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5743B1 -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743B1
KR100895743B1 KR1020037002836A KR20037002836A KR100895743B1 KR 100895743 B1 KR100895743 B1 KR 100895743B1 KR 1020037002836 A KR1020037002836 A KR 1020037002836A KR 20037002836 A KR20037002836 A KR 20037002836A KR 100895743 B1 KR100895743 B1 KR 10089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opening
cartridge
disc
cartridg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959A (ko
Inventor
이와끼유우지
기꾸찌슈이찌
호시데이꼬
이노우에나오끼
오바따마나부
가와구찌미쯔요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84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14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3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14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2500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991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7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6Assembling of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쉘(6, 7)을 맞댐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2) 내에, 광디스크(3)와, 내측 쉘(4)과, 셔터 부재(5a, 5b)를 수납하고, 내측 쉘을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24)를 개폐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상하 쉘의 서로 맞대어지는 주위벽의 내측에, 상하 쉘 주위벽의 서로 맞댐면측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 내의 광디스크측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21A)를 설치하고,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한 광디스크의 보호를 도모한다. 카트리지 본체 내에 배치되는 내측 쉘은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44)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의 개방단부측을 연결하는 연결부(43a)를 갖고, 이 연결부가 하부 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되어 있다.
개구부, 셔터 부재, 쉘, 카트리지 본체, 광디스크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 쉘의 제조 방법{DISK CARTRIDGE, FORMING MEMBER FOR DISK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SHELL}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및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카트리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 및 이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부재,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 배치되는 내측 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및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카트리지에는 오디오 신호나 영상 신호,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정보 신호가 기록되고, 혹은 기록 가능하게 이루어진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어 있다. 정보 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는, 1회의 정보 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추기형의 광디스크나, 정보 신호의 재기록을 가능하게 한 바꿔쓰기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 등의 바꿔쓰기형의 광디스크가 있다.
정보 신호가 기록되거나 혹은 기록 가능하게 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 한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디스크 카트리지(500)는 정보 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광디스크(502)를 수납한 것이며, 상부 쉘(501a)과 하부 쉘(501b)에 의해 구성되는 카트리지 본체(501)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본체(501) 내에 광디스크(50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501)를 구성하는 상부 쉘(501a) 및 하부 쉘(501b)에는, 각각 광디스크(502)의 일부를 외부로 향하게 하는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5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본체(501)에는 개구부(503)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504)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광디스크(502)의 중심부에는 이 광디스크(502)를 회전 조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턴테이블 상에 척킹시키기 위한 척킹 플레이트(50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500)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내의 카트리지 장치 위치에 장착되면, 셔터 부재(504)가 슬라이드 조작되어 기록 재생용 개구부(503)가 개방되는 동시에, 광디스크(502)가 턴테이블 상에 장착된다. 이 때에, 광디스크(502)는 척킹 플레이트(505)가 턴테이블측에 설치된 마그네트에 흡인되고, 턴테이블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핀들 모터가 회전 구동되면, 광디스크(502)는 턴테이블과 일체로 선 속도 일정하게 회전된다. 이 때, 셔터 부재(504)가 이동되고, 개방된 기록 재생용 개구부(503)를 거쳐서 광헤드가 광디스크(502)와 마주보게 된다. 광헤드가 회전 조작되는 광디스크(502)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고, 이 광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빔에 의해 광디스크(502)의 신호 기록 영역이 주사됨으로써, 광디스크(502)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판독, 혹은 광디 스크(502)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이 행해진다.
그런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기록 용량의 대용량화와 함께 고기록 밀도화가 도모되고, 기록 패턴의 협피치화 및 선 밀도의 증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화와 함께 고기록 밀도가 도모된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미소한 먼지가 신호 기록면에 부착되어도, 광헤드로부터의 광빔이 차폐되는 등 정확하게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상술한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500)는 카트리지 본체(501)의 외측에 단면 대략 역ㄷ자형의 셔터 부재(504)를 끼워 넣음으로써, 카트리지 본체(50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 본체(501)와 셔터 부재(504)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 먼지 등의 침입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그 결과, 먼지가 카트리지 본체(501) 내로 침입하여, 수납된 광디스크(502)에 부착되어 버린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500)는 셔터 부재(504)가 카트리지 본체(501)의 외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 부재(504)를 이동시켜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503)를 개방해 버릴 우려도 있다. 셔터 부재(504)는 카트리지 본체(501)의 일측면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개구부(503)를 개폐하는 것이므로, 카트리지 본체(501)에 대한 점유율이 커지며, 셔터 부재(504)를 소형화하여, 카트리지 본체(501)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한 카트리지 본체에 미소한 먼지 등의 침입도 허용되지 않는 방진 효과가 우수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본체에 큰 개구율을 갖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대형 셔터 부재를 이용하면서 소형화를 실현하고, 더 나아가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때에,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를 근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근접된 경우라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본체에 미소한 먼지 등의 침입도 허용하지 않는 방진 효과가 우수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성형 왜곡이나 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성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 수지의 성형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쉘과 하부 쉘을 맞댐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내측 쉘과, 셔터 부재를 수납하고, 내측 쉘을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개구부를 해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상하 쉘의 서로 맞대어지는 주위벽의 내측에, 상하 쉘의 주위벽의 서로 맞댐면측으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한 디스크 카트리지이다.
본 발명은, 상부 쉘과 하부 쉘을 맞댐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내측 쉘과, 셔터 부재를 수납하고, 내측 쉘을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개구부를 해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쉘과 셔터 부재의 미끄럼 접촉면에 개구부측으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크랭크형의 제2 먼지 침입 저지부 및/또는 요철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한 디스크 카트리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 셔터 부재를 수납한 것으로, 사용자가 실수로 셔터 부재를 슬라이드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하 쉘 주위벽의 서로 맞댐면측으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하고, 쉘과 셔터의 미끄럼 접촉면에 개구부측으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하고, 또한 요철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 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미소한 먼지가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부착되어 기록 재생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서로 주위벽이 맞대어진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갖고, 내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적 어도 하부 쉘의 주위벽의 일부가 개방되고, 해당 개방단부로부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가 내외주에 걸쳐 외측을 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과 내주측 주위벽 사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안내 홈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갖고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쉘과, 내측 쉘이 회전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내측 쉘의 연결부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하부 표면에 대해 하부 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는 내측 쉘의 연결부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하부 표면에 대해 하부 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근접시키면서, 내측 쉘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카트리지 본체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 및 내측 쉘의 개구부를 거쳐서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로 적절하게 진입시킬 수 있어, 디스크 카트리지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서로 주위벽이 맞대어진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갖고, 내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적어도 하부 쉘의 주위벽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가 내외주에 걸쳐 외측을 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과 내주측 주위벽 사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결합됨으 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 홈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쉘과, 상기 내측 쉘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이며, 이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내측 쉘은 상기 내측 쉘을 구성하는 제1 성형체부와, 내측 쉘에 설치되는 개구부를 구성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성형체부에 플랜지형 두께부를 거쳐서 연결된 제2 성형부가 일체로 성형된 수지 성형체에 의해 형성되고, 플랜지형 두께부와 함께 제2 성형부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은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이며,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가 설치되는 제1 성형체부와, 수지 주입구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성형되는 제2 성형체부를 갖고, 제1 성형체부와 제2 성형체부가 플랜지형 두께부를 거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성형체부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구비되어 있는 판형 셔터 부재를 개폐하는 내측 쉘이 된다.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서로 주위벽이 맞대어진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갖고, 내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적어도 하부 쉘의 주위벽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단부로부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가 내외주에 걸쳐 외측을 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과 내주측 주위벽 사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결합됨으 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 홈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쉘과, 상기 내측 쉘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상기 내측 쉘의 제조 방법이고, 내측 쉘은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가 설치되는 제1 성형체부와, 수지 주입구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성형되는 제2 성형체부와, 제1 성형체부와 제2 성형체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플랜지형 두께부를 갖고, 제1 성형체부와 제2 성형체부와 플랜지형 두께부를 성형하는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한 후, 캐비티 내에 사출된 용융 수지가 냉각 고화되기 전에, 가동 금형에 구비된 펀치에 의해 플랜지형 두께부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부 쉘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하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하부 쉘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상부 쉘의 내면측 평면도이다.
