3(140)의 구조에서 변형된 것이고, 중관3(140)의 직선부(121)에 대응하는 부분이 약간 안으로 오목져 오목부(131)를 형성하고 중관3(140)의 활모양부(122)에 대응하는 부분이 활모양부(132)를 형성한다.
도 1에서 표시한 3절 우산의 중간 바 구조는 현재의 3절 우산 구조에 응용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표시한 5절 우산의 중간 바 구조 형식은 더욱 작고 정교하며 체적이 작은 자동우산을 제조하기 편리하며, 우산의 중간 바의 원활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우산스프링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우산스프링이 중간 바 내에서 평형성을 가지고 다절 맞물림으로 인한 내경 증가가 가져오는 왜곡 변형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실시 예는 일종 4절 우산의 중간 바구조를 나타내며 우산의 중간 바의 외경에 따라 밖에서 안으로 순서에 따라, 첫번째 중간 바(1),두번째 중간 바(2), 세번째 중간 바(3) 및 네번째 중간 바(4)로 구분되고, 그 주요 특징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중간 바들의 구조가 다르고, 서로 떨어져 있는 중간 바들은 구조가 동일한 것이다.
즉 첫번째 중간 바(1)과 세번째 중간 바(3)의 횡단면은 모두 원형이고, 그들의 구조가 동일하며 두번째 중간 바(2) 및 네번째 중간 바(4)의 횡단면은 정10각형(정8각형일 수 있다)이고 그들의 구조도 동일하다.
도 4에서 표시한 구조로 볼 때 두번째와 네번째 중간 바는 동일하지 않아도 되며 두번째와 네번째 중간 바는 변형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즉 그들의 대칭되는 여러개 사이드는 활 모양일 수 있어 조립 후 중간 바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편리하다.
위에서 서술한 구체적 묘사는 본 발명의 몇 가지 구체적 실시 방식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실현하는 모든 방식을 대표하지 않으며 본 발명과 유사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가지며 동일한 기술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 기술방안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어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1에 따른 조립 구조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식1의 중간 바의 각 관의 분해설명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2의 조립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식2의 중간 바의 각 관의 분해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방식의 입체 구조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첫번째 중간 바 2:두번째 중간 바
3:세번째 중간 바 4:네번째 중간 바
10:내관 20:중관
21:직선부 22:활모양부
30:외관 31:오목부
32:활모양부 110:내관
120:중관1 121:직선부
122:활모양부 130:중관2
140:중관3 150:외관

Claims (9)

  1.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중간 바 구조로 다절관을 포함하고, 이 다절관은 서로 중첩하며 각 관들 간의 중첩부분에는 속관을 설치한 우산용 중간 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관들은 대칭 구조이며, 최상단 또는 최하단의 관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관들의 횡단면은 정다각형 구조이며, 안으로 대칭적인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새로운 다각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들 중에서 가장 안쪽의 최소 내경의 관은 그 횡단면이 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 구조가 최소한 8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들의 오목부는 각 사이드의 일부분이며 상기 오목부의 양측의 사이드는 대칭 즉 각 사이드의 중간 부분이 안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각 사이드의 길이의 1/1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정다각형의 각 사이드 상에 분포되고, 정다각형의 사이드에 대칭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의 코너가 밖으로 돌출되어 활 모양의 만곡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의 코너부가 돌출되어 상기 관의 외관에 외접하며, 상기 정다각형 직선부에 대응하는 횡단면부분이 활모양 부위에 대응하도록 안으로 오목되며 활모양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에서 내관의 횡단면은 원형 구조이고, 그 내관을 연결하는 중관의 횡단면은 정다각형이며, 이 정다각형의 코너는 활모양 구조를 형성하고, 중관에 외접하는 각 관의 각 횡단면은 중관의 직선부에 대응하도록 안으로 오목지고 상기 활모양 구조에 대응하는 부위는 활 모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KR1020070094128A 2006-12-21 2007-09-17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1578334A CN101204262B (zh) 2006-12-21 2006-12-21 用于自动开收伞的可减小间隙的中棒结构
