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743B1 - Mulberry Oil Extractor - Google Patents
Mulberry Oil Extra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2743B1 KR100882743B1 KR1020080091730A KR20080091730A KR100882743B1 KR 100882743 B1 KR100882743 B1 KR 100882743B1 KR 1020080091730 A KR1020080091730 A KR 1020080091730A KR 20080091730 A KR20080091730 A KR 20080091730A KR 100882743 B1 KR100882743 B1 KR 100882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lberry
- heating vessel
- wall
- heating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8/00—Cold traps; Cold baff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야(山野)에 산재 되어 있거나, 양잠업(養蠶業)을 위하여 재배되는 뽕나무로부터 기름을 추출해 냄과 동시에 탄화물(숯)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뽕기름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로써,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 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1)에 수납된 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저장통(3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용기(2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20)의 몸체(11)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고, 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 중의 구조이며,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에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플레이트(41) 상부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된 기체(40)와;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 그리고 발열히터(44)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0)로 구성된 뽕기름 추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가열용기, 몸체, 황토벽, 뚜껑, 뽕기름저장용기, 기체, 콘트롤박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berry oil extractor which can be recycled as a carbide (charcoal) while extracting oil from mulberry that is scattered in Sanya or cultivated for sheep farm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body (11) structure forming an inner wall (12a) and an outer wall (12) by overlapping two stainless steel sheet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accommodating part (17) where the mulberry is accommodated, and the ocher wall coated with the outer wall (12). A large number of far-infrared irradiation holes 14 through which the far-infrared rays generated from (13) can be split into the mulberry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 are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12a and the outer wall 12, and the mulberry tree at the lower portion. The mulberry oil extraction path 15 is provided with a sieve net 16 is installed so that only the mulberry oil extracted from the passing through to the mulberry oil storage bin 30, the upper flange 18, the lid 20 A heating vessel (10) having a fixing pin (19) to fix the portion; A fixing groove 21a into which the fixing pin 19 is installed,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flange 18 of the heating vessel 10 via a hinge shaft, is formed in the flange 21,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vessel 10 is provided. A safety cock 22 which is opened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installed, and a lid 20 having a temperature sensing rod 23 for sens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ing vessel 20; The water vapor in the heating vessel 10 generated by moisture extracted from the mulberry tree is screwed into the mulberry oil extraction path 15 formed under the body 11 of the heating vessel 20, and condensation occur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discharge valve 34 is a double structure having a cooling water circulation space 32 in which the cooling water pumped by the cooling water pump 31 is circulated, and enables the collection of the extracted mulberry oil. Mulberry oil storage container 30 is installed; Refractory insulating brick 42 is to be laminated to minimize heat loss on the plate 41, but to have a space 43 for seating the heating vessel 10 is A heating heater 44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actory insulating brick 42, and a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sensing rod 45 for detecting a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heater 44 is installed. 42 is a body 40 is wrapped around the stainless cover 46; It is achieved by the mulberry oil extractor consisting of a control box 50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ing rod 23 and the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sensing rod 45 and the heating heater 44 of the heating vessel.
Heating container, body, ocher wall, lid, mulberry oil storage container, gas, control box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야(山野)에 산재되어 있거나, 양잠업(養蠶業)을 위하여 재배되는 뽕나무로부터 기름을 추출해 냄과 동시에 탄화물(숯)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뽕기름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berry oil extractor which can be recycled as a carbide (charcoal) while extracting oil from mulberry trees scattered in Sanya or cultivated for sheep farming.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수많은 뽕나무가 산야(山野)에 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잠업을 할 때 누에게 뽕잎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뽕나무를 재배해 오고 있다.In Korea, many mulberry trees have been scattered in Sanya since ancient times, and have been growing mulberry trees for the purpose of stably supplying mulberry leaves to silkworms during sheep sleep business.
상기와 같이 재배되어지는 뽕나무는 뽕잎의 대량 양산을 위하여 해마다 가지치기를 하게 되는데, 가지치기를 한 뽕나무의 양이 대단히 많아 그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Mulberry cultivate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pruned year by year for mass production of mulberry leaves, the amount of mulberry tree pruning is very difficult to handle the situation.