도7은 하부 쉘의 내면측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상부 쉘과 하부 쉘(7)과의 맞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9는 도2 중의 선분 A-A'선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본체에 대한 내측 쉘의 개방 위치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본체에 대한 내측 쉘의 폐색 위치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셔터 부재를 상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3은 하부 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내측 쉘에 대한 셔터 부재의 개방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내측 쉘에 대한 셔터 부재의 폐색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6은 내측 쉘과 셔터 부재와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18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개구부가 완전히 폐색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19는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내측 쉘의 리프트업용 볼록부가 상부 쉘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에 올라 앉은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0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내측 쉘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와 상부 쉘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1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개구부가 조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22는 개구부가 조금 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23은 개구부가 조금 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24는 개구부가 조금 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25는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에 대한 내측 쉘의 개방 위치를 도시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27은 도26 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28은 내측 쉘을 구성하는 수지 성형 부품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29는 하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0은 수지 성형체로부터 제1 성형품을 분리한 상태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1은 하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32는 수지 성형체를 성형하는 수지 성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3은 용융 수지의 흐름을 도시한 수지 성형체의 사시도이다.
도34는 수지 성형체로부터 제1 성형품을 분리하는 게이트 컷 펀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카트리지(1)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광디스크(3)와, 내측 쉘(4)과,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본체(2)는 서로 조합되는 1 세트의 상부 쉘(6)과 하부 쉘(7)을 갖고 있다.
상부 쉘(6)은 도2,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ABS) 등의 열가소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 성되어 있다. 상부 쉘(6)은 전체 대략 직사각형상의 주요면 중,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 삽입되는 전방면측의 단부 모서리부가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쉘(6)에는 카트리지 본체(2)의 측면부를 이루는 외주위벽(8)이 주요면의 외주연부에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외주위벽(8)에는 전방면측 중앙부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의 광헤드(79)를 진입시키기 위한 제1 픽업 진입용 오목부(9)와, 배면측 중앙부에 위치하여 하부 쉘(8)과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오목부(10)가, 각각 소정의 폭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외주위벽(8)의 내주측에는 디스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대략 원환형의 내주위벽(11)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내주위벽(11)에는 전방면측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의 광헤드(79)를 진입시키기 위한 제2 픽업 진입용 오목부(12)가 소정의 폭으로 절결 형성되어 있다.
내주위벽(11)의 외주측에는 이 내주위벽(11)을 둘러싸도록 하여 대략 원환형의 안내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13)에는 내측 쉘(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안내 홈(13)의 바닥면부에는 전방면측 중앙부 및 배면측 중앙부에 위치하여, 내측 쉘(4)을 상부 쉘(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쉘(6)에는 각 코너부(6a, 6b, 6c, 6d) 중, 로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6a)를 제외하고, 나머지 코너부(6b, 6c, 6d)에 위치하여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상측 코너 주위벽(15)이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 코너 주위벽(15)은 외주위벽(8)과 안내 홈(13) 사이에서 주위를 둘러싸도 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코너 주위벽(15)과 외주위벽(8) 사이에는 제1 홈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측 코너 주위벽(15)과 안내 홈(13) 사이에는 제2 홈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쉘(6)에는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6a)와 대극하는 배면측의 한 쪽 코너부(6c)에 위치하여, 터브 수납부를 형성하는 상측 터브 주위벽(1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상측 터브 주위벽(18)은 외주위벽(8)과 상측 코너 주위벽(15) 사이에서, 배면측의 한 쪽 코너부(6c)를 외주위벽(8)과 함께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터브 주위벽(18)과 상측 코너 주위벽(15) 사이에는 제3 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6)에는 각 코너부(6a, 6b, 6c, 6d) 근방에 위치하여 대략 원주형의 위치 결정핀(2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위치 결정핀(20)의 중심부에는 나사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쉘(7)은 도3, 도4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부 쉘(6)과 같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ABS) 등의 열가소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은 전체 대략 직사각형상의 주요면 중,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되는 전방면측의 단부 모서리부가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에는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부를 이루는 외주위벽(21)이 주요면의 외부 주연부에 따라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외주위벽(21)의 선단부면에는 상술한 상부 쉘(6)측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0)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쉘(6)과 하부 쉘(7)과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주위벽(22)과, 상술한 상부 쉘(6)측의 제1 홈부(16)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쉘(6)과 하부 쉘(7) 사이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주위벽(23)과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 쉘(6)측의 제1 홈부(16)와 하부 쉘(7)측의 방진 주위벽(23)은 서로 맞댐 조합하게 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2)의 외부로부터 카트리지 본체(2)의 광디스크(3)가 수납된 내부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랭크형의 제1 먼지 침입 저지부(21A)를 구성한다.
이 하부 쉘(7)에는 외주위벽(21)의 전방면측 중앙부가 소정의 폭으로 개방되고, 이 개방단부로부터 광디스크(3)의 일부가 내외주에 걸쳐 외측을 향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24a)와, 광디스크(3)의 중심 구멍(3a)이 외부를 향하는 대략 원형상의 개구부(24b)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하부 쉘(7)에는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광헤드를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데 충분한 크기의 기록 재생용 개구부(24a)와,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의 턴테이블(78)를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데 충분한 크기의 구동용 개구부(24b)가, 외주위벽(21)의 전방면측 중앙부가 개방된 하나의 개구부(24)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상부 쉘(6)의 제1 및 제2 픽업 진입용 오목부(9, 12)는 개구부(24)와 대략 일치한 폭을 갖고 있다.
