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487B1 -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 Google Patents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6487B1 KR100906487B1 KR1020090028628A KR20090028628A KR100906487B1 KR 100906487 B1 KR100906487 B1 KR 100906487B1 KR 1020090028628 A KR1020090028628 A KR 1020090028628A KR 20090028628 A KR20090028628 A KR 20090028628A KR 100906487 B1 KR100906487 B1 KR 100906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mesh
- adjusting means
- fixing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구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powder storage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the top; A mesh bod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part by fixing means; A blade located above the mesh; Drive means having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blade; And a gap adjusting means arranged between the blade and the rotating shaf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and in particular, a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is primarily controlled by a driving means, and the gap adjusting means. Fine grained and precisely adjusts the gap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according to the grain size of the sizing object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device to increase the work reli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more specifically, the powder storage having a mounting portion on the top; A mesh bod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part by fixing means; A blade located above the mesh; Drive means having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blade; And a gap adjusting means arranged between the blade and the rotating shaft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특히 구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is primarily controlled by the driving means, and the gap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is finely and precis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sizing object by the gap adjusting means,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device and increasing the work reliability.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sizing device equipped with a gap control means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by improving work efficiency.
일반적으로 정립기는 제약 분야 또는 화장품 제조분야 등에서 건조된 원료를 일정한 입도를 갖는 입상체 및 분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In general, the sizing machine is used to obtain granules and powders having a constant particle size of dried raw materials in the pharmaceutical field or cosmetic manufacturing field.
이러한 종래의 정립기로는 강주현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484509호(2005.04.12.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정제 조제용 정립기”가 게시되어 있다.As such a conventional sizing machine, Patent No. 10-0484509 filed and registered by Kang Ju-hyun (registered on April 12, 20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s been published.
상기 종래기술은 종래에 하나의 회전자로만 사용하는 경우 입자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정밀도가 떨지는 문제와, 균일하게 분쇄된 입자를 담는 통을 탈착시킬 경우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In the prior ar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recision for homogenizing particles is reduced when using only one rotor in the related art,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manual operation when detaching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uniformly crushed particles.
복수의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자를 사용하여 입자의 균일한 분쇄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또한 통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고 있다.A plurality of interlocking rotors are used to enable uniform pulverization of the particles and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cylinder to provide ease of us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회전자와 스크린 간의 간극을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는 입상체에 따라 효과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며,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gap between the rotor and the screen cannot be adjusted so that effective coping is impossible depending on the granular bodies supplied in various forms.
또한 회전자와 스크린 사이에 사이즈가 매우 큰 입자 투입되어 분쇄되지 않는 경우에 스크린이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In addition, if the particle is not crushed due to the very large particles inserted between the rotor and the screen, the screen is subjected to an excessive force, which may cause deformation.
또한 스크린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린텐션바는 축상에 스크린이 걸쳐있는 형태로 만약 스크린텐션바의 일측이 기울거나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당히 큰 사이즈의 입자에 의하여 스크린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는 스크린에 장력을 골고루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tension bar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creen is in the form of the screen spans on the axis, if one side of the screen tension bar is inclined or the deformation of the screen due to the size of the particles as large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is that the tension cannot be evenly transmitt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회전축에 연결된 블레이드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is first controlled by the driving means by the blad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gap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is finely and precisely adjusted by the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upright