상기와 같이 베어낸 뽕나무는 생약효능이 우수하여 재활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ulberry cut off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recycled because of excellent herbal efficacy.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활용되어지지 못하고 버려지는 까닭은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방식에 그 원인이 있다.Nevertheless, the reason why it is not recycled and discarded is due to the method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현재까지의 방식은 예전부터 전해져 오고 있는 재래방식에 의해 뽕기름을 추출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current method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is extracting mulberry oil by the traditional method that has been handed down.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재래방식은 두 개의 항아리를 이용하게 되고, 그 중 하나의 항아리에는 뽕나무를 가득 담아 준비하게 된다.The traditional method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is to use two jars, and one of them is filled with mulberry trees.
상기와 같이 준비된 두개의 항아리 중 뽕나무가 채워지지 않은 항아리는 땅속에 묻고, 상기 항아리의 주둥이에 뽕나무가 채워진 항아리의 주둥이를 맞댄다.Among the two jar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jars not filled with mulberry are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spouts of the jars face the spouts of the jars filled with mulberry.
이때 상기 주둥이와 주둥이 사이에 거름망 기능을 하는 삼베를 개재시켜 뽕나무가 구워질 탄화조각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rough the burlap function between the spout and the spout through the burlap function so that the mulberry tre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carbonized pieces .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땅 위로 위치한 항아리의 주변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왕겨를 덮어 씌운 후, 왕겨에 불을 붙여 항아리에 담겨진 뽕나무에 열을 가해 탄화시키게 되고, 탄화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 된 수증기가 결로되어 짐에 따라 뽕기름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fter covering the chaff that can apply heat to the surroundings of the jar located on the ground in the above state, the chaff is fired to heat the mulberry tree contained in the jar and carbonized. As water vapor condenses, it becomes possible to produce mulberry oil.
상기 수증기의 결로는 뽕나무가 탄화되어지면서 발생한 고온의 수증기가 땅속으로 묻혀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항아리 내부로 유입될 때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땅속에 묻힌 항아리 내에 뽕기름의 생산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The condensation of the water vapor produced carbon mulberry oil in the pot buried in the ground as the condens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when the high temperature water vapor generated by the carbonization of the mulberry is buried into the ground and introduced into the jar maintaining a low temperature It becomes possible.
전술한 재래방식은 목질이 단단한 뽕나무에서의 뽕기름 추출은 가능하나, 뽕잎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됨과 동시에 일년생이어서 목질이 단단하지 못한 뽕나무로부터의 뽕기름 추출에는 어려움이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hardwood mulberry, but it is difficult to extract mulberry oil from mulberry trees, which are grown for the purpose of mulberry leaf production and are not so hard because they are a year old.
그 이유는 목질이 단단하지 못한 뽕나무는 빠른 속도로 수분이 빠져나가게 되고, 수분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열이 가해짐에 따라 탄화된 상태를 넘 어 전소(全燒)되어져 뽕기름을 근본적으로 추출할 수가 없다.The reason is that the mulberry tree, which is not hard wood, is quickly drained of moisture, and as heat is continuously applied while the moisture is drained, it is burned over the carbonized state, and the mulberry oil is fundamentally removed. Can't extract
따라서, 재래방식을 통한 뽕기름 추출방식은 목질(木質)이 단단한 다년생 뽕나무를 이용한 뽕기름 추출에 적합한 방식이다.Therefore, the extraction method of mulberry oil through the conventional method is suitable for extracting mulberry oil using perennial mulberry hard wood.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재래방식을 통해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할 때 오랜시간(7~10일)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추출해낼 때 왕겨로부터 발생되는 타르가 혼입되어져 뽕기름으로부터 타르냄새가 심하게 발생하여 청결하면서도 상쾌한 사용을 추구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뽕기름을 추출하고난 후 부생물로 얻어지는 탄화물(숯)의 질이 우수하지 못해 숯으로 재활용시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above takes a long time (7-10 days) when extracting the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has the disadvantage that can not improve the productivity, when the tar generated from chaff is mixed when extrac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ar smell is generated from mulberry oil so that clean and refreshing use cannot be pursued, and the quality of carbide (charcoal) obtained as a by-product after extracting mulberry oil is not good. It has a disadvantage that occurs badly.
