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1436B1 -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436B1
KR100881436B1 KR1020057004604A KR20057004604A KR100881436B1 KR 100881436 B1 KR100881436 B1 KR 100881436B1 KR 1020057004604 A KR1020057004604 A KR 1020057004604A KR 20057004604 A KR20057004604 A KR 20057004604A KR 100881436 B1 KR100881436 B1 KR 10088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nnecting pieces
implant
central axi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368A (ko
Inventor
다니엘 바움가르트너
Adrian Burri
끌로드 마티유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to KR102005700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4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61F2/4425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made of articulate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301Three-dimensional shapes saddl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62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 A61F2002/30364Rotation about the common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62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 A61F2002/30369Limited lateral translation of the protrusion within a larger re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4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tegral complete or partial collar or fl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21Features concerning the anatomical functioning or articulation of the prosthetic joint
    • A61F2002/30624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61F2002/30632Hinged joint, e.g.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with rotation-limiting stops, e.g. projections or re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41Sharp anchoring protrusions for impaction into the bone, e.g. sharp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61F2002/30891Plurality of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904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serrated profile, i.e. saw-tooth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179Ceramics or ceramic-like 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척추간 임플란트에 있어서, (A) 각각의 중심축(1)(26)이 구비되고, 각각 중심축(1)(26)을 가로지르는 굴곡의 미끄럼면(6)(7)이 구비되며, 각각 뼈에 연결이 가능한 최외단부(14)(15)가 구비되는 두 개의 관절부(4)(5)를 포함하고;
(B) 상기 미끄럼면(6)(7)은 곡면을 이루고 있고 서로 이동이 가능하며,
(D)상기 제 2 관절부(5)는 제 1 관절부에 상호적인 비대칭의 회전축(10)(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척추간 임플란트.
임플란트, 대퇴골, 새들형태, 회전축, 원호, 톱니, 전단운동

Description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IMPLANT COMPRISING A TWO-PIECE JOI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의 서문에서 정의된 척추간의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대퇴골 말단과 슬개골 사이나, 또는 손뼈와 지절말단 사이와 같은 인체관절들에 대해 살펴보면, 하나 또는 몇 개의 관절축에 대해서 이미 관절로 이어진 것은 허용하는 반면에 공간적으로 가능한 다른 모든 축에 대한 연결이나 회전은 제한하거나 전적으로 배제시키는 관절들이 있다. 한편으로, 여러 개의 회전축 결합(joint)을 가지는 임플란트는 척추간 임플란트 또는 척추간판 사이의 내부 인공기관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수개의 손상된 원래 인체(natural)의 척추간판은 손상된 척추간판 핵과 함께 제거될 것이다. 또한, 상기 척추간판과 척추간판 핵은 임플란트 또는 인공기관을 두 개의 인접한 척추사이에 끼워 넣음으로 해서 대체될 것이다. 이러한 시술의 목적은 손상된 척추를 가장 자연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복구 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원래의 척추간판 높이와 두 개의 인접한 척추사이의 공간을 복구시키는 것이다. 아마 앞으로 자연스러운 운동범위 내에서, 임플란트 또 는 인공기관에 의한 퇴화 없는 척추 대체물이 나올 것이다. 이러한 요구는 전후 기울기에 대한 자연적인 제한 안에서 가능하다. 즉, 척추의 측면으로의 굽힘 뿐만 아니라 척추를 휨 또는 인장함에 있어 이동능력을 달성해야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서로 관련된 인접 척추의 특별한 위치의 변화는 생리적인 변위의 범위 안에서 잘 맞아야 한다.
