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3822B1 -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22B1
KR100883822B1 KR1020020075655A KR20020075655A KR100883822B1 KR 100883822 B1 KR100883822 B1 KR 100883822B1 KR 1020020075655 A KR1020020075655 A KR 1020020075655A KR 20020075655 A KR20020075655 A KR 20020075655A KR 100883822 B1 KR100883822 B1 KR 10088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initial winding
epc
winding
ini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433A (ko
Inventor
박정근
박영식
남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냉연공정의 연속소둔라인에서 권취되는 스트립이 권취초기에 제어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은, 초기권취용 EPC(100)를 이용하여, 초기권취시 텐션릴(70)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의 최기권취 길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초기권취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트립(10)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있어서; 텐션릴(70)측으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을 초기권취용 EPC(100)가 감지하여 PLC(50)로 신호를 보내고 초기권취 제어를 준비하는 단계; 초기권취용 EPC(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PLC(50)가 텐션릴(70)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0)의 이동거리의 카운팅하고, 텐션릴(70)에 권취장력이 유지되면 초기권취용 EPC(100)가 초기권취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 및 PLC(50)에 미리 입력된 스트립 이동거리가 초기권취 길이 이상이면, 초기권취용 EPC(100)의 작동이 멈추고 디프렉터롤(20) 전방에 설치된 EPC(30)가 작동되어 스트립(10) 권취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20075655
스트립, 텐션릴, 초기권취, 권취제어, 권취불량

Description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trip head end positioning On Free Tension Reel}
도 1은 종래의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초기권취 EPC가 설치된 스트립 초기권취 제어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트립 20...디프렉터롤 30...EPC
50...PLC 70...텐션릴 91...스너버롤 테이블
93...스버너롤 가이드 95...피스톤 100...초기권취용 EPC
110...EPC투광부 120...EPC수광부
본 발명은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냉연공정의 연속소둔라인에서 권취되는 스트립이 권취초기에 제어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트립의 권취공정중, 텐션릴에 권취되는 스트립(1)은, 디플렉터롤(2)의 전방에 설치되는 EPC(3;Edge Positoin Controller)에 의해서 권취상태가 제어된다.
EPC(3)에 의한 스트립 초기권취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연속절단기(4)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1)이 초기권취를 위해 콘베어벨트를 통해 EPC(3)로 이송되면, EPC(3)가 이 작동신호를 PLC(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전송한다.
PLC(5)는 블라이들롤(6)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내장형 제어장치로서, 동작처리 순서를 지시하는 프로그램이 제어장치내에 기억되어 있으며, EPC(3)의 작동신호에 따라 그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처리동작을 행하게 된다.
즉, 연속절단기(4)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1)은, 초기권취를 위하여 텐션릴(7)측으로 이동되는데, EPC(3)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PLC(5)는 텐션릴(7)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의 이동거리를 카운팅하게 된다. PLC(5)에 입력된 소정의 거리 즉, 텐션릴의 권취장력이 유지되는 최소의 길이(약 텐션립에 3~4회권취) 이상으로 스트립(1)이 이동되면, 스트립의 초기권취는 완료된다.
이후, 밸트보호구(8)가 텐션릴(7)로부터 이탈되면서 스트립(1)의 권취가 시작되며, EPC(3)는 스트립(1)의 권취제어를 위한 작동을 개시한다.
스트립(1)이 권취되는 과정에서, 만일, EPC(3)가 비정상적인 권취상태를 감지하면 PLC(5)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PLC(5)는 다시 EPC(3)로 텐션릴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텐션릴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EPC(3)는, 자동 방향전 환밸브(미도시)를 작동시켜 파워가이드(미도시)가 텐션릴(7)을 적절히 이동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립 초기권취 제어방법은, EPC(3)가 스트립(1)의 권취제어를 개시하기전, 텐션릴(7)에 텐션이 작용되도록 초기권취되는 스트립(1)은 EPC(3)에 의한 제어범위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완성되는 코일의 내권부에서 권취제어에서 제외된 스트립(1)에 의한 권취불량부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EPC(3)가 텐션릴(7)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므로, 그 정도는 더욱 심화되고 빈번하게 발생된다.
