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9937B1 -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937B1
KR100879937B1 KR1020080016224A KR20080016224A KR100879937B1 KR 100879937 B1 KR100879937 B1 KR 100879937B1 KR 1020080016224 A KR1020080016224 A KR 1020080016224A KR 20080016224 A KR20080016224 A KR 20080016224A KR 100879937 B1 KR100879937 B1 KR 10087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ing
arm member
bolt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고윤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고윤화 filed Critical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9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와 각도 조절부재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후단과 각도 조절부재인 제1 암부재 및 제2 암부재 그리고 추가되는 제3 암부재의 접촉 및 연결부분에 한 조를 이루는 가이드홈 및 반구형 고정홈 그리고 돌기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카메라가 상하좌우 및 수평 방향으로 조정할 때 용이하게 회동하고 안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카메라와 조절부재가 장착된 고정부재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링 형태의 베이스부재를 마련하여 먼저 베이스부재를 벽 또는 찬장에 부착한 후 고정부재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후단부와 각도 조절부재의 제1, 제2 암부재 또는 제3 암부재에 형성되는 한 조를 이루는 고정부의 가이드홈 및 반구형 고정홈으로 반구형 돌기가 안정적으로 이동 및 안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X축, Z축 및 Y축을 기준으로 카메라가 회전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된 베이스부재에 카메라와 조절부재가 장착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16224
카메라, 브래킷, 고정부재, 베이스부재, 가이드홈, 고정홈, 반구형 돌기

Description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SECURITY CAMERA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브래킷의 구조를 개량하여 감시카메라의 촬영각도를 X축 및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때 단계별로 안정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고, 고정부재의 장착을 편리하도록 한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본원의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70512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는, 카메라(100) 및 고정용 고정부재(200)를 연결하여 촬영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된 각도 조절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재(300)는 중앙에 체결되는 볼트(400)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되는 제1, 제2 암부재(310,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암부재(310)는 감시카메라(100)의 플랜지(101) 외경에 끼워져 볼트(10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암부재(320)는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321)가 고정부재(200)의 암나사(201)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암부재(320)는 수나사(321)에 체결된 조임링(600)에 의해 고정부재(200)에 고정 또는 회전되며, 제1, 제2 암부재(310,320)가 서로 맞물리는 수직면에는 톱니형 기어부(311,3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암부재(310, 320) 내부로 케이블(500)이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는 카메라(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볼트(400)을 풀고 조일 때 톱니형 기어부(311,322)의 나사산 높이 이상으로 서로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 이루도록 볼트(40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톱니형 기어부(311,322)의 나사산이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면 카메라(100)의 자중에 의하여 급속히 볼트(40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미세 조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카메라(100)의 플랜지(101)는 단순히 둘레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구성이므로 카메라(1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랜지(101)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03)를 풀면 걸림이 없이 자유로이 회전되므로 설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매우 어려움이 있으며 카메라(100)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감시카메라용 고정용 브래킷이 특허등록 제607041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선행기술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한다.
