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5451B1 -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51B1
KR100875451B1 KR1020070069848A KR20070069848A KR100875451B1 KR 100875451 B1 KR100875451 B1 KR 100875451B1 KR 1020070069848 A KR1020070069848 A KR 1020070069848A KR 20070069848 A KR20070069848 A KR 20070069848A KR 100875451 B1 KR100875451 B1 KR 10087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ster
container
assembly
sad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남
Original Assignee
서호전기주식회사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호전기주식회사,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서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451B1/ko
Priority to PCT/KR2008/003461 priority patent/WO20090085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컨테이너 하역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고정형 로딩아암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거나, 하부방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과, 상기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상에서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새들 조립체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새들 조립체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을 이동시키는 이송 조립체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69848
컨테이너, 하역, 이송, 고정, 아암, 이동, 새들

Description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APPARATUS FOR HANDLING CONTE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하역장비와 컨테이너 이송장비의 대기시간의 최소화가 필수 불가결하다. 이를 위해서는 컨테이너 하역장비가 야드 바닥에 내려놓은 컨테이너를 집거나, 싣고 있는 컨테이너를 바닥에 내려놓을 수도 있고 컨테이너 하역장비로부터 직접 컨테이너를 받거나 싣고 있는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하역장비가 직접 집을 수 있는 다기능 하역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에 컨테이너 이송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하역장비가 바닥에 내려놓은 컨테이너의 집기와 바닥에다 싣고 있는 컨테이너의 놓기만 가능한 스프레더(Spreader)를 이용한 방식과 컨테이너 하역장비로부터 컨테이너를 받거나 컨테이너 하역장비가 직접 컨테이너를 집어가는 기능만 가능한 방식이 있다.
전자는 스트래들 케리어(Straddle Carrier)와 리치 스텍커(Reach Stacker)에 사용되고 있고, 후자는 AGV와 야드 트렉터(Yard Tractor)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상하차를 모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하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고정형 로딩아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거나, 하부방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 상기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상에서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새들 조립체;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새들 조립체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을 이동시키는 이송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컨테이너의 이동형 로딩아암과, 고정형 로딩아암을 이용하여 자가 상/하차기능과, 컨테이너 수동 상/하차기능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하역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중간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진행하는 고정형 로딩아암(Loading Arm;3)과, 상기 프레임(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동형 로딩아암(5,7)과,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5,7)을 프레임상에서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새들 조립체(Saddle & Position Lock-Pin Assembly;9,11)와, 상기 새들 조립체(9,11)를 이동시키고, 유압호스 혹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이송 조립체(Saddle & Hose Travel Assembly;12,1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로딩아암(3)은 프레임(1)상에 고정되어 20ft 컨테이너2개에 대한 하역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고정형 로딩아암(3)은 프레임(1)상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아암(14,1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아암(14,16)의 사이에 컨테이너(C)가 픽업됨으로써 하역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각각의 아암(14,16)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아암에 의하여 이하 설명한다.
상기 고정형 로딩아암(3)은 프레임(1)에 고정되는 아웃터 마스터(Outer Master;15)와, 상기 아웃터 마스터(15)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너 마스터(Inner Master;25)와, 상기 인너 마스터(25)와 아웃터 마스터(15)를 연결함 으로써 인너 마스터(25)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조립체(Lifting Cylinder Assembly;28)와, 상기 인너 마스터(25)에 연결되는 호스 혹은 케이블의 이동 동로가 되는 체인/호스 조립체(Chain & Hose Assembly;2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형 로딩아암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터(15)는 그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암(Lower Arm;19)을 구비한다. 이러한 로어암(19)은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Lower Arm Cylinder Assembly;21)에 연결됨으로써 상하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21)의 상부는 아웃터 마스터(15)의 하부(15a)에 연결되고, 하부는 로어암(1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21)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로어암(19)이 상하로 힌지운동을 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마스터(25)는 상기 아웃터 마스터(15)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 롤러(17)가 구비되어 아웃터 마스터(15)의 내부에 구름접촉을 함으로써 승하강을 안내한다.
