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0270B1 -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 Google Patents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270B1
KR100880270B1 KR1020080034855A KR20080034855A KR100880270B1 KR 100880270 B1 KR100880270 B1 KR 100880270B1 KR 1020080034855 A KR1020080034855 A KR 1020080034855A KR 20080034855 A KR20080034855 A KR 20080034855A KR 100880270 B1 KR100880270 B1 KR 100880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manure
deodorizing
processo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석 강
Original Assignee
동 석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석 강 filed Critical 동 석 강
Priority to KR102008003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2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나 축산폐수의 유입으로부터 로터리스크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을 싸이클론과 연결되는 씨앗제거스크린 및 원심분리기로 공급하여 씨앗과 짐승털 및 세사(細沙) 성분과 같은 미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의 종합처리와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스크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의 저장조 및 씨앗제거스크린측으로부터 악취의 배기관을 연장시켜, 상기 배기관이 라쉬링과 탈취액의 분사노즐 및 흡착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탈취장치와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분뇨 및 축산폐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의 제거와 더불어 종합처리기 자체내에서 악취성분 또한 1차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처리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협잡물 종합처리기가 설비된 현장의 작업환경을 보다 더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포함하는 대규모 정화시설에 사용되는 통합식 탈취설비의 처리부하를 경감시켜 정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외부측 여유공간에 탈취장치의 손쉬운 장착이 가능하도록 콤펙트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합리적인 배관연결에 의하여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34855
분뇨, 축산폐수, 협잡물 처리기, 탈취장치

Description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Overall process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in a excrement and wasted water of stockbreeding with deodorizing device}
본 발명은 분뇨나 축산폐수의 유입으로부터 로터리스크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을 싸이클론과 연결되는 씨앗제거스크린 및 원심분리기로 공급하여 씨앗과 짐승털 및 세사(細沙) 성분과 같은 미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리스크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의 저장조 및 씨앗제거스크린측으로부터 악취의 배기관을 연장시켜, 상기 배기관이 라쉬링과 탈취액의 분사노즐 및 흡착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탈취장치와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성능 향상과 작업환경의 개선 및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포함하는 대규모 정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도시인구의 증가 및 축산농가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많은 량의 분뇨 및 축산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뇨 및 축산폐수로 인하여 지하수나 하천 및 연안해역의 오염이 날로 심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분뇨나 축산폐수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로 인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성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분뇨 및 축산폐수를 정부적인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각 지역에서 수거된 분뇨 및 축산폐수를 별도의 정화시설에서 처리토록 하고 있으나, 축산폐수의 경우 그 부유물(SS)의 농도가 20,000 ~ 25,000ppm의 범위가 되기 때문에 정화시설의 가동시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분뇨 및 축산폐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수거된 분뇨 및 축산폐수로부터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여 부유물(SS) 농도가 낮은 액상의 여액으로 조성시킨 다음 최종 정화시설로 보내어 처리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분뇨나 축산폐수를 여액과 협잡물로 분리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분뇨 및 축산폐수가 저장된 탱크로리로부터 분뇨 및 축산폐수를 스크린이 내장된 저장탱크로 투입하여 각종 협잡물을 여액과 1차적으로 분리시킨 다음, 이와 같이 1차 분리된 협잡물을 탈수기로 이송시켜 탈수처리를 행함으로서 탈수된 찌꺼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탈수과정에서 발생한 여액은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은 처리를 1 ~ 2회 정도 추가로 행한 다음 처리수로서의 여액을 최종 정화시설로 공급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 ~ 3차에 걸친 스크린 처리와 탈수처리에도 불구하고 분뇨나 축산폐수의 여액에는 여전히 미세한 협잡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미세 협잡물의 제거 를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추가적인 처리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를 위한 장치가 배관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됨으로서 처리장치의 설치면적 및 그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처리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a)의 내부로 분뇨나 축산폐수를 유입시킨 다음, 로터리스크린(2)과 탈수기(3)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이 여액저장조(4)에 저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여액저장조(4)에 저장된 여액을 이송펌프(41)와 이송관(43)에 의하여 씨앗제거스크린(6) 및 원심분리기(7)와 연결된 싸이클론(5)으로 공급시킴으로서, 여액에 함유된 씨앗과 짐승털 및 세사(細沙) 