obje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zing device with a gap adjusting means capable of improving the accuracy 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은 수결합부가 암결합부를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단순한 구성만으로 정밀도 높은 간극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극 조절 후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gap by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a thread is formed in each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male coupling por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female coupling portion, and the water coupling portion and the female coupling portion may be adjusted after the gap adjustmen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zing device having a gap adjusting means which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to prevent loosening,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배열되는 망체를 고정체가 장착부 상부에 결합되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망체가 느슨해지거나 유동을 가져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In addition,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as the fixed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arrang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unit to prevent the mesh from loosening or flow to reduce work efficiency,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장착부에서 고정체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망체의 망실로 인한 교체 및 수리 와, 장착부와 고정체에 끼인 대상체 찌꺼지나 고형물의 세척 및 청소 작업 등을 유지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inding member can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and detached in the mounting portion in the mounting portion, replacement and repair due to the loss of the mesh, and washing and cleaning of the object debris or solids stuck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tur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maintaining a work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 상부에 장착부를 갖는 분체저장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 상기 망체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수단; 및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sizing device having a clearanc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der storage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mesh bod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part by fixing means; A blade located above the mesh; Drive means having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blade; And a gap adjusting means arranged between the blade and the rotating shaft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된 대응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와, 그리고 거리 조절된 블레이드의 고정을 위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 coupling part or a male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 corresponding male coupling part or a female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blade, and a locking member for fixing the distance-adjusted blad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망체를 위한 고정수단은 상기 분체저장부의 장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장착부의 돌출부와 엇물리는 대응 돌출부를 갖고, 고정홈을 갖는 고정체와, 상기 분체저장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상기 고정체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수나사체와, 그리고 상기 수나사체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걸리는 암나사체로 이루어진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fixing means for the me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portion, and a corresponding protrusion intersecting with the protrusion of the mounting portion, a fixed body having a fix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powder storage portion. It includes a male screw body that is pivoted and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fixing body, and a binding member made of a female screw body coupled to the male screw body and caught in the fixing groov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는 배흘림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a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edding form.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 회전축에 연결된 블레이드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동수단에 의하여 1차적으로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간극 조절수단에 의하여 정립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와 블레이드 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작업 신뢰성을 높이고, 동시에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 sizing device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mesh and the blade by the driving means by means of a blad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mesh and the mesh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sizing object by the gap adjusting means. By finely and precisel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lades, the accurac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work, and at the same time, the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은 수결합부가 암결합부를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각 결합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단순한 구성만으로 정밀도 높은 간극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극 조절 후 수결합부와 암결합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구비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gap by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a thread is formed in each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male coupling por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female coupling portion, and the water