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507B1 -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 Google Patents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8507B1 KR100878507B1 KR1020070013090A KR20070013090A KR100878507B1 KR 100878507 B1 KR100878507 B1 KR 100878507B1 KR 1020070013090 A KR1020070013090 A KR 1020070013090A KR 20070013090 A KR20070013090 A KR 20070013090A KR 100878507 B1 KR100878507 B1 KR 1008785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fixed
- cover
- drain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주거용 건축물의 각층에서 가장자리에 매설하여 배수관으로 연결되는, 청소물이나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에서, 특히 하절기에 악취 및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건축물에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device in a drainage outlet for cleaning or sewage, which is buried at the edge of each floor of a residential building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particularly in a building provided to prevent odor and backflow of sewage during the summer season. .
일반적으로 가옥 등의 주거용 건축물이나 기타 시설물 등에서는 취사 및 목욕이나 청소용 물을 사용하기 마련인데, 이때 사용되는 물이 오수로 변화하면서, 배수구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특히 하절기에는 배수구에 정체되어 있는 오수가 부패 등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악취를, 배수구로부터 공기가 역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주어야 하는데, 특히 재래식으로 시설된 배수구에서는 효과적으로 상기 목적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general, residential buildings and other facilities such as houses are used for cooking, bathing or cleaning water. At this time, the water used is changed into sewage, and drainage occurs at the drain, particularly in summer. The odor of the air formed by the decay, etc., to effectively block the phenomenon of the backflow of air from the drain, 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ly equipped drain, it was often not effective to provide the purpose.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건축물 등에서 매설되는 하수관(36)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도로변의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면(17)의 단턱(15)에 조립되면서 고정되는 구멍(22)이 형성되는 뚜껑(23)을 조립하여 형성된 배수구(11)에서, 상기 도로에서 바닥면(17)의 단턱(15)의 하측면에 고정으로 형성되는 배수구(11)의 배수공간(35)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단턱(15)의 하측면에 밀폐로 고정되는 몸체(18)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8)에는 배수물이 고여주는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쳐져주도록 요홈부와 돌출부가 연속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20)를 구성하고, 하측부위에는 소정의 크기로 절개부(28)를 형으로 구성하면서 일측으로 연결되는 연질성의 덮개(29)를 구성하면서, 서로 접합되는 형 부위로 덮개용 리브(31)를 형성시켜 구성하여 주고, 상기 연질성의 덮개(29)로 일치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봉(25)을 상기 단턱(15)으로 연결시켜서 고정으로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몸체(18)에 배수물이 고이는 경우 물의 중량에 의하여 몸체(18)의 요철부(20) 역할로 아래로 낮아지면 상기 고정봉(25)의 역할로 연질성 덮개(29)를 위로 열려주면서 배수물이 배수가 되고, 또한 배수물이 배수가 되면 상기 요철부(20)의 역할로 몸체(18)가 위로 상승하여서, 상기 연질의 덮개(29)와 이의 리브(31)가 형 절개부(28)를 닫아주므로, 이에 의하여 하수관(36) 등에서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being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ewer pipe 36 buried in the building,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step 15 of the floor 17 fixed to the ground of the roadside In the drain 11 formed by assembling the lid 23 is formed in the hole 22 to be fixed, the drain of the drain 11 is forme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step 15 of the floor 17 in the road The body 1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p 15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ace 35 to be hermetically fixed, and the body 18 has to be struck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waste water. Concave and convex portion 20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repeatedly repeatedly, and the incision portion 28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lower portion While forming in a mold and joined to each other, forming a flexible cover 29 connected to one side The cover ribs 31 are formed by forming a mold portion, and the fixing rod 25 fixed to match the flexible cover 29 is connected to the step 15 to be fixed. When drainage accumulates in the body 18, when the water is lowered down by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role of the uneven part 20 of the body 18, the flexible cover 29 is opened upward in the role of the fixing rod 25. When the water is drained, and the drainage is drained, the body 18 ascends upward in the role of the uneven portion 20, so that the soft cover 29 and its ribs 31 are drained. Since the mold incision 28 is closed, the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backflow of odors and the like in the sewer pipe 36 and the like.
배수구, 몸체, 절개부, 덮개, 고정봉 Drain, Body, Incision, Cover, Fixing Rod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1 is a partially broken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서 도시되는 역류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backflow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시시도4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6은 도5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of use in FIG.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도7에서 C-C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9는 도8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of use in FIG.
도10은 도7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FIG. 10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in part of FIG.