성분과 같은 미세 협잡물까지 보다 완벽하게 제거시킨 후, 이와 같이 처리된 여액이 여액배출조(8)를 통하여 최종 정화시설로 공급되도록 한 종합처리기(10)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출원번호: 10-1997-0024426, 출원일자: 1997년 06월 13일) 및 등록(등록번호: 10-0212298, 등록일자: 1999년 10월 01일)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협잡물 종합처리기(10)는 분뇨 및 축산폐수의 유입으로부터 3차에 걸쳐 협잡물과 여액을 분리하고 탈수시키는 장치 및 그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액의 저장 및 배출조가 하나의 처리기내에 집결되어 설치됨으로서, 처리기의 전체적인 부피와 설치면적 및 그 제조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으로 축소 및 절감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여액에 함유된 씨앗과 짐승털 및 세사 성분과 같은 미세 협잡물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선출원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10)의 경우, 여액저장조(4) 및 여액배출조(8)를 포함하는 처리기의 하우징(10a)을 최대한으로 밀폐 처리하여 악취의 누설을 차단시킨다 하더라도, 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하우징(10a)의 내부에 고농도로 축적됨에 따라, 하우징(10a)을 통하여 악취가 외부로 쉽게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협잡물 종합처리기(10)가 설비된 현장의 작업환경이 악취로 인하여 매우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는 각종 탈취장치를 협잡물 종합처리기(10)가 설비된 현장에 추가적으로 비치하게 되면, 협잡물 종합처리기(10)가 설비된 현장의 작업공간이 탈취장치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됨으로서 작업환경의 개선 및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고가의 탈취장치를 적용시킴에 따라 정화시설의 운영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0)를 포함하는 대규모 정화시설의 경우에는 여액배출조(8)로부터 배출된 여액의 정화처리 뿐만 아니라, 하수도로부터 유입된 하수의 정화처리와 같은 다목적 정화처리를 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는 타워식 대형탈취기에 의하여 통합 처리되도록 하고 있는 바,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0)의 경우 여액배출조(8)로부터 여액과 함께 고농도의 악취가 배출되므로, 타워식 대형탈취기에 의한 악취의 처리부하를 크게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대규모 정화시설에 사용되는 타워식 대형탈취기의 처리부하가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농도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게 되면, 탈취기에 사용되는 고가의 탈취부품이나 소모품의 교체주기가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정화시설의 각 구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화시설의 경제적,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된 발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는 로터리스크린에 의한 1차 협잡물 처리를 거친 여액의 저장조 및 씨앗제거스크린측으로부터 악취의 배기관을 연장시켜, 상기 배기관이 라쉬링과 탈취액의 분사노즐 및 흡착필터가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탈취장치와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분뇨 및 축산폐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의 제거와 더불어 종합처리기 자체내에서 악취성분 또한 1차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처리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협잡물 종합처리기가 설비된 현장의 작업환경을 보다 더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포함하는 대규모 정화시설에 사용되는 통합식 탈취설비의 처리부하를 경감시켜 정화시설의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외부측 여유공간에 탈취장치의 손쉬운 장착이 가능하도록 콤펙트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합리적인 배관연결에 의하여 악취의 효과적인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종합처리기는, 처리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의 하부측에는 여액저장조와 여액배출조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여액저장조의 상부측에는 처리기의 내부로 투입된 분뇨나 축산폐수로부터 협잡물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로터리스크린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스크린은 여액배출구와 찌꺼기배출부에 의하여 여액저장조 및 스크류식 탈수기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여액저장조는 이송펌프로부터 연장되는 이송관에 의하여 싸이클론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싸이클론은 상부측 씨앗배출관에 의하여 물빠짐 통공이 형성된 씨앗제거스크린과 연결되고, 하부측 여액배출구에 의하여 원심분리기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씨앗제거스크린의 양측에는 탈수기와 연통되는 씨앗배출부와 여액배출조로 연결되는 여액배출관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원심분리기는 스크류식 세사배출콘베어가 일측 하단에 구비되고 그 타단에는 여액배출조와 연결되는 여액배출관이 설치된 종합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여액저장조의 상부측에는 탈취케이스와 약품이송펌프를 구비하는 탈취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탈취케이스의 상부측에는 배풍기를 구비하는 송풍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탈취케이스의 내부에는 라쉬링과 흡착필터가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취케이스의 바닥부에는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이 되는 탈취액이 저장되며, 상기 탈취액과 라쉬링의 사이에 해당하는 탈취케이스의 벽체에는 여액저장조와 씨앗제거스크린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악취의 배기관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약품이송펌프에는 탈취케이스의 하부 벽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약품배출관과, 탈취케이스의 벽체를 관통하여 라쉬링과 흡착필터의 사이로 연장되는 약품주입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약품주입관을 따라서는 탈취액을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뇨 및 축산폐수의 유입으로부터 3차에 걸쳐 협잡물과 여액을 분리하고 탈수시키는 처리과정 및 그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액의 저장 및 배출이 하나의 처리기내에 집결되어 분뇨 및 축산폐수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처리기의 전체적인 