coupling portion and the female coupling portion may be adjusted after the gap adjustment. A locking member is provided to prevent loosening,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분체저장부의 장착부 상부에 배열되는 망체를 고정체가 장착부 상부에 결합되면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망체가 느슨해지거나 유동을 가져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In addition,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as the fixed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is arrang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wder storage unit to prevent the mesh from loosening or flow to reduce work efficiency,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어 장착부에서 고정체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망체의 망실로 인한 교체 및 수리 와, 장착부와 고정체에 끼인 대상체 찌꺼지나 고형물의 세척 및 청소 작업 등을 유지관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 binding member can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and detached in the mounting portion in the mounting portion, replacement and repair due to the loss of the mesh, and washing and cleaning of the object debris or solids stuck 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ture Maintenance and work can be done quickly and easi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izing device having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의 간극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한 장착부와 고정체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란 고정수단의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showing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 adjusting means of the s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mounting portion by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member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정립기는 입자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성형된 의약품, 식품, 사료, 화학약품, 비료, 분탄, 석회석 등의 각종 습윤 또는 건조재료를 소정의 입도(粒度)를 갖는 입상체(粒狀體) 또는 분체를 걸러내기 위한 장치이며,First, granulators are granules or powders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for various wet or dry materials such as pharmaceuticals, foods, feedstuffs, chemicals, fertilizers, powdered coals, and limestones manufactured or molded in the form of particles. Is a device for filtering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는 그 입도가 작은 약품 및 약제를 정립(整粒)하는데 그 장점을 갖으며,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입자 형태로 제조되거나 성형되는 입상체 또는 분체의 정립에도 그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개념이다. In particular, the siz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izing the drug and the drug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nd furthermore, in the formulation of granules or powders produced or molded in the form of particles in various fields as described above. It is a concept that can be extended to its us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는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siz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에 장착부(14)를 갖는 분체저장부(10);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 고정수단(FM)에 의하여 장착된 망체(20); 상기 망체(20) 상부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 상기 블레이드(3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축(44)을 구비한 구동수단(40); 및 상기 블레이드(30)와 상기 회전축(44)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20)와 상기 블레이드(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간극 조절수단(G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분체저장부(10)는As shown in Figures 1 to 4 in the sizing device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2)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12a)와, 상기 프레임(12) 중심에는 일정한 면적을 갖으며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정립된 대상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6)와, 그리고 상기 배출구(16)의 일정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대상체를 담기 위한 저장케이스(17)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16)와 연통 가능하고 플랜지 형태를 이루는 장착부(14)가 형성되며,And as shown in FIG. 3,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장착부(14)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4a)와, 상기 돌출부(14a) 외측에는 돌출부(14a)를 형성된 요홈(14c)과, 상기 돌출부(14a) 내측에는 돌출 부(14a)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14b)과, 그리고 장착부(14)의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U'자형 고정홈(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FM)은 상기 장착부(14)의 돌출부(14a)와 엇물리는 대응 돌출부(62)가 형성된 고정체(60)가 구비되고,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body (60) formed with a corresponding protrusion (62) intersecting with the protrusion (14a) of the
상기 고정체(60)에는 상기 대응 돌출부(62) 내측에 형성되는 접촉부(66)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60) 외측에는 상기 장착부(14)의 고정홈(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홈(64)이 형성된다.The
즉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는 망체(20)가 얹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60)가 결합되며, 이 경우 고정체(60)가 장착부(14)에 결합되면서 망체(20)를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망체(20)를 고정시키게 된다.That is, the
이는 상기 고정체(60)의 대응 돌출부(62)가 상부에서 아랫방향을 향해 상기 장착부(14)의 돌출부(14a)에 끼워지면서This is because the
상기 고정체(60)의 대응 돌출부(62)의 내측면과 이들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망체(20)가 상호 마찰에 의하여 망체(20)가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따라서 망체(20)에는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즉 상기 망체(20) 상부에는 블레이드(30)가 회전을 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정 립 대상체 중에서 망체(20)의 입도보다 작은 대상체는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나,That is, while the