상기 감시카메라용 고정용 브래킷은 카메라(100) 및 고정용 고정부재(200)를 연결하여 촬영각도와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 조절부재(300)는 중앙에 체결되는 볼트(400)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되는 제1, 제2 암부재(310,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암부재(310)는 감시카메라(100)의 플랜지(101) 외경에 끼워져 볼트(10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암부재(320)는 고정부재(200)의 보스(202) 내경에 끼워져 볼트(104)에 의해 고정되며, 제1, 제2 암부재(310,320)는 서로 맞물리는 수직면에 톱니형 기어부(311,3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암부재(310,320) 내부로 케이블(500)이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제2 암부재(310,320)를 고정하는 볼트(400)가 케이블(500)의 삽입 통로(330)로 관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는, 카메라(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볼트(400)을 풀고 조일 때 톱니형 기어부(311,322)의 나사산 높이 이상으로 서로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 이루도록 볼트(40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톱니형 기어부(311,322)의 나사산이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되면 카메라(100)의 자중에 의하여 급속히 볼트(40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미세 조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카메라(100)의 플랜지(101)는 둘레면에 "V"자 형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볼트(103)가 조여질 때 "V"자 형상의 걸림홈 경사면에 접하여 밀착시키는 것으로 고정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카메라(1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랜지(101)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03)를 풀면 걸림이 없이 자유로이 회전되므로 설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중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 제2 암부재(320)와 고정부재(200) 연결부위의 고정을 볼트(104)만으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 각도 조절부재(300)의 제2 암부재(320)의 고정부위가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뭉그러져 유동하여 회전되면 곧 각도 조절부재(300) 및 카메라(100)는 감시 위치를 벗어나므로 상기 종래 도 9에서와 같이 나사체결을 위한 제2 암부재(320)의 수나사(321)와 고정부재(200)의 암나사(201) 그리고 조임링(600)의 결합 구성보다 더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전자 및 후자의 선행기술들 모두는 고정부재(200)를 벽체 또는 찬장에 부착하는 구성이므로 카메라(100)와 각도 조절부재(300)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부착 작업을 위한 공구의 사용시 걸림이 발생하고 고정된 위치의 변화 및 작업의 부주의로 인한 제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후단과 제1 암부재, 제1 암부재와 제2암부재 그리고 제1 암부재와 제2 암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암부재에 가이드홈 및 고정홈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되는 반구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각각 형성하여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편리하게 이동 및 정지할 수 있어 카메라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이용하여 벽 또는 천장에 부착작업을 선행함으로써 카메라와 조절부재가 장착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은, 송신용 케이블이 연결된 카메라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체결공이 사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암나사를 갖는 보스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 사이에 각도 조절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재는 카메라의 후단부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끼워져 볼트에 의해 일단이 결합되는 제1 암부재와 고정부재의 보스 그리고 조임링에 의해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 암부재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 암부재의 연결부와 제2 암부재의 연결부는 서로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제1, 2 암부재는 중앙에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후단부와 제1 암부재의 선 단 수직부 접촉부분 그리고 제1 암부재의 연결부와 제2 암부재의 연결부에 가이드홈 및 반구형 고정홈 그리고 반구형 돌기를 한 조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형성하되 접촉부분 중 어느 한 접촉부분에는 가이드홈 및 반구형 고정홈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접촉부분에는 반구형 돌기를 형성하여 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되다가 고정홈에 안착하도록 이루어져 X축, Z축을 기준으로 카메라가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와 조절부재가 장착된 고정부재의 체결공으로 끼워지는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공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공 그리고 상호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걸림홈을 형성한 링 형태의 베이스부재를 부가하여 먼저 베이스부재를 벽 또는 찬장에 부착한 후 고정부재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은, 제1 암부재의 연결부와 제2 암부재의 연결부 사이에 고정부가 형성된 제3 암부재를 개재하여 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편리하게 카메라가 회전하여 모든 각도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위치의 조정을 위하여 카메라의 후단부와 각도 조절부재의 제1, 제2 암부재 연결부 또는 제3 암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한 조를 이루는 고정부의 가이드홈 및 반구형 고정홈으로 반구형 돌기가 볼트의 작은 풀림이 이루어져도 안정적으로 이동 및 안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X축, Z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카메라가 회전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된 베이스부재에 카메라와 조절부재가 장착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 평면도로서, 부호 1은 고정부재, 2는 조임링, 4는 카메라이며, 카메라(4)와 고정부재(1) 사이에 제1, 2 암부재(31,32)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재(3)가 결합되며, 이들은 주로 자중이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카메라(4)는 송수신용 케이블(40)이 인출되어 있으며, 후단부(41)에는 보스(42)가 돌출 형성되면서 "V" 형상의 고정홈(43)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재(3)의 제1 암부재(31)에 체결된 볼트(51)에 의하여 결합된다.
