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1503B1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503B1
KR100881503B1 KR1020077006957A KR20077006957A KR100881503B1 KR 100881503 B1 KR100881503 B1 KR 100881503B1 KR 1020077006957 A KR1020077006957 A KR 1020077006957A KR 20077006957 A KR20077006957 A KR 20077006957A KR 100881503 B1 KR100881503 B1 KR 10088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ar
respect
governo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152A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5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5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된 기초대에는, 쉬브(sheave) 축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기초대에는, 승강로 내에 상하 방향으로 당겨진 조속기(調速機) 로프가 감긴 조속기 쉬브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상 위치로부터 트립(trip) 위치로 변위되는 플라이웨이트(flyweight)가 설치되어 있다. 쉬브 축에는, 쉬브 축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플라이웨이트의 통상 위치는, 조작 부재의 쉬브 축에 대한 변위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캠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조작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력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력 전달 부재는, 쉬브 축의 축선 방향에 대해 조작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와, 맞물림 부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 캠 부재에 따라서 안내되는 종동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SPEED GOVERNOR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調速機)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소정의 과속도에 이른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속기 쉬브에 설치된 플라이웨이트(flyweight)가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에는, 비상 멈춤 장치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감겨져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 속도가 제 1 과속도가 되면, 플라이웨이트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구동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고, 구동 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된다. 또, 조속기 쉬브의 회전 속도가 제 2 과속도가 되면, 플라이웨이트가 더욱 회동되어,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기구가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제동 기구의 동작에 의해, 조속기 로프가 제동되어, 조속기 로프의 제동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2001-10645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중에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설정을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조속기에 설정되는 과속도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통상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저속이 되는 승강로의 상부 및 하부를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고 있을 때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가 극단적으로 고속으로 될 때까지 조속기를 동작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기의 소형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완충기가 설치된 승강로의 피트(pit)부의 깊이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 또, 엘리베이터 칸의 지나침이나 뛰어오름을 허용하기 위한 오버헤드 치수도 커져 버려, 오버헤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설정 과속도를 용이하고 또한 보다 확실히 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기초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쉬브 축, 쉬브 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승강로 내에 상하 방향으로 당겨진 조속기 로프가 감기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 조속기 쉬브에 설치되고, 또한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보다 조속기 쉬브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트립(trip) 위치와의 사이를 조속기 쉬브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며,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상 위치로부터 트립 위치로 변위되는 플라이웨이트,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플라이웨이트의 트립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동작되어 조속기 로프를 구속하는 제동 기구, 쉬브 축에 대해서 조속기 쉬브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쉬브 축에 대한 회동에 의해 플라이웨이트를 변위시켜 통상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레버, 쉬브 축에 대해서 쉬브 축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 조작 부재와 조정 레버를 서로 연동시켜, 조작 부재의 변위를 조정 레버의 회동으로 변환하는 연동 기구,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캠 부재, 및 쉬브 축의 축선 방향에 대해 조작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와, 맞물림 부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 캠 부재에 따라서 안내되는 종동부를 가지고, 종동부의 캠 부재에 의한 안내에 의해 맞물림 부가 변위되어, 쉬브 축의 축선 방향으로 조작 부재를 변위시키는 조작력 전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속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제 1 과속도 및 제 2 과속도와 종단층에서부터 엘리베이터 칸까지의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속기 쉬브의 지름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조속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2)는, 구동 쉬브(2a)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2a)에는, 메인 로프(3)가 감겨져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메인 로프(3)에 의해 매달려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이 설치되고, 균형추(5)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한 쌍의 비상 멈춤 장치(7)가 탑재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과속도를 검출하여 각 비상 멈춤 장치(7)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속기(8)와, 조속기(8)의 근방에 설치된 회전이 자유로운 리턴 풀리(9)가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7), 조속기(8) 및 리턴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8) 및 리턴 풀리(9)에는, 승강로(1) 내에 상하 방향으로 당겨진 조속기 로프(10)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 부재(11)가 고정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의 하부에는 하부 고정 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0)의 상단부는, 스프링(탄성체)을 통하여 상부 고정 부재(11)에 접속되고, 조속기 로프(10)의 하단부는, 스프링(탄성체)을 통하여 하부 고정 부재(12)에 접속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10)는, 하부 고정 부재(12)로부터, 조속기(8) 및 리턴 풀리(9)의 순서로 감기고, 상부 고정 부재(11)에 이르러 있다. 조속기 로프(10)에는, 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장력이 주어져 있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조속기(8)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기초대(13)가 고정되어 있다. 기초대(13)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쉬브 축(14)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쉬브 축(14)에는, 조속기 로프(10)가 감겨진 조속기 쉬브(15)가 고정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5)는, 쉬브 축(14)과 일체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15)의 측면에는, 핀(1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웨이트(17)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라이웨이트(17)는, 핀(16)을 중심으로 한 회동에 의해, 통상 위치와, 통상 위치보다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트립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플라이웨이트(17)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통상 위치로부터 트립 위치로 회동된다. 각 플라이웨이트(17)는, 링크(1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17)의 일단부에는, 작동 폴(pawl)(19)이 고정되어 있다. 작동 폴(19)은,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로부터 트립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된다.