부피와 설치면적 및 그 제조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으로 축소 및 절감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여액에 함유된 씨앗이나 짐승털 및 세사(細沙) 성분과 같은 미세 협잡물까지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여액저장조를 상광하협(上廣下陜)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제 1저장공간과 그 하측 주연부의 제 2저장공간으로 분리시키게 되면, 여액 중에 혼합된 미세 협잡물의 대부분을 이송펌프에 의하여 여액과 함께 싸이클론의 내부로 전량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여액저장조의 바닥부로 침전되어 체류되는 협잡물의 량을 최소화 또는 거의 제로화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여액저장조의 저장용량이 침전된 협잡물에 의하여 줄어드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액저장조의 청소주기 및 그에 따른 종합처리기의 사용기간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액저장조의 청소작업에 따른 추가비용의 발생과 작업환경의 저하 및 2차적인 주변환경의 오염을 최대한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탈취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대규모 정화시설에서 사용할 경우, 협잡물 종합처리기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악취를 처리기 자체내에서 1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에 따라, 대규모 정화시설에서 사용되는 타워식 대형탈취기의 탈취부하를 현저히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대형탈취기에 사용되는 고가의 탈취부품이나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시설의 각 구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화시설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탈취장치의 경우, 탈취액의 분사를 위한 분사노즐과 라쉬링 및 흡착필터의 효과적인 배치 뿐만 아니라, 악취의 농도가 가장 높은 여액저장조 및 씨앗제거스크린측으로부터 배기관을 연장시킨 합리적인 배관구조에 의하여, 탈취장치의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과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배기관을 통하여 유입된 악취성분을 80 ~ 90% 수준으로 집중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하우징 외측에 형성되는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손쉽게 설비가 가능한 콤펙트한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체적으로 집중 처리할 수 있음에 따라, 협잡물 종합처리기가 설비된 작업장의 작업환경 개선과 더불어, 탈취장치의 설비에 따른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과정은 도 2의 공정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뇨 및 축산폐수를 로터리스크린으로 투입하여 여액과 협잡물을 1차 분리시킴으로서 여액은 여액저장조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1차 분리된 협잡물은 스크류식 탈수기에서 탈수 처리하는 1차 협잡물 분리단계(S1)와, 협잡물의 1차 분리가 이루어진 여액을 여액저장조로부터 싸이클론으로 이송시킴으로서 여액에 포함된 미세협잡물을 부유물과 침전물로 분리시켜 씨앗제거스크린과 원심분리기로 각각 유입시키는 2차 협잡물 분리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2차 협잡물 분리단계(S2)를 거친 후에는, 상기 씨앗제거스크린에서 씨앗류나 짐승털 등의 부유물을 여액과 분리시킴으로서 여액은 여액배출조로 유입시키고 씨앗류나 짐승털 등은 상기 탈수기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원심분리기에서는 세사류 등의 침전물을 여액과 분리시킴으로서 여액은 여액배출조로 유입시키고 세사류 등은 스크류식 세사배출콘베어로 유입시키는 3차 협잡물 분리단계(S3)를 거침으로서, 분뇨 및 축산폐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을 3차에 걸쳐 여액과 분리시키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내지 3차에 걸친 각각의 협잡물 분리단계(S1)(S2)(S3)가 하나의 종합처리기 유닛의 내부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협잡물 분리단계(S1)(S2)(S3)를 거치는 과정에서 여액저장조와 씨앗제거스크린의 내부에 축적된 악취를 송풍팬에 의하여 탈취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서, 상기 탈취장치의 내부에서 악취 성분을 1차 처리하여 대기 또는 종합처리시설의 탈취설비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탈취단계(S4)를 거치게 되며, 상기 탈취단계(S4) 또한 각각의 협잡물 분리단계(S1)(S2)(S3)가 통합적으로 수행되는 종합처리기 유닛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협잡물 분리단계(S1)(S2)(S3)가 통합적으로 수행되는 종합처리기 유닛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종합처리기 자체내에서 1차적으로 제거토록 하게 되면,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협잡물 종합처리기가 설비된 현장의 작업환경을 악취로부터 보다 더 개선시킬 수 있으며, 특히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포함하는 대규모 정화시설에 사용되는 통합식 탈취설비의 처리부하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탈취설비용 부품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킴으로서, 정화시설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용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상기 탈취단계(S4)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처리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흡입관(48)과 이송관(43)이 연결된 이송펌프(41)가 외측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수위감지기(42)가 설치된 여액저장조(4) 및 일측 하부에 배출관(81)이 연결된 여액배출조(8)가 격벽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종합처리기(10)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a)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여액저장조(4) 및 여액배출조(8)의 상부측에는 탱크로리와 같은 분뇨 및 축산폐수 수거차량의 호스가 연결되는 투입구(1)의 투입관(11)을 통하여 종합처리기(10)의 하우징(10a) 내부로 유입되는 분뇨 및 축산폐수로부터 1,2,3차에 걸쳐 협잡물을 여액과 분리시키기 위한 로터리스크린(2)과 탈수기(3) 및 싸이클론(5)과 씨앗제거스크린(6), 그리고 원심분리기(7)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처리장치가 하우징(10a)의 내부에 집결되어 설치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협잡물 종합처리기(10)가 하나의 일체화 된 몸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액저장조(4)와 싸이클론(5)의 사이에는 오버플로우관(53)이 설치됨으로서, 싸이클론(5)이 협잡물 등에 의하여 막히게 될 경우 씨앗이나 짐승털 등의 