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2542B1 -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542B1
KR100902542B1 KR1020080116578A KR20080116578A KR100902542B1 KR 100902542 B1 KR100902542 B1 KR 100902542B1 KR 1020080116578 A KR1020080116578 A KR 1020080116578A KR 20080116578 A KR20080116578 A KR 20080116578A KR 100902542 B1 KR100902542 B1 KR 10090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joint
joint device
tub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826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25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filed Critical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542B1/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4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with longitudinally split or divided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관을 연결하는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2개의 관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조인트 하우징;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누수 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관의 이탈을 방지하고, 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그립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를 구현한 바, 고강도 그립링을 설치하여 충격, 진동 또는 압력에 대항력이 향상하여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관과 관의 연결시 누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고압력을 요하는 관의 연결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노후 등으로 인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도 조인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가스켓 또는 그립링만을 교체함으로써, 교체 시간 및 교체 비용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관, 연결, 조인트, 가스켓, 그립링

Description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Grip - Type Joint Apparatus for Pipe Connecting}
본 발명은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 가스켓 및 그립링을 삽입하여 진동, 충격 압력에 의한 틈새를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도관 또는 기타 유체가 흐르는 관의 경우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관이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일정 장소로 이동시킨다.
종래에 이와 같은 관의 경우는 임의의 관의 일측 종단에 지름이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관의 일측이 확장부에 삽입되도록 연결하여 용접 또는 나사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종래의 관은 관의 종단부에 확장부를 형성하도록 변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제작을 위한 작업공정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용접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가연성 가스 등을 운반하는 관의 경우에는 관의 교체시 가스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한 경우에는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용접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유체가 누설되거나 보수작업이 잦은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을 하는 경우에 관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함으로 구멍이 형성된 부분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관의 일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관을 변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의 특성상 외경 둘레의 진원도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과 가스켓으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조인트 장치를 사용하여도 유체의 흐름으로 인한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 관이 조인트 장치에서 쉽게 이탈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 가스켓 및 그립링을 삽입하여 관을 흐르는 유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 등의 압력에 의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관을 연결하는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2개의 관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연결되는 조인트 하우징;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누수 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인트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관의 이탈을 방지하고, 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그립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그립링을 설치하여 충격, 진동 또는 압력에 대항력이 향상하여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관과 관의 연결시 누수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고압력을 요하는 관의 연결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노후 등으로 인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도 조인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가스켓 또는 그립링만을 교체함으로써, 교체 시간 및 교체 비용이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10)는 조인트 하우징(100), 가스켓(200) 및 그립링(3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하우징(100)은 관(60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관(600)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일측에는 가스켓(200) 및 그립링(300)이 결합되는 다수의 홈(110, 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110, 120)은 조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의 중심 일측에 가스켓(200)이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제 1 홈(110) 및 제 1 홈(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그립링(300)이 삽입되는 제 2 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홈(120)은 사용 양태에 따라 후술하는 복수의 그립링(300)에 대응되도록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1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하우징(100)은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동일한 형상으로 2개 내지 4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렇게 조인트 하우징(100)이 분할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된 조인트 하우징(100)이 결합되는 양측 종단에 볼트(400)와 너트(500)를 사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130)가 돌출형성된다. 체결부(130)의 일측에는 볼트(400)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131)이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볼트(400)는 유체의 흐름으로 인한 진동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볼트(4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방지턱(410)이 구비된 트랙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너트(500)는 육각 너트(5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200)은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1 홈(110)에 결합하여 관(600)과 관(6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스켓(200)은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연결되는 관(600)의 외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켓(200)의 재질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관(600)에 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탄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의 패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링(300)은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에 결합하여 유체의 흐름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관(6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그립링(30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 양태에 따라 4개 내지 12개로 분할되어 전술한 제 2 홈(120)에 형성된 각각의 격벽(1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링(300)의 재질은 유체의 흐름으로 인한 진동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 을 갖고, 관(6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찰력이 크고, 관(600)과 비교하여 탄성이 큰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그립링(Hardened Steel Jaws)(30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강에 니켈이 0.1 중량% 내지 1.1 중량%, 망간이 0.1 중량% 내지 1.2 중량% 및 규소가 0.1 중량% 내지 0.5 중량% 함유된 것이 좋고, 이때, 탄소강의 인장강도는 40kgf/cm2 내지 90kgf/cm2인 것이 좋다. 여기서, 그립링(300)을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에 결합하는 방법은 그립링(300)의 두께를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의 폭과 같거나 조금 크게 제작하여 그립링(300)의 탄성을 이용하여 억지끼워맞춤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제 2 홈(120)에 접착할 수 있다.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10)를 이용한 관(600)의 연결 방법은 일실시예로써, 두개로 분할된 조인트 하우징(100)을 이용한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10)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하나의 관(600)의 종단이 가스켓(200)의 두께의 반 정도가 걸쳐지도록 관(600)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임의의 관(600)의 종단과 밀착하도록 다른 관(600)을 가스켓(200) 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에 그립링(300)을 삽입한다. 그립링(300)은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의 폭과 같거나 크게 제작하여 제 2 홈(120)에 억지끼워맞춤을 하거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하여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2 홈(12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으로, 관(600)의 연결부위에 결합된 가스켓(200)을 조인트 하우징(100)의 제 1 홈(110)에 맞추어 두개로 분할된 조인트 하우징(100)을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조인트 하우징(100)의 연결부위에 돌출형성된 체결부(130)의 체결공(131)으로 트랙볼트(400)를 관통하여 나사(500)와 체결함으로써 관(600)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트랙볼트(400)는 일측에 회전 방지턱(410)이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한 진동 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임의로 볼트(40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인트 장치 100 : 조인트 하우징
110 : 제 1 홈 120 : 제 2 홈
121 : 격벽 130 : 체결부
131 : 체결공 200 : 가스켓
300 : 그립링 400 : 볼트
410 :회전 방지턱 500 : 너트
600 : 관