미국 특허 6,368,350(에릭슨, Erickson)은 척추판을 대체하는 임플란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지의 임플란트는 기본적으로 상기 임플란트 각각의 말단부에 두개의 관절부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절은 볼록 관절부와 이와 상호보완적인 특별한 관절면을 포함하는 오목 관절부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관절부는 서로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은 하나의 평면에 위치하고, 측면 척추 굽힘의 회전축에 대해서나 또는 척추의 굽힘 내지 인장을 위한 또 다른 회전축에 대해서 제한이 없다. 더욱이 인접 척추들의 종방향 회전이 무제한 적으로 허용된다. 종래기술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관절면이 타원형이다. 그 결과 회전축은 측면 척추 굽힘의 회전축에 대해서나 또는 척추의 굽힘 내지 인장을 위한 또 다른 회전축에 대해서 역시 제한을 가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두 개의 관절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만드는 것이고, 상기 임플란트는 서로간에 비대칭 적이고, 한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두 개의 회전축을 포함한다. 그 결과, 척추간판의 절제 수술에 의하여 인접 척추골의 대체물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라는 수단에 의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추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상호 면접하는 미끄럼면을 가지는 두 개의 관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면은 관절부가 회전함에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각각의 관절부는 두 개의 인접한 뼈의 경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동축인 중심축을 포함한다. 상기 종방향 중심축은 인체가 정립한 상태 즉, 관절부가 상호 비스듬하지 않은 때인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이하 '안정상태'라 칭한다.)에서 서로 일치한다. 더욱이 상기 관절부는 축방향으로 각각 뼈와 결합할 수 있는 최외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가 척추내 임플란트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 상기 말단부는 인접한 척추골과 연결될 수 있다. 미끄럼면은 관절부의 중심축을 횡단하고 관절부가 회전할 때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것이며, 제 2 관절부는 제 1 관절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하여 두 개의 상호 비대칭적인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 1 관절부는 고정적이라고 가정하고 제 2 관절부는 이동가능하다고 가정한다. 결과적으로 다른 회전축들은 제 1 관절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제 2 관절부에 대해 정치된다.
본질적으로 임플란트, 특히 본 발명의 척추간 임플란트, 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제공된다:
- 척추의 휨 또는 인장시 및/또는 측면으로의 휨운동시에 회전중심의 위치가 생리기능(physiology)과 잘 조화된다.
- 미끄럼면은 실질적인 마찰없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며 상호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힘과 회전력은 상응하는 지렛대를 만듦으로써 가능한 한 최소화 된다.
-척추의 경축에 대한 비틀림 운동은 버팀대(bracing)에 의해 방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끄럼면은 새들형태이고 각각 새들중심점을 포함한다. 새들형태의 미끄럼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두 개의 표면점은 관절부의 크기에 의해 경계지워지는 표면점 P의 부근에서 발견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의 표면점은 표면점 P를 통과하는 접면의 서로 다른 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의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00°사이의 각도로 서로 교차한다. 예를 들어 이 형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축 중의 하나가 척추의 측면 굽힘에 대한 축방향과 평행하거나 동축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다른 회전축은 척추의 굽힘 또는 인장축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동축으로 진행하는 상황에서 척추간 임플란트가 이식 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은 최소한의 거리 A만큼 떨어져 있으며 A는 0.1과 20mm 사이이고 바람직하게는 2와 20mm 사이가 된다. 거리 A는 척추에서 본 발명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위치 및 요추의 체절 높이에 따라 좌우되며, 따라서 흉부쪽 척추방향으로 갈수록 거리 A는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끄럼면은 각 회전축에 대한 제 2 관절부의 회전에 따라서 제 2 새들중심점이 회전축과 동심인 원호를 따라 움직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미끄럼면의 새들형태의 구성은 관절부가 이 부분들의 중심축에 대해서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관절부가 축상에서 서로 연관되어 회전할 때, 앞의 두 개 관절부는 축상에서 서로에게 멀어지게 이동하고 그 결과 축방향의 회전은 임플란트 높이의 연속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척추의 인대, 근육, 힘줄에서의 일정한(constant) 압축력때문에 관절부는 제한된 정도(각도)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은 요추에서도 작은 관절과 같은 배면요소의 회전때문에 생리학(physiological)적으로 유사하게 적용되며, 제한된 범위에서의 축에 대한 회전만을 허용한다.