기초대(13)에는, 구동 장치(2)에의 급전(給電)을 정지하고, 또한 구동 장치(2)의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0)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정지용 스위치(20)는, 스위치 본체(21)와, 스위치 본체(21)에 설치되어, 작동 폴(19)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레버(22)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 레버(22)는, 플라이웨이트(17)가 통상 위치와 트립 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정지 동작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작동 폴(19)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플라이웨이트(17)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1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3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정지 동작 위치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2 과속도(통상은 정격 속도의 1.4배 정도)에 이르렀을 때에 트립 위치로 회동된다.
조속기 쉬브(15)에는, 핀(16)과 평행한 축(2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트립 레버(24)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17)에는, 트립 레버(24)의 일부가 맞닿아 있다. 트립 레버(24)는, 플라이웨이트(17)의 회동에 의해 축(2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축(23)에는, 트립 레버(24)를 플라이웨이트(17)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기초대(13)에는, 쉬브 축(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래치트(ratchet)(25)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래치트(25)는, 쉬브 축(14)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래치트(25)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톱니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핀(16)에는, 트립 레버(24) 및 래치트(25)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맞물림 폴(26)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폴(26)은, 도시하지 않는 당김 스프링에 의해 래치트(25)에 맞물림 하는 방향으로 가압 되어 있다. 맞물림 폴(26)은, 플라이웨이트(17)가 통상 위치에 있을 때는 트립 레버(24)와 맞물려 래치트(25)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 또, 맞물림 폴(26)은, 플라이웨이트(17)가 트립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트립 레버(24)와의 맞물림이 어긋나, 당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동되어 래치트(25)에 맞물린다.
또, 기초대(13)에는, 암(27)이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암(27)에는, 조속기 로프(10)를 통하여 조속기 쉬브(15)로 가압되는 슈(28)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암(27)의 선단부(27a)에는, 스프링 축(29)이 변위 가능하게 통해지고 있다. 스프링 축(29)의 일단부에는, 래치트(25)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된 접속 링크(30)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축(29)의 타단부에는, 스프링 베어링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암(27)의 선단부(27a)와 스프링 베어링 부재(31)와의 사이에는, 슈(28)를 조속기 로프(10)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래치트(25)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시에서의 맞물림 폴(26)과의 맞물림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암(27)은, 슈(28)가 조속기 쉬브(15)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조속기 로프(10)는, 슈(28)가 조속기 로프(10)를 통하여 조속기 쉬브(15)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조속기 로프(10)를 구속하기 위한 제동 기구(33)는, 트립 레버(24), 래치트(25), 맞물림 폴(26), 암(27), 슈(28), 스프링 축(29), 접속 링크(30), 스프링 베어링 부재(31) 및 가압 스프링(32)을 가지고 있다.
