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6340B1 -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340B1
KR100906340B1 KR1020070029974A KR20070029974A KR100906340B1 KR 100906340 B1 KR100906340 B1 KR 100906340B1 KR 1020070029974 A KR1020070029974 A KR 1020070029974A KR 20070029974 A KR20070029974 A KR 20070029974A KR 100906340 B1 KR100906340 B1 KR 10090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photosensitive medium
cleaning member
clean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554A (ko
Inventor
박승찬
백명수
권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340B1/ko
Priority to US11/843,962 priority patent/US7937037B2/en
Priority to EP07121915.8A priority patent/EP1975743B1/en
Priority to CN2008100046334A priority patent/CN101276192B/zh
Priority to RU2008111641/28A priority patent/RU2466443C2/ru
Publication of KR2008008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감광매체에 잔류한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의 이송경로인 폐토너 진입부와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수용부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 1 두께(t1)가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제 2 두께(t2)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토너의 진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폐토너 이송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 폐토너이송, 클리닝장치, 폐토너저장, 현상유닛

Description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가 채용된 현상유닛의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상형성장치 20; 현상유닛
100; 하우징 101; 폐토너 진입부
103; 폐토너 수용부 110; 상부 하우징
120; 하부 하우징 121; 클리닝 부재
130; 결합부 200; 제 2 하우징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개선된 구조의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에 토너를 전달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인쇄용지에 전사한다. 이때, 상기 토너화상 중 상기 인쇄용지에 미처 전사되지 못하고 잔류한 폐토너는 소정의 폐토너 클리닝 유닛에 의해 제거되어 폐토너 수용부에 수용된다.
폐토너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폐토너 클리닝 유닛의 클리닝 성능은 떨어진다. 예컨대, 클리닝 부재가 제거한 폐토너가 상기 폐토너 수용부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클리닝 부재 부근에서 적체되면서, 새롭게 제거된 폐토너와 함께 뭉치면서 심할 경우, 상기 클리닝 부재 측으로 역류할 수도 있다. 이처럼 클리닝 유닛의 클리닝 성능이 하락하면, 대전유닛이 감광매체를 제대로 대전하지 못하게 되고, 감광매체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지 못하면, 광주사장치가 형성하는 정전잠상에 얼룩이 지는 것과 같은 화상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폐토너의 원활한 이송을 돕기 위해, 복잡한 기구물 등으로 구성된 폐토너 이송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기구물의 추가는 재 료비 및 작업공수 증가를 야기할 뿐 아니라, 과도한 기구물의 추가가 오히려 폐토너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폐토너의 초기 흐름 구조를 개선하여 폐토너 이송을 위한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폐토너를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는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토너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대용량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폐토너 이송장치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장치는 감광매체에 잔류한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의 이송경로인 폐토너 진입부와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수용부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진입부는 폐토너 이송방향의 하류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동일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폐토너 진입부의 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0~20°정도로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 당하는 부분의 제 1 두께(t1)가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제 2 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두께(t1)와 제 2 두께(t2)의 경계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지지부보다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류에 위치하며,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0~20°정도로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16°로 경사지는 것이 가장 좋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토너 진입부의 상향 절곡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지지부보다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는 상기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폐토너 진입부로 진입되는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로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는 상기 폐토너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에서 인쇄매체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를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 상기 감광매체의 토너 화상을 인쇄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해 토너 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하며, 결합부(130)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12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부에는 클리닝 부재(121)가 설치되는 폐토너 진입부(101)와 상기 클리닝 부재(121)가 제거한 폐토너가 수용되는 폐토너 수용부(103)가 마련된다.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는 상기 클리닝 부재(121)의 클리닝 성능 향상을 위해, 폐토너 이송방향의 하류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는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의 하유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 보다 높게 형성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것으로, 이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는 감광매체(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하우징(120)에는 상기 감광매체(111)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부재(121)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닝 부재(121)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리닝 부재(121)는, 상기 감광매체(111)와 소정 각도로 접촉하여, 상기 감광매체(111) 표면에 잔류한 폐토너를 청소한다. 상기 클리닝 부재(121)는 상 기 하부 하우징(120)에 지지 브래킷(123)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1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블레이드 형상의 클리닝 부재(121)가 설치되고 그 타단은 "ㄱ"자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130)는 하부 하우징(120)에 마련된 결합돌기(131) 및 상부 하우징(110)에 마련된 결함홈(1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폐토너 수거부(103) 부근에 마련되는 것이 좋은데, 상기 결합부(130)를 중심으로 상류 측에는 폐토너 진입부(101)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의 두께(t1)는 일정하게 구성하고, 클리닝 부재(121)가 감광매체(111)와의 접촉위치에서 일정 값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θ)은 10 ~ 20°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16°인 것이 가장 좋다.