또한 항아리를 이용함으로써, 항아리가 열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기도 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어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동안 주위를 기울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by using the jar, the jar may be cracked due to heat, and the risk of breakage due to external impact is always included, and there is a hassle of paying attention while extracting the mulberry oil.
본 발명은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하는 방식을 개량함으로써, 양잠업(養蠶業)을 위해 재배되는 목질(木質)이 연한 뽕나무를 이용한 뽕기름 추출이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뽕기름 추출에 따른 시간 단축으로 재배 뽕나무를 이용한 뽕나무 숯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과 동시에 양질의 숯 제공이 가능하고,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과정에서 이물질 혼입이 없어 청결하면서 위생적인 뽕기름 추출이 가능하며, 뽕 기름 냄새의 근원이 되는 타르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에 따른 불결함을 해소하였으며, 뽕기름 추출방식의 개량으로 뽕기름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하여 뽕기름을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뽕기름 추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method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the object of which is to improve the method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tree, the wood cultivated for the sheep 잠 (양) is soft It enables the extraction of mulberry oil using the mulberry tree and the mass production of mulberry charcoal using the cultivated mulberry tree by shorten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f the mulberry oil,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quality charcoal, and to mix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mulberry oil.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clean and hygienic mulberry oil, and it minimizes the occurrence of tar, which is the source of the smell of mulberry oil, and eliminates the impurity caused by the use.The improvement of the mulberry oil extraction method enables the stable supply of mulberry oil. It is to provide mulberry oil extractor that can provide oil to consumers at low pr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로써,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1)에 수납된 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저장통(30)으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용기(10)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용기(2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0)과;A
상기 가열용기(20)의 몸체(11)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고, 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며, 추출된 뽕기름 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에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The water vapor in the
플레이트(41) 상부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된 기체(40)와;Refractory insulating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 그리고 발열히터(44)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뽕기름 추출기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the mulberry oil extra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뽕기름 추출기는, 내벽(12a)과 외벽(12) 이중의 구조로된 몸체와 외벽(21)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 이루어진 가열용기(10)의 수납부(11)에 짧게 자른 뽕나무를 넣어 기체(40)의 내화단열벽돌(42)의 공간 내면으로 설치된 발열히터(44)의 열로 상기 가열용기(10)에 수납된 뽕나무를 가열하여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수가 순환되어 온도차이를 가지는 뽕기름저장용기(30)에서 응결시켜 뽕기름을 생산함과 더불어 뽕나무가 서서히 탄화되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양잠업(養蠶業)을 위해 재배되는 목질(木質)이 연한 뽕나무를 이용한 뽕기름 추출이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뽕기름 추출에 따른 시간 단축으로 재배 뽕나무를 이용한 뽕나무 숯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과 동시에 양질의 숯 제공이 가능하고,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이물질의 혼입이 없어 청결하면서 위생적인 뽕기름추출이 가능하며, 뽕기름 냄새의 근원이 되는 타르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에 따른 불결함을 해소하였으며, 뽕기름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하여 뽕기름을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The mulberry oil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는, 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로 덮여지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10)의 하부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상기 가열용기(10)를 감싸는 기체(40)로 이루어져 있다.1 to 5,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가열용기(10)는, 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1)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를 갖는다.The