쉬브 축(14)에는, 쉬브 축(14)에 대해서 조속기 쉬브(15)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정 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레버(34)는, 쉬브 축(14)이 안쪽에 통해진 원통부(35a)를 포함한 레버 본체(35)와, 레버 본체(35)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조속기 쉬브(15)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36)이 설치된 회동 규제부(37)와, 레버 본체(35)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레버 본체(35)의 지름 방향 바깥 쪽으로 연장하는 레버편(38)을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15)의 측면에는, 긴 구멍(36)에 통해진 핀(39)이 고정되어 있다. 핀(39)은, 긴 구멍(36)의 길이 방향에 긴 구멍(36)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37)는, 조정 레버(34)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에 의해, 핀(39)에 대해서 슬라이드된다. 이것에 의해, 조정 레버(34)의 회동량은 규제된다.
레버편(38)은, 레버 본체(35)의 회동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의 원주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플라이웨이트(17)의 타단부와 레버편(38)과의 사이에는, 플라이웨이트(17)와 조정 레버(34)를 연결하는 연결체(40)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체(40)는, 플라이웨이트(17) 및 레버편(38) 사이에 접속된 신축 가능한 신축봉(41)과, 신축봉(41)에 설치되어,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플라이웨이트(17)를 가압하는 평형 스프링(42)을 가지고 있다.
플라이웨이트(17) 및 조정 레버(34)는, 연결체(40)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는, 조정 레버(34)의 회동에 의해 트립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통상 위치로부터 트립 위치로 변위될 때까지의 플라이웨이트(17)의 회동 각도(회동 거리)는, 조정 레버(34)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는, 조정 레버(34)의 회동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조속기(8)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3의 조속기(8)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쉬브 축(14)에는, 쉬 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43)는, 쉬브 축(14)을 둘러싸는 관(管)부(44)와, 관부(44)의 외주부에 설치된 판 모양의 디스크부(45)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부(45)는, 쉬브 축(14)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쉬브 축(14)과 레버 본체(35)와의 사이에는, 조작 부재(43)와 조정 레버(34)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 기구(46)는, 조작 부재(43)의 쉬브 축(14)에 대한 변위를 조정 레버(34)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으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연동 기구(46)는, 조작 부재(43)가 조속기 쉬브(1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가 트립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정 레버(34)를 회동시켜, 조작 부재(43)가 조속기 쉬브(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가 트립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정 레버(34)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동 기구(46)는, 조작 부재(43)와 일체로 된 변위체(47)와, 쉬브 축(1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 변위체(47)를 쉬브 축(1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제 1 안내부인 쉬브 축 측 스플라인(spline)부(48)와,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에,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레버 측 스플라인부(49)를 가지고 있다.
변위체(47)의 내주면에는,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에 끼워 맞춰진 내부 기어 스플라인부(50)가 설치되고, 변위체(47)의 외주면에는,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에 끼워 맞춰진 외부 기어 스플라인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변위체(47)는, 레버 본체(35) 및 쉬브 축(14)의 각각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위체(47)는, 쉬브 축(14) 및 원통부(35a)에 대하여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 및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의 각각의 톱니 선(tooth trace)은,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즉,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 및 레버 측 스플라인부(49)는, 경사 톱니의 스플라인부로 되어 있다. 또,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의 톱니 선의 경사 방향(비틀림 방향)은,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의 톱니 선의 경사 방향(비틀림 방향)과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또한,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의 톱니 선의 경사 각도(비틀림각)는,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의 톱니 선의 경사 각도(비틀림각)와 달라 있다.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해서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이 동시에 행해진다.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 방향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34)는, 변위체(47)가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 각도와, 원통부(35a)의 변위체에 대한 회동 각도와의 각도 차분(差分)만큼 쉬브 축(14)에 대해서 회동된다.
