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746B1 -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746B1
KR100896746B1 KR1020080127730A KR20080127730A KR100896746B1 KR 100896746 B1 KR100896746 B1 KR 100896746B1 KR 1020080127730 A KR1020080127730 A KR 1020080127730A KR 20080127730 A KR20080127730 A KR 20080127730A KR 100896746 B1 KR100896746 B1 KR 100896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imetal
adjustment screw
bent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영
이제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to KR102008012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7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68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o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간결한 구조로 구성함과 동시에, 차단기를 분전반에서 분리하거나 별도 분리작업 없이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로 관리자가 과전류 조정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에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바이메탈과, 차단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 및,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작동레버(180)가 돌출되는 케이스(200)의 일면과 동일면에 조정나사홈(210)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나사홈(210)의 직하방에 조정나사(220)가 마련되며, 바이메탈(110)은 절곡 형성되고, 절곡부(111)의 상측면에 접촉되게 상기 조정나사(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전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바이메탈, 과전류, 조정나사, 아마츄어

Description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 Operating mechanism construction of earth leakage and current circuit breaker }
본 발명은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적은 공간을 차지 하도록 간결한 구조로 구성함과 동시에, 차단기를 분전반에서 분리하거나 별도 분리작업 없이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로 관리자가 과전류 조정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누전·배선용 차단기(100)의 개폐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101)에 전원공급도선(102)을 연결하고, 상기 바이메탈(101)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과전류 조정나사(108)와 상기 조정나사(108)가 일단에 결합되는 트립바(103)와, 상기 트립바(103)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104)와 상기 래치(104)의 회동으로 승강되는 크로스바(107)와, 상기 크로스바(107)에 결합되어 크로스바(107)의 승강으로 함께 이동하는 이동접촉자(105)와, 상기 이동접촉자(105) 의 일단에 구비된 이동접점(109)이 고정접점(106)에 접촉 및 이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 통전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전원공급도전(102)을 통하여 바이메탈(101)에 과전류가 통전 될 경우에 상기 바이메탈(101)이 열팽창률의 차이에 의해 일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 휘어짐의 정도가 미리 설정된 과전류 조정나사(108)와 상기 바이메탈(101)간의 간격 이상으로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바이메탈(101)이 상기 트립바(103)를 후퇴시키게 되며, 트립바(103)가 후퇴됨에 따라, 걸림턱(111)에 걸려져 있는 래치(104)가 회동가능하게 되고, 래치(104)의 회동으로 래치(104) 하측에 눌려져 있던 크로스바(107)가, 이동접촉자(105)의 자체 탄성력과 상기 이동접촉자(105)의 하측에 구비된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크로스바(107)와 결합 되어있던 이동접촉자(105)가 크로스바(107)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접점(109)이 고정접점(106)으로부터 이격되어 회로가 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작동과정은, 바이메탈(101)과 과전류 조정나사(108)의 간격 이상으로 바이메탈(101)이 휘어질 수 있을 정도의 과전류가 상기 바이메탈(101)에 통전되는 경우에만 발생하게 됨으로, 상기 바이메탈(101)과 과전류 조정나사(108)의 간격조정을 통해 상기 누전·배선용 차단기(100)가 작동되는 차단전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는, 바이메탈과 과전류 조정나사의 간격을 차단전류에 따라 조정한 후에 상기 차단기의 케이스를 차단기 본체에 결합하고 분전반에 장착함으로써, 차단기 내에 구비되는 상기 과전류 조정나사를 한번 조정하여 분전반에 설치한 후에는 다시 재조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누전·배선용 차단기가 설치되는 전체 회로 상태에 따라 차단시켜야 하는 차단전류가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이 변경되는 차단전류에 따른 과전류 조정장치의 조정을 위해서는 매번 차단기를 분전반에서 분리시키거나, 또는, 차단기의 케이스를 차단기 본체에서 분리한 후에 조정나사를 조정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현대와 같이 다수의 전자기기가 사용되어 한정된 분전반의 공간에 다수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여건에서, 차단기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에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바이메탈과, 차단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 및,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작동레버(180)가 돌출되는 케이스(200)의 일면과 동일면에 조정나사홈(210)이 마련되 