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2424B1 -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 Google Patents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424B1
KR100892424B1 KR1020080022990A KR20080022990A KR100892424B1 KR 100892424 B1 KR100892424 B1 KR 100892424B1 KR 1020080022990 A KR1020080022990 A KR 1020080022990A KR 20080022990 A KR20080022990 A KR 20080022990A KR 100892424 B1 KR100892424 B1 KR 10089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ower
main body
terminal
lea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김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규 filed Critical 김남규
Priority to KR102008002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424B1/ko
Priority to US12/922,160 priority patent/US20110006704A1/en
Priority to JP2010514655A priority patent/JP4538098B1/ja
Priority to PCT/KR2009/000553 priority patent/WO2009113769A2/ko
Priority to CN2009801170613A priority patent/CN10202728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4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1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attached to loose electric cables, e.g. Christmas tre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LED 램프에서 LED를 실장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된 공통단자(4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1 전원단자(5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5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원단자(50)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2 전원단자(6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원단자(6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단자(60)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3 전원단자(7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의 와이어홀(21) 각각을 관통하는 와이어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하여, LED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LED 램프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리드프레임, 와이어홀, 전원단자, 공통단자, 입력부, 출력부

Description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Lead frame of wire binding method and LED power lamp using this}
본 발명은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드프레임의 복수개 단자가 상호간에 단락되지 않도록 길이차를 갖도록 하여 와이어만으로도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을 결속가능하게 함으로써 LED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없이도 LED 램프를 제작할 수 있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이란 집적 회로, 저항기, 스위치 등의 각종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얇은 판으로, 대부분의 전기 또는 전자소자를 사용하는 회로는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 보통의 인쇄회로기판이 만들어지는 순서는 절연체인 에폭시 수지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로 만든 얇은 기판에 구리박을 붙인 후에, 계속하여 구리박으로 남아 있기를 원하는 회로 배선에는 레지스트를 인쇄하고, 그 후에 구리를 녹일 수 있는 식각액에 인쇄된 기판을 담그면 레지스트가 묻지 않 은 부분이 녹게 되며, 다음으로 레지스트를 제거하면 구리박이 원하는 형태로 남아 있게 된다. 부품을 꽂아야 하는 부분에는 구멍을 뚫고 납이 묻으면 안 되는 곳에는 푸른색의 납 레지스트를 인쇄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기 또는 전자소자를 기판상에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해 납땜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판의 제작 또는 폐기처분시에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인쇄회로기판이 주로 에폭시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와 같이 구부림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연성이 부족한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정 한도 이상의 외력에 파손되기 쉽다. 또한, 최근에 디스플레이 기술개발에 따라 각광받고 있는 플렉서블 기판의 경우에도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환경보호에 일조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필요하지 않은 LED 파워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와이어를 통해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시키는 것이 단순하므로 제조하기 간단한 LED 파워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된 입력부와; 상기 본체부 타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된 출력부;로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드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된 공통단자와; 상기 본체부 타측에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되는 제1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원단자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되는 제2 전원단자와; 상기 본체부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원단자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 단자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이 형성되는 제3 전원단자;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의 와이어홀 각각을 관통하는 와이어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드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는 그 끝단을 제외한 부분이 절연물질로 피복되고, 상기 공통단자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의 와이어홀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공통단자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를 적어도 1회 권회(捲回)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는 각각 서로 다른 고저(高低)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기 위한 전압분배부와; 상기 전압분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상기 전압분배부에 일측이 접속되어 접지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의 출력부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의 본체부에 실장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 터 공급된 전압을 복수개의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기 위한 전압분배부와; 상기 전압분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로부터 공통전압을 인가받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과; 상기 전압분배부에 일측이 접속되어 접지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의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3, 제4, 제5 와이어와;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의 본체부에 실장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제3, 제4, 및 제5 와이어는 그 양측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는 리드프레임의 본체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단자를 와이어로만 결속시키므로 별도로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보호에 일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파워램프는 LED를 리드프레임상에 실장하고 그 리드프레임을 와이어로 결속시키는 구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 파워램프는 와이어를 통해 LED 실장된 복수개의 리드프레임을 상호간에 접속시키는 것이 단순하므로 제조하기가 쉽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1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예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의 제1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 일측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입력부(20)와, 본체부(10) 타측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출력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반도체 칩, 예를 들어 LED(160)를 실장시키기 위한 절연체로, 그 일측으로부터 반도체 칩에 접속되는 접점을 형성하는 입력부(20)가 연장되어 설치되고 타측으로 출력부(30)가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입력부(20)는 본체부(10)에 일부분이 포함되어 반도체 칩과의 접점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도성 금속물질로 끝단 중앙부에 와이어가 접속 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소정직경, 예를 들어 0.3mm의 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홀(21)은 입력부(20)를 충분히 길게 연장시켜 적어도 1회 이상 권회(捲回)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는 입력부(20)와 동일하게 설치되고, 본체부(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입력부(20)에 접속되는 와이어와는 다른 와이어에 접속된다.