도 6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해서 경사진 조작용 안내 레일(캠 부재)(5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수평 방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과의 거리가 승강로(1)의 종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 엘리베이터 칸(4)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기초대(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동축(56)이 설치되어 있다. 기초대(13)에는, 회동축(5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조작 암(조작력 전달 부재)(57)이 지지되어 있다. 조작 암(57)은, 회동축(5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막대 모양의 암부(58)와, 암부(58)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 디스크부(45)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59)와, 암부(58)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의해 조작용 안내 레일(55)에 따라서 안내되는 종동 롤러(종동부)(60)를 가지고 있다. 회동축(56)에는, 암부(58)의 중간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암(57)은, 종동 롤러(60)가 조작용 안내 레일(55)에 따라서 안내되는 것에 의해, 회동축(56)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맞물림 부(59)는, 종동 롤러(6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1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종동 롤러(6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에 의해 조속기 쉬브(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43)는, 조작 암(57)의 회동에 의한 맞물림 부(59)의 변위에 의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조작 부재(43)는, 승강로(1) 내의 상부 및 하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 조속기 쉬브(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로(1)의 종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을 때 조속기 쉬브(1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기초대(13)에는, 쉬브 축(14)에 평행한 지지축(61)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61)에는, 링크 부재(6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62)의 선단부에는, 리턴 풀리(9)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9)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리턴 풀리 축(6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즉, 리턴 풀리(9)는, 지지축(61)을 중심으로 하는 링크 부재(62)의 회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고정된 비상 멈춤 틀(64)에 탑재되어 있다. 또, 각 비상 멈춤 장치(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대해서 접리 가능한 쐐기(65)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쐐기(65)를 안내하는 그리퍼 피스(gripper piece)(66)를 가지고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7)는, 쐐기(6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접촉하여 그리퍼 피스(66)와 가이드 레일(6)과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는 것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은, 각 비상 멈춤 장치(7)의 동작에 의해 강제적으로 제동된다. 또, 각 비상 멈춤 장치(7)의 동작은, 쐐기(6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의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비상 멈춤 틀(64)에는, 각 비상 멈춤 장치(7)를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축(67)이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 되어 있다. 연동축(67)은, 각 비상 멈춤 장치(7)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동축(67)의 양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쐐기(65)를 변위시키기 위한 비상 멈춤용 레버(6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동축(67)에는, 비상 멈춤용 레버(68)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멈춤용 레버(68)는, 서로 동기(同期)하여 연동축(67)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각 비상 멈춤용 레버(68)의 타단부에는, 쐐기(6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쐐기(65)는, 비상 멈춤용 레버(68)의 위쪽으로의 회동에 의해 그리퍼 피스(66)와 가이드 레일(6)과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비상 멈춤용 레버(68)의 중간 부분에는, 링크 부재(62)에 고정된 접속 부재(69)가 핀(70)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상 멈춤용 레버(68)는, 링크 부재(62)의 회동에 의해, 각 쐐기(6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각 비상 멈춤 장치(7)는, 링크 부재(62)가 위쪽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비상 멈춤 장치(7)의 동작은, 링크 부재(62)가 아래쪽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2)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인 엔코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엔코더는, 구동 쉬브(2a)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의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 제 1 과속도 및 제 2 과속도와 종단층에서부터 엘리베이터 칸(4)까지의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에는, 한쪽 및 다른 한쪽의 종단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가감속되는 가감 속도 구간과, 각 가감 속도 구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4)이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 운전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 제 1 과속도 및 제 2 과속도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의 변화에 의해, 통상 속도 패턴(71), 제 1 과속도 패턴(72) 및 제 2 과속도 패턴(73)의 각각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과속도 패턴(73)은 제 1 과속도 패턴(72)보다 큰 값으로 되고, 제 1 과속도 패턴(72)은 통상 속도 패턴(71)보다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 통상 속도 패턴(71), 제 1 과속도 패턴(72) 및 제 2 과속도 패턴(73)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 한 값이 되도록, 가감 속도 구간에서는 종단층에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는, 통상 속도 패턴(71)이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4)이 통상 속도 패턴(71)에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가감 속도 구간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조작용 안내 레일(55)은, 가감 속도 구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종단층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 1 및 제 2 과속도가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종동 롤러(60)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과속도는 제 1 과속도 패턴(72)에 따라서 변화하고, 제 2 과속도는 제 2 과속도 패턴(73)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이 정속 구간 내를 이동하고 있을 때는, 종동 롤러(60)가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정치(定置)되어 있고, 제 1 과속도 및 제 2 과속도의 각각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이 가감 속도 구간 내를 종단층으로 향하여 이동되고 있을 때는, 조작용 안내 레일(55)의 안내에 의해, 종동 롤러(60)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암(57)이 회동축(56)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맞물림 부(59)가 조속기 쉬브(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종동 롤러(60)의 변위량에 따라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43)는, 맞물림 부(59)의 변위량에 따라, 조속기 쉬브(15)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쉬브 축(14)에 대해서 변위된다.