도11은 도10에서 일부 절개된 확대 사시도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away in FIG.
도12는 도11에서 D-D선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도13은 도12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a using state in FIG.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배수구 17. 바닥면 18. 몸체 19. 돌출부11.Drain 17.Floor 18.Body 19.Protrusion
20. 요철부 22. 뚜껑 23. 구멍 25. 고정봉20. Uneven
26. 철심 28. 절개부 29. 덮개 30. 고정대26.
31. 리브 32. 지지링구 35. 배수공간 36. 하수관31.
39. 지지대 40. 배출구 44. 요철부39.
본 발명은 주로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는 주택지의 바닥면 등의 가장자리에 따라 바닥에 매설되는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도중 부패로 인하여 발생되는 악취와 같은 유해 가스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건축물에서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age device for preventing backflow in a building that prevents the backflow of harmful gases such as odor generated by decay during the drainage to the sewer pipe buried in the floor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of the residential area, mainly dense building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가옥 등의 주거용 건축물 등에서는 취사 및 목욕이나 청소용 물을 사용하기 마련인데, 이때 사용되는 물이 가옥이나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배수구에서 배수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배수구로부터 공기가 역류되면서 배수구에서 부패 등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주어야 하는데 특히 재래식으로 시설된 배수구에서는 효과적으로 상기 목적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general,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houses use water for cooking, bathing or cleaning. At this time, the water used is sanitary at the drains located at the edges of the houses or buildings, and the air flows back from the drain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block the odor of the air formed by decay, etc. 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ly installed drainage drainage was often unable to effectively serve the purpose.
고로, 대부분 주택지를 지나가는 배후도로 등에서는 간이용으로 두툼한 비닐 벽지 등으로 덮어서, 상기 배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의 차단을 임시 방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rear roads, which pass most of the residential areas, they are often covered with thick vinyl wallpaper for simple use, and in many cases, temporary blockade of odors flowing from the drains is used.
또한, 여름철의 폭서기에서는, 상기 지적한 주택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의 도로 변에서 사용되는 배수구에서는, 배수되는 물에 섞여있는 오물이나 목욕 등으로 섞여서 배수되는 오수 등의 재거용으로는, 배수구에 배수구멍을 그물망 형상으로 걸러 주도록 대부분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부분 오수 등에 섞여지는 오물이 배수구멍에 쌓이면서, 배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며, 또한, 지중 매설된 배수관에서, 특히 하절기에, 악취로 오염된 공기의 차단은 위생적으로 어려움이 많아서 주택지의 배수구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summer aerators, drainage holes used at the edges of roads around the residential areas mentioned above are used for re-treatment of wastewater mixed with wastewater mixed with water to be drained or mixed with a bath. Since most of it is configured to filter nets in the shape of the sewage, most of the waste mixed with sewage is accumulated in the drainage holes, and the drainage flow is not smoothly drained by blocking the flow of the drainage. Also, in underground drainage pipes, especially in summer, The blocking of polluted air is hygienic and difficult to use hygienically in drains in residential areas.
이에 따른 대책으로서, 배수구의 내측 공간에서 용기와 이에 따른 빗물의 저장에 의하여 부력을 형성하는 부기를 사용으로 악취의 배출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되었는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별도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As a countermeasure, there has been provided an apparatus for blocking the emission of odor by using a boogie which forms buoyancy by storage of the container and the rainwater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in,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e device therefor. will be.
또한, 건축물에서 지하실 등이나 각 층의 바닥에서 낮은 곳에 위치하는 배수구에서는, 상기 배수구의 하수에서 역류하는 악취에 의한 실내 오염의 방지를 해결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drain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ment or each floor in a building, there is often a need to solve the prevention of indoor contamination by the odor flowing back from the sewage of the drain.