고, 상기 조정나사홈(210)의 직하방에 조정나사(220)가 마련되며, 바이메탈(110)은 절곡 형성되고, 절곡부(111)의 상측면에 접촉되게 상기 조정나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서, 상기 바이메탈(110)에 의하여 회동되는 아마츄어(130);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141)의 상측면에 상기 조정나사(220)가 나사결합되는 조정나사고정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고정공(142)의 직하방에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111)의 상측면이 위치되도록 바이메탈(110)의 일측이 결합되며,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143)에 상기 아마츄어(13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핀(133)으로 결합되고, 상기 축핀(133)에는 탄성부재(134)가 게재되며,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을 'ㄷ' 자 모양으로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3절곡부(144)로 구성되는 고정철편(140); 상기 아마츄어(130)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고, 한 쌍의 탄성부재(155, 155')의 일단이 고정되는 래치(150); 상기 래치(150)의 회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155, 155')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편(160); 및 상기 고정편(160)에 고정되어 동작하고, 작동레버(18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롤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마츄어(130)의 타단에는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 자유단을 소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ㄴ'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갈고리부(132)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아마츄어(130)에는 걸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150)에는 상기 걸림공(131)에 대응하여 걸림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131)에 상기 걸림턱(151)이 탈착될 수 있으며,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플레이트(112)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플레이트(112)의 일측은, 상기 조정나사(220)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111)의 상측면과 결합되고, 탄성플레이트(112)의 타측은 상기 고정철편(140)의 제1절곡부(14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나사홈(210)에는 밀폐캡(211)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누전·배선용 차단기 내에 차지하는 공간이 작으며,
전체 회로에 따른 차단전류의 변경을 누전·배선용 차단기를 분전반에서 분리한 후 차단기의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고 과전류 조정나사를 조정하거나, 누전·배선용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차단기의 케이스를 분리할 필요없이 전면에 구비된 과전류 조정나사를 손쉽게 조정함으로써, 차단전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의 통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발생시 개폐기구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이며, 도 6은 통전상태의 개폐기구를 가동접촉자(170, 170')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통전상태의 개폐기구를 고정철편(140)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8은 차단상태의 개폐기구를 고정철편(140)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의 과전류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누전·배선용 차단기는, 케이스(200)의 일측에 입력단자(190)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단자(190)의 절곡된 일측에 고정접점(191)이 형성된다. 고정접점(191)은 가동접촉자(17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동접점(171)과 접촉하며, 가동접촉자(170)는 연동선으로 된 리드선(310a)으로 바이메탈(110)의 타측과 연결된다. 상기 바이메탈(110)은 과전류 차단기능을 위해 설치되며, 한편은 열팽창률이 큰 재질로 되고 반대편은 열팽창률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어 과전류 발생에 따라 열팽창률이 적은 방향으로 휘어지는 굴 신성을 갖게 된다.
작동레버(180)가 돌출되는 케이스(200)의 일면과 동일면에 조정나사홈(210)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나사홈(210)의 직하방에 조정나사가 마련되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의 상측면에 접촉되게 조정나사(220)가 구비된다.
바이메탈(110)과 아마츄어(130)의 일측이 결합되는 고정철편(140)은,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141)와 상기 제1절곡부(141)의 하측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143) 및 제1절곡부(143)의 하측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절곡부(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41)의 상측면에 조정나사(220)가 나사결합되는 조정나사고정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고정공(142)의 직하방에 바이메탈(110)의 절곡부의 상측면이 위치한다. 또한,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143)에는 대향하는 철편에 상기 아마츄어(13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핀으로 결합되고, 상기 축핀에는 탄성부재가 게재되며,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을 감싸도록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절곡부(144)는 'ㄷ'자 단면의 자로(磁路)를 형성하게 된다.