하부 쉘(7)에는 각 코너부(7a, 7b, 7c, 7d) 중, 로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7a)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로크 부재(2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2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7a)를 제외하고, 나머지의 각 코너부(7b, 7c, 7d)에는 상술한 상부 쉘(6)의 제2 홈부(17)에 결합되는 대략 원호형의 하측 코너 주위벽(26)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7a)와 대극하는 배면측의 한 쪽 코너부(7c)에는 상술한 상부 쉘(6)의 제3 홈부(19)에 결합되는 하측 터브 주위벽(2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쉘(7)에는 상술한 상부 쉘(6)의 위치 결정핀(20)과 끼워 맞추는 대략 원통형의 위치 결정 캡(28)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캡(28)의 바닥면부에는 관통 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2)는 상술한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서로 외주위벽(8, 21)을 맞댄 상태에서 중합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때, 상부 쉘(6)측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0)와 하부 쉘(7)측의 위치 결정 주위벽(22)이 결합된다. 또한, 상부 쉘(6)측의 위치 결정핀(20)과 하부 쉘(7)측의 위치 결정 캡(28)이 끼워 맞춰지고, 이 위치 결정핀(20)의 나사 결합 구멍에 위치 결정 캡(28)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고정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결합된다. 상부 쉘(6)측의 제1 홈부(16), 제2 홈부(17) 및 제3 홈부(19)에는 하부 쉘(7)측의 방진 주위벽(23), 하측 코너 주위벽(26) 및 하측 터브 주위벽(27)이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6)측의 외주위벽(8)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하부 쉘(7)측의 외주위벽(21)의 높이를 H2라 하고, 이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 높이를 H3(H3 = H1 + H2)이라 하였을 때에, 상측 코너 주위벽(15) 및 하측 코너 주위벽(23) 및 상측 터브 주위벽(18) 및 하측 터브 주위벽(27)은, 각각 높이(H3)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진 주위벽(23)은 높이(H1)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방진 주위벽(23)과 제1 홈부(16)와의 내주측의 클리어런스(C)는 0.1 ㎜ 이상, 0.5 ㎜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쉘(6)과 하부 쉘(7)과의 부착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2)는 서로 맞댐 조합하게 되어 제1 먼지 침입 저지부(21A)를 구성하는 상부 쉘(6)측의 제1 홈부(16)와 하부 쉘(7)측의 방진 주위벽(23)과의 맞댐면(S)을 크랭크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부 쉘(6)측의 외주위벽(8)과 하부 쉘(7)측의 외주위벽(21) 사이로부터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로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중합됨으로써, 중앙부에 광디스크(3)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 수납부와, 전방면측의 한 쪽 코너부에 로크 부재(29)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로크 수납부와, 배면측의 한 쪽 코너부에 터브 부재(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터브 수납부가 형성된다.
로크 부재(29)는 내측 쉘(4)이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이 내측 쉘(4)의 회전을 계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로크 부재(29)는 하부 쉘(7)의 지지축(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구멍(31)과, 이 결합 구멍(31)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2)의 한 쪽 측면부를 향하여 연장된 조작 부재부(32)와, 이 결합 구멍(31)으로부터 디스크 수납부를 향해 연장된 스토퍼 부재부(33)와, 이 결합 구멍(31)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2)의 전방면측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된 스프링 부재부(34)를 갖고 있다. 조작 부재부(32)의 선단부에는 카트리지 본체(2)의 한 쪽 측면부에 형성된 로크용 개구부(35a)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조작 볼록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부(33)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내측 쉘(4)의 링부(43)와 미끄럼 접촉되는 스토퍼 볼록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부(34)는 탄성 변위한 상태에서 카트리지 본체(2)의 전방면측 내측면과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29)는 스프링 부재부(34)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부재부(32)의 조작 볼록부(32a)가 로크용 개구부(35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및 스토퍼 부재부(33)의 스토퍼 볼록부(33a)가 내측 쉘(4)의 링부(43)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부재(29)는 조작 부재부(32)의 조작 볼록부(32a)가 압박됨으로써, 스프링 부재부(3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스토퍼 부재부(33)가 내측 쉘(4)의 외주위에 설치한 링부(43)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요동된다.
터브 부재(30)는 광디스크(3)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오소거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터브 부재(30)는 카트리지 본체(2)의 배면측 측면부에 형성된 터브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조작 볼록부와, 상측 터브 주위벽에 형성된 한 쌍의 절환 오목부에 결합되는 절환 볼록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터브 부재(30)는 조작 볼록부가 조작됨으로써 슬라이드되고, 절환 볼록부가 한 쌍의 절환 오목부 중 어느 한 쪽과 결합됨으로써, 광디스크(3)에 대해 정보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의 절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의 한 쪽 측면부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를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 장착할 때의 오삽입 방지를 목적으로 한 안내 홈(36)이 전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안내 홈(36)의 바닥면부에는 전방면측으로부터 차례로, 상술한 로크 부재(29)의 조작 볼록부(32a)가 외부를 향하는 로크용 개구부(35a)와, 내측 쉘(4)의 외주부의 일부가 외부를 향하는 회전자용 개구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의 상면에는 내부에 수납된 광디스크(3)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투과창(3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카트리지 본체(2)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 장착했을 때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의 양측면부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를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했을 때의 위치 결정이나, 디스크 카트리지 종류의 판별 등을 행하는 복수의 절결부(39)가 설치되어 있다.
광디스크(3)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중심 구멍(3a)이 형성된 대략 원반 형상을 갖고 있고, 상술한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광디스크(3)의 중심부는, 후술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의 턴테이블(78) 상에 척킹되었을 때에, 척킹 플레이트(4O)에 의해 압박된다. 이 척킹 플레이트(4O)는 마그네트에 의해 흡착되는 금속 재료가 전체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중앙 부분이 팽출됨으로써, 광디스크(3)의 중심부를 압박하는 디스크 압박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쉘(6)의 중앙부에는 이 척킹 플레이트(40)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41)에는 척킹 플레이트(40)를 내부에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압박부(42)가 끼워 맞춘 상태에서 부착된다. 이 플레이트 압박부(42)에는 중심부에 척킹 플레이트(40)의 디스크 압박부(40a)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구멍(42a)과, 이 끼워 맞춤 구멍(42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척킹 플레이트(40)의 외주부와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척킹 플레이트(4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압박부(42)의 끼워 맞춤 구멍(42a)으로부터 디스크 압박부(40a)가 돌출되고,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41) 및 플레이트 압박부(4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본체(2)에 수납되는 광디스크(3)로서는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가 이미 기록된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나, 이들의 오디오 신호 외에 비디오 신호를 한번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기형 광디스크, 이들의 정보 신호를 반복 바꿔쓰기하는 것이 가능한 바꿔쓰기형의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는, 상술한 광디스크(3) 외에, 광자기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2) 내에 배치되는 중 쉘에 상당하는 내측 쉘(4)은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열가소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쉘(4)은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연부에는 상술한 상부 쉘(6)의 안내 홈(13)에 결합되는 대략 원환형의 링부(43)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내측 쉘(4)은 상부 쉘(6)의 안내 홈(13)에 링부(43)가 결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내측 쉘(4)에는 하부 쉘(7)에 설치된 기록 재생용의 개구부(24)에 대응하는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쉘(4)의 외주위에 형성된 링부(43)의 개구부(44)의 개방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연결부(43)로서 개구부(44)의 개방단부측을 연결되어 있다.