조작 부재(43)가 조속기 쉬브(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면, 조정 레버(34)는,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가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조작 부재(43)의 변위량에 따라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플라이웨이트(17)의 통상 위치가 조정 레버(34)의 회동량에 따른 양만큼 정지 동작 위치 및 트립 위치에 가까워져,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따라 작아진다.
엘리베이터 칸(4)이 종단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감 속도 구간 내를 이동하고 있을 때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이 이루어져,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따라 커진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통상 속도 패턴(71)에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이동한다. 이 때, 플라이웨이트(17)는,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해, 정지 동작 위치까지는 변위되지 않는 정도의 원심력을 받고 있다.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1 과속도 패턴(71)의 값에 이르렀을 때에는, 플라이웨이트(17)가 정지 동작 위치까지 회동되며, 스위치 레버(22)가 작동 폴(19)에 의해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장치(2)로의 급전(給電)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정지되고,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되어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된다.
예를 들면 메인 로프(3)이 파단했을 경우 등, 구동 장치(2)가 정지하여도, 엘리베이터 칸(4)이 정지하는 일 없이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제 2 과속도 패턴(73)의 값에 이르렀을 때에는, 플라이웨이트(17)가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더욱 회동되어, 트립 위치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 폴(26)은, 트립 레버(24)와의 맞물림이 어긋나 회동되고, 래치트(25)에 맞물림 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트(25)가 조속기 쉬브(15)의 회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래치트(25)의 회전력은, 접속 링크(30), 스프링 축(29), 스프링 베어링 부재(31) 및 가압 스프링(32)을 통하여 암(27)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암(27)이 회동되고, 슈(28)는, 조속기 로프(10)에 접촉한 후에, 가압 스프링(32)에 의해 조속기 로프(11)에 밀어 붙여진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10)가 조속기 쉬브(15)와 슈(28)와의 사이에서 구속된다.
조속기 로프(10)가 구속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을 계속함으로써, 조속기 로프(10)가 아래쪽으로 당겨져, 리턴 풀리(9)가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링크 부재(62)가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된다.
링크 부재(62)가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동되면, 공통의 연동축(67)에 고정된 각 비상 멈춤용 레버(68)가 동시에 위쪽으로 회동되고, 각 쐐기(65)가 그리퍼 피스(66)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쐐기(65)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과 그리퍼 피스(66)와의 사이에 맞물려 들어가고, 각 비상 멈춤 장치(7)가 동작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제동력이 주 어져, 엘리베이터 칸(4)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복귀시에는, 조속기 로프(10)의 구속을 해제하여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각 비상 멈춤 장치(7)의 동작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조작용 안내 레일(55)이 승강로(1) 내에 설치되고, 조작 암(57)은,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 조작 부재(43)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59)와, 맞물림 부(59)에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의해 조작용 안내 레일(55)에 따라서 안내되는 종동 롤러(60)를 가지고, 종동 롤러(60)의 조작용 안내 레일(55)에 의한 안내에 의해 맞물림 부(59)가 변위되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조작 부재(43)을 변위시켜,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쉬브(15)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따라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 에너지에 의해서 조작 부재(43)가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전시에 있어서도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를 보다 확실히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용 안내 레일(55)의 설치 위치 및 경사 방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종단층 근방에 설치된 가감 속도 구간에서는,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를 종단층으로 향하여 작게 할 수 있고, 정속 구간에서는, 제 1 및 제 2 과속도의 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단층 근방에서는, 정속 구간보다 제 1 및 제 2 과속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4)의 비상 정지시의 제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피트부에 설치된 완충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피트부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의 지나침이나 뛰어오름을 허용하기 위한 오버헤드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승강로(1)의 높이 방향의 치수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에는, 조속기 로프(10)가 감겨진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리턴 풀리(9)와, 리턴 풀리(9)의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한 변위에 의해 동작되는 한 쌍의 비상 멈춤 장치(7)가 탑재되어 있고, 리턴 풀리(9)는, 제동 기구(33)에 의한 조속기 로프(10)의 구속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속기(8)의 동작을 각 비상 멈춤 장치(7)에 의해 확실히 전달할 수 있고, 각 비상 멈춤 장치(7)를 보다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다.