관절부의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미끄럼면들이 일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미끄럼면을 일치하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척추내 임플란트의 높이에 변화가 없으면 척추의 종방향에 대한 비틀림을 방지한다. 상기 척추내 임플란트의 이동 간에 척추내 임플란트의 높이가 변화함에 따라, 인대가 인장 될 것이고, 이에 의해 척추의 비틀림은 방지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면, 관절부 각각의 최외단부는 뼈나 척추와 인접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가 척추내 임플란트일 때, 상기 연결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을 횡단하는 축상에서 최외단면을 포함하는 각각의 덮개판이다. 이때 상기 표면에는 톱니나 지느러미 형상과 같은 3차원적인 형상이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덮개판중의 하나는 인접하는 관절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척추내 임플란트의 형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는, 덮개판중 하나에는 가이드나 홈을 포함한다. 이는 인접한 관절부의 중심축에 수직이고 가이드에 상보적인 인접한 관절부의 배면 말단으로 삽입가능하다. 이 구조가 제공하는 장점으로 첫째는, 제 1 관절부에 얹혀진 두 개의 덮개판은 연대적으로 인접한 척추골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윗판은 인접한 척추골의 표면 말단에 대해 압력을 받을 수 있어, 끝부분에서만 제 2 관절부가 제 1 관절부와 제 2 덮개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척추골은 임플란트가 이식되는 동안에 최소의 마찰을 받는다. 두 번째로, 삽입 이후에 관절부는 상기 삽입의 결과로서 제 2 덮개판에 부착된다.
적용하기에 따라서, 관절부는 금속/금속의 한 쌍일 수 있다. 더욱이 세라믹도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고, 충격은 척추골 사이의 척추내의 큰 압축력 때문에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더 구체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관절부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 결과를 살펴보면:
- 수행능력의 실험결과가 알려진 관절 대체물질의 조합으로서 고도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거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과 코발트/크롬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미끄럼면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마찰이 작다.
-중심축에 대한 관절부의 회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관절부중의 하나는 중심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연결장치(즉, 덮개판)에 수용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관절부의 최외단부는 중심축과 동축상의 상보적인 홈에 고정되고, 적절한 연결장치(즉, 덮개판)에 위치한다. 반대로 연결장치에는 중심축과 동축인 상단부를 구비할 수 있고, 관절부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두 인접 척추의 비틀림 운동이 임플란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관절부는 연관된 연결장치(즉, 덮개판)에 대해서 중심축방향으로 평행한 이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관된 연결장치(즉, 덮개판)는 관절부의 최외단부의 상보적인 홈을 둘러싸는 반면 관절부 말단의 최외단부에는 중심축과 동축으로 구성된 확장부 말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관된 연결장치(즉, 덮개판)는 상기의 확장부를 수용하기 위해 홈에 맞춰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이러한 구성은 임플란트와 인접한 두 개의 척추골 사이에서 단일축상의 전단운동을 허용하며, 이러한 전단 운동은 구속되지 않는다. 척추상의 전단운동은 상기 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관절부의 하나는 연관된 연결장치(즉, 덮개판)에 수용되며, 이는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상에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관절부의 최외단부는 이에 대응하는 연결장치에 마련된 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 형태는 임플란트와 인접한 척추의 응력작용을 몇 개의 축에 대해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더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상기 발명에서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는 몇몇의 설명된 실시예의 부분적 모식도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a 는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관절부인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 는 도 1에서 보인 상기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도 1c 는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관절부를 나타내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인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d 는 도 1c에서 보인 상기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관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척추간 임플란트 형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도 4b 는 도 4a에서 보인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는 덮개판에 고정되고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관절부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a 는 중심축에 수직인 면에 있어 치환 가능한 관절부를 가진 본 발명에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에서 보인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형태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7a 는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치환 가능한 관절부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에서 보인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 는 제 1 관절부와 제 2 관절부의 결합(joint)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1b 는 제 1, 2관절부(4)(5)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관절부(4)는 제1중심축(1)과 상기 제 1 중심축(1)을 가로지르는 제 1 미끄럼면(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1 미끄럼면(6)은 새들형태이고 제 1 새들중심점(saddle point)(8)을 가진다. 제 1 관절부(4)와 유사하게, 제 2 관절부(5)는 제 2 중심축(26)을 가지고 있고 제 2 미끄럼면(7)은 상기 제 2 중심축(26)을 가로지른다. 제 2 미끄럼면(7) 역시 새들형태이고 새들중심점(9)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관절부(4)(5)는 뼈의 말단면에 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외단부(14)(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뼈의 말단면은 특히 인접한 척추뼈를 말한다. 상기 회전축(10)(11)의 돌출부는 상기 중심축(1)에 대하여 직각인 평면상에서 90°로 교차한다. 위와 같은 상기 미끄럼면(6)(7)의 구조에서, 상기 거리 A 의 최단거리는 상기 두 회전축(10)(11)의 수직거리이다. 도 1a 및 1b 에 있어서, 제 2 관절부(5)는 제 1 회전축(10)(도 1b)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다. 제 2 관절부(5)가 반지름이 R1이고 제 1 회전축(10)과 동심인 원호를 따라 β°로 회전하는 동안 제 2 새들중심점(9)은 이동된다.