아마츄어(130)의 일측은 상기 고정철편(140)의 제1절곡부(143)의 대향하는 철편을 관통하는 축핀에 탄성부재가 게재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면에는 걸림공(131)이 형성되며, 래치(150)에는 상기 걸림공(131)에 대응하는 걸림턱(15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131)에 상기 걸림턱(151)이 아마츄어(130)의 회동에 의해 탈착된다. 또한, 상기 아마츄어(130)의 타단에는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 자유단을 소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ㄴ'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갈고리 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갈고리부(132)는 바이메탈(110)에 과전류가 통전되어 바이메탈(110)이 소정의 이격 간격 이상으로 휘어질 경우에 바이메탈(110)이 아마츄어(13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래치(150)의 일측에는 축공이 형성되어 축핀으로 회동가능하게 본체에 결합되고, 상부 절곡부의 양측면으로는 한 쌍의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고리(152, 152')가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는 상기 아마츄어(130)의 걸림공(131)에 대응하여 탈착되는 걸림턱(151)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150)의 상부 절곡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고리(152, 152')에 일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의 타단은 고정편(160)에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고, 고정편(160)은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에 형성되는 결합공(173)에 고정편(160)의 결합돌기(161)가 끼워져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와 결합된다.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는 내측으로 상기 고정편(160)에 고정되고, 상부의 일측 끝단의 회동걸림고리(172)는, 회동가능하게, 작동레버(180)의 양측으로 형성된 하부 끝단의 걸림턱(151)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편(160)과 결합하는 내측으로 연동선으로 된 리드선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리드선의 타단은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 자유단과 결합된다. 가동접촉자(170)의 하부의 타측에는 가동접점(171)이 형성되어 가동접촉자(170)의 작동에 따라 입력단자(190)의 고정접점(191)과 접촉 또는 이격된다.
상기 전술한 내용은 케이스(200) 일측의 1극에 상기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경 우를 서술하였으며, 케이스(200) 반대측의 반대극에는 반대극 가동접촉자(170)가 연동선으로 된 리드선을 통하여 직접 출력단자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200) 반대측의 반대극에도, 1극의 케이스(200) 일측에 상기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것과 동일하게, 상기 개폐기구가 구비되어 양극의 한 쌍으로 상기 개폐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에 과전류의 차단과정을 살펴보면, 도 5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류가 입력단자(190)와 가동접촉자(170)를 통하여 바이메탈(110)로 통전되면, 상기 바이메탈(110)의 일측은 열팽창률이 큰 재질로 형성되고 타측은 열팽창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과전류의 발생에 따라 열팽창률이 적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메탈(110)은 아마츄어(130)의 갈고리부(132)가 형성된 방향으로는 열팽창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고 반대쪽으로는 열팽창률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아마츄어(130)의 갈고리부(132) 방향으로 상기 바이메탈(110)이 휘어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과전류 통전으로 바이메탈(110)이 아마츄어(130)의 갈고리부(132)로 휘어지면서 상기 갈고리부(132)를 바이메탈(110)이 견인하게 되면 갈고리부(132)가 일체로 결합된 아마츄어(130)는 상기 고정철편(140)의 제1절곡부(143)의 축핀을 중심으로 래치(150)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아마츄어(130)가 바이메탈(110)의 작동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래치(15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151)이 상기 아마츄어(130)에 형성된 걸림공(131)에서 이탈되면서, 래치(150)의 상부 절곡부의 양측으로 결합된 한 쌍의 탄 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래치(150)가 축핀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부재의 일단이 결합된 래치(150)의 상부 절곡부의 탄성부재 걸림고리(152, 152')도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의 타단이 결합된 고정편(160)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당기게 되고, 고정편(160)과 결합된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는 한 쌍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결합된 고정편(160)을 통하여, 받게 되며,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작동레버(180)의 회동걸림턱(18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동접촉자(170)의 가동접점(171)이 입력단자(190)의 고정접점(191)으로부터 이격되어 과전류의 통전을 차단하게 된다.