협잡물을 포함하는 여액이 여액저장조(4)로 다시 바이패스 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분뇨 및 축산폐수의 투입구(1)측에는 탱크로리 호스와의 연결상태를 감지하여 종합처리기(10)를 이루는 각각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한편, 탱크로리 호스와 투입구(1)의 연결부위를 따라 누설될 수 있는 소량의 여액이 여액저장조(4)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입관(1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와 연결된 투입관(11)의 말단부에는 로터리스크린(2)측으로 유입되는 분뇨 및 축산폐수의 량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유량조정조(21)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정조(21)의 일측에는 유량조정조(21)를 거쳐 보내어지는 분뇨 및 축산폐수로부터 여액과 협잡물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로터리스크린(2)이 감속기(27a)를 구비하는 스크린모터(27)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로터리스크린(2)은 선출원된 종합처리기(10)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금속원판이나 금속링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개재시킴으로서, 각각의 금속원판이나 금속링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물빠짐 공간을 이루도록 한 스크린본체(22)와, 상기 스크린본체(22)의 후방측에서 스크린본체(22)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분리기(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분리기(23)는 스크린본체(22)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라켓(28)과 보조분리기(23)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라켓(28)이 체인으로 연결되어 스크린본체(2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스크린(2)의 하측에는 로터리스크린(2)에서 분리된 여액이 여액저장조(4)로 배출되게 하는 여액배출구(24)가 여액저장조(4)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분리기(23)의 후방측 공간은 분뇨 및 축산폐수로부터 여액이 1차 탈수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배출부(25)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로터리스크린(2)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a)에는 로터리스크린(2)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도어(2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찌꺼기배출부(25)의 하측에는 스크류 방식의 탈수기(3)가 설치되는 바, 상기 탈수기(3)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33) 상부측이 찌꺼기배출부(25)와 연통되고, 그 하부측에는 찌꺼기의 탈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액이 여액저장조(4)로 배출되도록 하는 여액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33)의 내부에는 케이싱(33)과 인접한 하우징(10a)의 외측 빈 공간에 설치되는 스크류모터(34)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크류프레스(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프레스(31)의 회전축에는 스크류모터(34)의 구동스프라켓(34a)(또는 구동풀리)과 체인(또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35)(또 는 종동풀리)이 베어링(35a)과 함께 설치됨으로서, 스크류모터(34)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프레스(31)가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케이싱(33)의 일측 단부에는 스크류프레스(31)에 의한 탈수 및 가압식 이송에 따라 여액이 탈수되고 남은 찌꺼기를 배출시키는 찌꺼기배출구(36)가 이송대(37)와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여액배출조(8)의 외측 상부에는 여액저장조(4)와 연결된 이송펌프(41) 및 그 이송펌프(41)로부터 연장되는 이송관(43)에 의하여 여액을 공급받는 싸이클론(5)이 설치되는 데, 상기 싸이클론(5)은 이송펌프(41)에 의한 여액의 이송압력에 따라 그 내부에 싸이클론 현상이 발생토록 하여, 여액에 함유된 협잡물 중 씨앗이나 짐승털과 같이 그 비중이 가벼운 것은 상부로 뜨게 하고, 모래와 같이 그 비중이 무거운 것은 하부로 가라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5)의 상부측에 설치된 씨앗배출관(52)을 통해서는 씨앗이나 짐승털과 같이 비중이 가벼운 협잡물이 소량의 여액과 함께 씨앗제거스크린(6)의 내부로 투입되고, 싸이클론(5)의 하부측에 설치된 여액배출구(51)를 통해서는 모래와 같이 비중이 무거운 협잡물이 포함된 나머지 여액이 원심분리기(7)측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은 그 일측이 싸이클론(5)의 씨앗배출관(52)과 연결되고, 그 타단이 씨앗배출부(63)를 형성하면서 하우징(10a)의 후방 상측에 구획된 공간에 수평하게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하우징(10a)에는 씨앗제거스크린(6)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크도어(68)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몸통에는 그 전면(全面)에 걸쳐 물빠짐용 통공(6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연을 따라서는 씨앗배출용 이송스크류(62)가 설치되는 바,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회전축에는 하우징(10a)의 외측에 구비된 스크린모터(66)의 구동스프라켓(66a)(또는 구동풀리)과 체인(또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67)(또는 종동풀리)이 설치됨으로서, 스크린모터(66)의 구동에 따라 씨앗제거스크린(6)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타단에 형성된 씨앗배출부(63)는 씨앗제거스크린(6)의 몸통보다 그 외경이 작게 형성된 상태에서 탈수기(3) 상부측의 찌꺼기 배출부(25)와 연통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씨앗제거스크린(6)으로부터 배출되는 찌꺼기가 탈수기(3)에 의하여 한번 더 탈수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씨앗배출부(63)의 외경이 스크린(6) 본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씨앗제거스크린(6)의 하측에 저장되는 여액이 씨앗배출부(63)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의 바닥부에는 씨앗제거스크린(6)에서 탈수된 여액이 여액배출조(8)로 유입되도록 하는 여액배출관(64)이 하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상부측에는 스크린(6) 표면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65)의 분사수단(또는 세척용 브러쉬)이 설치되며,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과 여액배출조(8)의 사이에는 싸이클론(5)의 여액배출구(51)를 통하여 유입된 여액으로부터 모래와 같은 미세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원심분리기(7)가 설치된다.