도 1c 및 도 1d 는 도 1a 및 도 1b에서 보인 상기 실시예의 관절부(4)(5)를 나타내고 있고, 제 2 관절부(5)는 제 2 회전축(11)(도 1c)을 중심으로 α°로 회전되어 있다. 상기 관절부(5)가 제 2 회전축(11)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제 2 새들중심점(9)은 제 2 회전축(11)과 동심이고 R2의 반지름을 가진 원호를 따라 이동된다.
도 2는 새들형태의 미끄럼면(6)을 가진 제 1 관절부(4)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두 개의 회전축(10)(11)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가 신체의 직립과 대응하여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 관절부(4)의 중심축(1)은 제 2 관절부(5)의 중심축(26)과 일치한다(도 1).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에서 상기 회전축(10)(11)은 상기 중심축(1)에 대하여 수직이고, 상기 평면(23)(22)에 놓여있다. 상기 제 1 회전축(10)은 상기 중심축(1)과 상기 제 2 회전축(11)의 교차면으로 정의되는 제 1 평면을 수직으로 가로지른다. 제 2 회전축(11)은 제 1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고, 상기 중심축(1)과 제 1 회전축(10)의 교차면으로 정의되는 제 2 평면(23)을 수직으로 가로지른다.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에서, 제 1 미끄럼면(6)의 제 1 새들 중심점(8)은 상기 중심축(1)과 두 원호 (24)(25)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이때, 안정상태(the rest position)의 관절부(4)(5) 중심은 상기 중심축(1)과 각각의 회전축(10)(11)이 교차하는 점이 된다. 상기 제 1 미끄럼면(6)은, 한편으로는 제 1 회전축(10)과 동축인 상기 제 1 원호(24)를 따라 빈틈없이(tightly)운동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회전축(11)과 동축인 상기 제 2 원호(25)를 따라 운동한다. 상기 미끄럼면들(7)(8)이 합동이고, 상기 미끄럼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두 회전축(10)(11)사이의 거리 A 의 절반과 동일한 경우에, 제 1 원호(24)의 반지름인 R1 과 제 2 원호(25)의 반지름인 R2는 동일하다.
상기 미끄럼면은 도넛조각 형태의 표면이 상호 보완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은 척추간 임플란트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최외단부(14)(15)에서, 상기 두 개의 관절 연결부(4)(5)는 중심축(1)(26)방향으로 축방향 최외각부이고, 중심축(1)(26)을 가로질러 형성된 표면(16)(17)을 가진 각각의 덮개판(12)(1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16)(17)은 척추의 말단면들에 대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12)(13)은 각각 두 개의 측단면(27)과, 하나의 전단면(28) 그리고 하나의 배단면(29)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단면(27)은 기본적으로 제 1 회전축(10)에 대하여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전단면(28)과 배단면(29) 모두는 기본적으로 제 2 회전축(11)에 평행하게 구비된다. 제 2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4)(5)는 상기 임플란트에 연결된 상기 척추골의 휨과 각각의 인장이 가능한 반면에 제 1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4)(5)는 상기 임플란트에 연결된 척추골의 측면 휨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손상되어 제거된 척추골과 인접한 척추골 사이에 구비된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에서, 제 2 덮개판(13)은 중심축을 수직으로 가로지르고, 측단면(27)과 평행하며 하부가 개방된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면에 제 1 덮개판은 제 1 관절부(4)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과, 제 2 관절부(5)는 상기 가이드(20)와 상보적으로 구성된 최외단부(15)와 함께 상기 가이드(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인접한 척추에 기본적인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하여 톱니 또는 지느러미(19)형상의 부위가 상기 덮개판(12)(13)의 최외각면(16)(17)에 구비된다.