CN200610157833.4 200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56A KR20080058156A (ko) 2008-06-25
KR100907382B1 true KR100907382B1 (ko) 2009-07-10

Family

ID=3846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1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7382B1 (ko) 2006-12-21 2007-09-17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8042B2 (ko)
JP (1) JP5076082B2 (ko)
KR (1) KR100907382B1 (ko)
CN (1) CN101204262B (ko)
DE (1) DE102007034066A1 (ko)
GB (1) GB24450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7858B1 (fr) * 2006-10-31 2011-02-25 Mondelin Roger Sas Dispositif de garnitures de guidage pour colonnes telescopiques en particulier pour appareils elevateurs
US20100072747A1 (en) * 2008-09-22 2010-03-25 Dennis Krize Tree pole coupler system
USD624081S1 (en) * 2010-04-15 2010-09-21 Nokia Corporation Stylus
USD686523S1 (en) 2011-05-18 2013-07-23 Willis Electric Co., Ltd. Artificial tree trunk
USD696153S1 (en) 2011-05-18 2013-12-24 Willis Electric Co., Ltd. Artificial tree trunk
USD767443S1 (en) * 2012-07-18 2016-09-27 Rosie Rivera Stem extension for artificial flowers
US9301582B2 (en) 2013-10-09 2016-04-05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improved shaft and rib assembly
CN203597504U (zh) * 2013-10-14 2014-05-21 福建省南安市华兴雨具日用制品有限公司 全自动开收伞的束口结构
USD848139S1 (en) 2015-05-15 2019-05-14 Oliver Joen-An Ma Umbrella frame
US11333182B2 (en) * 2018-03-12 2022-05-17 James R. Conrad Telescopic pole and locking mechanism
US20200128930A1 (en) 2018-10-24 2020-04-30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US11006711B2 (en) 2018-10-24 2021-05-18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US11903465B2 (en) 2020-11-06 2024-02-20 Shedrain Corporation Umbrella having anti-inversion mechanism
US20240052865A1 (en) * 2022-08-15 2024-02-15 Woodland Tools, Inc. Extendible po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84Y1 (ko) * 1985-06-07 1990-09-22 코르텐바흐 베르발퉁스 운트 베타일리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운트 콤파니 축소가능한 우산용 신축 우산대
JP2004275437A (ja) * 2003-03-14 2004-10-07 Kazuo Harasawa 折り畳み式洋傘用伸縮自在シャフト
KR200430885Y1 (ko) * 2006-03-29 2006-11-13 루차이 황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KR200430884Y1 (ko) * 2005-10-18 2006-11-13 루차이 황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9692A (en) * 1958-02-24 1960-08-23 Bromo Mint Company Inc Construction toy
JPH0337335U (ko) * 1989-08-25 1991-04-11
FR2676654B1 (fr) * 1991-05-24 1994-01-28 Ludger Simond Ets Baton telescopique.