고정부재(1)는 부착을 위한 체결공(13)이 사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암나사(12)를 갖는 보스(11)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각도 조절부재(3)의 제2 암부재(32)에 형성된 수나사(322)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암부재(32)의 수나사(322)에 체결된 조임링(2)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각도 조절부재(3)는 상기 카메라(4)의 후단에 있는 보스(42)에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 암부재(31)와 상기 고정부재(1)의 보스(11)에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암부재(32)로 분리 형성되며, 카메라(4)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고 송신용 케이블(40)이 관통되는 통로(33,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암부재(31)의 연결 부(311)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는 서로 맞닿아 힌지 수단인 볼트(52)를 중심축으로 회동 및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카메라(4)의 후단부(41)와 제1 암부재(31)의 선단 수직부(312) 접촉부분 그리고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카메라(4)를 X축과 Z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수평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부(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7)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카메라(4)의 후단부(41)와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 대응하는 제1 암부재(31)의 선단 수직부(312)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는 반구형 돌기(73)를 각각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과 가이드홈(71)을 따라 이동하고 반구형 고정홈(72)에 안착하여 고정되는 반구형 돌기(73)는 서로 접촉하여 한 조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7)의 고정홈(72)과 돌기(73)는 동일 크기로 형성되고, 가이드홈(71)은 돌기(73)의 1/2 정도 끼워져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홈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7)의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 그리고 반구형 돌기(73)는 카메라(4)의 보스(42) 및 볼트(52)를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형성되고, 반구형 고정홈(72)과 돌기(73)의 수량을 72개로 선정하여 ∠5°씩 분할하여 고정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구형 고정홈(72)과 돌기(73)의 수량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4)와 조절부재(3)의 크기가 커지면 ∠2°씩 분할하여 조정위치를 증대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고정부(7)을 이용하여 돌기(73)가 가이드홈(71)을 따라 회전되다가 고정홈(72)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X축, Z축을 기준으로 카메라(4)가 회전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4)와 조절부재(3)가 장착된 고정부재(1)를 편리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벽 또는 찬장에 선행하여 부착되는 베이스부재(8)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8)는 고정부재(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3)으로 끼워지는 볼트(53)가 체결되는 나사공(81)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공(82) 그리고 고정부재(1)의 체결공(13)과 일치되어 상호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걸림홈(83)을 형성한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에는 통상의 방수용 가스켓(6)을 개재하여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 사이에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 그리고 반구형 돌기(73)를 한 조로 구성하는 고정부(7)가 각각 형성된 연결부(341,342)를 갖는 제3 암부재(34)를 추가 개재하여 X축으로는 볼트(52)를 기준으로 카메라(4)가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고, Y축으로는 볼트(54)를 기준으로 카메라(4)가 좌우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며, Z축으로는 카메라(4)의 수평 각도가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카메라(4), 제1 암부재(31), 제2 암부재(32) 및 제3 암부재(34)에 형성되는 한 조를 이루는 고정부(7)의 반구형 돌기(73)가 가이드홈(71)을 따라 이동하고 반구형 고정홈(72)에 안착하는 동작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카메라(4)의 후단부(41),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 및 수직부(312),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 그리고 반구형 돌기(73)를 한 조로 구성하는 고정부(7)를 형성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의 보스(11)에 형성된 암나사(12)로 제2 암부재(32)의 수나사(322)를 체결한 후 수나사(322)에 나사결합된 조임링(2)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이어서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를 볼트(52)로서 체결하여 고정부(7)를 밀착 고정하여 조절부재(3)를 장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블(40)을 조절부재(3)의 통로(33,33')로 끼워 고정부재(1)의 외측으로 인출시키면서 카메라(4) 후단의 보스(42)로 제1 암부재(31)의 수직부(312)를 끼운 후 카메라(4)의 보스(42) 둘레에 형성된 "V" 형상 고정홈(43)로 선단이 끼워져 체결되는 볼트(51)에 의해 고정부(7)가 밀착 결합된다.