상기 몸체(11)외벽(12)에는 황토벽(13)이 도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 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1)에 수납된 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몸체(11)하부에는 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저장용기(30)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몸체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황토벽(13)은 그 두께가 5㎝~20㎝의 두께를 갖고 형성된다.The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 상부로 설치되는 뚜껑(20)은 몸체(11)의 상부로 형성된 플랜지(18)에 설치된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다.The
더불어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고, 가열용기(2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상기 안전콕(22)은 가열용기(10)의 내부 온도가 400℃~450℃ 이상일 때 개방되어 는 가열용기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상기 가열용기(10)의 수납부(11)내의 온도는 400℃~450℃의 열을 갖도록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in the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된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는 뽕기름저장용기(30)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된다.The mulberry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는 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다.The mulberry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의 하부에는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33)에는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A
상기 가열용기(10)가 안착 되는 기체(40)는 플레이트(41) 상부에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형성된 것이다.The
상기 기체(40)의 내화단열벽돌(42) 내측으로 설치된 발열히터(44)는 그 발열온도가 900℃까지 발열하며, 상기 발열온도에 의해 가열용기(10)의 내부 온도가 400℃내외를 유지하게 된다.The
상기 기체(40)의 발열히터(44)와 뚜껑(20)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은 콘트롤박스(50)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진다.The
상기 가열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본패킹(60)이 개재되어 있다.A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뽕기름을 추출할 때에는 도2 내지 도3에서와 같이 가열용기(10)의 상부로 장착된 뚜껑(20)을 분리해 낸다.When extracting the mulberry oil using the mulberry oil ex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3 to remove the
상기 뚜껑(20)을 가열용기(10)로부터 분리해낼 때에는 몸체(11)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도면에서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을 매개로 설치된 고정 핀(19)의 조임너트(18a)를 풀어 고정핀(19)이 뚜껑(20)의 플랜지(21)의 고정홈(21a)으로부터 느슨하게 한 후, 도2에서와 같이 젖혀 줌으로써, 뚜껑(2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도3참조)When the
상기와 같이 가열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분리해낸 상태에서 도4에서와 같이 짧게 자른 뽕나무를 몸체(11)의 수납부(17)에 가득 채운다.In the state where the
수납부(17)에 뽕나무가 가득채워진 상태에서 가열용기(10)의 몸체(11)에 뚜껑(20)을 위치시켜 장착하게 되는데, 뚜껑(20)을 장착할 때에는 플랜지(21)에 형성된 고정홈(21a)이 고정핀(19)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5에서와 같이 고정핀(19)을 세운다.When the
이후 도6에서와 같이 조임너트(19a)를 조여 뚜껑(20) 가열용기(10)의 몸체(11) 상부의 플랜지(18)에 뚜껑(20)의 플랜지(21)가 압압 밀착되어 진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이때 카본패킹(60)에 의해 기밀성이 우수해진다.At this time, the airtightness becomes excellent by the carbon packing 60.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열용기(10)의 몸체(11) 수납부(17)에 뽕나무가 채워지고, 뚜껑(20)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콘트롤박스(50)의 운전버튼(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을 조작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berry tree is filled in the
상기 콘트롤박스(50)의 운전버튼 조작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히터(44)의 열이 몸체(11)를 구성하는 황토벽(13)과 외벽(12) 및 내벽(12a)을 전도되어 수납부(17) 수납된 뽕나무를 가열하게 된다.The heat of the
상기 발열히터(44)로부터 발열된 열은 공간(43)을 거쳐 전도됨으로써, 간접열에 의한 뽕나무가 탄화되어지게 되는 것이다.Heat generated from the
상기 발열히터(44)의 열이 몸체(11)의 수납부(17)로 수납된 뽕나무에 가해지면 뽕나무의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증발하게 된다.When the heat of the
상기와 같이 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는 가열용기(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된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냉각수순환공간(32)으로 냉각수가 냉각수펌프(31)에 의해 순환되어지는 뽕기름저장용기(30)내의 기온차이에 의해 상기 뽕기름저장용기와 이웃하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뽕기름으로 변하게 된다.(도7참조)As described above, the water vapor evaporated from the mulberry tree is screwed into the mulberry