링부(43)의 외주면에는 내측 쉘(4)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부(45)는 도10에 도시한 내측 쉘(4)이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상술한 회전자용 개구부(35b)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위치와, 도11에 도시한 내측 쉘(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술한 회전자용 개구부(35b)의 배면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링부(43)의 외주면에는 내측 쉘(4)의 회전량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 볼록부(46a, 46b)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쉘(6)에는 안내 홈(13)과 상측 코너 주위벽(15)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스토퍼 볼록부(46a, 46b)와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토퍼 받침부(47a, 47b)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쉘(4)은 도11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쪽 스토퍼 볼록부(46a)가 한 쪽 스토퍼 받침부(47a)와 접촉하고, 내측 쉘(4)의 다른 회전이 저지된다. 이 때, 내측 쉘(4)은 개방 위치에 있고, 내측 쉘(4)의 개구부(44)와 카트리지 본체(2) 의 개구부(24)가 대략 일치한 상태가 된다. 한편, 내측 쉘(4)은 도10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스토퍼 볼록부(46b)가 다른 스토퍼 받침부(47b)와 접촉하고, 내측 쉘(4)의 다른 회전이 저지된다. 이 때, 내측 쉘(4)은 폐색 위치에 있으며 내측 쉘(4)의 개구부(44)가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에 대해 가장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링부(43)의 선단부면에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안내 홈(13)의 한 쌍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와 미끄럼 접촉되는 한 쌍의 리프트업용 볼록부(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쉘(4)이 폐색 위치의 인접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이 리프트업용 볼록부(48)가 안내 홈(13)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올라 앉음으로써, 내측 쉘(4)이 상부 쉘(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또한, 내측 쉘(4)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43)가 돌출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주요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축(49a, 49b)이 돌출 성형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은 내측 쉘(4)의 중심부에 대해 점대칭인 위치, 즉 서로 180°의 위상차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점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고, 내측 쉘(4)의 한 쌍의 지지축(49a, 49b)을 중심으로, 180°위상차를 갖고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에 있어서 동등한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들 셔터 부재(5a, 5b)는 상술한 내측 쉘(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0M) 등의 열가소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셔터 부재(5a, 5b)는 대략 반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단부에는 상술한 내측 쉘(4)의 지지축(49a, 49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구멍(50a, 50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돌출면이 되는 현선 부분에는 중앙부로부터 기단부를 향해 제1 접촉면부(51)와, 중심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제2 접촉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제1 접촉면부(51)는 하부 쉘(7)측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제2 접촉면부(52)는 상부 쉘(6)측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쉘(4)의 지지축(49a, 49b)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한 쪽 셔터 부재(5a)의 제1 접촉면부(51)와 다른 쪽 셔터 부재(5b)의 제2 접촉면부(52)가 결합되는 동시에, 다른 쪽 셔터 부재(5b)의 제1 접촉면부(51)와 한 쪽 셔터 부재(5a)의 제2 접촉면부(52)가 결합된다.
각 셔터 부재(5a, 5b)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의 내면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핀(53)과 각각 결합되는 긴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54)은 셔터 부재(5a, 5b)가 폐색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호선 부분의 중도부로부터 결합 구멍(50a, 50b)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54)의 외주측 단부에는 셔터 부재(5)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하부 쉘(7)의 가이드 핀(53)이 결합되는 결합부(55)와, 이 결합부(55)에 결합된 가이드 핀(53)을 압박하는 탄성편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는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와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와의 사이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먼지 침입 저지부(57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먼지 침입 저지부(57A)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과 셔터 부재(5a, 5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먼지 침입 저지부(57A)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측에 개구부(2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리브형 볼록부(57)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부재(5a, 5b)측에 설치한 리브형 볼록부(57)와 결합되는 홈형 오목부(58)로 구성된다. 제2 먼지 침입 저지부(57A)를 구성하는 리브형 볼록부(57)는 하부 쉘(7)의 내면에 있어서 개구부(24)를 둘러싸도록 하여 대략 평면 H자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리브형 볼록부(57)는 전방면측 및 배면측의 외주위벽(21)과 각각 접속되는 부분이 높게 형성된 4개의 경사부(57a, 57b, 57c, 57d)를 갖고 있다. 또, 리브형 볼록부(57)는, 예를 들어 0.5 ㎜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4개의 경사부(57a, 57b, 57c, 57d)는 그 높이보다도 수배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홈형 오목부(58)는 셔터 부재(5a, 5b)의 하부 쉘(7)측의 주요면에 있어서 리브형 볼록부(57)에 대응한 형상 및 깊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이 홈형 오목부(58)에는 셔터 부재(5a, 5b)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형 볼록부(57)가 끼워 맞추어진다. 리브형 볼록부(57)와 홈형 오목부(5B)의 폭 방향의 단부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58a, 58a)으로서 형성되고, 셔터 부재(5a, 5b)가 개구부(6)를 폐쇄하고 있는 제1 위치로부터 개구부(24)를 해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리브형 볼록부(57)가 홈형 오목부(58)로부터 빠져 나가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런데, 제2 먼지 침입 저지부(57A)는 홈형 오목부(58)에 리브형 볼록부(57)를 결합하였을 때, 홈형 오목부(58)와 리브형 볼록부(57)의 맞댐면이 크랭크형으로 절곡된 상태가 되고, 하부 쉘(7)과 셔터 부재(5a, 5b) 사이를 확실하게 폐색하여 카트리지 본체(2) 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내측 쉘(4)에는 도5,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축(49a, 49b) 근방에 위치하여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해제용 볼록부(5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용 볼록부(59)는 리브형 볼록부(57)와 대략 동등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셔터 부재(5a, 5b)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이 리브형 볼록부(57)와 홈형 오목부(58)의 끼워 맞춤을 해제한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리브형 볼록부(57) 및 홈형 오목부(58)의 폭 방향의 단부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셔터 부재(5a, 5b)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리브형 볼록부(57)가 홈형 오목부(58)로부터 빠져 나오기 쉽게 되어 있다.
각 셔터 부재(5a, 5b)에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리브형 볼록부(57) 중 경사부(57a, 57c)와 각각 접촉되는 제1 폐색편부(60a)와, 경사부(57b, 57d)와 각각 접촉되는 제2 폐색편부(60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부재(5a, 5b)에는 제2 접촉면부(52)의 선단부측에 위치하여 리브형 볼록부(57)의 경사부(57b) 및 경사부(57d)를 도입하기 위한 절결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부재(5a, 5b)에는 도14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7)측의 주요면에 래버린스형의 요철 패턴(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선형 오목부 및 선형 볼록부를 교대로 평행하게 복수 설치한 요철 패턴(62)은 셔터 부재(5a, 5b)의 내방측에 설치되고, 제3 먼지 침입 저지부(62A)를 구성한다. 즉, 래버린스형의 요철 패턴(62)은 셔터 부재(5a, 5b)가 하부 쉘(7) 상에 포개어졌을 때, 하부 쉘(7)과 셔터 부재(5a, 5b) 사이로 먼지의 침입 공간을 구성하여 카트리지 본체(2) 내부로의 먼지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3 먼지 침입 저지부(62A)를 구성하는 요철 패턴(62)은 다수의 선형 오목부 및 선형 볼록부가 카트리지 본체(2)에 설치한 기록 재생용 개구부(24a)로부터 침입해 온 먼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즉, 요철 패턴(62)은 기록 재생용 개구부(24a)의 양측 모서리와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1)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1)를 조립할 때는, 우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6)의 내면측을 상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한다. 이 상부 쉘(6)의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41)에, 디스크 압박부(40a)를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척킹 플레이트(40)를 수납한 후, 끼워 맞춤 구멍(42a)으로부터 디스크 압박부(40a)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플레이트 압박부(42)를 접착제 등에 의해 플레이트 수납부(41)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척킹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 압박부(42)의 끼워 맞춤 구멍(42a)으로부터 디스크 압박부(40a)가 돌출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수납 오목부(41) 및 플레이트 압박부(4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상부 쉘(6)의 디스크 수납부를 형성하는 내주벽(11)의 내측에 광디스크(3)를 수납한다.