망체(20)의 입도보다 큰 경우 또는 망체(20)에 대상체가 끼인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이들을 밀어내거나 또는 일정 부분 분쇄하여 망체(20) 하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When larg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30)에 의하여 대상체가 분쇄되면서 전달되는 간접 작용력과, 상기 블레이드(30)에 의하여 망체(20)에 직접 작용하는 직접 작용력 등에 대하여 망체(2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작업 효율성이나 생산성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장착부(14)에 고정체(6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체(60)의 접촉부(66)는 장착부(14)의 대응 돌출부(62) 상면부에 배열되어 있는 망체(20)를 접촉부(66)가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되고,And when the
또한 상기 고정체(60)의 돌출부(14a)는 상기 장착부(14)의 요홈(14c)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가 결합된 후 장착부(14)와 고정체(60)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그리고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의 각 고정홈(15)(64)은 고정체(60)를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재(CM)가 구비되는데,As shown in FIG. 4, the
상기 결속부재(CM)는 상기 장착부(14) 하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된 힌지 결합부(15d)와, 상기 힌지결합부(15d)에 연결되는 막대 형태의 수나사체(15a)와, 상기 수나사체(15a)에 결합되고 고정홈(15)(64)에 걸리는 암나사체(15b)와, 그리고 상기 암나사체(15b)는 나사의 헤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손잡이(15c)가 구비된다.The binding member CM includes a hinge coupler 15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즉 상기 결속부재(CM)의 수나사체(15a)는 선회하여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의 각 고정홈(15)(64)에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수나사체(15a)에 결합되어 있는 암나사체(15b)를 고정홈(15)(64)에 건 상태에서 암나사체(15b)의 손잡이(15c)를 잡고 결합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암나사체(15b)가 상기 고정체(60)의 고정홈(64)의 상부를 점층적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장착부(14)와 고정체(60)가 상호 가압되면서 고정된다.That is, the
반대로 이들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나사체(15b)가 각 고정홈(15)(64)에서 걸리지 않을 정도로 손잡이(15c)를 잡고 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으로 수나사체(15a)를 고정홈(15)(64)에서 빼내어 결속부재(CM)를 고정홈(15)(64)에 완전히 이탈시켜 장착부(14)에서 고정체(60)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dismantle them, the female threaded
이는 결속부재(CM)에 의하여 장착부(14)에서 고정체(60)를 쉽고 간편하게 해체하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20)가 망실되어 교체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나, 또는 장착부(14)나 고정체(60)의 세척 및 수리가 필요한 경우 유지 및 관 리 작업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can be easily and simply dismantled and coupled to the fixin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망체(20)는As shown in Figures 2 to 4 in the sizing device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분체저장부(10)의 장착부(14) 상부에 고정수단(FM)에 의하여 장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FM)의 고정체(60)와 장착부(14)에 상기 망체(20)가 결합되는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함으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ounted by the fixing means (FM) on the mounting
다만 상기 망체(20)에는 정립 대상체가 투입되고, 블레이드(30)의 회전에 의하여 정립되는 경우 입도가 작은 정립 대상체는 망체(20) 외측으로 이탈하게 되며, 대상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통형상의 이탈방지부재(19)가 구비된다.However, when the upright object is inserted into the
상기 이탈방지부재(19)는 측부에 대상체를 망체(20)로 투입하기 위한 유입부(19a)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19)는 상기 고정체(60)를 통하여 장착부(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The
이 경우 상기 장착부(14)에는 걸림턱(14b)이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19)를 지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mountin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블레이드(30)는As shown in FIGS. 1 and 2, in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망체(2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블레이드(30)는 배흘림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It is located above the
즉 상기 블레이드(30)는 망체(20) 상부에 투입된 정립 대상체가 일정한 입도를 갖는 망체(20)에서 배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That is, the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망체(20)의 입도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대상체는 쉽게 망체(20)를 통과하게 되나,This is because the object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대상체의 입도가 망체(20)의 입도보다 크거나 또는 망체(20)에 끼인 경우 상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상기 대상체가 망체(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압하거나 또는 망체(20)와의 마찰을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분쇄하여 망체(20)로 정립 대상체가 용이하도록 통과시키거나,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또는 한번 많은 양의 대상체가 투입되어 망체(20)에서 체류하는 경우 블레이드(30)가 회전하면서 이들을 흩트리고 이동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Alternatively, when a large amount of the object is put in and stays in the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0)의 배흘림형태 즉, 중앙 돌출형 또는 중앙 돌출형으로 이루어지는데,And the
이는 상기 장착부(14)에 고정체(60)가 결합되면서 망체(20)에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게 되지만,This is the fixed
이 경우 망체(20)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블레이드(3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분쇄 작업도 병행하여야 하므로 망체(20)의 중심부는 일정 정도 처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30) 역시 망체(20)의 처진 부분에 대응하는 배흘림형태를 취하여 망체(20)의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정립 대상체를 처리함으로써 망체(20)와 블레이드(3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작업능률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구동수단(40)은1 to 2, in the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eans 40 is
구동하우징(40A)과, 상기 구동하우징(40A)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하우징(40A)을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유입실린더와, 그리고 상기 구동하우징(40A) 내에 내장되는 구동모터(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riving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40)에서 상기 구동모터(41)에는 회전축(44)이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30)로 전달하게 되며,In addition, the driving