상기와 같이 변한 뽕기름은 뽕기름추출로(15)상에 설치된 거름망(16)을 통과하여 순수 뽕기름만이 뽕기름저장용기(30)에 유입되어 진다.(도8참조)Mulberry oil changed as described above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net (16) installed on the mulberry
상기와 같이 발열히터(44)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되고, 탄화되는 뽕나무는 발열히터(44)의 열이 직접 가열용기(10)로 전해지기보다는 공간(43)을 거쳐 간접적으로 전해짐에 따라 뽕나무가 급속하게 탄화되어지지 않고 서서히 탄화되어 양질의 탄화물(숯)을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아울러,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를 이루는 외벽(12)과 내벽(12a)에 의해 일어진 몸체(11)에는 원적외선방사구멍(14)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황토벽(13)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뽕나무에 쪼여져 뽕기름과 탄화물(숯)에서 나타나는 타르냄새를 정화시킴과 더불어 종래와 같이 발열원인 왕겨등을 태울때 발생하는 연기의 혼입이 전혀 없어 생산된 탄화물(숯)과 뽕기름으로부터 타르냄새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로 뽕기름이 유입되어지면, 배출구(33)에 설치된 배출밸브(34)를 열어 용기(병)에 담아 포장하게 된다.When the mulberry oil is introduced into the mulberry
한편, 가열용기(10)의 몸체(11) 수납부의 탄화물(숯)은 뚜껑(20)을 열어 수거하여서 단위 포장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으로 출하 판매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rbide (charcoal)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탄화물(숯)을 꺼낸 후, 뽕나무를 재차 수납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뽕기름과 탄화물(숯)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After removing the carbide (charcoal) as described above, by storing the mulberry again and the mulberry oil and carbide (charcoal)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단면구성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뽕나무를 넣기 위해 뚜껑을 개방하는 초기 상태의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initial state of opening the lid to put the mulberry in the heating vessel body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뽕나무를 넣을 수 있도록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so that the mulberry can be put into the heating vessel body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뽕나무를 넣은 상태의 예시도.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put the mulberry in the heating vessel body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뚜껑을 위치시켜 고정핀을 고정홈에 위치 고정시키는 초기 상태의 예시도.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the initial state of fixing the fixing pin position in the fixing groove by placing the lid on the heating vessel body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 고정핀의 조임너트를 조여 뚜껑을 장착완료한 상태의 예시도.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lid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tightening nut of the heating vessel body fixing pin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에 발열히터로부터 열이 가해져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이 추출되는 과정의 예시도.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process of extracting mulberry oil from the mulberry by applying heat from the exothermic heater to the heating vessel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에 발열히터로부터 열이 가해져 뽕나무로부터 추출된 뽕기름이 뽕기름저장용기로 유입된 상태의 예시도.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heat is applied to the heating vessel of the mulberry oil ex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berry oil extracted from the mulberry tree flowed into the mulberry oil storage contain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가열용기 11 : 몸체10: heating container 11: body
12 : 외벽 12a : 내벽12:
13 : 황토벽 14 : 원적외선조사구멍13: ocher wall 14: far-infrared irradiation hole
15 : 뽕기름추출구 16 : 거름망15: mulberry oil extract 16: sieve
17 : 수납부 18,21 : 플랜지17: accommodating
19 : 고정핀 19a : 조임너트19: fixing
20 : 뚜껑 21a : 고정홈20:
22 : 안저콕크 23 : 내부온도감지봉22: Anzer cock 23: Internal temperature sensing rod
30 : 뽕기름저장용기 31 : 냉각수펌프30: mulberry oil storage container 31: cooling water pump
32 : 냉각수순환공간 33 : 배출구32: cooling water circulation space 33: outlet
34 : 배출밸브 40 : 기체34: discharge valve 40: gas
41 : 플레이트 42 : 내화단열벽돌41
43 : 공간 44 : 발열히터43: space 44: heating heater
45 : 고열온도감지봉 46 : 스텐커버45: high temperature detection rod 46: stainless steel cover
50 : 콘트롤박스 60 : 카본패킹50: control box 60: carbon packing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1730A KR100882743B1 (en) | 2008-09-18 | 2008-09-18 | Mulberry Oil Extra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1730A KR100882743B1 (en) | 2008-09-18 | 2008-09-18 | Mulberry Oil Extra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4864A KR20080094864A (en) | 2008-10-27 |