도 2a 내지 도2b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의 제2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 일측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공통단자(40)와, 본체부(10) 타측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제1 전원단자(50)와, 제1 전원단자(50)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1 전원단자(50)보다 길이가 더 긴 제2 전원단자(60)와, 제2 전원단자(60)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제2 전원단자(60)보다 길이가 더 긴 제3 전원단자(70)로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반도체 칩, 예를 들어 LED(160)가 실장되는 절연체이며, 본체부(10) 일측으로는 반도체 칩에 접속되는 공통단자(40)가 연장되고 타측으로는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가 공통단자(40)와 마찬가지로 연장된다.
상기 공통단자(40)는 본체부(10)에 일부분이 포함되어 반도체 칩과 접점을 이루어 그 일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전도성 금속물질로 끝단 중앙부에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소정직경, 예를 들어 0.3mm의 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홀(2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20)와 같이 공통단자(40)를 충분히 길게 연장하여 적어도 1회 권회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는 공통단자(4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나, 도2a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고 제2 전원단자(60)가 제1 전원단자(50)보다 소정길이 더 길고 제3 전원단자(70)가 제2 전원단자(60)보다 소정길이 더 긴 구조, 즉 각각의 전원단자간에 길이차(a, b, c)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 각각에 형성된 와이어홀(21)을 관통하여 접속되는 와이어들이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게 되어 이러한 와이어간의 접속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20, 30)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는 와이어홀(21)이 형성된 끝단을 제외한 부분을 절연물질로 피복함으로써 서로의 와이어홀(21)을 관통하여 접속되는 와이어간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길이차를 통해 와이어간의 단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 제2, 제3 전원단자(50, 60, 70)에 서로 다른 고저(高低)차이를 함께 형성하여 단락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20, 30)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를 관통하여 접속된 와이어가 이러한 단자들과 확실히 접속되도록 와이어홀(21)이 형성된 끝단부분을 압착시켜 와이어를 접속고정시킬 수 있다.
도 3a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1 실시예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는 기본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80)와,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는 전압분배부(90)와, 전압분배부(90)에 접속되는 제1 와이어(100)와, 제1 와이어(1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과, 전압분배부(90)의 접지부에 접속되고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출력부(30)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120)와,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본체부(10)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LED(16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0)는 사무용, 가정용, 또는 공업용 등으로 공급되는 전압, 예를 들어 220V의 전압을 공급받아 램프 측으로 전달하는 일종의 플러그로 본 발명에 따른 파워램프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분배부(90)는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LED(160)를 발광시키기 위해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제1 와이어(100)를 통해 리드프레임(110)의 입력부(20)에 인가하기 위한 회로부분으로, 리드프레임(110)상에 실장될 LED가 발 광되는데 필요한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1 와이어(100)는 전압분배부(90)에 의해 조정된 전압을 리드프레임(110)의 입력부(20)까지 전달하도록 일측이 전압분배부(90)에 접속되고 복수개 리드프레임(110)의 입력부(20) 와이어홀(21)을 접속된 상태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하 기술되는 제1 내지 제5 와이어(100, 120, 130, 140, 150)는 모두 절연물로 피복되지 않은 전도성 금속 물질, 예로써 구리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와이어(120)는 전압분배부(90)의 접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복수개 리드프레임(110) 출력부(30)의 와이어홀(21)을 접속 상태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LED(160)는 리드프레임(110)의 본체부(10)에 실장되어 전압분배부(90)로부터 적절한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발광되며 종래의 다양한 LED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2 실시예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는 기본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80)와,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복수개의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는 전압분배부(90)와, 전압분배부(90)에 접속되는 제1 와이어(100)와, 제1 와이어(100)로부터 공통전압을 인가받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과, 전압 분배부(90)의 접지부에 일측이 접속되고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에 각각 접속되어 접지되는 제3, 제4, 및 제5 와이어(130, 140, 150)와,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본체부(10)에 실장되는 복수개의 LED(16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0), 제1 와이어(100), 및 LED(1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LED 파워램프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압분배부(90)는 전원공급부(80)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공통단자(40)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과,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기 