즉, 통전상태에서는 가동접촉자(170)와 작동레버(180)가 거의 일직선에 위치하고, 탄성부재 또한, 내측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여 가동접촉자(170)의 회동걸림고리(172)와 작동레버(180)의 회동걸림턱(183) 간의 반력으로, 래치(150)와 고정편(160)에 양 단이 결합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지지하게 되어 회동없이 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나, 래치(150)의 걸림턱(151)이 아마츄어(130)의 걸림공(131)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래치(15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고리(152, 152')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의 작용선이 변경되어 탄성부재가 결합된 고정편(160)을 통하여 가동접촉자(170)에 탄성력이 가해져 가동접촉자(170)는 작동레버(180)의 회동걸림턱(18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동접촉자(170)의 회동으로 가동접점(171)이 고정접점(191)에서 이격되어 과 전류 통전을 차단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레버(180)는 케이스(200)의 축핀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오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차단기의 개폐기구에서 차단 시킬 수 있는 전류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는 과전류 조정장치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바이메탈(110)의 절곡부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조정나사(220)가 고정철편(140)의 조정나사고정공(142)에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정나사(220)를 회전시켜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를 가압함에 따라, 바이메탈(110)과 아마츄어(130)에 형성된 갈고리부(132)간의 간격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9017313581-pat00011
에서
Figure 112009017313581-pat00012
로 멀어지게 되며, 결국, 상기 누전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의 차단전류의 세기가 멀어진 간격만큼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플레이트(112)의 일측은,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의 상측면에 결합 되도록 하고, 타측은 고정철편(140)의 제1절곡부(141)의 하부 내측면에 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조정나사(220)의 감압될 경우 바이메탈(110)이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나사(220)를 조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200)의 조정나사홈(210)에 밀폐캡(211)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조정나사(220)를 통하여 한번 바이메탈(110)과 아마츄어(130)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차단기 본체를 분전반에 설치하여 차단전류의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 차단기 본체를 분전반에서 분리한 후에 작업을 해야하는 어려움 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조정나사(220)의 조정을 위한 조정나사홈(210)이 작동레버(180)와 같은 전면에 형성되어 따로 차단기를 분전반에서 분리함 없이 손쉽게 차단전류의 전류세기를 조정나사(220)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과전류가 바이메탈(110)을 통전 할 시에는 바이메탈(110)이 열팽창 하면서 휘어지게 되어 아마츄어(130)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과전류 차단을 위한 일련의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전류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바이메탈(110)이 휘어지게 되며, 아마츄어(130)의 갈고리부(132)와 바이메탈(110)의 간격거리가 짧을수록 작은 차단전류만으로도 상기 아마츄어(130)가 회전이동하여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을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누전·배선용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단기의 통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
도 3은 도 1의 차단기의 과전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의 통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발생시 개폐기구의 차단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
도 6은 통전상태의 개폐기구를 가동접촉자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통전상태의 개폐기구를 고정철편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8은 차단상태의 개폐기구를 고정철편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의 과전류 조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작동도;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전·배선용 차단기가 분전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바이메탈 111 : 절곡부
112 : 탄성플레이트
130 : 아마츄어 131 : 걸림공
132 : 갈고리부 133 : 축핀
134 : 탄성부재
140 : 고정철편 141 : 제1절곡부
142 : 조정나사고정공 143 : 제2절곡부
144 : 제3절곡부
150 : 래치 151 : 걸림턱
152, 152' : 걸림고리 153 : 축공
154 : 축핀 155, 155' : 탄성부재
160 : 고정편 161 : 결합돌기
170, 170' : 가동접촉자 171 : 가동접점
172 : 회동걸림고리 173 : 결합공
180 : 작동레버 181 : 축공
182 : 축핀 183 : 회동걸림턱
190 : 입력단자 191 :고정접점
200 : 케이스 210 : 조정나사홈
211 : 밀폐캡 220 : 조정나사
310a, 310b : 리드선
400 : 분전반

Claims (6)

  1. 누전·배선용 차단기에 과전류 차단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바이메탈과, 차단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 및,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에 있어서,
    작동레버(180)가 돌출되는 케이스(200)의 일면과 동일면에 조정나사홈(210)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나사홈(210)의 직하방에 조정나사(220)가 마련되며,