한편, 베이스부재(8)의 관통공(82)을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벽에 통상의 체결볼트로서 베이스부재(8)가 선행하여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4) 및 각도 조절부재(3)를 장착한 고정부재(1)를 베이스부재(8)의 걸림홈(83)에 의해 위치를 편리하게 설정하면서 체결공(13)으로 관통되는 볼트(53)가 베이스부재(8)의 나사공(81)에 체결됨으로써 부착이 용이하여 카메라(4)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부착이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4)가 장착된 고정부재(1)의 부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카메라(4)를 Z축을 기준으로 지면 또는 감시 장소에 접합한 수평 또는 기울기 조정을 위하여는 도 5에서와 같이 볼트(51)를 풀어 고정부(7)의 반원형 돌기(73)가 도 4b의 확대 도와 같이 고정홈(7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홈(71)으로 안내될 1~3㎜ 정도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볼트(51)의 풀림 회전수는 1~3회 이내이므로 신속하게 고정부(7)의 돌기(73)가 가이드홈(71)으로 위치되어 안내되면서 회전되어 차기의 고정홈(72)으로 이동될 수 있고, 소정의 위치로 돌기(73)가 이동하여 소망하는 수평 또는 기울기 상태로 카메라(4) 위치가 도달하면 역으로 볼트(51)를 조이면 볼트(51)의 선단이 카메라(4) 후단 보스(42)에 형성된 "V" 형상 고정홈(43)에 접촉되면서 도 4a 및 도 5b와 같이 카메라(4)의 후단부(41)에 형성된 고정부(7)의 고정홈(72)과 제1 암부재(31)의 수직부(321)에 형성된 고정부(7)의 돌기(73)가 일치되어 안착됨으로써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여도 설정위치의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에 형성된 가이드홈(71) 및 고정홈(72) 그리고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형성된 돌기(73)로 이루어지는 한 조의 고정부(7)는 상기 카메라(4)와 제1 암부재(31)에 형성된 고정부(7)에서와 같이 돌기(73)가 고정홈(7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홈(71)으로 안내되는 이격 거리만을 제공하는 동일한 작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볼트(52)를 간편하게 풀고 조이는 과정을 통해 X축을 기준으로 카메라(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카메라(4)를 Z축과 X축을 기준으로 수평 및 상하 방향으로의 감시 위치 조정에 한정하지 않고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제3 암부재(34)를 추가하여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에 형성된 고정부(7)의 가이드홈(71) 및 고정홈(72)으로 제3 암부재(34)의 연결부(341)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7)의 돌기(73)가 접하여 결합되도록 볼트(52)로서 체결되고,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형성된 고정부(7)의 반구형 돌기(73)가 제3 암부재(34)의 연결부(342)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7)의 가이드홈(71) 및 고정홈(72)으로 접하여 볼트(53)로서 체결되면 볼트(52) 및 볼트(54)의 풀림과 조임 과정을 통해 X축을 기준으로 카메라(4)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Y축을 기준으로 카메라(4)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어 촬영각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3 암부재(34)를 부가함으로써 카메라(4)를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및 수평상태의 모든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각도의 조정이 더욱 편리한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확대하여 작동상태를 일부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각도 조절부재에 형성된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9는 종래 실시 예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부재 2: 조임링
3: 각도 조절부재 4: 카메라
6: 가스켓 7: 고정부
8: 베이스부재 11: 보스
12: 암나사 13: 체결공
31: 제1 암부재 32: 제2 암부재
311: 연결부 312: 수직부
321: 연결부 322: 수나사
33,33: 통로 34: 제3 암부재
341,342: 연결부 40: 케이블
41: 후단부 42: 보스
43: 고정홈 51,52,53: 볼트
71: 가이드홈 72: 고정홈
73: 돌기 81: 나사공
82: 관통공 83: 걸림홈

Claims (2)

  1. 송신용 케이블(40)이 연결된 카메라(4)와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하는 체결공(13)이 사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암나사(12)를 갖는 보스(11)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1) 사이에 각도 조절부재(3)가 결합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재(3)는 카메라(4)의 후단부(41)에 돌출 형성된 보스(42)에 끼워져 볼트(51)에 의해 일단이 결합되는 제1 암부재(31)와 고정부재(1)의 보스(11) 그리고 조임링(2)에 의해 일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 암부재(3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는 서로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볼트(52)로 고정되며, 상기 제1, 2 암부재(31,32)는 중앙에 