다음에, 이 광디스크(3)를 씌우도록 내측 쉘(4)의 링부(43)를 상부 쉘(6)의 안내 홈(13)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3)는 상부 쉘(6)과 내측 쉘(4) 사이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한, 내측 쉘(4)의 개구부(44)와 상부 쉘(6)의 제1 및 제2 픽업 진입용 오목부(9, 12)가 일치하도록 상부 쉘(6)에 대한 내측 쉘(4)의 위치 맞춤을 미리 행해 둔다.
그 후, 이 내측 쉘(4)에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를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맞댐면을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걸림 구멍(50a, 50b)을 내측 쉘(4)의 지지축(49a, 49b)에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내측 쉘(4)의 지지축(49a, 49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내측 쉘(4)의 개구부(44)의 단부 모서리부에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맞댐면이 따르도록, 내측 쉘(4)에 대한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위치 맞춤을 미리 행해 둔다. 또한, 이와 동시 혹은 전후하여 로크 수납부의 지지축(25)에 로크 부재(29)를 부착하는 동시에, 터브 수납부의 내부에 터브 부재(30)를 수납해 둔다.
다음에, 이 상부 쉘(6)에 하부 쉘(7)을 포갠다. 이 때, 상부 쉘(6)과 하부 쉘(7)이 서로 외주벽(8, 21)을 맞댄 상태에서, 상부 쉘(6)측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10)와 하부 쉘(7)측의 위치 결정 주벽(22)이 결합된다. 또한, 상부 쉘(6)측의 위치 결정 핀(20)과 하부 쉘(7)측의 위치 결정 캡(28)이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상부 쉘(6)측의 제1 홈부(16), 제2 홈부(17) 및 제3 홈부(19)에는 하부 쉘(7)측의 방진 주위벽(23), 하측 코너 주위벽(26) 및 하측 터브 주위벽(27)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셔터 부재(5a, 5b)의 긴 구멍(54)에는 하부 쉘(7)측의 가이드 핀(53)이 결합된다. 이 경우, 상술한 내측 쉘(4)에 대한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위치 맞춤을 미리 행해 둠으로써, 하부 쉘(7)과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와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핀(20)의 나사 결합 구멍에 위치 결정 캡(28)의 관통 구멍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를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상부 쉘(6)에 하부 쉘(7)이 고정되고, 카트리지 본체(2)가 구성된다. 이 때, 내측 쉘(4) 및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개방 위치에 있고,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로부터 광디스크(3)의 일부가 외부를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상태로부터 기어부(45)를 조작하여 내측 쉘(4)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를 폐색한 상태로 한다. 이상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사용되는 구성 부품의 수가 적고, 게다가 매우 간단하게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쉘(6)에 대한 하부 쉘(7)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고정 나 사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부 쉘(6)과 하부 쉘(7)을 접합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를 이용하여 광디스크(3)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는 공중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케이스(71)와, 이 외장 케이스(71)의 내부에 수납된 본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이 외장 케이스(71)는 상면 및 전방면에 개구된 케이스 본체(72)와, 이 케이스 본체(72)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케이스 덮개(73)와, 케이스 본체(72) 및 케이스 덮개(73)의 전방면을 폐쇄하도록 전방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전방면 패널(74) 등을 갖고 있다.
케이스 본체의 4부위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다리 부재(72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다리 부재(72a)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가 지지되어 있다. 전방면 패널(74)은 가로로 긴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가로로 긴 카트리지 삽탈구(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삽탈구(75)는 디스크 카트리지(1)의 정면측 크기와 대략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카트리지 삽탈구(75)는 그 내측에 배치된 개폐 도어(76)에 의해 폐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 디스크 카트리지(1)를 삽입할 때는 개폐 도어를 디스크 카트리지(1)의 전방면부에서 압박하면서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함으로 서, 도시하지 않은 로딩 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가 자동적으로 취입된다. 그리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1)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 내의 섀시 상에 돌출 설치된 복수의 위치 결정 핀에 복수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38)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섀시 상에 적재된다.
이와 동시 또는 전후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셔터 개폐 기구에 의해, 내측 쉘(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를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가 디스크 삽탈구(75)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우선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개폐 기구의 래크 막대(77)가 카트리지 본체(2)의 한 쪽 측면부에 설치된 안내 홈(36)으로 안내되어, 로크용 개구부(35a)로부터 돌출되는 로크 부재(29)의 조작 볼록부(32a)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내측 쉘(4)에 대한 로크 부재(29)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래크 막대(77)가 더 진입함으로써 로우터용 개구부(35b)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 래크 막대(77)에 설치된 기어부(77a)와 내측 쉘(4)의 기어부(45)가 맞물리게 된다.
이 때, 내측 쉘(4)의 개구부(44)는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에 대해 가장 기울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서로 개구부(24, 44)가 포개어진 중복 부분이 개방되지만, 이 중복 부분은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다음에,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동작에 따라서 래크 막대(77)가 진입하면, 래크 막대(77)의 기어부(77a)와 내측 쉘(4)의 기어부(45)와의 맞물림에 의해, 내측 쉘(4)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런데, 내측 쉘(4)이 회전 동작을 개시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쉘(4)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48)가 안내 홈(13)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에 올라 앉아 내측 쉘(4)과 하부 쉘(7) 사이에서 셔터 부재(5)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내측 쉘(4)의 회전 동작에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리프트업용 볼록부(14, 48)의 서로 얹힘에 의한 마찰력에 저항하여 내측 쉘(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이들 리프트업용 볼록부(14, 48)의 상호 결합이 해제되어 마찰력이 저감됨으로써, 내측 쉘(4)을 원활하고 또한 약한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내측 쉘(4)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해제용 볼록부(59)가 리브형 볼록부(57)의 경사부(57a, 57c)에 올라 앉아, 하부 쉘(7)에 대해 내측 쉘(4)이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셔터 부재(5a, 5b)가 상부 쉘(6)측으로 상승하여 리브형 볼록부(57)와 홈형 오목부(58)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결합 구멍(50a, 50b)은 각각 지지축(49a, 49b)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내측 쉘(4)과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긴 구멍(54)에는 하부 쉘(7)측의 가이드 핀(53)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내측 쉘(4)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이드 핀(53)이 긴 구멍(54)의 내부를 내주측 단부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도21에 도시한 조금 개방된 상태로부터, 도22, 도23 및 도24에 도시한 상태를 경유하여 서서히 내측 쉘(4)의 개구부(44)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쉘(4)의 개구부(44)와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가 대략 일치한 상태까지 내측 쉘(4)이 회전하면,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에, 광디스크(3)를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78) 및 광디스크(3)에 대해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광헤드(79)의 진입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서는 턴테이블(78)이 디스크 카트리지(1)측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디스크 카트리지(1)가 턴테이블(78)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광디스크(3)의 중심 구멍(3a)을 통해 턴테이블(78)의 척킹 마그네트(78a)가 척킹 플레이트(40)에 흡착되어 광디스크(3)의 중심부가 턴테이블(78)과 척킹 플레이트(40) 사이에서 협입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3)는 턴테이블(78) 상에 척킹된 상태가 되어 스핀들 모터(8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이 광디스크(3)는 턴테이블(78) 상에 척킹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설정된다.
한편, 광헤드(79)는 광디스크(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조작됨으로써, 이 광헤드(79) 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크 카트리지(1)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으로부터 개구부(24, 44)를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로 진입된다. 또한, 이 광헤드(79)는 디스크 카트리지(1)의 내부에서 광디스크(3)의 하부 표면인 신호 판독면(R)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된다.