상기 원심분리기(7)는 그 내부로 유입된 여액으로부터 모래와 같은 미세 협 잡물을 비중차에 의하여 여액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모터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고속 회전이 가능한 스크류(73)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일측 하부에는 탈수된 여액을 여액배출조(8)로 유입시키기 위한 여액배출관(72)이 설치되고, 그 타측 하부에는 여액과 분리된 모래 등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모터(74)(감속수단을 구비한다)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크류식 세사배출콘베어(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2005년 특허출원 제 61539호로 선출원하여 10-518805호로 등록된 기술사항과 마찬가지로, 상기 여액저장조(4)는 그 내부공간이 로터리스크린(2)과 탈수기(3)의 여액배출구(24)(32)를 포함하는 상부공간으로부터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陜) 형태(즉, 깔대기 형태)의 제 1저장공간(46)과, 상기 제 1저장공간(46)의 하측 외주연부를 따라 여액저장조(4)의 나머지 공간을 이루는 제 2저장공간(47)으로 분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저장공간(46)(47)을 구획하는 격벽(45)의 일측 상부에는 각각의 저장공간(46)(47)을 연통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통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펌프(41)는 제 1저장공간(46)의 바닥부로 연장되는 주흡입관(48)과, 상기 주흡입관(48)으로부터 격벽(45)을 관통하여 제 2저장공간(47)의 바닥부로 연장되는 보조흡입관(미도시)에 의하여 각각의 저장공간(46)(47)과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10)에 있어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여액저장조(4)의 상부측과 투입관(11)이 설치된 하우징(10a)의 하부측 사이에 발생하는 빈 공간에 탈취케이스(9a)와 약품이송펌프(93)를 구비하는 탈취장치(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탈취케이스(9a)의 상부측에는 배풍기(92)(또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송풍관(91)이 연결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종합처리기(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종합처리기(10) 자체내에서 1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탈취케이스(9a)의 내부에는 도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쉬링(Rachi-ring)(96)과 흡착필터(97)가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취케이스(9a)의 바닥부에는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이 되는 탈취액(95)이 저장되며, 상기 탈취액(95)과 라쉬링(96)의 사이에 해당하는 탈취케이스(9a)의 벽체에는 악취의 발생농도가 가장 높게 되는 여액저장조(4) 및 씨앗제거스크린(6)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악취의 배기관(49)(69)이 관통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약품이송펌프(93)의 유입측에는 탈취케이스(9a)의 하부 벽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약품배출관(93a)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약품이송펌프(93)의 토출측에는 탈취케이스(9a)의 벽체를 관통하여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의 사이로 연장되는 약품주입관(93b)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약품주입관(93b)을 따라서는 탈취액(95)을 하방으로 미분무(Spray)시키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94)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취케이스(9a)는 악취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케이스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는 탈취케이스(9a)의 양측 내벽을 따라 카트리지(Cartridge)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탈취장치(9)의 사용 도중에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를 필요시마다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의 교체를 위하여 탈취케이스(9a)상에 미도시된 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및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의 교체를 위한 개구부의 사이에도 악취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는 밀폐수단을 적용시킴은 물론, 각각의 배관(49)(69)(91)(93a)(93b)이 탈취케이스(9a)와 연결되는 부분 또한 악취 및 탈취액(95)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氣密)처리와 수밀(水密)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취케이스(9a)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쉬링(Rachi-ring)(96)은 사각 형상의 그물망 케이스 내부에 중공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 등을 빽빽하게 저장시킨 것이나, 또는 상기 그물망 케이스의 내부에 불규칙한 소형 파편(破片)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 등을 빽빽하게 저장시킨 것으로서, 각각의 배기관(49)(69)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및 분사노즐(94)로부터 분사되는 탈취액(95)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나 소재의 라쉬링(96)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흡착필터(97) 또한 활성탄필터나 폴리에틸렌 데미스터(P.E Demister: 미세한 그물코를 여러 겹으로 겹쳐 놓은 것)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악취를 발생시키는 입자 자체 또는 분사노즐(94)로부터 미분무된 탈취액(95)의 미세입자속에 포집된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흡착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탈취액(95)을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NaOH)의 수용액으로 하는 이유는, 악취성분의 대부분이 암모니아(NH3) 성분이므로 이를 중화시켜 독성 및 냄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하고 경제적인 강알칼리성 수용액이기 때문이고, 상기 탈취액(95)은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의 약 10 ~ 30%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액저장조(4)로부터 연장되는 배기관(49)은 제 1저장공간(46) 또는 제 2저장공간(47)과 택일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고, 각각의 저장공간(46)(47)과 모두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탈취장치(9)를 일정기간 동안 가동시킨 