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2663B1 -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663B1
KR100902663B1 KR1020080031238A KR20080031238A KR100902663B1 KR 100902663 B1 KR100902663 B1 KR 100902663B1 KR 1020080031238 A KR1020080031238 A KR 1020080031238A KR 20080031238 A KR20080031238 A KR 20080031238A KR 100902663 B1 KR100902663 B1 KR 10090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tray
mat
vegetation ma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호
위재경
최정권
Original Assignee
조용호
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위재경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08003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형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져서 다수개의 트레이가 하나의 판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경사면에서의 토사의 유출방지 및 식물뿌리의 고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미관이 수려한 녹화사업이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는 식생매트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는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다수개의 트레이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의 전, 후, 좌, 우 각 모서리 중 적어도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서 돌출형성되어 타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매트, 트레이, 친환경

Description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Greening Mat of Tray typ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트레이형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져서 다수개의 트레이가 하나의 판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경사면에서의 토사의 유출방지 및 식물뿌리의 고정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미관이 수려한 녹화사업이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식생매트(1)는 가로 세로 일정길이를 갖는 틀의 형태를 갖고, 상면과 좌우측면에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를 재료로 하여 제작되며, 상기 내측에는 천연코이어 섬유나 야자섬유 및 일반 흙으로 이루어진 토양(2)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식생매트(1)는 하나의 틀 형태로서 내측의 구획이나 구분없이 일체로 형성되며, 식생식물(3)은 상기 내측의 코코아섬유나 야자섬유를 포함하는 토양(2)에 뿌리가 엉김으로서 활착이 용이하게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생매트(1)는 하나의 식생매트(1)가 구획됨없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식생식물(3)별 또는 그 넓이에 따라 일부를 자르게 되면, 내측의 흙등이 쏟아져 내리기 때문에 사실상 식생지역의 공간적인 환경에 따라 상기 식생매트(1)의 분리나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환경에 적당한 랜드마크 작업이 불가능하며,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식생매트를 제작하므로 식생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된 이후에 자연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분해되므로 환경오염 및 산사면이나 녹화가 필요한 지역의 녹화사업에 적합한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소재로서 일체형으로서 하나의 매트에서 다수개의 트레이가 형성되므로 설치되는 지반의 넓이나 형상 및 경사도에 따라서 각각의 트레이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에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광고 또는 기타 문양이나 기호로서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랜드마크의 형성이 용이한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매트가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소재로 제작되고 식생매트의 수평부를 멀칭효과가 있는 멀칭필름으로 제작하여 잡초의 생육을 억제하고 토양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는 식생매트에 있어서,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다수개의 트레이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트레이를 연결시키는 수평부와, 상기 트레이와 수평부에 관통 형성되는 미세관통공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의 전, 후, 좌, 우 각 모서리 중 적어도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서 돌출형성되어 타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자연분해되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섬유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는 끼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식재되는 지면을 피복하므로서 식재되는 영역의 잡풀을 성장을 방지하는 멀칭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기존의 식생매트에 비하여 다수개의 트레이로서 구획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토양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제작비용 절감 및 자체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매트를 상호 결합 및 상기 식생매트에 포함되는 트레이를 별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시공 현장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응용과 상기 식생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트레이의 높이나 직경에 대한 변경이 용이함에 따라 모든 종류의 식생식물에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나 비닐소재 또는 코이어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친환경적으로서 종래의 식생매트에 폐자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환경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에 직접 국내종자를 파종시켜 어느정도 성장을 시킨다음에 시공이 가능하므로 종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파종의 성공율이 높기 때문에 국내종자의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국내종자의 파종의 어려움에 따른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제적 비용의 절감 및 외래종자 대신 국내종자를 사용함에 따라서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지면을 커버함에 따라서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는 멀칭효과와 빗물에 의한 토양의 유실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식물 또는 주면의 환경에 따라서 여러 장의 식생매트를 겹치므로 식생매트 자체의 강도나 차광율을 높일 수 있고, 투수율을 낮추는 반면 수분보유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형태나 다공질의 형태로 제작하여 투수성이 향상되며, 망이나 구멍사이로 세근이 발달하여 뿌리엉김이 좋게 하므로 지반고정 및 식물의 상태를 좋게하고 뿌리의 썩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에서 트레이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는 친환경 소재로서 자연분해되는 플라스틱 수지나 필름, 코이어섬유등의 천연재료로 제작되며, 그 상세 구성은 식생식물(40)이 식재되는 다수개의 트레이(31)가 형성되는 식생부(30)와, 상기 식생부(3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타 식생매트(10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0)와, 상기 식생부(30)의 좌,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좌, 우측방향에 인접된 타 식생매트(101)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식생부(30)는 편평한 면을 이루는 수평부(32)와, 식생식물(40)이 식재되는 다수개의 트레이(31)와, 수분의 침투 및 식생식물(40)의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도록 관통되는 다수개의 미세관통공(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부(30)는 일체형으로서 상기 수평부(32)에 의해 다수개의 트레이(31)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미세관통공(33)이 상기 수평부(32) 및/또는 트레이(31)에 다 수개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32)는 다수개의 트레이(31)가 편평한 평면을 이루므로 상기 트레이(31)를 연결시키며,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소재의 수지나 코이어 섬유등의 천연섬유로 제작된다. 상기 수평부(32)는 미세관통공(33)을 가질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32)를 미세관통공(33)이 없는 형태로 제작하여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토양속의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토양의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식생매트(100)를 자연분해 가능한 멀칭필름으로 제작하고 트레이(31)에만 미세관통공(33)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 트레이(31)는 다 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수평부(3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평부(32)에 의해 연결되는 개구(311)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생식물(40)의 뿌리가 안착되는 캡(3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31)는 도면에서 원뿔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작자의 응용에 따라서 사각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서 변형되어 실시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해당된다.