KR100882743B1 true KR100882743B1 (en) | 2009-02-09 |
Family
ID=4015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17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2743B1 (en) | 2008-09-18 | 2008-09-18 | Mulberry Oil Extra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27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56408A (en) * | 2014-07-25 | 2015-01-07 | 宁国市瑞龙生态农林开发有限公司 | Process for extract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nents of mulberri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76447A1 (en) * | 2014-11-10 | 2016-05-19 | 주식회사 미라클바이오 |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 containing extract of morus alba |
KR102776975B1 (en) | 2023-09-20 | 2025-03-07 | 나무숨 주식회사 | Extraction apparatus for essential oil of plant |
KR102815233B1 (en) | 2023-09-20 | 2025-05-30 | 나무숨 주식회사 | Extraction method for essential oil of plant and essential oil obtained thereof |
US12196455B1 (en) * | 2024-05-30 | 2025-01-14 | King Saud University | Thermal energy storage bin for a high temperature, particle-based solar power pla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8028U (en) * | 1997-02-17 | 1998-10-26 | 최양호 | Condenser of Medicinal Herb Concentrator |
KR20000055880A (en) * | 1999-02-10 | 2000-09-15 | 노병문 | Aaaaa |
KR20020025129A (en) * | 2002-02-20 | 2002-04-03 | 강규석 | ginseng steamed red and ginseng steamed red liquid producing system |
KR20040090371A (en) * | 2003-04-16 | 2004-10-22 | 최명달 | Extractor for fine liquid |
-
2008
- 2008-09-18 KR KR1020080091730A patent/KR1008827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8028U (en) * | 1997-02-17 | 1998-10-26 | 최양호 | Condenser of Medicinal Herb Concentrator |
KR20000055880A (en) * | 1999-02-10 | 2000-09-15 | 노병문 | Aaaaa |
KR20020025129A (en) * | 2002-02-20 | 2002-04-03 | 강규석 | ginseng steamed red and ginseng steamed red liquid producing system |
KR20040090371A (en) * | 2003-04-16 | 2004-10-22 | 최명달 | Extractor for fine liqui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56408A (en) * | 2014-07-25 | 2015-01-07 | 宁国市瑞龙生态农林开发有限公司 | Process for extract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nents of mulberr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4864A (en) | 2008-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2743B1 (en) | Mulberry Oil Extractor | |
KR101651064B1 (en) | Composition for inhibiting release of airway mucus secretion using cudrania tricuspidata | |
KR10202087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ld smoking meat or seafood | |
KR101852168B1 (en) | Red ginseng or black ginseng m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uting using the same | |
CN104327874B (en) | The method preparing pyroligneous liquor | |
CN108244594A (en) | A kind of Zanthoxylum essential oi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8115788B (en) | A kind of anti-artwork of woodwork | |
CN101024754A (en) | Natural resin extracting process and apparatus | |
CN103202476A (en) | Fresh bamboo juice extraction method | |
KR102336428B1 (en) | Distillation extraction equipment | |
CN104823822A (en) | Natural green bean sprout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CN106306129A (en) | Method for processing white tea | |
CN107746750A (en) | The preparation method of rosebud water | |
KR101017276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derived from mulberry trees | |
KR101150393B1 (en) | A method for extracting mulbery sap | |
US11812778B1 (en) | Green smoking tip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KR100476629B1 (en) | Instrument and method to extract active components from a plant using vapor treatment | |
JPH0647676B2 (en) | Pyrolysis equipment for wood and plants | |
CN105907474A (en) | A kind of essential oil extraction process and equipment | |
KR10163593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 water | |
CN109393346A (en) | A kind of soft dried beef production method and its equipment | |
JP7482168B2 (en) | Methods for processing plant material | |
CN205338596U (en) | Electric power rice steaming and baking pot | |
KR200322043Y1 (en) | Extractor for fine liquid | |
CN214654752U (en) | Essential oil extrac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