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487B1 -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 Google Patents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487B1
KR100906487B1 KR1020090028628A KR20090028628A KR100906487B1 KR 100906487 B1 KR100906487 B1 KR 100906487B1 KR 1020090028628 A KR1020090028628 A KR 1020090028628A KR 20090028628 A KR20090028628 A KR 20090028628A KR 100906487 B1 KR100906487 B1 KR 10090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sh
adjusting means
fix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영 filed Critical 정수영
Priority to KR102009002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4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구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체저장부, 망체, 고정수단, 블레이드, 구동수단, 간극 조절수단, 잠금부재, 결속부재

Description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GRANULATOR FOR MEDICINE}
본 발명은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구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정립기는 제약 분야 또는 화장품 제조분야 등에서 건조된 원료를 일정한 입도를 갖는 입상체 및 분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정립기로는 강주현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484509호(2005.04.12.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정제 조제용 정립기”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종래에 하나의 회전자로만 사용하는 경우 입자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정밀도가 떨지는 문제와, 균일하게 분쇄된 입자를 담는 통을 탈착시킬 경우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자를 사용하여 입자의 균일한 분쇄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또한 통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회전자와 스크린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는 입상체에 따라 효과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며,
또한 회전자와 스크린 사이에 사이즈가 매우 큰 입자 투입되어 분쇄되지 않는 경우에 스크린이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스크린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린텐션바는 축상에 스크린이 걸쳐있는 형태로 만약 스크린텐션바의 일측이 기울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당히 큰 사이즈의 입자에 의하여 스크린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스크린에 장력을 골고루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축에 연결된 블레이드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은 수결합부가 암결합부를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단순한 구성만으로 정밀도 높은 간극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극 조절 후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배열되는 망체를 고정체가 장착부 상부에 결합되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망체가 느슨해지거나 유동을 가져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장착부에서 고정체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망체의 망실로 인한 교체 및 수리 와, 장착부와 고정체에 끼인 대상체 찌꺼지나 고형물의 세척 및 청소 작업 등을 유지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된 대응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와, 그리고 거리 조절된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망체를 위한 고정수단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장착부의 돌출부와 엇물리는 대응 돌출부를 갖고, 고정홈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분체저장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수나사체와, 그리고 상기 수나사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걸리는 암나사체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는 배흘림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 회전축에 연결된 블레이드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은 수결합부가 암결합부를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단순한 구성만으로 정밀도 높은 간극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극 조절 후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배열되는 망체를 고정체가 장착부 상부에 결합되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망체가 느슨해지거나 유동을 가져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장착부에서 고정체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망체의 망실로 인한 교체 및 수리 와, 장착부와 고정체에 끼인 대상체 찌꺼지나 고형물의 세척 및 청소 작업 등을 유지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의 간극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한 장착부와 고정체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란 고정수단의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이다.