Claims (13)

  1. 2개의 관(600)을 연결하는 조인트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관(600)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연결되게 내주면 중심을 따라 형성되어 누수 방지를 위한 가스켓(200)이 안착되는 제 1 홈(110); 및
    상기 제 1 홈(110)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홈(110)의 양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6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관(6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그립링(300)이 안착하되, 상기 복수의 그립링(300)은 각각 4개 내지 12개로 분할되고, 상기 4개 내지 12개로 분할된 그립링(300)이 삽입 대응되도록 복수의 격벽(121)을 갖는 제 2 홈(120)을 구비한 조인트 하우징(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100)은 관(600)의 두께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하우징(100)은 2개 내지 4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인트 하우징(100)은 볼트(400)와 너트(500)를 사용하여 상기 관(600)의 외경에 맞추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400)는 회전 방지턱(410)이 있는 트랙 볼트(40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500)는 육각 너트(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200)은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300)의 재질은 인장강도가 40kgf/cm2 내지 90kgf/cm2이고, 니켈이 0.1 중량% 내지 1.1 중량%, 망간이 0.1 중량% 내지 1.2 중량% 및 규소가 0.1 중량% 내지 0.5 중량% 함유된 탄소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116578A 2008-11-24 2008-11-24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Ceased KR10090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78A KR100902542B1 (ko) 2008-11-24 2008-11-24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78A KR100902542B1 (ko) 2008-11-24 2008-11-24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542B1 true KR100902542B1 (ko) 2009-06-15

Family

ID=4098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78A Ceased KR100902542B1 (ko) 2008-11-24 2008-11-24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5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261A (ja) * 1993-12-24 1995-07-28 Takenaka Komuten Co Ltd ハウジング型管継手
KR200346753Y1 (ko) 2004-01-12 2004-04-01 (주) 동진인더스트리 충격흡수용 파이프 클램프
JP2005090605A (ja) * 2003-09-16 2005-04-07 Riken Corp 管継手
KR200391294Y1 (ko) 2005-05-19 2005-08-01 홍성돈 파이프 커플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261A (ja) * 1993-12-24 1995-07-28 Takenaka Komuten Co Ltd ハウジング型管継手
JP2005090605A (ja) * 2003-09-16 2005-04-07 Riken Corp 管継手
KR200346753Y1 (ko) 2004-01-12 2004-04-01 (주) 동진인더스트리 충격흡수용 파이프 클램프
KR200391294Y1 (ko) 2005-05-19 2005-08-01 홍성돈 파이프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728B1 (ko)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JP4241827B2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CN109854818B (zh) 一种密封式管路弹性穿舱隔振装置
KR20000075397A (ko) 내진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킨 관이음매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902542B1 (ko) 그립형 관연결 조인트 장치
JP2019019867A (ja) 漏洩防止装置
KR20110056763A (ko) 유동성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46817Y1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CA3087680C (en) A device for making plumbin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20110110501A (ko) 강관 특수 이음장치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JP5922917B2 (ja) 巻回状ガスケットおよび巻回状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200457298Y1 (ko) 배관용 기밀 슬리브
JP6742709B2 (ja) 伸縮管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115410B1 (ko) 유압배관의 호스 연결장치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101972964B1 (ko) 파이프 연결용 어셈블리
KR20080094978A (ko) 파이프 연결구
JP3127321U (ja) クイックカプラー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CN110462275B (zh) 液压软管修理夹具
KR200197354Y1 (ko) 배관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1104

Decision date: 20100630

Appeal identifier: 200910000264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04

Effective date: 201006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006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1104

Decision date: 20100630

Appeal identifier: 2009100002643

EXTG Ip right invalidated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00913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