위한 회로부이며, 전압분배부(90)를 통해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측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리드프레임(110)에 실장된 LED(16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가 각각 리드프레임(110)에 실장된 LED(160)의 적색, 녹색, 청색 영역을 발광시키기 위한 단자인 경우, 공통단자(40)에 +3 V가 인가되고 제1 전원단자(50)에 0 V, 제2 및 제3 전원단자(60, 70)에 각각 +3 V가 인가되면 제1 전원단자(50)에 대응하는 적색 영역부분이 활성화되어 LED 램프는 적색 광을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압분배부(90)를 통해 3개의 단자(50, 60, 70)를 각각 또는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LED(160)의 조명 색상을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제4, 및 제5 와이어(130, 140, 150)는 전압분배부(90)의 접지부에 접속되고,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에 각각 접속되어 전압분배부(90)에 의해 제어된 소정전압을 LED(160)에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는 그에 사용되는 제1 내지 제5 와이어(100, 120, 130, 140, 150)의 양측이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된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17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와이어들이 늘어짐에 따라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는 복수개의 LED가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부리거나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bar) 형태의 LED 램프를 제조하는데 매우 용이하며, 그 외장 케이스로 연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을 재료로 사용하여 케이스 내 LED 램프 구성요소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용도에 알맞은 형상, 예로써 이미지 형상의 램프나 텍스트 형상의 램프 제작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1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중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실시예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를 도시한 도면.

Claims (8)

  1.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된 입력부(2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된 출력부(30);로 구성되되,
    상기 입력부(20)와 출력부(30)의 와이어홀(21)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된 상기 입력부(20)와 출력부(30)를 적어도 1회 권회(捲回)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110).
  2. 반도체 칩이 실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된 공통단자(4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1 전원단자(5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전원단자(5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원단자(50)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2 전원단자(60)와;
    상기 본체부(10) 타측에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 전원단자(6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원단자(60)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연장되고, 와이어가 접속된 상태로 관통되도록 끝단 중앙부에 소정직경의 와이어홀(21)이 형성되는 제3 전원단자(7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의 와이어홀(21) 각각을 관통하는 와이어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며,
    상기 공통단자(40)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의 와이어홀(21)은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된 상기 공통단자(40)와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를 적어도 1회 권회(捲回)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110).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는 각각 서로 다른 고저(高低)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110).
  6.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80)와;
    상기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기 위한 전압분배부(90)와;
    상기 전압분배부(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와이어(100)와;
    상기 제1 와이어(1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는 청구항 1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과;
    상기 전압분배부(90)에 일측이 접속되어 접지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출력부(30)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120)와;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본체부(10)에 실장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LED(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
  7.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80)와;
    상기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복수개의 소정전압으로 강하하여 분배하기 위한 전압분배부(90)와;
    상기 전압분배부(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와이어(100)와;
    상기 제1 와이어(100)로부터 공통전압을 인가받는 청구항 2에 따른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과;
    상기 전압분배부(90)에 일측이 접속되어 접지되고,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 임(110)의 제1, 제2, 및 제3 전원단자(50, 60, 70)에 각각 접속되는 제3, 제4, 제5 와이어(130, 140, 150)와;
    상기 복수개의 리드프레임(110)의 본체부(10)에 실장되어 발광되는 복수개의 LED(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제4, 및 제5 와이어(100, 130, 140, 150)는 그 양측이 고정수단(17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을 사용한 LED 파워램프.