이처럼 클리닝 부재(121)의 경사각을 크게 형성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이송방향의 하류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폐토너 진입부(101)로 유입된 폐토너가 클리닝 부재(121)에 클리닝 초반부터 쌓이지 않고, 종래에 비해 오랫동안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03)로 직접 흩날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진입부(101)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 1 두께(t1)가 상기 폐토너 수용 부(103)에 해당하는 제 2 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때, 클리닝 부재(121)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감광매체(111)에 대하여 일정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두께(t1)와 제 2 두께(t2)의 경계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121)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23)보다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경계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흩날리는 폐토너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기 제 1 두께(t1)를 가지는 부분의 길이는 전체 상부 하우징(110) 길이의 50% 미만이 되도록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부 하우징(110)의 두께를 폐토너 진입부(101)와 폐토너 수용부(103)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하면,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는 폐토너 이송방향의 하류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이 차지하는 외부 부피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제거된 폐토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의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폐토너 진입부(101)와 수용부(103)를 대신하여, 밴딩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밴딩부(105)는,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103)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향 절곡된 것으로, 상기 폐토너 진입 부(101)에서 폐토너 이송방향에 대하여 하류 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부 하우징(110)과 동일하게 폐토너 이송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상부 하우징(110)의 강도 저하와 같은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클리닝 부재(121)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일정 값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클리닝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경사지게 설치된 폐토너 이송부재(122)를 더 포함한다.
폐토너 이송부재(122)는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 상기 폐토너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설치되어, 제거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거부(103)로 분쇄 및 이송한다.
상부 하우징(110)은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토너 진입부(101)에서의 두께(t1)와 폐토너 수거부(103)에서의 두께(t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므로,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이송부재(122) 위에 잘 쌓이지 않고, 감광매체(111)의 회전에 따라 곧바로 폐토너 수거부(103)로 흩날릴 수 있으며, 만일 쌓이더라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좌우 요동하는 폐토너 이송부재(122)에 의해 요동/이송되어 이송되므로,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폐토너가 적체되어 발생되는 폐토너 역류와 같은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폐토너 이송부재(122)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120)에 상보적으로 배치되는 결합돌기(131)와 결합홈(133)의 결합에 의해 위치가 가이드 된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폐토너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가 수용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 하부에 설치되는 토너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토너 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광주사장치(25, 도 7 참조)의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현상유닛(20)은 수평면에 대하여 폐토너 수거부(103)가 클리닝 부재(121) 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클리닝 부재(121)가 감광매체(111)와 이루는 각도가 16°일 경우, 현상유닛(20)은 상기 클리닝 부재(121)가 감광매체(111)와 이루는 각도와 같거나 더 큰 각도를 이루도록 16°~ 20° 사이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소형 화상형성장치에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20)이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같이, 폐토너 이송유닛(122)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에서, 제거된 폐토너가 적체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사기와 같은 대형 화상형성장치에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20)이 적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와 같이 폐토너 이송유닛(122)을 설치하여 많은 양의 폐토너가 발생되더라도,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이송유닛(122)의 요동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폐토너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폐토너 클리닝장치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급지유닛(10), 현상유닛(20), 전사유닛(30), 정착유닛(40) 및 배지유닛(50)을 포함한다.