또, 연동 기구(46)는, 조작 부재(43)와 일체로 이루어진 변위체(47)와, 쉬브 축(1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 변위체(47)를 쉬브 축(14)에 대해 회동시키는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와, 조정 레버(34)의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해 변위되었을 때에,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레버 측 스플라인부(49)를 가지고 있으므로,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대해서 쉬브 축 측 스플라인부(48) 및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에 의해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조속기 쉬브(1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나 진동에 의해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변위체(47)는, 톱니 선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쉬브 측 스플라인부(48)에 의해 쉬브 축(14)에 대해서 스플라인 결합되어, 톱니 선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레버 측 스플라인부(49)에 의해 원통부(35a)에 대해 스플라인 결합되고 있으므로,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변위체(47)를 쉬브 축(14)에 대해서 보다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으며,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서 보다 확실히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변위체(47)의 원통부(35a) 및 쉬브 축(14)에 대한 결합은, 함께 스플라인 결합으로 되어 있지만,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변위체(47)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결합이면 스플라인 결합으로 한정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 도 12는, 도 11의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조속기 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변위체(47)에는, 조속기 쉬브(15)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핀(81)이 관통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핀(81)은, 변위체(47)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제 1 돌출부(81a)와, 변위체(4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제 2 돌출부(81b)를 가지고 있다.
쉬브 축(14)의 외주면에는, 제 1 돌출부(81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쉬브 축 측 홈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쉬브 축 측 홈부(82)는, 쉬브 축(14)의 축 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 1 돌출부(81a)는,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쉬브 축 측 홈부(82)에 따라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변위체(47)는, 쉬브 축(14)에 대해 회동되면서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다.
원통부(35a)의 내주면에는, 제 2 돌출부(81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레버 측 홈부(83)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 측 홈부(83)는, 쉬브 축 측 홈부(82)의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 2 돌출부(81b)는,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체(47)의 변위에 의해, 레버 측 홈부(83)에 따라서 안내된다. 원통부(35a)는,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쉬브 축 측 홈부(82)에 의한 변위체(47)의 회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체(47)에 대해서 회동된다.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한 쉬브 축 측 홈부(82)의 경사 각도는,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에 대한 레버 측 홈부(83)의 경사 각도와 달라 있다. 변위체(47)가 쉬브 축(14)에 대해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이 동시에 행해진다.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한 회동 방향과, 원통부(35a)의 변위체(47)에 대한 회동 방향은, 서로 역방향이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34)는, 변위체(47)가 쉬브 축(14)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 변위체(47)의 쉬브 축(14)에 대하는 회동 각도와, 원통부(35a)의 변위체에 대한 회동 각도와의 각도 차분만큼 쉬브 축(14) 및 조속기 쉬브(15)에 대해서 회동된다.