또한, 상기 설명되는 역류 방지 장치로서는 본인의 선 발명 출원된 장치로서, 건축물에서 바닥면의 단턱에 관통구이 형성되는 안전망을 고정하여 형성된 배수구에서, 상기 바닥면의 하측에 고리에 걸어주는 걸이로 고정하는 용기를 조립하고, 상기 용기의 하측에다 간헐적으로 다수개의 보조배출구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용기의 내측공간에 삽설되는 부기를 안치하되, 상기 부기에는 상측방향으로 고정봉을 상기 설명되는 안전망의 관통구를 통과되면서 차단판을 고정하여서 안전망의 관통구을 덮어 주도록 구성된 발명이 제공되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described above is a device of the invention of its own invention, which is fixed by a hook hanging on a hook at the lower side of the floor in a drain hole formed by fixing a safety net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step of a floor in a building. Assembling the container, and form a plurality of auxiliary outlets intermittently i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swell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is placed, the fixing rod in the upper direction An invention has been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to cover the through-hole of a safety net by fixing the blocking pl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described safety ne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된 배수구에서 구성되는 차단장치에 대한 별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배출되는 배수용 물의 효과적인 배수 및 악취 유입 차단의 효과적인 제공과 아울러 장마 등으로 빗물이 흐르는 경우에만 배수 역할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e structure for the shut-off device configured in the above-described drain, the effective drainage of the discharged water for drainage and the effective provision of blocking the odor inflow and drainage only when rainwater flows in the rainy season, etc. To provide a role.
즉, 평상시에는 배수관에서 흐르는 배수용 물의 일부가 배수구에서의 배수물과 같이 정체되면서 부패로 인하는 악취의 누출을 방지하여주는 구조가 있으며, 청소 및 목욕 등으로 배수물이 배수구용 안전망으로 배수되기 시작하면 자연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ther words, there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leakage of odor due to decay as a part of the drainage water flowing in the drainage pipe is stagnant like the drainage in the drainage port, and the drainage is drained to the drainage safety net by cleaning and bathing. To begin with, it provides a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drain natural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택지용 건축물의 각 층에서 일측에 배수가 잘 되되면서 악취 등이 차단하도록 적절한 자리에, 뚜껑의 조립으로 배수공간과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구에서, 생활 폐수 등으로 오수가 흘러가면서 부패 등으로 발생하는 악취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몸체에 신축성을 보강하는 요철부가 형성하고, 이에 연결되는 몸체의 하측부위에 상기 원통형의 몸체에 요홈부와 볼록부가 역속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하측면에 형 절개부를 형성하여 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형에 따라 리브를 조립하고, 상기 배수공간의 내측부위에는 덮개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도록 고정봉을 상기 단턱에 연결시켜 고정으로 구성하여서 배수되는 물의 중량에 따라 몸체가 상,하측으로 움직여 주므로서 덮개에 배수공간이 형성되는 발명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each floor of the residential building is well drained on one side while the odor, etc. in a suitable place, the assembly of the lid in the drainage connected to the drainage space and sewage pipe, living waste water, etc. As the sewage flows into the body used for blocking the odor generated by the decay, etc. is formed in the concave-convex to reinforce the elasticity,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formed in the cylindrical bod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connected thereto Forming an uneven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Forming a cover by forming a type incision, and Assemble the rib according to the type, the inner part of the drainage space is connected to the fixing bar to the fixed step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to configure the body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drained water It is an invention that the drainage space is formed on the cover by giving.
고로, 상기 설명되는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도시되는 역류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3은 도2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시시도이며, 도5는 도4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8은 도7에서 C-C선 단면도이며, 도9는 도8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10은 도7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11은 도10에서 일부 절개된 확대 사시도이며, 도12는 도11에서 D-D선 단면도이며, 도13은 도12에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Therefore,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partially cut away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ackflow preven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IG. 4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and FIG. 7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7,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in FIG. 8, and FIG.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away in Fig. 10,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1, and 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in Fig. 12. Figs.