여기서,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도26 및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쉘(4)에 설치한 개구부(44)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43a)가 광디스크(3)의 신호 판독면(R)에 대해, 하부 쉘(7)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 있어서 내측 쉘(4)의 연결부(43a)는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부 쉘(6)의 외주벽(8a)에 대해 동일면이 되거나, 혹은 외주벽(8)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부 쉘(6)의 내주벽(11a)은 내측 쉘(4)의 연결부(43a)에 대해 동일면이 되거나, 혹은 연결부(8)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부 쉘(6)의 외주벽(8a)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내측 쉘(4)의 연결부(43a)의 높이를 h2라 하고,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부 쉘(6)의 내주벽(11a)의 높이를 h3이라 하였을 때에, h1 >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 경우, 내측 쉘(4)의 링부(43)와 상부 쉘(6)의 안내 홈(13) 사이에서 회전에 의한 약간의 어긋남 등이 생겼다고 해도, 광헤드(79)가 내측 쉘(4)의 연결부(43a)와 간섭하는 일 없이 카트리지 본체(2)의 내부로 적절하게 진입된다. 즉,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대략 수평하게 이동 조작되는 광헤드(79)를 디스크 카트리지(1)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으로부터 개구부(24, 44)를 통해 디스크 카트 리지(1)의 내부로 적절하게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광디스크(3)와 광헤드(79)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헤드(79)의 손상 등을 생기게 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1)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 내의 카트리지 장치 위치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본체(2)에 수납된 광디스크(3)가 턴테이블(78) 상에 장착된다. 이 때에, 광디스크(3)는 척킹 플레이트(40)가 턴테이블(78)측에 설치된 마그네트에 흡인되고, 턴테이블(78)과 척킹 플레이트(40)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턴테이블(78)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핀들 모터가 회전 구동되면, 광디스크(3)는 턴테이블(78)과 일체로 선속도 일정하게 회전된다. 이 때, 셔터 부재(5a, 5b)가 이동되어 개방된 기록 재생용 개구부(24)를 거쳐서 광헤드(79)가 광디스크(3)와 마주보게 된다. 광헤드(79)가 회전 조작되는 광디스크(3)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고, 이 광헤드(79)로부터 출사되는 광빔에 의해 광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이 주사됨으로써 광디스크(3)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판독, 혹은 광디스크(3)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이 행해진다.
한편,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로부터 디스크 카트리지(1)를 배출할 때는, 예를 들어 전방면 패널(74)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배출 버튼을 조작한다. 배출 버튼이 조작되면 로딩 기구가 배출 동작을 행하고, 디스크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삽탈구(75)측으로 이동되어, 상술한 래크 막대(77)가 상대적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 래크 막대(77)가 후퇴함으로써, 내측 쉘(4) 및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상술한 디스크 삽입시와는 반대의 동작, 즉 내측 쉘(4)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가 카드리지 본체(2)의 개구부(24)를 폐색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우선 도25에 도시한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부터, 반대로 도2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23, 도22를 거쳐서 도21에 이르는 데 서서히 내측 쉘(4)의 개구부(44)를 폐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내측 쉘(4)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48)는 하부 쉘(7)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와는 결합되어 있지 않아, 원활하고 또한 약한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쉘(4)의 개구부(44)가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에 대해 가장 기울어진 상태까지 내측 쉘(4)이 회전하면, 카트리지 본체(2)의 개구부(24)가 완전히 폐색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내측 쉘(4)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48)는 하부 쉘(7)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에 올라 앉기 위해, 이후의 내측 쉘(4)의 회전 동작으로는 상술한 마찰력에 의해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 내측 쉘(4)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이드 핀(53)이 긴 구멍(54)의 내부를 외주측 단부를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이드 핀(53)이 탄성편부(56)에 접촉하고, 이 탄성편부(56)를 압박함으로써 탄성편부(56)에 탄성력이 발생한다.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는 이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댐면이 압접된 상태가 되어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한 쪽 셔터 부재(5a)의 제1 접촉면부(51)와 다른 쪽 셔터 부재(5b)의 제2 접촉면부(52)가 결합되는 동시에, 다 른 쪽 셔터 부재(5b)의 제1 접촉면부(51)와 한 쪽 셔터 부재(5a)의 제2 접촉면부(52)가 결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맞댐면에 적절하게 포개지는 것으로부터, 소위 래버린스 효과를 생기게 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 사이로부터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먼지 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맞댐면에 적절하게 포개지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 쌍의 셔터 부재(5a, 5b)의 변형을 방지한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래크 막대(77)가 더욱 후퇴함으로써 이 래크 막대(77)의 기어부(77a)와 내측 쉘(4)의 기어부(45)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후에, 로크용 개구부(35a)로부터 로크 부재(29)의 조작 볼록부(32a)가 돌출됨으로써, 내측 쉘(4)의 기어부(45)에 스토퍼 부재부(33)의 스토퍼(33a)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내측 쉘(4)의 회전이 계지되어 소위 로크 상태가 되므로, 셔터 부재(5a, 5b)에 의한 개구부(24, 44)의 폐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 등에 의해 실수로 셔터 부재(5a, 5b)가 개방 동작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디스크 카트리지(1)에서는 내측 쉘(4)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48)가 하부 쉘(7)측의 리프트업용 볼록부(14)에 올라 앉은 상태가 되므로, 셔터 부재(5a, 5b)의 자중 및 내측 쉘(4)과 하부 쉘(7)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등에 의해 개구부(24, 44)가 완전히 폐색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0)에서는 개폐 도어(76)가 카트리지 삽탈 구(75)를 개방시키고, 이 개방된 카트리지 삽탈구(75)로부터 로딩 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가 자동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1)를 구성하는 내측 쉘(4)은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수지 성형체(100)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수지 성형체(100)는, 도28 및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성형체부(100A)와, 제1 성형체부(100A)의 중앙부에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거쳐서 제1 성형체부(100A)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성형체부(100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성형체부(100C)는 수지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 주입구, 소위 게이트의 흔적부(100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성형체부(100A)는, 도30 및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절단하여 제2 성형체부(100C)를 제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 내에 조립되어 내측 쉘(4)을 구성한다.
수지 성형체(100)의 수지 주입구가 설치되는 제2 성형체부(100C)는 내측 쉘(4)의 개구부(44)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랜지형 박육부(100B)와 함께 설치된다. 즉, 수지 성형체(100)는 플랜지형 박육부(100B)와 함께 제2 성형체부(100C)를 제거함으로써, 제1 성형체부(100A)에 의해 개구부(44)를 구비한 내측 쉘(4)을 구성한다.