이후에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탈취액(95)을 탈취케이스(9a)로부터 배출시킨 다음, 새로운 탈취액(95)을 탈취케이스(9a)의 내부에 충전시켜 사용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탈취케이스(9a)의 벽체상에 미도시된 탈취액(95)의 충전구(악취차단용 커버를 포함)를 설치하는 한편, 탈취액(95)의 배출은 약품배출관(93a)과 약품이송펌프(93) 및 약품주입관(93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탈취액(95)의 충전은 미도시된 충전구를 통하여 행하는 한편, 탈취액(95)의 배출은 약품이송펌프(93)의 가동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되, 상기 약품주입관(93b)은 약품이송펌프(93)로부터 연장되는 배관부분이 분사노즐(94)이 설치된 배관부분과 탈취케이스(9a)의 외측에서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 등에 의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탈취액(95)의 배출시 약품주입관(93b)을 탈취케이스(9a)의 외측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탈취액(95)의 충전 및 배출을 위하여 상기 충전구와 함께 별도의 배출구 또는 배출관을 탈취케이스(9a)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약품주입관(93b)으로부터 별도의 배출관을 추가적으로 연결시킨 다음, 약품주입관(93b)과 상기 배출관과의 연결부위에 3방향 밸브 등을 설치함으로서, 약품이송펌프(93)에 의한 약품의 공급경로를 약품주입관(93b) 또는 배출관측으로 선택하여 조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종합처리기(10)를 이용하여 분뇨 및 축산폐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을 처리하는 과정은, 탱크로리와 같은 수거차량의 호스를 투입구(1)측으로 삽입 및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뇨와 축산폐수를 종합처리기(10)의 내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탱크로리에 저장되어 있던 분뇨 및 축산폐수가 투입관(11)을 거쳐 유량조정조(21)로 1차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정조(21)는 투입되는 분뇨 및 축산폐수의 수위가 로터리스크린(2)의 스크린본체(22) 상단 높이보다 높게 되지 않도록 하여, 분뇨 및 축산폐수가 스크린본체(22)를 넘어 찌꺼기배출부(25)측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이 유량조정조(21)로 투입되는 분뇨 및 축산폐수는 씨앗이나 모래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협잡물을 포함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량조정조(21)로 투입된 분뇨 및 축산폐수가 로터리스크린(2)을 거치는 과정에서 그 물기 즉, 여액은 스크린본체(22)의 물빠짐 구멍으로부터 스크린본체(22) 하측의 여액배출구(24)를 거쳐 여액저장조(4)의 제 1저장공간(46)으로 유입되고, 분뇨 및 축산폐수중에 함유된 협잡물 중 그 크기가 다소 크게 되는 협잡물 은 스크린본체(22)와 보조분리기(23)를 거쳐 찌꺼기배출부(25)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찌꺼기배출부(25)측으로 이송된 협잡물은 로터리스크린(2)을 거치는 과정에서 다량의 여액이 탈수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의 찌꺼기가 탈수기(3)로 투입됨으로서 탈수기(3) 내부의 스크류프레스(31)에 의하여 찌꺼기에 포함된 여액이 다시 한 번 더 탈수되며, 이와 같이 탈수된 여액이 여액배출구(32)를 거쳐 여액저장조(4)의 제 1저장공간(46)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여액이 탈수된 찌꺼기는 탈수기(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찌꺼기배출구(3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로터리스크린(2) 및 탈수기(3)를 거쳐 여액저장조(4)의 제 1저장공간(46)으로 유입되는 여액은 비교적 큰 협잡물이 걸러진 상태이지만, 그 내부에는 씨앗이나 짐승털 또는 모래와 같은 다량의 미세 협잡물이 포함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제 1저장공간(46)의 내부로 유입된 여액 중 그 비중이 무거운 미세협잡물은 상광하협(上廣下陜)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제 1저장공간(46)의 좁은 바닥부측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제 1저장공간(46)의 좁은 바닥부와 인접하도록 설치된 이송펌프(41)의 주흡입관(48)에 의하여 제 1저장공간(46)의 바닥부측으로 가라앉게 되는 모래와 같은 미세 협잡물의 대부분이 여액과 함께 주흡입관(48)을 통하여 흡입된 다음, 이송펌프(41)와 이송관(43)을 거쳐 싸이클론(5)의 내부로 전량 이송됨으로서, 제 1저장공간(46)의 바닥부에 침전되어 체류하게 되는 협잡물의 양을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액저장조(4)의 바닥부로 침전 가능한 미세 협잡물이 제 1저장 공간(46)의 내부에서 이송펌프(41)의 주흡입관(48)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침전 가능한 협잡물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여액만이 격벽(45)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통로(미도시)를 거쳐 제 2저장공간(47)으로 유입되며, 이와 같이 제 2저장공간(47)으로 유입된 여액 또한 주흡입관(48)과 연결된 보조흡입관(미도시)에 의하여 싸이클론(5)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액저장조(4)의 내부구조로 인하여, 여액 중에 혼합된 미세 협잡물의 대부분을 이송펌프(41)에 의하여 여액과 함께 싸이클론(5)의 내부로 전량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여액저장조(4)의 바닥부로 침전되어 체류되는 협잡물의 량을 최소화 또는 거의 제로(Zero)화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여액저장조(4)의 저장용량이 침전된 협잡물에 의하여 줄어드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여액저장조(4)의 청소주기 및 그에 따른 종합처리기(10)의 사용기간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액저장조(4)의 청소작업에 따른 추가비용의 발생과 작업환경의 저하 및 2차적인 주변환경의 오염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저장공간(46)과 제 2저장공간(47)으로 분리된 여액저장조(4)로부터 주흡입관(48)과 보조흡입관(49) 및 이송펌프(41)의 이송관(43)을 거쳐 분뇨 및 축산폐수의 여액과 함께 싸이클론(5)의 내부로 공급된 미세 협잡물은, 여액의 이송압력에 의한 싸이클론 현상에 따라 씨앗이나 짐승털과 같이 비중이 가벼운 협잡물은 상부로 뜨게 되고, 모래와 같이 비중이 무거운 협잡물은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5)의 상부측에 설치된 씨앗배출관(52)을 통해서는 씨앗이나 짐승털과 같이 비중이 가벼운 협잡물이 소량의 여액과 함께 씨앗제거스크린(6)의 내부로 투입되는 한편, 싸이클론(5)의 하부측에 설치된 여액배출구(51)를 통해서는 모래와 같이 비중이 무거운 협잡물이 포함된 나머지 여액이 원심분리기(7)측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씨앗제거스크린(6)으로 투입된 협잡물은 스크린모터(66)에 의한 씨앗제거스크린(6)의 회전에 따라 그 표면의 물빠짐 통공(61)을 통하여 여액이 빠져나오게 됨과 동시에, 이와 같이 빠져 나온 여액은 씨앗제거스크린(6)의 세척수(65)와 함께 여액배출관(64)을 통하여 여액배출조(8)로 유입되고, 여액이 빠져 나간 후의 씨앗 및 찌꺼기는 이송스크류(62)에 의하여 씨앗배출부(63)와 찌꺼기배출부(25)를 거쳐 탈수기(3)의 내부로 재공급됨으로서 찌꺼기의 여액이 탈수기(3)에서 재차 탈수된다.