권취불량부는, 완성된 코일의 내권부 측면으로 돌출되므로, 코일의 포장 작업시 제품파손 및 포장불량의 문제가 발생되며, 결국, 차후공정에서 이러한 코일을 재수거하여 재권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텐션릴에 텐션이 작용되도록 초기권취된 스트립에 의해 발생되는 권취불량 현상이 방지되는 스트립 권취 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텐션릴 전방에 설치된 스너버롤 테이블에 설치되는 EPC투광부와, EPC투광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스버너롤 가이 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스톤의 단부에 부착되는 EPC수광부를 구비하는 초기권취용 EPC를 이용하여, 초기권취시 텐션릴로 이동하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길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초기권취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있어서;
텐션릴측으로 이동하는 스트립을 초기권취용 EPC가 감지하여 PLC로 신호를 보내고 초기권취 제어를 준비하는 단계;
초기권취용 EPC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PLC가 텐션릴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의 이동거리의 카운팅하고, 텐션릴에 권취장력이 유지되면 초기권취용 EPC가 초기권취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 및
PLC에 미리 입력된 스트립 이동거리가 초기권취 길이 이상이면, 초기권취용 EPC의 작동이 멈추고 디프렉터롤 전방에 설치된 EPC가 작동되어 스트립 권취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이용되는 초기권취용 EPC(100)는, 스너버롤 테이블(91)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EPC투광부(110)와, EPC투광부(110)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스너버롤 가이드(93)의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95)의 단부에 부착되는 EPC수광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초기권취용 EPC(100)가 설치되는 스너버(9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스너버(90)는 일반적으로, 스트립(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92)에 의해 일측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스트립(10)의 밑면을 지지하는 스너버롤 테이블(91)과, 스너버롤 테이블(91)의 상부에서 권취되는 스트립(10)이 공회전되거나 회전중 슬립되지 않도록 스트립(10)의 상부를 압지하는 스너버롤(94)을 고정시키는 스너버롤 가이드(93)로 이루어지며, 통상 텐션릴(7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스너버테이블(91)은 유압실린더(92)에 의해 EPC투광부(110)와 함께 상승되고, EPC수광부(120)는 피스톤(95)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EPC수광부(120)와 EPC투광부(110)는 적정거리에서 밀착되고 이들 사이를 지나는 스트립(10)의 권취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초기권취용 EPC(1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초기권취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초기권취를 위하여 연속절단기(40)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10)이 콘베어벨트를 통해 텐션릴(70)측으로 이동하면 스버너롤 테이블(91)이 유압실린더(92)에 의해 선회하면서 스트립(10)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상승되는 동시에, 스버너롤 가이드(93)에 설치된 피스톤(95)이 실린더(96)로부터 인출된다. 이렇게 하면, 스버너롤 테이블(91)의 EPC투광부(110)와, 피스톤(95)단부의 EPC수광부(120)는 서로 직각상태를 이루며 근접되며, 스트립(10)제어를 위한 준비상태가 완료된다.
텐션릴쪽으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이 초기권취용 EPC(100)를 통과하면 이를 감지한 초기권취용 EPC(100)가 PLC(50)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PLC(50)는 텐션릴(70)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0)의 이동거리의 카운팅을 개시한다. 이 때, 스트립(10)의 이동거리는 초기권취용 EPC(100)가 텐션릴(70)에 근접해 있는 상태이므로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따라서, 이 곳에서 발생되는 권취불량현상은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텐션릴(70)에 권취장력이 유지되면 초기권취용 EPC(100)가 초기권취 제어를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권취용 EPC(100)에 의해 초기권취가 조기에 작동됨으로써, 종래에 제어되지 못했던 초기권취된 스트립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스트립의 권취상태는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밸트랩터(80)는 텐션릴(70)로부터 이탈되며, PLC(50)가 권취길이를 카운팅하여, PLC(50)에 미리 입력된 초기권취 길이 이상이면 권취상태가 안정화된 상태인 것이므로 초기권취용 EPC(100)에 의한 초기권취는 완료된다.
초기권취는 완료되면, 초기권취용 EPC(100)의 작동이 중지되는 동시에, 디프렉터롤(20) 전방에 설치된 EPC(30)가 작동된다.