상기 미세관통공(33)은 상기 수평부(32) 및/또는 상기 트레이(31)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31)에 식재된 식생식물(40)의 활착시에 지면(400)의 수분이 상기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31) 및 상기 트레이(31)의 자연분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관통공(33)은 도 5에서 수평부(32)와 트레이(31)에 각각 구성되어있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31)에만 형성됨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32)와 트레이(31)에 미세관통공(33) 외에 다른 실시예로서 망형태나 다공질의 형태로서 제작됨도 가능하여 수분의 투수성을 좋게하여 수분보유량이 과다함에 따라 발생되는 식생식물의 뿌리가 썩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상기 식생부(30)의 전,후, 좌, 우 각 모서리에 돌출형성되는 평면으로서 타 식생매트(100)와 연결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연결부(10)는 제1끼움공(11), 제2연결부(20)는 제2끼움공(21)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10)는 상기 식생부(30)의 전면과 후면에서 돌출되면, 상면에 타 식생매트(100)의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뿔형상을 갖는 제1끼움공(1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20)는 상기 식생부(30)의 좌측과 우측에서 돌출되며, 상면에 타 식생매트(100)의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뿔형상을 갖는 제2끼움공(2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의 실시예는 하기의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20) 없이 이웃하는 식생매트의 트레이(31)를 끼워 이웃하는 식생매트를 상호 연결할 수도 있음이 배제되는 것이 아니다.
삭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에서 매트간의 결합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식생부(30)의 전, 후, 좌, 우 각각의 모서리에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구성한다. 이는 한정된 넓이를 갖고 있는 다수개의 식생매트(100)를 상호 연결하여 식재되는 지면(400)의 넓이 또는 지면(400)에 소정의 문자나 문양을 표현하는 랜드마크의 구현을 가능케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식생매트(100)와 이웃하는 식생매트(101)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식생매트(100)의 제1연결부(10)에 형성되는 제1끼움공(11)에 상기 타 식생매트(101)의 제1연결부(110)의 제1끼움공(111)의 끝부분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끼움공(11)에 삽입되는 타 식생매트(100)의 제1끼움 공(111)은 끝 부분이 상기 일측 식생매트(100)의 제1끼움공(11)에 끼움되면서 양 끼움공(11, 111) 간에 상호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이는 상기 일측 식생매트(100)의 제1끼움공(11)의 내측직경 보다 상기 타 식생매트(101)의 제1끼움공(111)의 전체 직경이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일측 식생매트(100)의 제1끼움공(11)의 내측에 상기 타 식생매트(101)의 제1끼움공(111)이 삽입되면 그 직경차이로 인하여 고정력이 생긴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그 돌출되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다수개의 식생매트(100)간의 결합시에 각각의 식생매트(100)간에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가 끼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식생매트(100)의 제1연결부(10)가 타 식생매트(101)의 제1연결부(10)에만 연결되도록 한다면, 작업시에 작업자의 주의와 더 많은 작업시간을 소요할 수 있고, 아울러 좀 더 다양한 효과를 연출함에 있어 불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가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각각의 사이즈가 상호 동일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부(30)의 수평부(32)와,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20)는 최소 0.5mm의 두께를 갖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제작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지면(400)에서 특정 문자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는 랜드마크나 주변 녹화사업의 목적이나 조경설계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을 표시함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식재식물이 예를 들어, 노란색 꽃이 개화되는 식물 과 빨강색 꽃이 개화되는 식물이 서로 조합되어 식재된다면, 상기 식생매트(100)의 전체 색상을 노란색과 빨강색으로 제작하여 설계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배열되어 시공되므로 나중에 식생매트(100)에 서로 다른 식생식물(40)을 식재시에 상기 식생매트의 색상에 따라 식생식물(40)을 식재할 수 있어 조경설계 및 시공에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생매트(10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식생식물(40)을 