내측 쉘(4)을 구성하는 수지 성형체(100)는,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출 성형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 사출 성형 장치(200)는 고정 금형(201)과 가동 금형(202)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금형(201)과 가동 금형(202) 사이에는 수지 성형품(100)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용 공간인 캐비티(203)가 설치되어 있다. 캐비티(203)는 제1 성형체부(100A)를 형성하는 제1 캐비티 부분(203a)과,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형성하는 제2 캐비티 부분(203b)과, 제2 성형체부(100C)를 형성하는 제3 캐비티 부분(203c)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금형(201)은 제3 캐비티 부분(203c)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지 주입구가 되는 게이트 부시(204)를 구비하고, 제2 캐비티 부분(203b)은 반원 형상의 필름 게이트로 되어 있다. 가동 금형(202)으로는 게이트 커트 펀치(2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출 성형 장치(200)는 게이트 부시(204)로부터 용융 수지를 캐비티(203) 내에 주입하면,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 수지가 게이트(204)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확산되고, 제3 캐비티 부분(203c) 및 제1 캐비티 부분(203a)에 주입된다. 용융 수지를 제3 캐비티 부분(203c) 및 제1 캐비티 부분(203a)에 주입하여 고정 금형(201)과 가동 금형(202)과의 사이의 압력을 소정 압력으로 유지해 둠으로써, 용융 수지가 제3 캐비티 부분(203c) 및 제1 캐비티 부분(203a)의 구석구석까지 충전되어 제1, 제2, 제3 성형체부(100A, 100B, 100C)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100)이 성형된다.
수지 성형품(100)이 캐비티(203) 내에서 냉각 고화되기 전에, 또한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 게이트 커트 펀치(205)에 의해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절단한다. 그 후, 고정 금형(201)에 대해 가동 금형(202)을 이격 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랜지형 박육부(100B)에서 절단, 분리된 제1 및 제2 성형체부(100A, 100C)를 사출 성형 장치(200)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게이트 커트 펀치(20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수지 성형품(100)을 성형한 경우에는,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장치로 성형한 수지 성형품(100)을 게이트 커트 장치(210)의 하부 지그(211) 상에 적재하여 상부 지그(212)로 압박하여 게이트 커트 펀치(213)로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절단해도 좋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측 쉘(4)은 수지 성형품(100)으로부터 수지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 주입구가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성형체부(100C)를 제거하고, 게이트의 흔적부(100D)를 갖지 않은 제1 성형체부(100A)만을 이용하여 구성되므로 고정밀도의 성형 정밀도를 유지하여 제조할 수 있고, 외주면에 주위면에 케이트의 흔적부(100D)에 기인하는 미소 돌기 등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으므로, 카트리지 본체(2) 내에 원활한 회전을 보증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내측 쉘(4)의 제조에 있어서, 내측 쉘(4)을 구성하는 제1 성형체부(100A)는 이 성형체부(100A)와 제2 성형체부(100C)를 연결하는 플랜지형 박육부(100B)를 절단함으로써 제2 성형체부로부터 분리되므로 제조도 쉽고, 또한 플랜지형 박육부(100B)의 절단은 내측 쉘(4)을 구성하는 수지 성형체(100)를 성형하는 사출 성형 장치의 금형에 설치한 펀치에 의해 금형 내에서 행해지므로 제조도 쉽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이용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그 밖의 각종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로서 기록 재생겸용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록 또는 재생 중 한 쪽만이 가능한 디스크 기록 장치 또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본체(2)의 하부 쉘(7)에 개구부(24)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부 쉘(6)에도 하부 쉘(7)에 설치한 것과 같은 개구부를 설치하고, 카트리지 본체(2)의 상부 쉘(6) 및 하부 쉘(7)의 양 쪽으로부터 광디스크(3)에 동시에 엑세스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6)의 형상을 바꾸어 복수의 광학 헤드를 동시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먼지 저지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한 카트리지 본체에 미소한 먼지 등의 침입도 허용하지 않는 우수한 방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내측 쉘의 연결부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하부 표면에 대해 하부 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근접시키면서 내측 쉘의 연결부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로 적절하게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디스크 카트리지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되는 내측 쉘을 고정밀도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 본체에 미소한 먼지 등의 침입도 허용하지 않아 방진 효과가 우수하고,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기록 및/또는 재생용 개구부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상부 쉘과 하부 쉘을 서로 주위벽을 맞댐 조합한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내측 쉘과, 셔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내측 쉘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직경 방향에 걸쳐서 외측을 향하게 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해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의 서로 맞대어지는 주위벽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의 주위벽 맞댐면측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먼지 침입 저지부는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어느 한 쪽의 쉘 주위벽의 내면에 포개어져 있어 상기 주위벽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방진벽과, 다른 쪽의 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 방진벽의 내면에 포개지는 제2 방진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방진벽의 높이는 적어도 한 쪽이 상부 쉘의 주위벽의 높이에 하부 쉘의 주위벽의 높이를 더한 값과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진벽과 제2 방진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1 ㎜ 이상 0.5 ㎜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삭제
  5. 상부 쉘과 하부 쉘을 서로의 주위벽을 맞대어 조합한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내측 쉘과, 셔터 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내측 쉘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셔터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직경 방향에 걸쳐서 외측을 향하게 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해방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쉘과 상기 셔터 부재와의 미끄럼 접촉면에는 상기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크랭크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먼지 침입 저지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쉘에 설치된 리브형 볼록부와, 상기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리브형 볼록부가 결합하는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홈형의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는, 또한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쉘과 상기 셔터 부재와의 미끄럼 접촉면에 상기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수납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요철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의 먼지 침입 저지부는 상기 쉘측의 리브형 볼록부와 상기 셔터 부재측의 상기 리브형 볼록부가 결합하는 홈형의 오목부로 구성된 먼지 침입 저지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침입해 온 먼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선형 요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서로 주위벽이 맞대어진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갖고, 내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적어도 하부 쉘의 주위벽의 일부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가 내외주에 걸쳐 외측을 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과 내주측 주위벽 사이에 형성된 안내 홈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안내 홈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에 대응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측 쉘과,
    상기 내측 쉘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쉘의 연결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하부 표면에 대해 상기 하부 쉘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쉘의 연결부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에 대해 동일면이 되거나, 혹은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기 상부 쉘의 내주측 주위벽은 상기 내측 쉘의 연결부에 대해 동일면이 되거나, 혹은 상기 연결부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기 상부 쉘의 외주측 주위벽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상기 내측 쉘의 연결부의 높이를 h2라 하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상기 상부 쉘의 내주 측 주위벽의 높이를 h3이라 하였을 때, h1 >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해 신호의 기록, 재생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픽업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외주부보다도 외측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개구부 및 상기 내측 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위치 결정 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섀시 상에 적재됨으로써, 그 높이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턴테이블 상에 적재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37002836A 2001-06-29 2002-06-24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쉘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8422 2001-06-29
JP2001198422A JP3601480B2 (ja) 2001-06-29 2001-06-29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303549A JP3601496B2 (ja) 2001-09-28 2001-09-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JP-P-2001-00302500 2001-09-28
JPJP-P-2001-00303549 2001-09-28
JP2001302500A JP3692991B2 (ja) 2001-09-28 2001-09-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成型部材並びにインナーシェルの製造方法
PCT/JP2002/006290 WO2003003370A1 (en) 2001-06-29 2002-06-24 Disk cartridge, forming member for disk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shel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12A Division KR100924052B1 (ko) 2001-06-29 2002-06-24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 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959A KR20040014959A (ko) 2004-02-18
KR100895743B1 true KR100895743B1 (ko) 2009-04-30

Family

ID=273470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4052B1 (ko) 2001-06-29 2002-06-24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 쉘의 제조 방법
