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062B1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4062B1 KR100894062B1 KR1020070029378A KR20070029378A KR100894062B1 KR 100894062 B1 KR100894062 B1 KR 100894062B1 KR 1020070029378 A KR1020070029378 A KR 1020070029378A KR 20070029378 A KR20070029378 A KR 20070029378A KR 100894062 B1 KR100894062 B1 KR 100894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ate
- paste composition
- photosensitive paste
- organic
- cellulo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01J9/242—Spacers between faceplate and back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Description
유무기 복합체 | 굴절률 (@20도) | 비중 (@20도) | 평균 입경 (nm) |
실시예 1 | 2.09 | 7.95 | 7.7 |
실시예 2 | 2.31 | 3.76 | 9.8 |
실시예 3 | 1.99 | 5.58 | 7.4 |
실시예 4 | 2.16 | 4.67 | 9.2 |
유기물 | 굴절률 (@20도) | 비중 (@20도) |
실시예 5 | 1.53 | 1.07 |
실시예 6 | 1.56 | 1.12 |
페이스트 조성물 | 노광량 ((mJ/cm2) | 소성막 두께 (㎛) | 상부폭 (소성후) (㎛) | 하부폭 (소성후) (㎛) |
실시예 11 | 700 | 122 | 41 | 48 |
실시예 12 | 350 | 124 | 35 | 59 |
실시예 13 | 650 | 125 | 39 | 53 |
실시예 14 | 350 | 122 | 36 | 60 |
비교예 1 | 350 | 122 | 35 | 60 |
페이스트 조성물 | 측정 휘도 (lm/W) | 상대적인 휘도비 |
실시예 12 | 1.29 | 115 |
실시예 14 | 1.34 | 120 |
비교예 1 | 1.12 | 100 |
Claims (49)
- 유무기 복합체 졸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의 평균 굴절률 (N1) 및 상기 무기물의 평균 굴절률 (N2)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며:<수학식 1>- 0.2≤ N1 ― N2 ≤ 0.2,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은 유기물 및 상기 유기물에 분산된 유무기 복합체를 포함하고,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금속 산화물 및 상기 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코팅된 표면 개질제를 포함하며,상기 금속산화물은 금속 성분의 알콕사이드 (alkoxide) 또는 할라이드 (halide) 형태의 화합물의 가수분해 (hydroylsis) 및 축합 (condensation)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의 금속 성분은 실리콘 (Si), 티타늄 (Ti), 알루미늄 (Al), 지르코늄 (Zr), 탄탈륨 (Ta), 게르마늄 (Ge), 이트륨 (Y) 및 아연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제는 테트라에틸오르쏘실리케이트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TS),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PTS), 디페닐디메톡시실란 (diphenyldimethoxysilane, DPDMS) 및 디페닐실란디올 (diphenylsilanediol, DPS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개질제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poly(arylene ether ketone, PEK) 또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설폰) (poly(arylene ether sulfone, PSF)에 트리에톡시실란 (triethoxysilane)을 도입시킨 트리에톡시실란-캡핑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triethoxysilane-capped PEK) 또는 트리에톡시실란-캡핑 폴리(아릴렌 에테르 설폰) (triethoxysilane-capped PS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 중의 상기 유무기 복합체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6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의 평균 굴절률은 1.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의 평균 굴절률은 1.4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의 함량은 상기 유기물 100 부피부 대비 5 내지 50 부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 및 상기 무기물의 굴절률 값이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2>- 0.1 ≤ N1 - N2 ≤ 0.1단, 상기 식에서 N1 및 N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체 졸 및 상기 무기물의 굴절률 값이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3>- 0.05 ≤ N1 - N2 ≤ 0.05.단, 상기 식에서 N1 및 N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 100 부피부 대비 3 내지 30 부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과 상기 무기물의 평균 열팽창 계수 (a)는 하기 수학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4>기판의 열 팽창 계수×0.9 ≤ a ≤ 기판의 열 팽창 계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평균 굴절률이 1.5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저융점 유리 분말 (glass frit) 및 고융점 유리 분말을 포함하며,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연화 온도 (softening temperature, Ts)는 하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연화 온도 (Ts)는 하기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5>소성 온도 - 80 ℃ < Ts < 소성 온도,<수학식 6>Ts > 소성 온도 + 20 ℃.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중간값 (D50)이 2 내지 5 ㎛, 최소값 (Dmin)은 0.1 ㎛, 최대값 (Dmax)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 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삭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 100 부피부 대비 70 부피부 내지 100 부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은 납 (Pb), 비스무스 (Bi), 규소 (Si), 붕소 (B), 알루미늄 (Al), 바륨 (Ba), 아연 (Zn), 마그네슘 (Mg), 칼슘 (Ca), 인 (P), 바나듐 (V), 몰리브덴 (Mo) 및 텔레늄 (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소의 산화물을 3종 이상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은 PbO-B2O3계, PbO-SiO2-B2O3계, Bi2O3-B2O3계, Bi2O3-SiO2-B2O3계, SiO2-B2O3-Al2O3계, SiO2-B2O3-BaO계, SiO2-B2O3-CaO계, ZnO-B2O3-Al2O3계, ZnO-SiO2-B2O3계, P2O5계, SnO-P2O5계, V2O5-P2O5계, V2O5-Mo2O3계 및 V2O5-P2O5-TeO2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중간값이 1 내지 4 ㎛, 최소값은 0.1 ㎛, 최대값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삭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함량은 상기 무기물 100 부피부 대비 0 내지 30 부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은 규소, 붕소, 알루미늄, 바륨, 아연,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소의 산화물을 3종 이상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 성물.