도 4a 및 4b 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와 단지 톱니 또는 지느러미형상의 부위가 제외되고, 관절부(4)(5)가 회전축에 대하여 α° 내지 β°로 회전각이 제한되었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도 4a 는 상기 임플란트를 내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회전축(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 는 상기 임플란트를 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평행축(11)과 평행한 방향으로 도시된 것이다. 회전각 α°와 β°의 제한은 상기 관절부(4)(5)에서 HL,HA,HP,R1,R2,h1 및 h2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되어진다. 여기서, 회전각 α°와 β°가 최대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관절부(4)(5)의 다른 관절부(4)(5)를 향하고 있는 그 말단(32)(33)(34)은 상기관절부(4)(5)의 맞은편에 상기 덮개판(12)(13)의 상기 내부표 면에 얹혀있을 것이다.
이때, HL은 제 1 새들중심점(8) 과 제 2 관절 결합(joint)부(5)를 향하고있는 제 1 관절 결합(joint)부의 상기 내부단부 사이의 높이를 나타내고,
HA는 제 2 새들 중심점(9)과 제 1 관절부(4)를 향하고 있는 제 2 관절부(5)의 상기 전방단부 사이의 높이를 나타내며,
HP는 제 2 새들 중심점(9)과 제 1 관절부(4)를 향하고 있는 제 2 관절부(5)의 상기 후방단부 사이의 높이를 나타내고,
R1은 상기 제 1 회전축(10)에 대하여 수직이고 제 1 새들 중심점(8)을 포함하는 제 1 평판(22)(도 2)에서의 제 1 미끄럼면(6)의 반지름이며,
R2은 상기 제 2 회전축(11)에 대하여 수직이고 제 2 새들 중심점(9)을 포함하는 제 2 평판(23)(도 2)에서의 제 2 미끄럼면(7)의 반지름이고,
h1은 제 1 새들 중심점(8)과 제 1 덮개판(12)의 상기 내부표면(31) 사이의 거리이며,
h2는 제 2 새들 중심점(9)과 제 2 덮개판(13)의 상기 내부표면(30) 사이의 거리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5에서 보인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와는 제 1 관절부(4)의 최외단부(14)가 중심축과 동축인 덮개판(12)에 구비된 홈(37)에 상호보완적으로 이동된 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결과, 제 1 관절부(4)는 상기 덮개판(12)에 조립되기 위해 중심축(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에서 보인 실시예와 상기 홈(37)이 중심축에 대하여 제 1 관절부의 최외단부(14)보다 더 큰 지름으로 구비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이 결과, 제 1 관절부(4)는 중심축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덮개판(12)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7a 내지 도 7b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에서 보인 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상기 홈(37)이 중심축(1)에 대하여 수직인 변위축(40)에 대하여 평행한 타원형태로 구비되고, 상기홈(37)은 빈 공간(39)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관절부의 최외단부(14)는 중심축(1)과 동축인 상기 빈 공간(39)에 위치하게 될 확장부(38)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결과, 제 1 관절부(4)는 한편으로 변위 축(40)과 평행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관절부(4)가 중심축(1)과 상대적인 위치에서 상기 빈 공간(39)이 포함된 상기 확장부에 의해 축방향으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Claims (18)

  1. 각각 중심축(1)(26)이 구비되고, 각각 중심축(1)(26)을 가로지르는 제1미끄러짐면(6)과 제2미끄러짐면(7)이 구비되며, 각각 뼈에 연결이 가능한 최외단부(14)(15)가 구비되는 제1관절부(4) 및 제2관절부(5)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곡면을 이루고;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상호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미끄러짐면(7)은 제1관절부(4)에 대하여 비대칭의 회전축(10)(1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두 관절부(4)(5)의 최외단부(14)(15)에는 각각 연결장치(2)(3)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장치(2)(3)에는 중심축(1)(26)과 동일축선상의 인접한 각각의 관절부(4)(5)의 최외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타원형의 홈(3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홈(37)은 축선말단(14)(15)의 빈 공간(39)을 포함하고, 즉 인접한 관절부(4)(5)의 최외단부는 중심축(1)(26)과 동축의 확장부(38)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빈 공간(39)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새들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각각 새들중심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11)은 서로 80°내지 100°사이의 각으로 교차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11)은 