이러한 인너 마스터(25)는 상기한 실린더 조립체(28)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즉, 실린더 조립체(28)는 프레임(1)에 고정된 실린더(P1)와, 상기 실린더(P1)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축되는 피스톤(P2)과, 상기 피스톤(P2)과 인너 마스터(25)를 연결하여 인너마스터(25)를 상부로 당기는 리프팅 체인(W1)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체인(W1)은 일단(W2)은 상기 프레임(1)에 연결되고, 타단(W3)은 상기 인너 마스터(25)에 연결되고, 피스톤(P2)의 상단을 경유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P2)이 상승 하는 경우, 상기 인너 마스터(25)를 상부로 끌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마스터(25)의 상부에는 상부 아암(20)이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아암(20)은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23)에 의하여 구동가능하다. 즉,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23)의 하부는 인너 마스터(25)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부 아암(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23)가 구동하는 경우, 상부 아암(20)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아암(20)에는 트위스트 럭(S1)이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케스트(Q)(도시안됨)에 결합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아암(20)에는 랜딩핀(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픽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마스터(25)의 상부에는 안내부재(Container Guiding Device;27)가 구비됨으로써 컨테이너 하역장비로부터 컨테이너(C)를 받을 때 정확한 위치로 유도를 한다.
그리고, 프레임(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부재(T)가 구비됨으로써 이동형 로딩아암(5,7)과 고정형 로딩아암(3)이 컨테이너(C)를 픽업하였을 때, 이 지지부재(T)가 컨테이너(C)의 측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5,7)은 도1 및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대한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 각각의 이동형 로딩아암(5,7)이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픽업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5,7)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이동형 로딩아암(5)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5)은 서로 마주보는 로딩아암(31,33)으로 이루어지며, 이 로딩아암(31,33)에 의하여 컨테이너에 대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형 로딩아암(5)은 도5 및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새들 조립체(9,11;도2)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아웃터 마스터(35)와, 상기 아웃터 마스터(35)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너 마스터(37)와, 상기 인너 마스터(37)와 아웃터 마스터(35)를 연결함으로써 인너 마스터(37)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조립체(50)와, 상기 인너 마스터(37)에 연결되는 호스 혹은 케이블의 이동 동로가 되는 체인/호스 조립체(5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동형 로딩아암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터(35)는 후술하는 새들 프레임(55)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새들 프레임(55)은 프레임(1)상에 배치된 레일(r)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 새들 프레임(55)은 크로스빔(5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이송 조립체(12,13)에 의하여 상기 새들 프레임(55)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5)은 연동하여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아웃터 마스터(35)의 일측에 가이드 롤러(43)가 구비됨으로써 로딩아암(5)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아웃터 마스터(35)는 그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암(41)을 구비한다. 이러한 로어암(41)은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39)에 연결됨으로써 상하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39)의 상부는 아웃터 마스터(35)의 하부(39a)에 연결되고, 하부는 로어암(4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39)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로어암(41)이 상하로 힌지운동을 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마스터(37)는 상기 아웃터 마스터(35)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인너 마스터(37)는 상기한 실린더 조립체(5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즉, 실린더 조립체(50)는 프레임(1)에 고정된 실린더(P3)와, 상기 실린더(P3)로부터 돌출되거나 수축되는 피스톤(P4)과, 상기 피스톤(P4)과 인너 마스터(37)를 연결하여 인너 마스터(37)를 상부로 당기는 리프팅 체인(W4)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체인(W4)은 일단(W5)은 상기 프레임(1)에 연결되고, 타단(W6)은 상기 인너 마스터(37)에 연결되고, 피스톤(P2)의 상단을 경유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P2)이 상승 하는 경우, 상기 인너 마스터(37)를 상부로 끌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마스터(37)의 상부에는 상부 아암(45)이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아암(45)은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40)에 의하여 구동가능하다. 즉,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40)의 하부는 인너 마스터(37)의 브래킷(40a)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부 아암(4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아암 실린더 조립체(40)가 구동하는 경우, 상부 아암(45)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C)를 픽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아암(45)에는 트위스트 럭(S2)이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케스트(Q)(도시안됨)에 결합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아암(45)에는 랜딩핀(도시안됨)이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픽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마스터(37)의 상부에는 안내부재(Container Guiding Device;47)가 구비됨으로써 컨테이너 하역장비로부터 컨테이너(C)를 받을 때 정확한 위치로 유도를 한다.