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은 SiO2-B2O3-BaO계, SiO2-B2O3-CaO계, SiO2-B2O3-MgO계, SiO2-B2O3-CaO-BaO계, SiO2-B2O3-CaO-MgO계, SiO2-Al2O3-BaO계, SiO2-Al2O3-CaO계, SiO2-Al2O3-MgO계, SiO2-Al2O3-BaO-CaO계 및 SiO2-Al2O3-CaO-MgO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과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평균 굴절률은 1.5 내지 1.8 범위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3)과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4)의 차이가 하기 수학식 7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7>- 0.2≤ N3 ― N4 ≤ 0.2.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3)과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4)의 차이가 하기 수학식 8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8>- 0.1≤ N3 ― N4 ≤ 0.1.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3)과 상기 고융점 유리 분말의 굴절률 (N4)의 차이가 하기 수학식 9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수학식 9>- 0.05≤ N3 ― N4 ≤ 0.0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바인더, 광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은 첨가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들과의 공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비닐초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고,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sec-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1-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 분자 내 의 아크릴레이트를 일부 또는 전부 메타크릴레이트로 치환한 것,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2-디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및 4-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공중합체 내에 가교 반응을 일으킬 성분이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은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알릴클로라이드,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n-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2-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2-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부틸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 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드로젠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온네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온네이트, (아크릴아미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온네이트, (아크릴아미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시아노에틸레이트 셀룰로오스, 펙틱산 (pectic acid), 치토산 (chitosan), 치틴 (chitin),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디움염, 카르복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100,000 g/mol이고, 산가는 50 내지 30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상기 유기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미노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 및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티타노센계 화합물,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비스)아실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 유기붕소염 화합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 혼합물은 증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유기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sec-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1-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노아크릴 레이트 화합물; 상기 모노아크릴레이트 분자 내의 아크릴레이트를 일부 또는 전부 메타크릴레이트로 치환한 것;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트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테트라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펜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헥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분자 내의 아크릴레이트를 일부 또는 전부 메타크릴레이트로 치환한 것;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유기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내지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광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가소제 및 요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비등점이 15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에틸 카비톨, 부틸 카비톨, 에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텍사놀, 테르핀유,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에 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및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 제1항, 제3항 내지 제16항, 제18항 내지 제21항 또는 제2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 제48항에 따른 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378A KR100894062B1 (ko) | 2007-03-26 | 2007-03-26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US12/055,215 US8092982B2 (en) | 2007-03-26 | 2008-03-25 |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barrier rib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arrier rib |