최단거리 A로 떨어져 있고, 상기 최단거리 A는 0.1내지 20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A는 2mm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각각 제1새들중심점(8)과 제2새들중심점(9)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관절부(5)가 각각의 회전축(10)(1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2 새들중심점(9)은 상기 회전축과 동축인 원호(12)(14)를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미끄러짐면(6)(7)은 상기 두 관절부(4)(5)의 중심축(1)(26)과 동일축의 시작점에서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2)(3)는 덮개판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덮개판(12)(13)은 상기 중심축(1)(26)을 가로지르는 축선상의 최외단면(16)(1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2)(13)중 하나는 인접하는 상기 제2관절부(5)와 일체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중 하나(12)에는 중심축(1)과 수직인 가이드(20)가 구비되고, 상기 인접한 제1관절부(4)는 상기 가이드(20)를 삽입할 수 있는 배면부 말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관절부(4)(5)중 하나는 상기 연관된 연결장치(2)(3)에 조립되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의 중심축(1)(26)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관절부(4)(5)중 하나는 상기 연관된 연결장치(2)(3)에 조립되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의 중심축(1)(26)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관절부(4)(5)중 하나는 상기 연관된 연결장치(2)(3)에 조립되기 위하여 상기 관절부의 중심축(1)(26)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서 이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관절부(4)(5)중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관절부(4)(5)중 적어도 하나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57004604A 2005-03-17 2002-09-18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KR10088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4604A KR100881436B1 (ko) 2005-03-17 2002-09-18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4604A KR100881436B1 (ko) 2005-03-17 2002-09-18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368A KR20050090368A (ko) 2005-09-13
KR100881436B1 true KR100881436B1 (ko) 2009-02-10

Family

ID=3727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604A KR100881436B1 (ko) 2005-03-17 2002-09-18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4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350B1 (en) * 1999-03-11 2002-04-09 Sulzer Spine-Tech Inc.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8350B1 (en) * 1999-03-11 2002-04-09 Sulzer Spine-Tech Inc.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368A (ko) 200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0648B2 (ja) 2部から成る関節を有するインプラント
KR100918925B1 (ko) 3-부품 관절을 포함하는 추간 삽입물
KR100975379B1 (ko) 유니버셜 조인트 형태로 장착된 조인트 요소를 갖는 추간판이식물
US9463051B2 (en) Facet joint prosthesis
AU680559B2 (en) Joint prosthesis enabling rotary circumduction
AU778410B2 (en) Intervertebral stabilising device
US8202322B2 (en) Dynamic six-degrees-of-freedom intervertebral spinal disc prosthesis
JP4382501B2 (ja) 自然な運動機能を有する代替人工椎間板
US9060871B2 (en) Total disc replacement device
CA2298652A1 (en) Multiple axis intervertebral prosthesis
JP2007506444A (ja) 一時的遮断手段を有する椎間インプラント
JP2007508859A (ja) 円板置換装置
US20050187633A1 (en) Modular artificial disc replacements (ADRS) that allow translocation and axial rotation
KR100881436B1 (ko) 두 개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US20240335296A1 (en) Minimally invasive compliant devices for total lumbar disc re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5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