식재하므로서 서로 다른 색상에 의해 심미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00)는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므로서 상기 식생식물 또는 주변의 환경에 따라서 여러 장의 식생매트(100)를 겹치므로 식생매트 자체의 강도나 차광율을 높일 수 있고, 투수율을 낮추는 반면 수분보유량을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시공방법을 하기의 도 8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사용예에서 뿌리의 활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경사도가 완만한 절개면의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은 다수개의 식생매트(100)를 시공현장의 넓이에 따라서 연결하는 식생매트의 연결단계와, 상기의 식생매트(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31)의 캡(312)이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절곡된 홈을 구비한 섬유매트(300)에 상기 식생매트(100)를 안착시키는 식생매트 결합단계와, 상기 식생매트(100)와 상기 섬유매트(3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식생매트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생매트 연결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매트(100)의 제1연결 부(10)와 제2연결부(20)에 각각 형성된 제1끼움공(11)과 제2끼움공(21)에 타 식생매트(101)의 제1 및 제2끼움공(111)이 억지끼움되므로서 소정의 면적을 갖고 상호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는 도로공사지나 하천변의 경사면 또는 골프장이나 공원의 녹지조성공사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중에서 공원이나 골프장과 같은 평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경우에는 상기 섬유매트없이 식생매트를 바로 시공함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식생매트를 도로공사 또는 하천의 경사지등에서 식생매트의 시공영역에 암반이나 호안콘크리트블럭이 타설된 경우에 상기 식생매트의 트레이가 암반으로 직접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도 11과 도 12에서 처럼 암반지역에서 상기 섬유매트를 설치한 이후 상기 식생매트를 안착시킨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매트의 트레이를 상기와 같은 암반지역에서의 시공함을 가능케하고 아울러 식생식물의 뿌리가 활착됨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생매트가 공원이나 골프장과 같은 평지 또는 암반이 없는 순수토양으로 이루어진 지반의 경우에는 상기 섬유매트의 시공이 필요없지만, 상술한 암반으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는 섬유매트를 먼저 시공하고, 시공된 섬유매트에 상기 식생매트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매트 결합단계는 상기 섬유매트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식생매트의 트레이를 안착시키고, 상기 식생매트와 섬유매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식생매트와 상기 섬유매트는 나무말뚝과 같이 자연분해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500, 도 11 내지 도 12참조)에 의해 상호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섬유매트(300)는 상기 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함몰된 안착홈(30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섬유매트(3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야자섬유나 코코아 섬유등과 같이 천연소재의 섬유로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자연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섬유매트(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야자나 코코아 섬유와 같은 천연섬유로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31)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상기 트레이(31)가 자연분해됨과 동시에 상기 섬유매트(300)의 천연섬유에 성장하면서 연장되므로 지면(400)에 더욱 용이하게 활착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생매트고정단계는 작업자가 상기 안착홈(301)이 구비된 섬유매트(300)에 상기 식생매트(100)를 안착시키고, 상기 식생매트(100)가 안착된 섬유매트(300)를 암반이나 호안콘트리트가 타설된 지면(40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를 지면(400)에 펼친상태에서 지면(400)의 편평도에 따라서 상기 섬유매트(300)가 지면(40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 및 빗물이나 토사등에 의해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나무말뚝과 같이 자연분해되는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를 지면(400)에 고정시킨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상기 작업자가 먼저 상기 섬유매트(300)를 지면(400)에 고정시키거나 펼친상태에서 상기 식생매트(100)를 상기 섬유매트(300)의 상면에 안착시켜 고정수단(500)으로 고정시킨다.