통로(33,33')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40)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의 후단부(41)와 제1 암부재(31)의 선단 수직부(312) 접촉부분 그리고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와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 그리고 반구형 돌기(73)를 한 조로 이루어지는 고정부(7)를 형성하되 접촉부분 중 어느 한 접촉부분에는 가이드홈(71) 및 반구형 고정홈(72)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접촉부분에는 반구형 돌기(73)를 형성하여 돌기(73)가 가이드홈(71)을 따라 회전되다가 고정홈(72)에 안착하도록 이루어져 X축, Z축을 기준으로 카메라(4)가 회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4)와 조절부재(3)가 장착된 고정부재(1)의 체결공(13)으로 끼워지는 볼트(53)가 체결되는 나사공(81)과 벽 또는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공(82) 그리고 상호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걸림홈(83)을 형성한 링 형태의 베이스부재(8)를 부가하여 먼저 베이스부재(8)를 벽 또는 찬장에 부착한 후 고정부재(1)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가 X축, Z축 및 Y축으로도 회전하여 각도가 조절되도록 연결부(341) 및 연결부(342)가 서로 직교상태를 이루도록 양단에 일체로 형성한 제3 암부재(34)를 더욱 마련하되, 상기 연결부(341)의 고정부(7)는 제1 암부재(31)의 연결부(311)에 형성된 고정부(7)에 볼트(52)로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342)의 고정부(7)는 제2 암부재(32)의 연결부(321)에 형성된 고정부(7)에 볼트(54)로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1020080016224A 2008-02-22 2008-02-22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Expired - Fee Related KR100879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24A KR100879937B1 (ko) 2008-02-22 2008-02-22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224A KR100879937B1 (ko) 2008-02-22 2008-02-22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937B1 true KR100879937B1 (ko) 2009-02-02

Family

ID=4068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9937B1 (ko) 2008-02-22 2008-02-22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63B1 (ko) 2009-08-27 2010-11-09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감시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687829B1 (ko) 2015-06-16 2016-12-21 주식회사 협성엠티 감시카메라 브래킷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717A (ko) * 2004-11-24 2006-05-29 고윤화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717A (ko) * 2004-11-24 2006-05-29 고윤화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63B1 (ko) 2009-08-27 2010-11-09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감시카메라의 장착장치
KR101687829B1 (ko) 2015-06-16 2016-12-21 주식회사 협성엠티 감시카메라 브래킷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2116A1 (en) Ball head
JP3202052B2 (ja) カメラ取付台
KR200442548Y1 (ko) 케이블 통과형 감시카메라 장착 브라켓
KR100879937B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100984837B1 (ko) 감지기 고정 브라켓
KR200415564Y1 (ko) 안테나 체결 장치
KR200444658Y1 (ko) 케이블 통과형 감시카메라 장착 브라켓
KR100466986B1 (ko) Cctv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101148994B1 (ko) 감시카메라용 각도조절장치
KR101529394B1 (ko)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US9476543B2 (en) Alignment swivel and method
EP37262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ocular tripod adapter with automatic locking engagement
KR10226024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붕괴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클램프
KR100438110B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05431Y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100959936B1 (ko) 3축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거치대 구조
US20160281769A1 (en) Cable anchor assembly
KR200394848Y1 (ko) 감시카메라 고정용 브래킷
KR200256083Y1 (ko) Cctv용 카메라의 각도 조절장치
CN222067986U (zh) 对接锁紧结构
JP7619931B2 (ja) 表面に搭載するために構成されるデバイス
CN219550419U (zh) 内凹槽杆的设备固定机构
KR101436356B1 (ko) 감시카메라 설치대
JP2010271357A (ja) カメラ取付具及び機器取付具
JP2579434Y2 (ja) 角度可変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