KR1020080022990A 2008-03-12 2008-03-12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892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90A KR100892424B1 (ko) 2008-03-12 2008-03-12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US12/922,160 US20110006704A1 (en) 2008-03-12 2009-02-05 Lead frame by wire binding method and led power lamp using same
JP2010514655A JP4538098B1 (ja) 2008-03-12 2009-02-05 ワイヤ結束方式のリードフレー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ledパワーランプ
PCT/KR2009/000553 WO2009113769A2 (ko) 2008-03-12 2009-02-05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 파워램프
CN2009801170613A CN102027285A (zh) 2008-03-12 2009-02-05 采用导线束合方法的引线框及使用该引线框的led电源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990A KR100892424B1 (ko) 2008-03-12 2008-03-12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424B1 true KR100892424B1 (ko) 2009-04-10

Family

ID=4075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9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2424B1 (ko) 2008-03-12 2008-03-12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6704A1 (ko)
JP (1) JP4538098B1 (ko)
KR (1) KR100892424B1 (ko)
CN (1) CN102027285A (ko)
WO (1) WO200911376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1472B2 (en) 2011-03-04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iode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LED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6235A (zh) * 2015-11-25 2016-01-13 宁波皓升半导体照明有限公司 便于接线的led灯具
CN222881101U (zh) * 2024-08-07 2025-05-16 温瑞文 照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44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차량용 발광 다이오드 및 그 모듈
KR20070113173A (ko) * 2007-10-15 2007-11-28 주식회사 유양정보통신 다면 입체방사 발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39Y2 (ko) * 1985-04-02 1991-02-21
US5010463A (en) * 1990-04-30 1991-04-23 Ross David L Electrified bulletin board with illuminable push-pin
US5268828A (en) * 1991-04-19 1993-12-07 Takiron Co., Ltd. Illuminant display device
US5404282A (en) * 1993-09-17 1995-04-04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US6972528B2 (en) * 2003-11-21 2005-12-06 Chiliang Shao Structure for LED lighting chain
GB0517316D0 (en) * 2005-08-24 2005-10-05 Graham Morton A lamp
KR20070103173A (ko) * 2006-04-18 2007-10-23 영진약품공업주식회사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744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차량용 발광 다이오드 및 그 모듈
KR20070113173A (ko) * 2007-10-15 2007-11-28 주식회사 유양정보통신 다면 입체방사 발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1472B2 (en) 2011-03-04 2015-08-18 Samsun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iode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LED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3769A2 (ko) 2009-09-17
JP2010531068A (ja) 2010-09-16
US20110006704A1 (en) 2011-01-13
CN102027285A (zh) 2011-04-20
WO2009113769A3 (ko) 2009-11-05
JP4538098B1 (ja) 201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7081B2 (en) Tube lamp with leadframe
US9324928B2 (en) Ligh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US6040659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TW200742518A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60218961D1 (de) Einpress-Sammelschiene für Leistungsversorgung
US20030223210A1 (en) Modular LED circuit board
KR20080012973A (ko) 발광 소자 실장용 기판, 발광 모듈 및 조명 장치
KR100892424B1 (ko) 와이어 결속방식의 리드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led파워램프
CN103486557A (zh) 光源模块
JP3884057B2 (ja) 発光素子実装用基板、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2004235643A (ja) 電子回路装置および電子回路装置をコーディングする方法
US20140293596A1 (en) Straight Tube Lamp and Luminaire
JP4669459B2 (ja) 照明器具構造
JP2006080391A (ja) 発光装置
IT202000002968A1 (it) Lampada a binario a bassa tensione con modulo led con elettronica integrata
CN219145664U (zh) 发光组件、发光装置及机械设备
EP3297409B1 (en) A method of connecting lighting modules and corresponding device
US6407928B1 (en) LED surface mount
KR20150019597A (ko) 엘이디 회로기판 결합구조
CN211118804U (zh) 条形灯软板及条形灯
JPH0547726Y2 (ko)
KR100448814B1 (ko) 자동차의 발광다이오드형 램프장치
JP2008198949A (ja) 負荷ユニット
JP2025022401A (ja) 電源入力端子、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KR20090065600A (ko) 전자소자용 회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