또는 작업자는 도 11에서처럼 급경사로 형성되는 암반지면(401)을 포함하는 현장에서 다수개의 식생매트(100)를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통하여 결합시켜 상기 공사현장의 넓이만큼의 면적을 갖도록 다수개의 식생매트(100)를 서로 연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작업자는 상기 식생매트(100)를 상기 섬유매트(300)에 안착시키고 자연분해되는 나무 말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를 둘둘 말아서 상기 경사면의 위쪽에서 하측으로 상기 말려진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를 경사면의 아래쪽으로 펼친다. 따라서 상기 식생매트(100)는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섬유매트(300)가 암반지면(401)에 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업자는 암반이나 호안콘트리트블럭과 같은 상기 식생매트자체가 지면에 식재될 수 없는 단단한 지면의 공사영역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식생매트(100)가 모두 펼쳐지면, 밧줄이나 기타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나무말뚝등을 박아서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가 암반지면(401)에서 뜨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의 타실시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매트(300)의 결합단계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식생매트(100)만으로 시공함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지면(400)에 상기 식생매트(100)의 트레이(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31)를 상기 안착홈에 안착시킨뒤 상기 나무말뚝과 같은 고정수단(500)으로 상기 식생매트(100)를 고정시킨다.
아울러 종래의 식생매트(100)는 하나가 일체화되어 내부가 구획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생식물(40)이 식재됨에 따라 식생식물(40)하나만을 따로 분리하여 식재할 경우에는 식생매트(100)안의 내용물이 쏟아져 내리기 때문에 작업시에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그 효용도가 매우 낮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얇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수평부(32)에 의해 다수개의 트레이(31)가 연결됨에 따라 각각의 트레이(31)를 서로 분리하여 시공함도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가위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하나의 트레이(31)를 절단할 경우에도, 각각의 트레이(31)는 캡(312) 형상을 갖고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31)를 가위등을 이용하여 상기 식생매트(100)에서 분리시켜 상기 섬유매트(300) 또는 지면(400)에 직접 시공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매트(300) 또는 상기 식생매트(100)를 지면(400)에 직접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랜드마크나 주변환경에 따른 심미감을 위한 녹화사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식생식물(40)은 상기 미세관통공(33)을 통하여 지면(400) 또는 상기 섬유매트(300)가 함유한 수분이 전달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지면(400)으로부터 뜨게 되어 수분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성장하지 못하고 마 르게 되지 않고, 완전하게 성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는 비와 눈, 공기중에 포함된 습도나 햇빛과 같은 자연환경에 의하여 점차로 자연분해되므로 상기 캡(312)이 점차로 분해됨과 동시에 상기 식생식물(40)의 뿌리가 외측으로 성장되어 상기 섬유매트(300)의 천연섬유 또는 지면(400)으로 활착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32)는 상기 식생식물(40)이 성장시에 상기 트레이(31)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상면을 덥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31)에 식재된 식생식물(40)의 성장을 방해하는 잡초등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는 상술한 토양지역 뿐만 아니라 암반지역이나 호안블럭에서도 시공가능하며, 이는 하기의 도 11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씨드스프레이공법에 적용된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씨드스프레이공법을 적용하여 상기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시공함도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면, 먼저, 씨드스프레이장치를 통하여 경사도가 큰 강가의 경사면이나 절개면등의 암반지면(401)의 시공을 위해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질퍽거리는 상태의 녹생토 또는 슈퍼겔(320)을 상기 암반지면(401)에 스프레이하여 암반지면(401)에서 일정높이 이상 적층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를 질퍽한 녹생토 또는 슈퍼겔에 식재한다. 이때 상기 녹생토 및 슈퍼겔(320)은 질퍽한 진흙과 같은 상태이기 때 문에 상술한 상기 식생매트의 트레이가 손쉽게 녹생토나 슈퍼겔(320)속에 매입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를 가위등으로 인하여 개별적으로 분리함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공지역의 폭과 길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즉석으로 분리하여 시공함이 매우 편리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호안블럭의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는 콘크리트 호안블럭(402)에서 상기 섬유매트(300)가 안착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호안블럭(402)에서 일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섬유매트(300)를 상기 홈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형 식생매트(100)는 상기 섬유매트(300)에 안착되고, 뚝이나 앵커와 같은 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호안블럭(300)에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호안블럭(300)의 트레이형 식생매트(100)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형 식생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호안블럭의 시공면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시공됨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급수관과 함께 사용되는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수분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 예를들면, 건물안이나 옥상과 같이 지면(400)을 통해서 수분이 공급되지 않는 현장에 시공된 경우 또는 식생식물(40)의 종류에 따라서 다량의 수분이 일정기간동안 연속 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건물내부나 옥상등에 화원을 꾸미게 되면, 이때 식생식물(40)은 콘크리트 바닥 위에 화단이 형성됨에 따라 지면(400)을 통해 서 공급되는 수분이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섬유매트(300) 또는 상기 트레이(31)가 매설된 화단 내의 흙 또는 상기 섬유매트(300)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관(60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600)은 상기 섬유매트(300)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화단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건물 내의 옥상이나 내부의 화단과 같은 제한적인 영역 내에서 시공될 경우에는 상술한 섬유매트(300)를 생략함도 가능하며, 이때는 상기 급수관(600)이 상기 트레이(31) 사이에 매설된다.