JP2008081383A JP4898729B2 (ja) | 2007-03-26 | 2008-03-26 | 感光性ペースト組成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9378A KR100894062B1 (ko) | 2007-03-26 | 2007-03-26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7321A KR20080087321A (ko) | 2008-10-01 |
KR100894062B1 true KR100894062B1 (ko) | 2009-04-21 |
Family
ID=3979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9378A KR100894062B1 (ko) | 2007-03-26 | 2007-03-26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92982B2 (ko) |
JP (1) | JP4898729B2 (ko) |
KR (1) | KR10089406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8714B1 (ko) * | 2004-11-30 | 2006-1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감광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격벽 형성용 감광성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용 격벽의 제조방법. |
US8813458B2 (en) | 2009-06-09 | 2014-08-26 | Electrolux Home Products Pty Limited | Changeable pane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a changeable panel |
KR101234229B1 (ko) * | 2010-06-11 | 2013-02-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5803350B2 (ja) * | 2011-07-04 | 2015-11-04 | Jnc株式会社 | 感光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有機膜の製造方法 |
JP6764636B2 (ja) * | 2014-10-08 | 2020-10-07 |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パターン製造方法、透明絶縁膜、及び表示装置 |
WO2016076024A1 (ja) * | 2014-11-13 | 2016-05-1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感光性導電ペースト、それを用いた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型電子部品 |
WO2017056793A1 (ja) | 2015-09-28 | 2017-04-0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感光性ガラスペースト及び電子部品 |
KR20180121550A (ko) * | 2016-03-28 | 2018-11-07 |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
US10377913B2 (en) * | 2016-09-16 | 2019-08-13 | Corning Incorporated | High refractive index nanocomposites |
JP7230347B2 (ja) * | 2018-06-13 | 2023-03-01 | 東レ株式会社 | 感光性ペースト、それを用いた硬化膜、焼成体および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
KR102667382B1 (ko) * | 2021-09-27 | 2024-05-20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디스플레이 격벽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4772A (ja) | 1995-06-12 | 2002-07-31 | Toray Ind Inc | 感光性ペースト |
KR100412293B1 (ko) | 1995-06-12 | 2004-04-21 |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 감광성페이스트,플라즈마디스플레이및그제조방법 |
JP2004318116A (ja) * | 2003-03-28 | 2004-11-11 | Toray Ind Inc | 感光性ペースト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なら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
JP2005247592A (ja) | 2004-03-01 | 2005-09-15 | Toray Ind Inc | 感光性セラミック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9688A (en) | 1988-12-19 | 1993-05-11 | Narumi China Corporation | Plasma display panel |
JP3004044B2 (ja) | 1990-10-29 | 2000-01-31 | 東洋合成工業株式会社 | 感光性着色樹脂組成物 |
US6197480B1 (en) | 1995-06-12 | 2001-03-06 | Toray Industries, Inc. | Photosensitive paste, a plasma display,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JPH107432A (ja) | 1996-06-25 | 1998-01-13 | Toray Ind Inc | 感光性ペースト |
JPH1062981A (ja) | 1996-08-13 | 1998-03-0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パターン形成用ペースト |
JPH1173874A (ja) | 1997-09-01 | 1999-03-16 | Toray Ind Inc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
JPH11102645A (ja) | 1997-09-29 | 1999-04-13 | Toray Ind Inc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
JPH11139846A (ja) | 1997-11-04 | 1999-05-25 | Shipley Far East Kk | 感光性ガラスペースト |
JP3953625B2 (ja) | 1998-03-02 | 2007-08-08 |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 感光性組成物 |
JPH11338129A (ja) | 1998-05-25 | 1999-12-10 | Fujifilm Olin Co Ltd | 無機物質含有感光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る感光材料および隔壁形成方法 |
JPH11352699A (ja) | 1998-06-08 | 1999-12-24 | Fujifilm Olin Co Ltd | 隔壁形成方法 |
JP4129824B2 (ja) | 1998-06-25 | 2008-08-06 |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0191945A (ja) | 1998-12-24 | 2000-07-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感光性ペーストおよび転写シート |
JP4597300B2 (ja) | 1999-02-01 | 2010-12-1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隔壁形成用感光性ぺースト |
JP4174902B2 (ja) | 1999-04-07 | 2008-11-05 | 東レ株式会社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板の誘電体層形成用ガラスペースト |
JP4531238B2 (ja) | 2000-10-18 | 2010-08-2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感光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から得られ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