인쇄가 시작되면, 급지유닛(10)에 수납된 다수 매의 용지는 픽업유닛(11)에 의해 현상유닛(20) 측으로 이송된다. 광주사장치(25)는 인쇄화상 정보를 레이저빔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이저빔은 감광매체(111)에 결상되어, 상기 감광매체(111)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20)은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감광매체(111)는 전사유닛(30)과 함께 맞물려 회전하면서 인쇄용지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는 정착유닛(40)에서 열과 압력을 전달받아 인쇄용지 표면에 상기 토너 화상이 고착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고착된 인쇄용지는 상기 배지유닛(5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인쇄용지에 미처 전사되지 못한 폐토너는 클리닝 부재(121)에 의해 제거된다. 클리닝 부재(121)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는, 클리닝 초기에는 상기 감광매체(111)의 회전력에 의한 관성으로 인해 흩뿌려지는 힘으로 상기 폐토너 수거 부(103) 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후 상기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누적된 폐토너들에 의해 더이상 흩날리지 못하게 되면, 새롭게 클리닝 되는 폐토너들에 의해 상기 폐토너 수거부(103) 및 폐토너 수용부(103) 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조금씩 이동한다.
이때,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클리닝 부재(121)를 감광매체(111)와 16°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할 경우에도, 폐토너 진입부(101)의 하류가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최초 클리닝되는 폐토너는 종래구성에 비해 멀리 흩날릴 수 있다. 즉, 클리닝 부재(121)와 감광매체(111)가 접촉하는 위치에서의 경사각도가 가파르게 형성되면, 감광매체(111) 표면에서 클리닝된 폐토너는 상대적으로 확장된 폐토너 진입부(101)의 하류를 통해 감광매체(111) 회전으로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보다 손쉽세 흩날려, 폐토너 수거부(103) 측으로 직접 날아가게 되므로, 클리닝 부재(121)의 표면에 폐토너가 쌓이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같이 클리닝 부재(121)의 설치각도를 크게 형성하고, 폐토너 진입부(101)에서의 상부 하우징(110)의 두께(t1)와 폐토너 수거부(103)에서의 상부 하우징(110)의 두께(t2)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거나,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103)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향 절곡된 밴딩부(150)를 형성하면, 상기 폐토너 진입부(101)는 기존 구성에 비해, 체적이 확장되며, 상류부분에 비해 하류 부분이 확장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폐토너 진입부(101)의 하류 부분이 상류 부분에 비해 확장되면, 상기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폐토너가 쌓여 제거된 폐토너 흐름이 방해받기 시작하는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클리닝 초기 단계에서 흩날리는 폐토너들이 폐토너 수거부(103) 및 폐토너 수거부(103)의 위치까지 깊숙하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와 같이 대형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어 폐토너 이송장치(122)가 설치될 경우,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122)의 폐토너 이송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제 2 실시예와 같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된 하우징(100)을 구비한 현상유닛(20)은 폐토너 수거부(103)가 클리닝 부재(121)에 비해 아래 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16° 이상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되므로, 클리닝 부재(121)의 폐토너 이송면 상에 적체된 폐토너들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폐토너의 초기 흐름구조가 개선되므로, 소형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폐토너 이송을 위한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폐토너를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폐토너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대용량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경우 폐토너 이송장치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감광매체에 잔류한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의 이송경로인 폐토너 진입부와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수용부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폐토너 진입부는 폐토너 이송방향의 하류측 높이(H2)가 상류측 높이(H1)보다 높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 1 두께(t1)가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제 2 두께(t2)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t1)와 제 2 두께(t2)의 경계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지지부보다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t1)를 가지는 부분의 길이는 하우징 전체 길이의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0~20°정도로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6°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진입부로 진입되는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로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는 상기 폐토너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진입부의 상향 절곡부는 상기 클리닝 부재의 지지부보다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0~20°정도로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6°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진입부로 진입되는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로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는 상기 폐토너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6. 감광매체에 잔류한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의 이송경로인 폐토너 진입부와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수용부를 갖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폐토너 진입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제 1 두께(t1)가 상기 폐토너 수용부에 해당하는 제 2 두께(t2)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폐토너 진입부의 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기 감광매체와의 접촉 위치에서 10~20°정도로 폐토너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17.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부재; 및