또한, 조작 부재(43)와 조정 레버(34)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84)는, 변위체(47), 슬라이드 핀(81), 쉬브 축 측 홈부(82) 및, 레버 측 홈부(83)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변위체(47)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돌출부(81a)를 안내하는 것에 의해 변위체(47)를 쉬브 축(14)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쉬브 축 측 홈부(82)가 쉬브 축(14)에 설치되고, 변위체(4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81b)를 안내하는 것에 의해 원통부(35a)를 변위체(47)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레버 측 홈부(83)가 원통부(35a)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동 기구(84)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쉬브 축 측 홈부(82)가 쉬브 축(14)에 설치되어 있지만, 쉬브 축 측 홈부(82)를 긴 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레버 측 홈부(83)가 원통부(35a)에 설치되어 있지만, 레버 측 홈부(83)를 긴 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또, 각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안내 레일(55)이 가감 속도 구간에만 설치되고, 정속 구간에 있어서는 종동 롤러(60)가 레일에 의해 안내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 안내 레일을 정속 구간에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가감 속도 구간에 있을 때는 조작용 안내 레일(55)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이 정속 구간에 있을 때는 평행 안내 레일에 따라서, 종동 롤러(60)를 각각 안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조속기 쉬브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된 기초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쉬브(sheave) 축,
    상기 쉬브 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승강로 내에 상하 방향으로 당겨진 조속기 로프가 감기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조속기(調速機) 쉬브,
    상기 조속기 쉬브에 설치되고, 또한 통상 위치와, 상기 통상 위치보다 상기 조속기 쉬브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트립(trip)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조속기 쉬브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조속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트립 위치로 변위되는 플라이웨이트(flyweight),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플라이웨이트의 상기 트립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를 구속하는 제동 기구,
    상기 쉬브 축에 대해서 상기 조속기 쉬브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쉬브 축에 대한 회동에 의해 상기 플라이웨이트를 변위시켜 상기 통상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레버,
    상기 쉬브 축에 대해서 상기 쉬브 축의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조작 부재,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조정 레버를 서로 연동시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를 상기 조정 레버의 회동으로 변환하는 연동 기구,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캠 부재, 및
    상기 쉬브 축의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조작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부와, 상기 맞물림 부에 연결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 상기 캠 부재에 따라서 안내되는 종동부를 가지고, 상기 종동부의 상기 캠 부재에 의한 안내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가 변위되어, 상기 쉬브 축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조작 부재를 변위시키는 조작력 전달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조속기 로프가 감겨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변위 가능한 리턴 풀리(return pulley)와, 상기 리턴 풀리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변위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가 탑재되고 있으며,
    상기 리턴 풀리는, 상기 제동 기구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가 구속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조작 부재와 일체로 이루어진 환상(環狀)의 변위체와, 상기 쉬브 축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위체가 상기 쉬브 축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쉬브 축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조정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체가 상기 쉬브 축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안내부에 의한 상기 변위체의 회동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상기 조정 레버를 상기 변위체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제 2 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2 안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톱니 선이 상기 쉬브 축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스플라인(spline)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변위체는, 상기 스플라인부에 의해, 상기 조정 레버 및 상기 쉬브 축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서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2 안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상기 쉬브 축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홈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변위체에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KR1020077006957A 2007-03-27 2004-12-27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8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957A KR100881503B1 (ko) 2007-03-27 2004-12-27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6957A KR100881503B1 (ko) 2007-03-27 2004-12-27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52A KR20070069152A (ko) 2007-07-02
KR100881503B1 true KR100881503B1 (ko) 2009-02-05

Family

ID=3850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9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1503B1 (ko) 2007-03-27 2004-12-27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54A (ja) 1999-10-05 2001-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03091142A1 (en) 2002-04-24 2003-1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verspeed governor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JP2004136986A (ja) 2002-10-15 2004-05-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54A (ja) 1999-10-05 2001-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03091142A1 (en) 2002-04-24 2003-11-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verspeed governor apparatus for elevator system
JP2004136986A (ja) 2002-10-15 2004-05-1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152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06014B2 (ja) 調速装置
US8950554B2 (en) Elevator governor
JP5472311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JP5735504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JP474533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WO2012086026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JP4292215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装置
EP2617672B1 (en) Speed governor for elevator
EP1798183B1 (en) Elevator apparatus
WO2013132587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7137484B2 (en)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EP2490971B1 (en) Unintended movement governor and elevator
JP2002120979A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KR10088150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JP515764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N204823557U (zh) 限速器
KR1008161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84531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JPWO2013132587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