한편, 상기 새들 조립체(9,11)는 도7 내지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5,7)의 아웃터 마스터(35)가 각각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과,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을 연결시켜서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5,7)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크로스빔(Cross Beam;57)과, 상기 새들 프레임(55)을 프레임(1)의 레일(r)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슈(Guide Shoe;61)와, 상기 새들 프레임(55)이 정해진 작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58,5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새들 조립체에 있어서,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은 서로 마주 보는 구조이며 프레임(1)상의 레일(r)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은 상기 크로스빔(57)에 의하여 서로 일체 로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 조립체(12,13)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69,71;도1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조립체(12,13)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 로드(69,71)를 당기거나 미는 경우,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이 레일(r)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때, 한 쌍의 새들 프레임(55)은 크로스빔(5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서로 동일하게 이동하고, 동일한 속도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8,59)는 새들 조립체(9,11)가 프레임(1)상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프레임(1)상의 고정홀(h)에 삽입됨으로써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Position Lock-Pin;58)과, 상기 고정핀(58)의 구동을 위한 고정핀 실린더(Position Lock-Pin Cylinder;59)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형 로딩아암(5,7)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새들 조립체(9,11)를 레일(r)을 따라 일정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고정핀(58)을 프레임(1)상의 고정홀(h)에 삽입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상태에서 이동형 로딩아암(5,7)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에 대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조립체(12,13)는 도10 및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 조립체(9,11)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새들 조립체(9,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송 조립체(12,13)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이송 조립체(12)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송조립체(12)는 프레임(1)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조립 체(67,67a)와, 일단은 상기 모터 조립체(67,67a)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1)상의 스프로켓(65,65a)에 연결되어 전후진이 가능한 연결부재(75,75a)와, 상기 연결부재(75,75a)와 상기 새들 프레임(55,55a)을 연결하여 새들 프레임(55,55a)을 밀거나 당기는 커넥팅 로드(71,71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67,67a)는 정, 역회전이 가능한 통상적인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조립체(67,67a)와 상기 스프로켓(65,65a)은 상기 프레임(1)상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 조립체(67,67a)와 스프로켓(65,65a)은 상기한 연결부재(75,75a)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5,75a)는 체인 혹은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체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67,67a)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체인이 전진 혹은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5,75a)에 제1 및 제2 턴버클(B1,B2)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연결부재(75,75a)와 제1 및 제2 턴버클(B1,B2)의 연결관계를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재(75)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75)의 일단은 제1 턴버클(B1)에 의하여 일측의 커넥팅 로드(71)에 연결되고, 연결부재(75)의 타단은 제2 턴버클(B2)에 의하여 타측의 커넥팅 로드(69)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5)는 스프로켓(65)과 모터 조립체(67)에 걸려서 수평 방향으로 상하단의 2단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버클(B1)은 이 연결부재(75)의 하단에 배치되어 커넥팅 로드(71)에 연결되고, 제2 버클(B2)은 상단에 배치되어 커넥팅 로드(6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67)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75)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측의 커넥팅 로드(69,71)가 각각 내측 혹은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 조립체(67)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75)의 전후진에 의하여 커넥팅 로드(71,69)가 내측 혹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커넥팅 로드(71,69)에 연결된 새들 프레임(55a)이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동형 로딩아암(5)도 이동한다.
그리고, 케이블 체인 시스템(73)이 구비되어 이동시 유압 배관 및 전기 케이블을 보호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하역장치에 의하여 컨테이너(C)를 능동적으로 하역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의 컨테이너(C)를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먼저, 이동형 로딩아암(5,7)의 위치를 컨테이너(C)의 크기에 맞게 이동시킨다.