JP4151293B2 (ja) | 2001-03-28 | 2008-09-17 | 東レ株式会社 | ディスプレイの隔壁形成用感光性ペースト |
JP4766223B2 (ja) | 2003-03-27 | 2011-09-07 | 戸田工業株式会社 | 透明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
US20050037278A1 (en) | 2003-08-15 | 2005-02-17 | Jun Koishikawa | Photosensitive thick-film paste materials for forming light-transmitting electromagnetic shields, light-transmitting electromagnetic shields formed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KR20050116431A (ko) | 2004-06-07 | 2005-12-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
JP2006257230A (ja) | 2005-03-16 | 2006-09-28 | Jsr Corp | ガラス粉末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
CN101881852B (zh) | 2005-06-29 | 2012-06-27 |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 纤维素酯膜、使用其的横向电场驱动式显示装置用偏振板及横向电场驱动式显示装置 |
JP2007086772A (ja) | 2005-08-26 | 2007-04-05 | Toray Ind Inc | パターン形成方法、平面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なら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および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部材。 |
US20070238036A1 (en) | 2006-03-22 | 2007-10-11 | Keiichiro Hayakawa | Dielectric, display equipped with dielect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dielectric |
WO2007145048A1 (ja) | 2006-06-12 | 2007-12-21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平版印刷版、平版印刷版材料、平版印刷版材料用支持体および平版印刷方法 |
KR100787450B1 (ko) | 2006-06-20 | 2007-12-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KR100852706B1 (ko) * | 2007-03-02 | 2008-08-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격벽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
2007
- 2007-03-26 KR KR1020070029378A patent/KR1008940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3-25 US US12/055,215 patent/US809298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6 JP JP2008081383A patent/JP489872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14772A (ja) | 1995-06-12 | 2002-07-31 | Toray Ind Inc | 感光性ペースト |
KR100412293B1 (ko) | 1995-06-12 | 2004-04-21 |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 감광성페이스트,플라즈마디스플레이및그제조방법 |
JP2004318116A (ja) * | 2003-03-28 | 2004-11-11 | Toray Ind Inc | 感光性ペースト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部材なら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
JP2005247592A (ja) | 2004-03-01 | 2005-09-15 | Toray Ind Inc | 感光性セラミック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7321A (ko) | 2008-10-01 |
US8092982B2 (en) | 2012-01-10 |
US20080238318A1 (en) | 2008-10-02 |
JP4898729B2 (ja) | 2012-03-21 |
JP2008242461A (ja) | 2008-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7450B1 (ko)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894062B1 (ko)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
EP2082994A1 (en) |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barrier ribs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arrier ribs | |
JP4369103B2 (ja) | 感光性導電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JPWO2007007800A1 (ja) | 黒色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パターンの形成方法、並びにその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パターン | |
KR100927610B1 (ko)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EP1967903B1 (en) |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barrier rib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arrier rib | |
JP3538387B2 (ja) |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JP3239759B2 (ja) | 感光性ペースト | |
KR10140445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 형성방법 | |
JP2002023383A (ja) | 感光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部材、並びに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 |
JPH107432A (ja) | 感光性ペースト | |
KR20080055682A (ko) | 무기 입자 함유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필름, 패턴형성 방법, 및 평판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 |
JP2002358900A (ja) | ディスプレイ用部材および感光性ペースト | |
JP3520663B2 (ja) | 感光性ペースト | |
WO2011122026A1 (ja) | 光硬化性組成物 | |
KR100653819B1 (ko) | 돌기체의 제조 방법 | |
JP5732222B2 (ja) | 感光性樹脂組成物 | |
KR20100042897A (ko)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JP4180724B2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背面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より得られ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KR20000062915A (ko) | 리브 형성용 절연 페이스트 조성물 및 리브 패턴의 형성방법 | |
KR20060084620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제조방법 | |
JPH1172909A (ja) | 感光性ペースト | |
JPH1144949A (ja) | 感光性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00082394A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