    상기 감광매체에서 인쇄매체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리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의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부재;
    상기 감광매체의 토너 화상을 인쇄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감광매체에서 인쇄매체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클리닝장치;
    인쇄용지를 상기 감광매체 측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해 토너 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출하는 배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29974A 2007-03-27 2007-03-27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90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74A KR100906340B1 (ko) 2007-03-27 2007-03-27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843,962 US7937037B2 (en) 2007-03-27 2007-08-23 Cleaning apparatus having an upper housing with varied thickn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7121915.8A EP1975743B1 (en) 2007-03-27 2007-11-29 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0046334A CN101276192B (zh) 2007-03-27 2008-01-21 清洁装置及具有该清洁装置的成像装置
RU2008111641/28A RU2466443C2 (ru) 2007-03-27 2008-03-26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74A KR100906340B1 (ko) 2007-03-27 2007-03-27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54A KR20080087554A (ko) 2008-10-01
KR100906340B1 true KR100906340B1 (ko) 2009-07-06

Family

ID=3956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74A KR100906340B1 (ko) 2007-03-27 2007-03-27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7037B2 (ko)
EP (1) EP1975743B1 (ko)
KR (1) KR100906340B1 (ko)
CN (1) CN101276192B (ko)
RU (1) RU246644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44B1 (ko) * 2007-03-27 2009-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KR20090104263A (ko) * 2008-03-31 2009-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9363A (ja) 1998-07-13 2000-01-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51275A (ja) 2001-05-24 2002-12-06 Fuji Xerox Co Ltd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
KR20030017913A (ko) * 2001-08-25 2003-03-04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폐토너 재공급 장치
KR20060007588A (ko) *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9683A (ja) * 1989-03-31 1990-10-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器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27318A (ja) * 2004-02-10 2005-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1680B1 (ko) * 2004-05-22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100667322B1 (ko) * 2005-01-1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토너 카트리지
JP4715263B2 (ja) * 2005-03-25 2011-07-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KR100705384B1 (ko) * 2005-08-16 200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9363A (ja) 1998-07-13 2000-01-28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51275A (ja) 2001-05-24 2002-12-06 Fuji Xerox Co Ltd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
KR20030017913A (ko) * 2001-08-25 2003-03-04 한국후지제록스 주식회사 폐토너 재공급 장치
KR20060007588A (ko) * 2004-07-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6443C2 (ru) 2012-11-10
US20080240811A1 (en) 2008-10-02
KR20080087554A (ko) 2008-10-01
US7937037B2 (en) 2011-05-03
CN101276192B (zh) 2012-06-20
CN101276192A (zh) 2008-10-01
RU2008111641A (ru) 2009-10-10
EP1975743A1 (en) 2008-10-01
EP1975743B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13998A1 (en) Powder transport unit having enhanced transportability and operability,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03793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폐토너 청소장치와, 폐토너 청소장치를 구비하는 현상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제거방법
KR100906340B1 (ko) 클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2066911A (ja) 画像形成装置
JP4798766B2 (ja) 用紙中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6579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4656391A (zh) 设置有用于保持和排出液体的液体保持器的图像形成设备
JP5953774B2 (ja) 画像形成装置
JP3715943B2 (ja) 分離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給送装置並びに画像処理装置
US740628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JP2007249123A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それを装着した画像形成装置
JP2012058583A (ja) 画像形成装置
JP571022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09793A (ja)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3246490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0091700A (ja) トナー回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76341B2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5409325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442802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08443A (ja) 画像形成装置
JP561931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1016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66891A (ja) 粉体収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3065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15090A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