또는 상기 급수관(600)은 상기 섬유매트(300)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경우엔 지면(400)에 먼저 섬유매트(300)가 시공되고, 상기 섬유매트(300)사이에 상기 급수관(600)을 설치하고 난 이후에 상기 식생매트(100)를 안착시킨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600)은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식생매트(100)와 섬유매트(300)가 모두 자연분해되면, 상기 급수관(600)이 상기 식생식물(40)의 뿌리 사이에 위치되어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자연분해되는 플라스틱소재를 재료로 하여 평면을 이루는 수평부에 의해 다수개의 트레이(31)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각 트레이(31)의 개별적인 분리가 용이함에 따라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식생매트(100)는 상기 섬유매트(300)와 결합되어 암반지역에 의해 설치되므로 그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나무말뚝과 같은 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지면(400)에 고정됨에 따라 토사나 빗물에 의하여 쓸려가는 일이 방지될 수 있어 작업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에서 트레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에서 매트간의 결합예를 도시한 측면도,
삭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사용예에서 뿌리의 활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절개면의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호안블럭의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형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에서 급수관과 함께 사용되는 시공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0 : 제1연결부 11 : 제1끼움공
20 : 제2연결부 21 : 제2끼움공
30 : 식생부 31 : 트레이
32 : 수평부 33 : 미세관통공
40 : 식생식물 100 : 식생매트
101 : 타 식생매트
300 : 섬유매트 301 : 안착홈
311 : 개구 312 : 캡
400 : 지면 500 : 고정수단
600 : 급수관

Claims (18)

  1.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는 식생매트에 있어서,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다수개의 트레이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트레이를 연결시키는 수평부와, 상기 트레이와 수평부에 관통 형성되는 미세관통공을 포함하는 식생부와;
    상기 식생부의 전, 후, 좌, 우 각 모서리 중 적어도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서 형성되어 타 식생매트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자연분해되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이가 안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섬유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는 끼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형 식생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지면을 피복하므로 식재되는 영역의 잡풀의 성장을 방지하는 멀칭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형 식생매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031238A 2008-04-03 2008-04-03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0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38A KR100902663B1 (ko) 2008-04-03 2008-04-03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238A KR100902663B1 (ko) 2008-04-03 2008-04-03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85A Division KR101067685B1 (ko) 2009-04-10 2009-04-10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663B1 true KR100902663B1 (ko) 2009-06-15

Family

ID=4098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2663B1 (ko) 2008-04-03 2008-04-03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43B1 (ko) * 2009-06-24 2009-12-14 이관준 압축성형 식생 코이어상자
KR101263091B1 (ko) 2011-03-07 2013-05-09 윤종식 식생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876A (ja) * 1998-04-10 1999-10-26 Kyodo Ky Tec Corp 植栽用マット
KR200272933Y1 (ko) * 2002-01-22 2002-04-20 주식회사 골프플랜 잔디 보호, 대용 및 식생용 매트
KR20060093638A (ko) * 2005-02-22 2006-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JP4028929B2 (ja) 1998-05-12 2008-01-09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876A (ja) * 1998-04-10 1999-10-26 Kyodo Ky Tec Corp 植栽用マット
JP4028929B2 (ja) 1998-05-12 2008-01-09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植栽用マット及びその敷設方法
KR200272933Y1 (ko) * 2002-01-22 2002-04-20 주식회사 골프플랜 잔디 보호, 대용 및 식생용 매트
KR20060093638A (ko) * 2005-02-22 2006-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43B1 (ko) * 2009-06-24 2009-12-14 이관준 압축성형 식생 코이어상자
KR101263091B1 (ko) 2011-03-07 2013-05-09 윤종식 식생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934B2 (ja) 緑化体
KR101281559B1 (ko) 다양한 벽면 연출이 가능한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19990083047A (ko) 식물 재배 매트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34615A (ko) 벽체 녹화용 조경식재 구조체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1067685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100841978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3890532B2 (ja)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JP4059997B2 (ja) 種苗育成ポット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JP2014073105A (ja) 植生マット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JP2824472B2 (ja) 植物栽培用人工床
KR200379935Y1 (ko) 교체 가능한 주차장 잔디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4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12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3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301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