또 상기 구동하우징(40A)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44)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싱(40a)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40a)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44)을 위한 베어링(40b)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즉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유입실린더(42)에 의하여 구동하우징(40A)을 포함한 회전축(44)을 승하강시켜 망체(20)에 대한 블레이드(30)의 거리를 1차적으로 조절하게 되며, 다음으로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상기 망체(20)에 대한 블레이드(30)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driving means 40 is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그리고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미세 간극이 조절된 후에 상기 구동모터(41)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4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30)의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정립 대상체가 망체(20)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fine gap is adjusted by the gap adjusting means GC, the driv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을 미세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또한 망체(20)의 입도와 대상체의 입도에 따라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을 보다 정밀하고 미세하게 조절하여 작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간극 조절수단(GC)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s a co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efficiency may be increased by finel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에서,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은As shown in FIG. 2, in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means GC is
상기 블레이드(30)와 상기 회전축(44)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망체(20)와 상기 블레이드(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Arranged between the
즉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은 상기 회전축(44) 하부에 형성되는 암결합부 또는 수결합부와, 상기 블레이드(30)가 구비된 대응 수결합부 또는 암결합부와, 그리고 거리 조절된 블레이드(30)의 고정을 위한 잠금부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gap adjusting means GC includes a female coupling portion or a male coupling portion formed under the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또는 수결합부)에 대응하는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는 중계부재(50)에 형성되는데, 상기 중계부재(5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가 형성되고,Furthermore, the male coupling portion 52 (or the femal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upling portion 46 (or the male coupling portion) of the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또는 암결합부) 하부에는 상기 블레이드(30)를 위한 연결부(56)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6)는 그 하부에 블레이드(30)의 장착을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A connecting
이 경우 블레이드(30)의 형태도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홈(미도시)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56) 외주면에는 상기 삽입홈(미도시)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블레이드(30)를 삽입홈(미도시)에 장착한 후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블레이드(3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다만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GC)에서 회전축(44) 하부에는 암결합부(46)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50)에는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에 대응하는 수결합부(52)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Figure 2 is provided with a
즉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에서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는 회전축(44) 하단면을 가공하여 홈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산이 형성되고,That is, the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기 중계부재(50)의 암결합부(46)는 그 외주면을 상기 암결합부(46)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구비되어,The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가 상기 회전축(44)을 암결합부(46)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The
이 경우 상기 각 결합부의 나사산의 피치는 피치 간의 거리가 조밀할 수 더욱 정밀한 거리 조정이 가능해지나, 지나치게 피치를 조밀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간극 조절이 너무 미세하여 작업 능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itch of the thread of each coupling part can be more precise distance adjustment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itch is dense, but if the pitch is formed too densely, the gap adjustment is too fine to affect the work efficiency, so that the proper distanc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더 나아가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에는 링 형태의 잠금부재(5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54)에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를 타고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a ring-shaped lock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GC)에 의하여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거리 조정을 위한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relationship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우선 상기 구동수단(40)의 유입실린더(42)에 의하여 1차적으로 블레이드(30)와 망체(20) 간의 거리를 대략적으로 조정한 후,First,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 간극 조절수단(GC)의 잠금부재(54)를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에 풀러 아랫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회전축(44)의 하단부에서 적정한 만큼 이격시키게 된다.The locking
다음으로 망체(20)에 투입되는 정립 대상체의 입도 사이즈에 따라 망체(20)의 입도를 결정하여 블레이드(30)와 망체(20) 간의 간극의 거리를 미리 계산한 후,Next, after determining the particle size of the