초기권취용 EPC(100)가 작동을 멈추면, 스너버롤 가이드(93)의 피스톤(95)이 실린더(96) 내부로 인입되면서 EPC수광부(120)가 상승되며, 스너버롤 테이블(91)이 하강하여 EPC투광부(110)가 하강되어 초기 대기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스트립(10)의 초기권취가 완료되면, 디프렉터롤(20)에 전방에 설치된 EPC(30)에 의해 스트립(10) 권취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방향전환밸브와 파워가이드에 의한 스트립(10) 권취제어 방법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스트립(10)의 초기권취 제어가 이루어지면, 텐션릴(70)에 근접 설치된 초기권취용 EPC(100)에 의해 텐션릴(70)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0)의 초기권취 거리가 매우 짧아지므로, 종래와 같이, 디프렉터롤의 전방에 설치된 EPC에 의한 제어범위에서 제외되는 초기권취된 스트립에서 발생하는 권취불량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초기권취용 EPC에서 이부분에 대한 초기권취를 제어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따르면, 텐션릴에 초기권취용 EPC를 근접설치하여 초기권취시 텐션릴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이곳에서 발생하는 권취불량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기에 초기권취 제어가 수행되므로, 이에 따른 코일의 포장불량과 이에 따른 제품파손과 재권취작업의 추가되는 문제점들이 일시에 해소되므로 제품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텐션릴(70) 전방에 설치된 스너버롤 테이블(91)에 설치되는 EPC투광부(110)와, EPC투광부(110)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스버너롤 가이드(93)의 일측에 설치되는 피스톤(95)의 단부에 부착되는 EPC수광부(120)를 구비하는 초기권취용 EPC(100)를 이용하여, 초기권취시 텐션릴(70)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의 초기권취 길이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초기권취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트립(10)의 초기권취 제어방법에 있어서;
    텐션릴(70)측으로 이동하는 스트립(10)을 초기권취용 EPC(100)가 감지하여 PLC(50)로 신호를 보내고 초기권취 제어를 준비하는 단계;
    초기권취용 EPC(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PLC(50)가 텐션릴(70)측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0)의 이동거리의 카운팅하고, 텐션릴(70)에 권취장력이 유지되면 초기권취용 EPC(100)가 초기권취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 및
    PLC(50)에 미리 입력된 스트립 이동거리가 초기권취 길이 이상이면, 초기권취용 EPC(100)의 작동이 멈추고 디프렉터롤(20) 전방에 설치된 EPC(30)가 작동되어 스트립(10) 권취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KR1020020075655A 2002-11-30 2002-11-30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8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55A KR100883822B1 (ko) 2002-11-30 2002-11-30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655A KR100883822B1 (ko) 2002-11-30 2002-11-30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33A KR20040047433A (ko) 2004-06-05
KR100883822B1 true KR100883822B1 (ko) 2009-02-16

Family

ID=3734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6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3822B1 (ko) 2002-11-30 2002-11-30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8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317A (ja) * 1990-03-05 1991-11-13 Kobe Steel Ltd 鋼帯巻取機の初期巻取制御方法
JPH0531532A (ja) * 1991-07-31 1993-02-09 Kawasaki Steel Corp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155542A (ja) * 1994-12-07 1996-06-18 Kawasaki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取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20043701A (ko) * 2000-12-02 2002-06-12 이구택 벨트래퍼의 코일 초기권취 자동조정장치
KR100604504B1 (ko) * 1999-09-22 2006-07-2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스트립의 권취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317A (ja) * 1990-03-05 1991-11-13 Kobe Steel Ltd 鋼帯巻取機の初期巻取制御方法
JPH0531532A (ja) * 1991-07-31 1993-02-09 Kawasaki Steel Corp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155542A (ja) * 1994-12-07 1996-06-18 Kawasaki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取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604504B1 (ko) * 1999-09-22 2006-07-2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금속 스트립의 권취 방법 및 장치
KR20020043701A (ko) * 2000-12-02 2002-06-12 이구택 벨트래퍼의 코일 초기권취 자동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433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7414A (ja) 糸巻取機
EP2105399A2 (en) Yarn Winding Device and Yarn Winding Method
EP2409941A2 (en) Yarn winding device
KR100883822B1 (ko) 스트립의 초기권취 제어방법
KR101666546B1 (ko) 무테이핑 오토 스플라이싱 리와인더
CN113526199B (zh) 一种接带对齐控制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JP6656604B2 (ja) 糸切断制御装置、糸監視装置、及び糸巻取装置
JP3564817B2 (ja) ワインダ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JP4395828B2 (ja) 張力検出器を備える糸条巻取機
JPH058935A (ja) ボビントラバース幅変動機構を備えた巻取機
US5251834A (en) Traveling wire take-up method and its apparatus
KR19980071913A (ko) 와이어 연속 자동 권취 장치
KR100389550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스트립 단부 라운딩장치
JP2909711B2 (ja) コイル巻取装置
JPH0769539A (ja) 線材巻付け装置
JP2016221592A (ja) ゴムストリップ用カッター
JP2008137539A (ja) 作業台車の位置決め機構
EP3511274A1 (en) Static pressure control method in automatic winder and automatic winder
JPH0531532A (ja)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0544384B1 (ko) 와이어 쏘우 장치의 가동 방법
KR100420704B1 (ko) 코일 삽입 간지의 연속 공급 장치
KR102423401B1 (ko) 절단 길이 오차를 감소시켜 권취할 수 있는 광케이블 권취장치
KR100805048B1 (ko) 코일의 표면흠 개선을 위한 조질압연의 릴 장력 및 속도제어방법
JP3533787B2 (ja) 糸条の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