즉,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각층마다 형성되는 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바닥 매설되는 하수관(36)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되어지는 장소에서, 각층의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면(17)의 단턱(15)에 조립되면서 고정되는 구멍(22)이 형성되는 뚜껑(23)을 조립하여 주고 하측부에 하수관(36)이 연결되면서 소정의 크기로 배수공간(35)이 형성된 배수구(11)에서, 상기 도로에서 바닥면(17)의 단턱(15)의 하측면에 고정으로 형성되는 배수구(11)의 배수공간(35)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단턱(15)의 하측면에 밀폐로 고정되는 단면이 원통형의 몸체(18)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8)의 원통부위에는 배수물이 고여주는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처져주도록 구성되는 재질은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로 구성되는 소정의 크기로 수회전 구성되는 요홈부와 돌출부가 연속반복적으로 형성하도록 원주방향 또는 나선권회 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철부(2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8)에서 하측면의 일측에 형 절개부(28)를 형성하여 덮개(29)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28)의 형에 따라 리브(31)를 조립하여서 구성되는 덮개(29)로서 일측으로 몸체(18)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연신성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로 구성하여 준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6, the floor surface fixed to the ground of each floor in a place where the
고로, 상기 배수공간(35)의 내측부위에는 덮개(29)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도록 고정봉(25)을 상기 단턱(15)에 연결시켜 고정으로 구성하여서, 상기 몸체(18)에 고여주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몸체(18)의 요철부(20)의 역할로 몸체(18)가 아래로 하강하여 주면 덮개(29)의 위치에 맞추어 고정되는 고정봉(25)에 의하여 덮개(29)가 위로 밀려올라가 주므로, 이로 인하여 배출구(40)가 형성되므로 몸체(18)에 고여주는 물의 배수가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inner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몸체(18)에서 고여주는 물이 배출구(40)로 배수가 완료되어서 빈 공간이 되면 몸체(18)의 중량이 낮아져 주므로 요철부(20)의 역할로 상측으로 몸체(18)가 위로 올라가 주므로, 이로 인하여 덮개(29)를 올려주는 고정봉(25)의 위치가 멀어져 주므로 덮개(29) 자체의 연신성 및 굴곡성으로 인하여 상기 배출구(40)을 닫아주면서 덮개(29)의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리브(31)와 형 절개부(28)의 가장자리를 접합(c)하게 형성되므로 수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collected in the
여기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 절개부(28)의 가장자리와 절개된 몸체(18) 사이의 간격은 고정봉(25)에 의하여 일측에 연결대(b)에서 연신 또는 복원력에 의하여 배출구(40) 형성에 대한 이용이 용이하도록 여유간격(a)을 유지하여 준다.Here, as shown in Figure 5, The gap between the edge of the
그리고, 상기 몸체(18)에 고여 주는 배수물의 중량에 의하여 요철부(20)의 역할로 하측방향으로 쳐져서 내려오는 경우 과다한 길이로 내려와서 상기 요철부(20)의 복원능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공간(35)에서 소정의 하측부위에는 지중(42)에서 지지봉(25)으로 연결되는 지지링구(32)를 조립하여 준다.In addition, when hitting the lower side by the role of the
여기서, 사용되는 몸체(18)의 재질은 빗물이나 배수물 등으로 몸체(18)의 내측에 고여주는 물의 중량에 의하여 몸체(18)의 요철부(20)가 연신으로 움직여 주도록 몸체(18)의 제조되는 고무 및 연질의 합성수지제의 연질성 및 굴곡성에 대한 경도를 소정의 범위 내로 구성하여 주며, 또한 상기 굴곡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요철부(20)를 형성하는 볼록부에 따라 철심(26)을 삽설하여 준다.Here, the material of the
또한, 상기 설명되는 몸체(18)의 하측부위에서 형 절개부(28)로 형성되는 덮개(29)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 절개부(28)로 절개되어 일측으로만 연결되어 형성되는 덮개(29)의 구성을 양측으로 형성되는 형 절개부(28')으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덮개(29')를 제공하여서, 양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29')의 양측 절개부(28)에 따라 리브(31)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고정봉(25)이 몸체(18)의 하강으로 덮개(29')를 열려주어서 배출구(40)을 형성하여서, 몸체(18)에 저장되는 배수용 물을 배출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In addi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여기서, 설명되는 덮개(29')의 재질은 굴곡성 및 연신성의 고무 등으로 제작하여 주도록 한다.Here, the material of the cover 29 'to be described is to be made of flexible and stretchable rubber or the like.