KR1020037002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743B1 (ko) 2001-06-29 2002-06-24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쉘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1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4052B1 (ko) 2001-06-29 2002-06-24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 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7017170B2 (ko)
EP (2) EP1892713B1 (ko)
KR (2) KR100924052B1 (ko)
CN (2) CN100456382C (ko)
DE (2) DE60234656D1 (ko)
TW (1) TW588331B (ko)
WO (1) WO2003003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6382C (zh) * 2001-06-29 2009-01-28 索尼公司 盒式盘
JP2003022639A (ja) * 2001-07-04 2003-01-24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426960B1 (en) * 2001-09-03 2009-01-07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disk recording medium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2003115153A (ja) * 2001-10-01 2003-04-18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TWI244072B (en) * 2002-03-20 2005-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 cartridge
KR100604497B1 (ko) * 2002-07-26 2006-07-2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장치
JP2004253014A (ja) * 2003-02-18 2004-09-09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2004003747T2 (de) * 2003-06-23 2007-10-11 Sony Corp. Aufzeichnungsmediumgehäuse
KR101054986B1 (ko) * 2003-08-28 2011-08-05 소니 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JP4089559B2 (ja) * 2003-08-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116043A (ja) * 2003-10-07 2005-04-28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129111A (ja) * 2003-10-22 2005-05-19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20050080577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를 탑재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JP2005243129A (ja) * 2004-02-25 2005-09-08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575050A3 (en) * 2004-03-11 2008-05-28 FUJIFILM Corporation Disk Cartridge
TWI260003B (en) * 2004-04-05 2006-08-11 Sony Corp Disk cartridge
JP4363249B2 (ja) * 2004-05-10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176191A (ja) * 2004-12-24 2006-07-06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性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JP2007109363A (ja) * 2005-09-14 2007-04-26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媒体再生装置又はディスク媒体記録再生装置
US20090044215A1 (en) * 2007-08-06 2009-02-12 Heuser Mark E Media disc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683347B2 (ja) * 2009-06-08 2011-05-18 日本電産株式会社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397A (en) * 1983-07-28 1984-09-11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disk cartridge
US5696648A (en) * 1996-07-08 1997-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aling device for a hard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9762C2 (de) * 1974-10-21 1983-06-16 Olympus Optical Co., Ltd., Tokyo Anordnung zur Steuerung von Betriebsarten eines Tonbandgerätes
JPS58141473A (ja) 1982-02-16 1983-08-22 Canon Electronics Inc 磁気デイスクカセツト
US4543619A (en) * 1982-09-30 1985-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gnetic disk cartridge and disk drive
DE8229387U1 (de) * 1982-10-20 1983-06-09 Basf Ag, 6700 Ludwigshafen Etwa quaderfoermiges zweiteiliges gehaeuse einer bandkassette
DE3526632A1 (de) * 1985-07-25 1987-02-05 Krauss Maffe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pritzgiessteils
DE8527919U1 (de) 1985-10-01 1989-02-23 Pfeiffer, Günther, 8400 Regensburg Ausziehbare Scheibenstapel-Casette insbes. für EDV-Anlagen zum Aufzeichnen von elektromagnetischen Signalen
US4863031A (en) * 1985-12-18 1989-09-05 Tdk Corporation Disc cartridge having peripheral disc support
JPS62129164U (ko) * 1986-02-10 1987-08-15
US5161081A (en) * 1988-08-13 1992-11-03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made by injecting molten synthetic resin into a mold so that flash lines, weld lines and burn marks do not occur
JPH075589Y2 (ja) * 1989-08-08 1995-02-0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166922A (en) * 1990-01-29 1992-11-24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Disk cartridge
DE4116344A1 (de) * 1990-05-23 1991-11-28 Tdk Corp Diskettenkassette
US5199593A (en) * 1990-08-14 1993-04-06 Fuji Photo Film Co., Ltd. Plastic case having improved ultrasonic welds between halve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257007B2 (ja) * 1991-11-30 2002-02-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カートリッジ用ハーフの成形方法
US5537389A (en) * 1992-11-30 1996-07-16 Hitachi Maxwell, Ltd. Disk cartridge having a single closing energizer for closing two independently opened shutters
JP2614590B2 (ja) * 1994-02-22 1997-05-28 花王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67894B2 (ja) * 1995-03-07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収納カセット
US6236639B1 (en) * 1995-05-01 2001-05-22 Imation Corp. Cartridge for disk-shaped storage medium having novel internal walls
JPH1021665A (ja) 1996-07-04 1998-01-23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JPH10241319A (ja) * 1997-02-24 1998-09-11 Sony Corp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装置
US5951890A (en) * 1997-11-12 1999-09-14 Iomega Corporation Laser weld disk cartridge
JP4006809B2 (ja) * 1998-02-02 2007-11-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カートリッジ
JPH11260019A (ja) * 1998-03-11 1999-09-24 Reinikkusu International:Kk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ヤッター係合機構
JPH11273293A (ja) * 1998-03-26 1999-10-08 Hitachi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30396A (ja) * 1998-07-13 2000-01-28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356527B1 (en) * 1998-07-13 2002-03-12 Sony Corporation Shutter assembly for a disc cartridge
JP2000113630A (ja) * 1998-10-05 2000-04-2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6A (ja) *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700863B2 (en) * 2000-05-17 2004-03-02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2279751A (ja) * 2001-03-16 2002-09-2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51171A (ja) * 2001-05-21 2003-02-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00456382C (zh) * 2001-06-29 2009-01-28 索尼公司 盒式盘
US6944875B2 (en) * 2003-02-14 2005-09-13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with shutter overlapping gap having labyrinth shaped portion spaced to have a recessed dust deposition po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1397A (en) * 1983-07-28 1984-09-11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disk cartridge
US5696648A (en) * 1996-07-08 1997-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aling device for a hard disk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03898B2 (en) 2006-09-05
US20050160447A1 (en) 2005-07-21
EP1400974A4 (en) 2005-11-23
US20030174640A1 (en) 2003-09-18
CN100456382C (zh) 2009-01-28
USRE43454E1 (en) 2012-06-05
US20050132396A1 (en) 2005-06-16
US7017170B2 (en) 2006-03-21
CN1465066A (zh) 2003-12-31
US20050149963A1 (en) 2005-07-07
DE60226439D1 (de) 2008-06-19
EP1892713B1 (en) 2009-12-02
EP1400974B1 (en) 2008-05-07
KR20040014959A (ko) 2004-02-18
WO2003003370A1 (en) 2003-01-09
EP1892713A1 (en) 2008-02-27
DE60234656D1 (de) 2010-01-14
US7127732B2 (en) 2006-10-24
TW588331B (en) 2004-05-21
CN1292437C (zh) 2006-12-27
CN1607601A (zh) 2005-04-20
KR20090007506A (ko) 2009-01-16
KR100924052B1 (ko) 2009-10-27
EP1400974A1 (en) 2004-03-24
US7103900B2 (en) 200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743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쉘의 제조 방법
KR100775712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20040027985A1 (en) Disk cartridge
KR20000011679A (ko) 디스크카트리지
JP360149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625821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4093087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US7555765B2 (en) Disk cartridge with an inner rotor
KR101015715B1 (ko) 기록 매체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
JP396849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04237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9299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成型部材並びにインナーシェルの製造方法
JP4120492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417213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636494A (ja) 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2004220651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ナーロータ
KR20080047500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00520925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シェルの射出成形方法
JP2003115180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08696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66863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643876U (ja) 光ディスク
JP2005025789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901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