우선 정립기는 입자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성형된 의약품, 식품, 사료, 화학약품, 비료, 분탄, 석회석 등의 각종 습윤 또는 건조재료를 소정의 입도(粒度)를 갖는 입상체(粒狀體) 또는 분체를 걸러내기 위한 장치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는 그 입도가 작은 약품 및 약제를 정립(整粒)하는데 그 장점을 갖으며,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입자 형태로 제조되거나 성형되는 입상체 또는 분체의 정립에도 그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개념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
상부에 장착부(14)를 갖는 분체저장부(10);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 고정수단(FM)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20); 상기 망체(20)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 상기 블레이드(3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44)을 구비한 구동수단(40); 및 상기 블레이드(30)와 상기 회전축(44)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20)와 상기 블레이드(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G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분체저장부(10)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2)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12a)와, 상기 프레임(12) 중심에는 일정한 면적을 갖으며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정립된 대상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6)와, 그리고 상기 배출구(16)의 일정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대상체를 담기 위한 저장케이스(17)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16)와 연통 가능하고 플랜지 형태를 이루는 장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4)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a)와, 상기 돌출부(14a) 외측에는 돌출부(14a)를 형성된 요홈(14c)과, 상기 돌출부(14a) 내측에는 돌출 부(14a)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14b)과, 그리고 장착부(14)의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U'자형 고정홈(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FM)은 상기 장착부(14)의 돌출부(14a)와 엇물리는 대응 돌출부(62)가 형성된 고정체(6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체(60)에는 상기 대응 돌출부(62) 내측에 형성되는 접촉부(6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60) 외측에는 상기 장착부(14)의 고정홈(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홈(6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는 망체(20)가 얹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60)가 결합되며, 이 경우 고정체(60)가 장착부(14)에 결합되면서 망체(20)를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망체(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체(60)의 대응 돌출부(62)가 상부에서 아랫방향을 향해 상기 장착부(14)의 돌출부(14a)에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체(60)의 대응 돌출부(62)의 내측면과 이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망체(20)가 상호 마찰에 의하여 망체(20)가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따라서 망체(20)에는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망체(20) 상부에는 블레이드(30)가 회전을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정 립 대상체 중에서 망체(20)의 입도보다 작은 대상체는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나,
망체(20)의 입도보다 큰 경우 또는 망체(20)에 대상체가 끼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이들을 밀어내거나 또는 일정 부분 분쇄하여 망체(20) 하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30)에 의하여 대상체가 분쇄되면서 전달되는 간접 작용력과, 상기 블레이드(30)에 의하여 망체(20)에 직접 작용하는 직접 작용력 등에 대하여 망체(2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 효율성이나 생산성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4)에 고정체(6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체(60)의 접촉부(66)는 장착부(14)의 대응 돌출부(62) 상면부에 배열되어 있는 망체(20)를 접촉부(66)가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또한 상기 고정체(60)의 돌출부(14a)는 상기 장착부(14)의 요홈(14c)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가 결합된 후 장착부(14)와 고정체(60)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의 각 고정홈(15)(64)은 고정체(60)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CM)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속부재(CM)는 상기 장착부(14) 하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된 힌지 결합부(15d)와, 상기 힌지결합부(15d)에 연결되는 막대 형태의 수나사체(15a)와, 상기 수나사체(15a)에 결합되고 고정홈(15)(64)에 걸리는 암나사체(15b)와,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15b)는 나사의 헤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손잡이(15c)가 구비된다.
즉 상기 결속부재(CM)의 수나사체(15a)는 선회하여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의 각 고정홈(15)(64)에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수나사체(15a)에 결합되어 있는 암나사체(15b)를 고정홈(15)(64)에 건 상태에서 암나사체(15b)의 손잡이(15c)를 잡고 결합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암나사체(15b)가 상기 고정체(60)의 고정홈(64)의 상부를 점층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가 상호 가압되면서 고정된다.
반대로 이들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나사체(15b)가 각 고정홈(15)(64)에서 걸리지 않을 정도로 손잡이(15c)를 잡고 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으로 수나사체(15a)를 고정홈(15)(64)에서 빼내어 결속부재(CM)를 고정홈(15)(64)에 완전히 이탈시켜 장착부(14)에서 고정체(6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결속부재(CM)에 의하여 장착부(14)에서 고정체(60)를 쉽고 간편하게 해체하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20)가 망실되어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나, 또는 장착부(14)나 고정체(60)의 세척 및 수리가 필요한 경우 유지 및 관 리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망체(20)는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 고정수단(FM)에 의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FM)의 고정체(60)와 장착부(14)에 상기 망체(20)가 결합되는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함으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망체(20)에는 정립 대상체가 투입되고, 블레이드(30)의 회전에 의하여 정립되는 경우 입도가 작은 정립 대상체는 망체(20) 외측으로 이탈하게 되며,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통형상의 이탈방지부재(19)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9)는 측부에 대상체를 망체(20)로 투입하기 위한 유입부(19a)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19)는 상기 고정체(60)를 통하여 장착부(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장착부(14)에는 걸림턱(14b)이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19)를 지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블레이드(30)는