그리고, 모래와 같이 비중이 무거운 미세 협잡물과 함께 원심분리기(7)의 내부로 배출된 다량의 여액은 원심분리기(7)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73)의 고속 회전에 따라 그 비중차에 의하여 여액과 협잡물 찌꺼기로 분리되며, 이와 같이 분리된 여액은 여액배출관(72)을 통하여 여액배출조(8)로 유입되고, 모래를 포함하는 미세 찌꺼기는 세사배출콘베어(7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로터리스크린(2)과 탈수기(3) 및 싸이클론(5)과 연결된 씨앗제거스크린(6)과 원심분리기(7)에 의하여 3차에 걸친 협잡물 분리과정 및 탈수과정을 거침으로서 비교적 깨끗한 상태로 조성된 여액이 여액배출조(8)에 모여지게 되고, 이와 같이 여액배출조(8)에 저장된 여액을 배출관(81)을 통하여 최종 정화시설측으로 공급시킴으로서, 분뇨나 축산폐수의 최종적인 처리를 수행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협잡물 종합처리기(10)를 이용한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과정에서, 특히 여액저장조(4) 및 씨앗제거스크린(6)이 설치된 하우징(10a)의 내부 공간에는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성분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탈취장치(9)의 송풍관(91)에 구비된 배풍기(92)가 협잡물 종합처리기(10)와 함께 작동되도록 하면, 여액저장조(4) 및 씨앗제거스크린(6)측에 존재하는 악취성분이 배풍기(92)의 작동에 따른 흡입력에 의하여 각각의 배기관(49)(69)을 거쳐 탈취케이스(9a)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탈취케이스(9a)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성분은 탈취액(95)의 상부공간으로부터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라쉬링(96) 및 흡착필터(97)를 거쳐 송풍관(91)으로 배출되는 바, 이 과정에서 탈취액(95) 및 흡착필터(97)에 의한 2중 처리를 거침에 따라 악취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가 송풍관(91)을 거쳐 탈취케이스(9a)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시 말해서, 탈취케이스(9a)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성분이 라쉬링(96)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사노즐(94)로부터 미분무된 탈취액(95) 성분과 중화반응을 일으킴에 따라, 악취성분의 대부분을 이루는 암모니아의 독성 및 냄새가 1차적으로 제거되며, 이와 같이 1차 처리된 공기가 흡착필터(9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냄새 성분의 2차적인 제거가 이루어진 다음, 배풍기(92)에 의하여 송풍관(91)을 따라 최 종 배출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탈취액(95)의 분사를 위한 분사노즐(94)과 라쉬링(96) 및 흡착필터(97)의 효과적인 배치 뿐만 아니라, 악취의 농도가 가장 높은 여액저장조(4) 및 씨앗제거스크린(6)측으로부터 배기관(49)(69)을 연장시킨 합리적인 배관구조에 의하여, 탈취장치(9)의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과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배기관(49)(69)을 통하여 유입된 악취성분을 80 ~ 90% 수준으로 집중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0)의 하우징(10a) 외측에 형성되는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손쉽게 설비가 가능한 콤펙트한 탈취장치(9)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선출원된 협잡물 종합처리기(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자체적으로 집중 처리할 수 있음에 따라, 협잡물 종합처리기(10)가 설비된 작업장의 작업환경 개선과 더불어, 탈취장치(9)의 설비에 따른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탈취장치(9)가 포함된 본 발명의 협잡물 종합처리기(10)를 대규모 정화시설에서 사용할 경우, 협잡물 종합처리기(10)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악취를 탈취장치(9)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1차 처리할 수 있음에 따라, 대규모 정화시설에서 사용되는 타워식 대형탈취기의 탈취부하를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대형탈취기에 사용되는 고가의 탈취부품이나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킴은 물론, 정화시설의 각 구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화시설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선출원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탈취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입구 1a : 보조유입관 2 : 로터리스크린
3 : 탈수기 4 : 여액저장조 5 : 싸이클론
6 : 씨앗제거스크린 7 : 원심분리기 8 : 여액배출조
9 : 탈취장치 9a : 탈취케이스 10 : 종합처리기
10a : 하우징 11 : 투입관 21 : 유량조정조
22 : 스크린본체 23 : 보조분리기 24,32,51 : 여액배출구
25 : 찌꺼기배출부 26,68 : 체크도어 27,66 : 스크린모터
27a : 감속기 27b,35a : 베어링 28 : 스프라켓
31 : 스크류프레스 33 : 케이싱 34,74 : 스크류모터
34a,66a : 구동스프라켓 35,67 : 종동스프라켓 36 : 찌꺼기배출구
37 : 이송대 41 : 이송펌프 42 : 수위감지기
43 : 이송관 44 : 바이패스관 45 : 격벽
46 : 제 1저장공간 47 : 제 2저장공간 48 : 주흡입관
49,69 : 배기관 52 : 씨앗배출관 53 : 오버플로우관
61 : 통공 62 : 이송스크류 63 : 씨앗배출부
64,72 : 여액배출관 65 : 세척수 71 : 세사배출콘베어
73 : 스크류 81 : 배출관 91 : 송풍관
92 : 배풍기 93 : 약품이송펌프 93a : 약품배출관
93b : 약품주입관 94 : 분사노즐 95 : 탈취액
96 : 라쉬링 97 : 흡착필터

Claims (2)

  1. 삭제
  2. 처리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10a)의 하부측에는 여액저장조(4)와 여액배출조(8)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여액저장조(4)의 상부측에는 처리기의 내부로 투입된 분뇨나 축산폐수로부터 협잡물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로터리스크린(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스크린(2)은 여액배출구(24)와 찌꺼기배출부(25)에 의하여 여액저장조(4) 및 스크류식 탈수기(3)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여액저장조(4)는 이송펌프(41)로부터 연장되는 이송관(43)에 의하여 싸이클론(5)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싸이클론(5)은 상부측 씨앗배출관(52)에 의하여 물빠짐 통공(61)이 형성된 씨앗제거스크린(6)과 연결되고, 하부측 여액배출구(51)에 의하여 원심분리기(7)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씨앗제거스크린(6)의 양측에는 탈수기(3)와 연통되는 씨앗배출부(63)와 여액배출조(8)로 연결되는 여액배출관(6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원심분리기(7)는 스크류식 세사배출콘베어(71)가 일측 하단에 구비되고 그 타단에는 여액배출조(8)와 연결되는 여액배출관(72)이 설치된 종합처리기(10)에 있어서,