US5720311A (en) * 1996-10-07 1998-02-24 Fu Tai Umbrella Works, Ltd. Telescopic umbrella shaft means with concave hexagonal sides
DE29618431U1 (de) * 1996-10-22 1997-01-09 Fu Tai Umbrella Works, Ltd., Wu Ku Hsiang, Taipeh Teleskop-Schaft für einen Schirm
CN2272225Y (zh) * 1996-10-24 1998-01-14 福太洋伞工厂股份有限公司 具有内凹弧形多棱围边的伸缩伞用中棒
DE29715020U1 (de) * 1997-08-21 1997-11-13 Fu Tai Umbrella Works, Ltd., Wu Ku Hsiang, Taipeh Gewichtsverringerter, mehrfach gegliederter, automatischer Schirm
US5803102A (en) * 1997-09-09 1998-09-08 Ko; Chin-Sung Protecting structure of control members of a folded umbrella
US6343568B1 (en) * 1998-03-25 2002-02-05 Mcclasky David R. Non-rotating telescoping pole
JP2945389B1 (ja) * 1998-07-14 1999-09-06 福太洋傘工廠股ふん有限公司 多段折畳み式自動開閉傘
US6035873A (en) * 1998-07-15 2000-03-14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umbrella having gradationally convex telescopic shaft
US6112755A (en) * 1998-12-15 2000-09-05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penta-fold umbrella
JP3068607B1 (ja) * 1999-05-20 2000-07-24 福太洋傘工廠股ふん有限公司 多段折畳み式自動開閉傘
US6338353B1 (en) * 2000-04-18 2002-01-15 Ming Ho Umbrella Industry Co., Ltd. Self-opening and foldable umbrella
US6418949B1 (en) * 2000-06-28 2002-07-16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umbrella shaft having telescopic tubes outwardly decreased in concave quadrants
USD466280S1 (en) * 2002-02-26 2002-12-03 Chin Sung Ko Umbrella shaft with five telescopic segments
CN2551067Y (zh) * 2002-05-16 2003-05-21 黄禄财 用于全自动开收多折伞的中棒
US6854916B2 (en) * 2002-05-17 2005-02-15 David Hsieh Retractable rod assembly
RU2232537C2 (ru) * 2002-11-18 2004-07-20 Филатов 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Зонт филатова
USD503035S1 (en) * 2004-03-04 2005-03-22 Chin Sung Ko Umbrella shaft having seven tubes
USD512215S1 (en) * 2004-11-12 2005-12-06 Ko Chin-Sung Umbrella shaft having nine tubes
US20060151020A1 (en) * 2005-01-07 2006-07-13 Fu Tai Umbrella Works, Ltd. Super-shortened multiple-fold umbrella
CN200947874Y (zh) * 2006-08-29 2007-09-19 张书闵 可减小间隙的中棒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584Y1 (ko) * 1985-06-07 1990-09-22 코르텐바흐 베르발퉁스 운트 베타일리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운트 콤파니 축소가능한 우산용 신축 우산대
JP2004275437A (ja) * 2003-03-14 2004-10-07 Kazuo Harasawa 折り畳み式洋傘用伸縮自在シャフト
KR200430884Y1 (ko) * 2005-10-18 2006-11-13 루차이 황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KR200430885Y1 (ko) * 2006-03-29 2006-11-13 루차이 황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45045A (en) 2008-06-25
US7588042B2 (en) 2009-09-15
JP2008155002A (ja) 2008-07-10
KR20080058156A (ko) 2008-06-25
DE102007034066A1 (de) 2008-06-26
GB2445045B (en) 2010-01-27
US20080149153A1 (en) 2008-06-26
CN101204262A (zh) 2008-06-25
JP5076082B2 (ja) 2012-11-21
GB0713675D0 (en) 2007-08-22
CN101204262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382B1 (ko)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우산용 중간 바 구조
JP5461161B2 (ja) タイヤ
EP3192401B1 (en) Inflatable bed
JP6925045B2 (ja) 折畳式六角テント
CN201262681Y (zh) 一种快速折叠式投影屏幕
US20140060755A1 (en) Cellular Shade Having At Least Two Cellular Columns
US20240409141A1 (en) Bottom support structure of hand trolley and hand trolley
EP2453069A2 (en) Truss connecting means
ES2969626T3 (es) Guía de ondas asimétrica
CN204378316U (zh) 一种可收拢式折叠的便携桌
US7621659B1 (en) Collapsible lampshade
JP7484014B2 (ja) 折り畳み可能な構造部材及び表示装置
KR102600707B1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US20140227938A1 (en) Building block unit, assembling structure and base having the same
KR20050034207A (ko) 걸이수단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
HK1118426A (en) Mid bar structure with reducible gap
KR200430884Y1 (ko)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CN206941430U (zh) 新型多孔斜交圆管涵结构
KR102377687B1 (ko) 연결형 칸막이
ITMI20011601A1 (it) Connettore espandibile per gamba con attaco adattabile ad un piano diappoggio
KR200295879Y1 (ko) 주방용 찜기
KR200430885Y1 (ko) 다중 접이식 우산의 우산대
JP4881609B2 (ja) 折畳式傘
CN203884895U (zh) 手动开收伞
KR200420115Y1 (ko)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