상기 망체(2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블레이드(30)는 배흘림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30)는 망체(20) 상부에 투입된 정립 대상체가 일정한 입도를 갖는 망체(20)에서 배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망체(20)의 입도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대상체는 쉽게 망체(20)를 통과하게 되나,
대상체의 입도가 망체(20)의 입도보다 크거나 또는 망체(20)에 끼인 경우 상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체가 망체(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압하거나 또는 망체(20)와의 마찰을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분쇄하여 망체(20)로 정립 대상체가 용이하도록 통과시키거나,
또는 한번 많은 양의 대상체가 투입되어 망체(20)에서 체류하는 경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이들을 흩트리고 이동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0)의 배흘림형태 즉, 중앙 돌출형 또는 중앙 돌출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장착부(14)에 고정체(60)가 결합되면서 망체(20)에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게 되지만,
이 경우 망체(20)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블레이드(3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분쇄 작업도 병행하여야 하므로 망체(20)의 중심부는 일정 정도 처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30) 역시 망체(20)의 처진 부분에 대응하는 배흘림형태를 취하여 망체(2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정립 대상체를 처리함으로써 망체(20)와 블레이드(3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작업능률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구동수단(40)은
구동하우징(40A)과, 상기 구동하우징(40A)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하우징(40A)을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유입실린더와, 그리고 상기 구동하우징(40A) 내에 내장되는 구동모터(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40)에서 상기 구동모터(41)에는 회전축(44)이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30)로 전달하게 되며,
또 상기 구동하우징(40A)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44)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싱(40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40a)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44)을 위한 베어링(40b)이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유입실린더(42)에 의하여 구동하우징(40A)을 포함한 회전축(44)을 승하강시켜 망체(20)에 대한 블레이드(30)의 거리를 1차적으로 조절하게 되며, 다음으로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상기 망체(20)에 대한 블레이드(30)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미세 간극이 조절된 후에 상기 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4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30)의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정립 대상체가 망체(20)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을 미세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또한 망체(20)의 입도와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을 보다 정밀하고 미세하게 조절하여 작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GC)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은
상기 블레이드(30)와 상기 회전축(44)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20)와 상기 블레이드(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은 상기 회전축(44) 하부에 형성되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30)가 구비된 대응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와, 그리고 거리 조절된 블레이드(30)의 고정을 위한 잠금부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또는 수결합부)에 대응하는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는 중계부재(50)에 형성되는데, 상기 중계부재(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 하부에는 상기 블레이드(30)를 위한 연결부(56)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6)는 그 하부에 블레이드(30)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블레이드(30)의 형태도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미도시)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56)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미도시)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블레이드(30)를 삽입홈(미도시)에 장착한 후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블레이드(3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다만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GC)에서 회전축(44) 하부에는 암결합부(46)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50)에는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에 대응하는 수결합부(5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에서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는 회전축(44) 하단면을 가공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계부재(50)의 암결합부(46)는 그 외주면을 상기 암결합부(46)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가 상기 회전축(44)을 암결합부(46)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결합부의 나사산의 피치는 피치 간의 거리가 조밀할 수 더욱 정밀한 거리 조정이 가능해지나, 지나치게 피치를 조밀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간극 조절이 너무 미세하여 작업 능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에는 링 형태의 잠금부재(5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54)에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를 