또한, 상기 덮개(29')의 하측면에 고정봉(25)의 위치에 맞추어 주는 걸림링 구(3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몸체(18)에 모여주는 물의 중량으로 인하여 몸체(18)가 하강하는 경우, 고정봉(25)이 연질의 덮개(29)를 밀어주므로서 배출공간(35)을 형성하여 주는데, 여기서 장기간 사용할수 있도록 덮개(29')의 하측면에 고정봉(25)과 같이 연결되는 지지링구(3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견고성과 정확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덮개(29')와 지지봉(25)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형 절개부(28')으로 형성하여 구성되는 덮개(29')를 제공하여서, 양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29')의 양측 절개부(28)에 따라 리브(31)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상기 덮개(29')의 중간에다, 상기 몸체(18)에 배수되는 물이 고여주는 경우 연신성 및 복원력을 보강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덮개(29')의 양측 절개방향으로 요홈부와 볼록부가 연속반복적으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요철부(44)를 구성하여서 고정봉(25)에 의하여 덮개(29')를 밀어주는 경우 많은 면적의 배출구(40)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신속히 배수가 이루어 주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cover 29 'and the
여기서, 상기 리브(31)는 요철부(44)를 형성하는 덮개(29')에서, 몸체(18)의 절개부(28)가 형성되는 양측가장자리에 리브(31')를 구성하여서 절개부(28)로 절개되는 몸체(18)의 절개부위를 접합(c)으로 덮어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형 절개부(28)로 절개되어 일측으로만 연결되어 형성되는 덮개(29)에도, 상기 설명되는 단턱(29')에 요홈부와 볼록부가 연속 반복적으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요철부(44)의 형성으로구성하여서 제공하여 주어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Where described above I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주택가의 각 층이나 도로의 가장자리에 하수관의 매립하면서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배수구에서, 특히 하절기에 하수관에서 흐르는 배수 및 오수에 대한 악취의 유출은 차단되면서, 소량의 하수가 악취의 누출이 없이 배수구로 유입되도록 근본적으로 제공하며 주며, 사용 장치도 조립식으로 조립되어 있어서 경제적이면서 내구성이 양호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termittently formed in the drains of the sewer pipe on each floor of the residential district or the road, intermittent odors to the drainage and sewage flowing in the sewer pipe, especially during the summer season, while a small amount of sewage It basically provides to flow into the drain without leakage, and the use device is also assembled prefabricated, economical and durable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090A KR100878507B1 (en) | 2007-02-08 | 2007-02-08 |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090A KR100878507B1 (en) | 2007-02-08 | 2007-02-08 |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4284A KR20080074284A (en) | 2008-08-13 |
KR100878507B1 true KR100878507B1 (en) | 2009-01-13 |
Family
ID=3988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3090A KR100878507B1 (en) | 2007-02-08 | 2007-02-08 |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85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425B1 (en) * | 2009-09-29 | 2010-03-19 |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 Water supply system in the apartment house |
KR102702785B1 (en) * | 2023-09-14 | 2024-09-04 | (주)재원종합엔지니어링 | Communications Cable Protective Manhole in the Apartment hous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7504A (en) * | 1994-01-06 | 1995-08-01 | Doi Fudousan:Kk | Odor shutting-off trap for drain pipe |
KR100613466B1 (en) | 2006-02-13 | 2006-08-22 |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 Sewage drainage of building |
KR20070078845A (en) * | 2005-03-14 | 2007-08-03 | 이상각 | Manhole with odor spill prevention means |
-
2007
- 2007-02-08 KR KR1020070013090A patent/KR10087850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7504A (en) * | 1994-01-06 | 1995-08-01 | Doi Fudousan:Kk | Odor shutting-off trap for drain pipe |
KR20070078845A (en) * | 2005-03-14 | 2007-08-03 | 이상각 | Manhole with odor spill prevention means |
KR100613466B1 (en) | 2006-02-13 | 2006-08-22 |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 Sewage drainage of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4284A (en) | 2008-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6420B1 (en)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 |
KR100983466B1 (en)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manhole of sewer pipe | |
EP1577452B1 (en) | Drainage channel | |
KR100878507B1 (en) | Backflow prevention drainage | |
KR100895422B1 (en) | Manhole cov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ewer and preventing odors | |
KR200308485Y1 (en) | Drain Trap | |
KR200220668Y1 (en) | Sleeve for Drain Trap | |
WO2019013649A1 (en) | Water drain comprising an odor trap and a method of installing said water drain | |
KR101177495B1 (en) | draining trap | |
KR100952989B1 (en) | Drain trap structures | |
KR20120007674U (en) | The drainage ditch where the offensive odor removal vice-concreteness is had built-in | |
KR101607430B1 (en) | Trench equipped with waste trap | |
KR100524187B1 (en) | Retractable drains for construction and road | |
KR20080074283A (en) |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drain | |
KR100548208B1 (en) | Odor backflow prevention drain drain | |
KR20200091262A (en) | Odor blocking device for rainwater manhole | |
KR101304762B1 (en) | Ball using bad smell shut off function having drainage device for bathroom | |
KR101022645B1 (en) | Sewer drain trap | |
KR100712963B1 (en) | Noise and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drain pipe | |
KR200294875Y1 (en) | manhole | |
KR200292689Y1 (en) | Retractable Drain for Construction | |
KR20100005150U (en) | Draining trap for bathroom bottom | |
KR200317699Y1 (en) | Sewer odor prevention drain cover | |
KR0116098Y1 (en) | Drainage trap for veranda of apartment | |
KR200239586Y1 (en) | Drain Tr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