상기 회전축(44)의 암결합부(46)에 결합된 중계부재(50)의 수결합부(52)를 회전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작업상 요구되는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간극 정밀하고 미세하게 조절한다.Precision of the gap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미세 조절이 끝나면 망체(20)와 블레이드(30) 간의 맞춰진 간극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잠금부재(54)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44) 하단면에 접촉될 때까지 승강시키되, 상기 잠금부재(54)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잠금부재(54)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홈에 렌치를 삽입하여 상기 잠금부재(54)가 회전축(44) 하단면에 완전히 가압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fine adjustment is completed, the locking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1)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44)과 중계부재(50)를 통하여 연결된 블레이드(30)를 회전시켜 망체(20)에 투입된 정 립 대상체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Finally, by rotating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극 조절수단이 구비된 정립기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개념도,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showing a sizer equipped with a gap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립기의 간극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 adjusting means of the s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에 의한 장착부와 고정체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portion and a fixed body by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란 고정수단의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동작 단면도.Figure 4 is an opera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inding member of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분체저장부 12 : 프레임10: powder storage unit 12: frame
12a : 지지부 14 : 장착부12a: support portion 14: mounting portion
14a : 돌출부 14b : 걸림턱14a:
14c : 요홈 15 : 고정홈14c: groove 15: fixing groove
15a : 수나사체 15b : 암나사체15a:
15c : 손잡이 15d : 힌지결합부15c: handle 15d: hinge coupling
16 : 배출구 17 : 저장케이스16: outlet 17: storage case
19 : 이탈방지부재 19a : 유입부19:
20 : 망체20: mesh
30 : 블레이드30: blade
40 : 구동수단 40A : 구동하우징40: drive means 40A: drive housing
40a : 부싱 40b : 베어링40a:
41 : 구동모터 42 : 유압실린더41: drive motor 42: hydraulic cylinder
44 : 회전축 46 : 암결합부44: rotation axis 46: female coupling portion
50 : 중계부재 52 : 수결합부50: relay member 52: male coupling portion
54 : 잠금부재 56 : 연결부54: locking member 56: connecting portion
60 : 고정체 62 : 대응 돌출부60: fixed body 62: corresponding protrusion
64 : 고정홈 66 : 접촉부64: fixing groove 66: contact portion
FM : 고정수단 CM : 결속부재FM: fixing means CM: binding memb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628A KR100906487B1 (en) | 2009-04-02 | 2009-04-02 |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8628A KR100906487B1 (en) | 2009-04-02 | 2009-04-02 |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6487B1 true KR100906487B1 (en) | 2009-07-08 |
Family
ID=4133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8628A Active KR100906487B1 (en) | 2009-04-02 | 2009-04-02 |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6487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23098A (en) | 1982-10-18 | 1986-11-18 | Freund Industrial Co., Ltd. | Granulating and coating machine |
US5904951A (en) * | 1996-11-05 | 1999-05-18 | Freund Industrial Co., Ltd. |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ing-coating apparatus, method of granulating and coating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use of the apparatus |
JP2001334140A (en) * | 2000-05-25 | 2001-12-04 | Freunt Ind Co Ltd |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or |
-
2009
- 2009-04-02 KR KR1020090028628A patent/KR1009064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23098A (en) | 1982-10-18 | 1986-11-18 | Freund Industrial Co., Ltd. | Granulating and coating machine |
US5904951A (en) * | 1996-11-05 | 1999-05-18 | Freund Industrial Co., Ltd. |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ing-coating apparatus, method of granulating and coating powder or granular material by use of the apparatus |
JP2001334140A (en) * | 2000-05-25 | 2001-12-04 | Freunt Ind Co Ltd | Centrifugal tumbling granul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2316B1 (en) | Crushing and Sizing Device of Powder Particle | |
JP5527795B2 (en) | Crushing and sizing machine | |
KR100906487B1 (en) | Sizing machine with clearance adjustment means | |
CN207493797U (en) | Sludge crusher | |
KR200433588Y1 (en) | Multi purpose grinding device | |
CN209791407U (en) | A V type mixes machine for food seasoning | |
CN210935242U (en) | Milling equipment for refractory material | |
CN211913885U (en) | Full-automatic multimode tablet processing equipment | |
CN209810313U (en) | washing powder grinder | |
KR101960232B1 (en) | Device for pulverization and extr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 |
CN215823198U (en) | High-efficient grinding device of calcium carbonate | |
CN213700013U (en) | A smash and grind all-in-one for food processing | |
CN212068991U (en) | Antiseized glutinous chemical grinding device of antiskid | |
KR101960231B1 (en) | Device for pulverization and extr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 |
CN222003928U (en) | Prevent papermaking pulping of jam and use fiberizer | |
CN219682745U (en) | A plastic powder grinding device | |
CN218902131U (en) | Efficient and stable grinder for laminated glass | |
CN218924894U (en) | Colloid mill special for pharmacy | |
CN217164298U (en) | Large horizontal rotary granulator | |
CN205767021U (en) | A plastic waste shredding device | |
CN220700147U (en) | Plastic processing pulverizer | |
CN219024994U (en) | Screening device of grain grinding mill | |
CN212943237U (en) | Water based paint's vertical dull polish machine of easy maintenance | |
CN220512172U (en) | Pellet feed granulator of removable mould | |
CN220759470U (en) | Fluted disc cru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4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