타고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거리 조정을 위한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동수단(40)의 유입실린더(42)에 의하여 1차적으로 블레이드(30)와 망체(20) 간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조정한 후,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의 잠금부재(54)를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에 풀러 아랫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회전축(44)의 하단부에서 적정한 만큼 이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망체(20)에 투입되는 정립 대상체의 입도 사이즈에 따라 망체(20)의 입도를 결정하여 블레이드(30)와 망체(20) 간의 간극의 거리를 미리 계산한 후,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에 결합된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를 회전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작업상 요구되는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 정밀하고 미세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 조절이 끝나면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맞춰진 간극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잠금부재(54)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44) 하단면에 접촉될 때까지 승강시키되, 상기 잠금부재(54)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재(54)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홈에 렌치를 삽입하여 상기 잠금부재(54)가 회전축(44) 하단면에 완전히 가압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1)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44)과 중계부재(50)를 통하여 연결된 블레이드(30)를 회전시켜 망체(20)에 투입된 정 립 대상체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의 간극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한 장착부와 고정체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란 고정수단의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분체저장부 12 : 프레임
12a : 지지부 14 : 장착부
14a : 돌출부 14b : 걸림턱
14c : 요홈 15 : 고정홈
15a : 수나사체 15b : 암나사체
15c : 손잡이 15d : 힌지결합부
16 : 배출구 17 : 저장케이스
19 : 이탈방지부재 19a : 유입부
20 : 망체
30 : 블레이드
40 : 구동수단 40A : 구동하우징
40a : 부싱 40b : 베어링
41 : 구동모터 42 : 유압실린더
44 : 회전축 46 : 암결합부
50 : 중계부재 52 : 수결합부
54 : 잠금부재 56 : 연결부
60 : 고정체 62 : 대응 돌출부
64 : 고정홈 66 : 접촉부
FM : 고정수단 CM : 결속부재

Claims (4)

  1.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된 대응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와,
    거리 조절된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구비한 정립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를 위한 고정수단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장착부의 돌출부와 엇물리는 대응 돌출부를 갖고, 고정홈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분체저장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수나사체, 상기 수나사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걸리는 암나사체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구비한 정립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배흘림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구비한 정립기.
KR1020090028628A 2009-04-02 2009-04-02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Active KR10090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28A KR100906487B1 (ko) 2009-04-02 2009-04-02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28A KR100906487B1 (ko) 2009-04-02 2009-04-02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487B1 true KR100906487B1 (ko) 2009-07-08

Family

ID=4133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628A Active KR100906487B1 (ko) 2009-04-02 2009-04-02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098A (en) 1982-10-18 1986-11-18 Freund Industrial Co., Ltd. Granulating and coating machine
US5904951A (en) * 1996-11-05 1999-05-18 Freund Industrial Co., Ltd.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ing-coating apparatus, method of granulating and coating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use of the apparatus
JP2001334140A (ja) * 2000-05-25 2001-12-04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098A (en) 1982-10-18 1986-11-18 Freund Industrial Co., Ltd. Granulating and coating machine
US5904951A (en) * 1996-11-05 1999-05-18 Freund Industrial Co., Ltd.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ing-coating apparatus, method of granulating and coating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use of the apparatus
JP2001334140A (ja) * 2000-05-25 2001-12-04 Freunt Ind Co Ltd 遠心転動造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316B1 (ko) 분말입자체의 분쇄정립장치
JP5527795B2 (ja) 解砕整粒機
KR100906487B1 (ko)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
CN207493797U (zh) 污泥破碎机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209791407U (zh) 一种用于食品调味料的v型混合机
CN210935242U (zh) 一种耐火材料用磨粉装置
CN209810313U (zh) 洗衣粉粉碎机
CN118478457A (zh) 一种塑料回收用破碎装置
KR101960232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215823198U (zh) 一种碳酸钙高效研磨设备
CN214188123U (zh) 一种刮刀
CN213700013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粉碎研磨一体机
CN212068991U (zh) 一种防滑防粘黏的化学药品碾磨装置
KR101960231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222003928U (zh) 一种防止堵塞的造纸制浆用磨浆机
CN219682745U (zh) 一种塑粉研磨装置
CN218902131U (zh) 高效稳定的夹胶玻璃用研磨机
CN218924894U (zh) 制药专用胶体磨
CN217164298U (zh) 大型卧式旋转制粒机
CN205767021U (zh) 一种塑料废品破碎装置
CN220700147U (zh) 一种塑料加工粉碎机
CN212943237U (zh) 一种水性涂料的易维护的立式磨砂机
CN220512172U (zh) 一种可更换模具的颗粒饲料造粒机
CN220759470U (zh) 一种齿盘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