    상기 여액저장조(4)의 상부측에는 탈취케이스(9a)와 약품이송펌프(93)를 구비하는 탈취장치(9)가 설치되고, 상기 탈취케이스(9a)의 상부측에는 배풍기(92)를 구비하는 송풍관(91)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탈취케이스(9a)의 내부에는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가 적층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탈취케이스(9a)의 바닥부에는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이 되는 탈취액(95)이 저장되며,
    상기 탈취액(95)과 라쉬링(96)의 사이에 해당하는 탈취케이스(9a)의 벽체에는 여액저장조(4)와 씨앗제거스크린(6)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악취의 배기관(49)(69)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약품이송펌프(93)에는 탈취케이스(9a)의 하부 벽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약품배출관(93a)과, 탈취케이스(9a)의 벽체를 관통하여 라쉬링(96)과 흡착필터(97)의 사이로 연장되는 약품주입관(93b)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약품주입관(93b)을 따라서는 탈취액(95)을 하방으로 분사시키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9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0080034855A 2008-04-15 2008-04-15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55A KR100880270B1 (ko) 2008-04-15 2008-04-15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55A KR100880270B1 (ko) 2008-04-15 2008-04-15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270B1 true KR100880270B1 (ko) 2009-01-28

Family

ID=4048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270B1 (ko) 2008-04-15 2008-04-15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2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837B1 (ko) 2012-06-13 2012-08-09 동 석 강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1244211B1 (ko) 2013-01-24 2013-03-15 동 석 강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KR20150112308A (ko) 2014-03-27 2015-10-07 동 석 강 투입부에 펌프를 장착하여 처리효율과 처리용량을 증대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원심분리기
KR102018800B1 (ko) 2018-12-26 2019-09-05 강동석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CN110425169A (zh) * 2019-08-16 2019-11-08 宁波希澈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管道风机
KR20220020134A (ko) 2020-08-11 2022-02-18 동 석 강 유분센서에 의한 가열세척수 공급방식의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529925B1 (ko) 2022-01-04 2023-05-08 강동석 여액 직분배 방식의 협잡물 종합처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298B1 (ko) * 1997-06-13 1999-10-01 강동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KR19990074976A (ko) * 1998-03-16 1999-10-05 윤명조 수소-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자원화 공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298B1 (ko) * 1997-06-13 1999-10-01 강동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KR19990074976A (ko) * 1998-03-16 1999-10-05 윤명조 수소-산소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자원화 공정 및 그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837B1 (ko) 2012-06-13 2012-08-09 동 석 강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1244211B1 (ko) 2013-01-24 2013-03-15 동 석 강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KR20150112308A (ko) 2014-03-27 2015-10-07 동 석 강 투입부에 펌프를 장착하여 처리효율과 처리용량을 증대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원심분리기
KR101599972B1 (ko) * 2014-03-27 2016-03-04 강동석 투입부에 펌프를 장착하여 처리효율과 처리용량을 증대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원심분리기
KR102018800B1 (ko) 2018-12-26 2019-09-05 강동석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CN110425169A (zh) * 2019-08-16 2019-11-08 宁波希澈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管道风机
CN110425169B (zh) * 2019-08-16 2020-04-10 浙江省东阳市华东暖通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管道风机
KR20220020134A (ko) 2020-08-11 2022-02-18 동 석 강 유분센서에 의한 가열세척수 공급방식의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2529925B1 (ko) 2022-01-04 2023-05-08 강동석 여액 직분배 방식의 협잡물 종합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270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8800B1 (ko) 부유물 농도센서를 이용한 협잡물 종합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협잡물 처리방법
CN210287092U (zh) 一种阶段性运行的多介质过滤污水处理装置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TWI537066B (zh) 從有機廢棄物中去除汙染物的方法及裝置
KR101261437B1 (ko) 스크린 자동세척기능을 향상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
CN201144182Y (zh) 生活污水再生处理及回用装置
JP2013501610A (ja) 水泳プール用濾過装置
CN110550843B (zh) 生活污水的处理系统
KR100493698B1 (ko)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KR101056687B1 (ko) 악취 처리 장치
KR102751608B1 (ko) 지역화 하수처리 또는 모듈러형 소형하수 처리장의 하수 처리 설비 및 처리 방법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KR100485311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100667012B1 (ko)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KR101172837B1 (ko) 탈취기능을 향상시킨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100303255B1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10550845B (zh) 生活污水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