    바이메탈(110)은 절곡 형성되고, 절곡부(111)의 상측면에 접촉되게 상기 조정나사(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110)에 의하여 회동되는 아마츄어(130);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141)의 상측면에 상기 조정나사(220)가 나사결합되는 조정나사고정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나사고정공(142)의 직하방에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111)의 상측면이 위치되도록 바이메탈(110)의 일측이 결합되며, 'ㄷ'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143)에 상기 아마츄어(130)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축핀(133)으로 결합되고, 상기 축핀(133)에는 탄성부재(134)가 개재되며,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을 'ㄷ' 자 모양으로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3절곡부(144)로 구성되는 고정철편(140);
    상기 아마츄어(130)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고, 한 쌍의 탄성부재(155, 155')의 일단이 고정되는 래치(150);
    상기 래치(150)의 회동으로 동작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155, 155')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편(160); 및
    상기 고정편(160)에 고정되어 동작하고, 작동레버(18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동접촉자(170, 170');롤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130)의 타단에는 상기 바이메탈(110)의 타측 자유단을 소정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ㄴ'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는 갈고리부(1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130)에는 걸림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150)에는 상기 걸림공(131)에 대응하여 걸림턱(15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131)에 상기 걸림턱(151)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ㄱ'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플레이트(112)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플레이트(112)의 일측은, 상기 조정나사(220)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바이메탈(110)의 절곡부(111)의 상측면과 결합되고, 탄성플레이트(112)의 타측은 상기 고정철편(140)의 제1절곡부(14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홈(210)에는 밀폐캡(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KR1020080127730A 2008-12-16 2008-12-16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Active KR10089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30A KR100896746B1 (ko) 2008-12-16 2008-12-16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730A KR100896746B1 (ko) 2008-12-16 2008-12-16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746B1 true KR100896746B1 (ko) 2009-05-11

Family

ID=4086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730A Active KR100896746B1 (ko) 2008-12-16 2008-12-16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7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829Y1 (ko) * 1989-04-22 1993-11-18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정장치
JPH10289643A (ja) 1997-04-15 1998-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KR20050063864A (ko) * 2003-12-23 2005-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단기의 과전류 트립장치
KR200404959Y1 (ko) 2005-10-08 2006-01-11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829Y1 (ko) * 1989-04-22 1993-11-18 금성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정장치
JPH10289643A (ja) 1997-04-15 1998-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遮断器
KR20050063864A (ko) * 2003-12-23 2005-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단기의 과전류 트립장치
KR200404959Y1 (ko) 2005-10-08 2006-01-11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4869A1 (en) Integrated maglatch accessory
KR101780888B1 (ko) 회로 차단기
EP2492944A2 (en) Circuit breaker
KR100479437B1 (ko) 배선용 차단기
US4458225A (en) Circuit breaker with independent magnetic and thermal responsive contact separation means
US3408466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locking provision
US6894594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 cradle and a pivot pin therefor
CN104040674B (zh) 布线用断路器
JP4960072B2 (ja) 回路遮断器
US2904655A (en) Circuit breaker
US2590663A (en) Circuit breaker
KR100896746B1 (ko)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US6577215B2 (en) Instantaneous-tripping circuit breaker
US3088008A (en) Circuit breaker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US3550047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trip means
US3327075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locking provision
AU771377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trip bar assembly
US3214535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positive tripping means
US2660643A (en) Circuit breaker
US2290495A (en) Circuit breaker
KR200466294Y1 (ko) 배선차단기의 한류 트립구조
US3201557A (en) Circuit breaker handle assembly with improved force transfer characteristics
US3365682A (en) Hand resettable trip-free electric circuit breaker
JP2001345038A (ja) 回路しゃ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