즉, 이송 조립체(12)의 모터 조립체(67)가 구동하는 경우, 연결부재(75)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커넥팅 로드(71,69)가 이동함으로써 새들 프레임(55a)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형 로딩아암(5,7)도 컨테이너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 조립체(50)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동형 로딩아암(5,7)의 상부암(45)을 하강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린더 조립체(50)를 구동하면, 피스톤(P2)을 하강시키게 되고, 피스톤(P2)에 걸려있는 상기 리프팅 체인(W1)이 하강함으로써 인너 마스터(37)를 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인너 마스터(37)가 하강함으로써 상부암도 하강하여 트위스트락(S1)이 컨테이너(C)의 케스트(Q)에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암 실린더 조립체(23)를 구동함으로써 트위스트락(S1)이 케스트(Q)에 삽입되고, 트위스트락(S1)을 회전시킴으로써 케스트(Q)와 결합하게 된다.
트위스트락(S1)이 컨테이너(C)에 결합되면, 인너 마스터(37)를 상승시킴으로써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로어암(19)이 상승할 정도까지 들어올린다.
컨테이너(C)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21)를 구동함으로써 로어암(19)이 컨테이너(C)의 저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컨테이너(C)의 하역장치가 컨테이너(C)를 상차 혹은 하차할 수 있다.
도1 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컨테이너의 자가 하역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 는 도1 의 평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고정형 로딩아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 는 도3 에 도시된 고정형 로딩아암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 는 도1 에 도시된 이동형 로딩아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 은 도5 에 도시된 이동형 로딩아암의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 은 도1 에 도시된 새들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 은 도7 의 평면도이다.
도9 는 도7 의 측면도이다.
도10 은 도1 에 도시된 새들 이송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11 은 도10 의 측면도이다.

Claims (11)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하부방향으로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고정형 로딩아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거나, 승하강함으로써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상하차시키는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
    상기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상에서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새들 조립체;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새들 조립체를 전후진 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을 이동시키는 이송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로딩아암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아웃터 마스터와, 상기 아웃터 마스터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너 마스터와, 상기 인너 마스터와 아웃터 마스터를 연결함으로써 인너 마스터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조립체와, 상기 인너 마스터에 연결되는 호스 혹은 케이블의 이동 동로가 되는 체인/호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새들 조립체에 연결되어 전후진가능한 아웃터 마스터와, 상기 아웃터 마스터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너 마스터와, 상기 아웃터 마스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 마스터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인너 마스터와 아웃터 마스터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너 마스터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조립체와, 상기 인너 마스터에 연결되는 호스 혹은 케이블의 이동 동로가 되는 체인/호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마스터는 그 하단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어암과, 상기 로어암을 구동시키는 로어암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마스터는 그 상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픽업하는 상부암과, 상기 상부함을 구동시키는 상부암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6.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는 피스톤과,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피스톤을 경유하여 상기 인너 마스터에 연결되는 리프팅 체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조립체는 내측면에 상기 이동형 로딩아암이 각 각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새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새들 프레임을 연결시켜서 한 쌍의 이동형 로딩아암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크로스빔과, 상기 새들 프레임을 프레임의 레일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슈와, 상기 새들 프레임이 정해진 작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새들 조립체가 프레임상의 목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프레임상의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구동을 위한 고정핀 실린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조립체와, 일단은 상기 모터 조립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프레임상의 스프로켓에 연결되어 전후진이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새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새들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제1 턴버클에 의하여 일측의 커넥팅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은 제2 턴버클에 의하여 타측의 커넥팅 로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시 상기 커텍팅 로드를 이동시키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체인 혹은 벨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장치.
KR1020070069848A 2007-07-11 2007-07-11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Active KR10087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48A KR100875451B1 (ko) 2007-07-11 2007-07-11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PCT/KR2008/003461 WO2009008599A1 (en) 2007-07-11 2008-06-18 Apparatus for handl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48A KR100875451B1 (ko) 2007-07-11 2007-07-11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51B1 true KR100875451B1 (ko) 2008-12-22

Family

ID=4022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48A Active KR100875451B1 (ko) 2007-07-11 2007-07-11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5451B1 (ko)
WO (1) WO20090085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232A (ko) * 2015-08-24 2018-04-2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용 용기의 승강 반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4667B (zh) * 2012-07-31 2016-03-02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装船机臂架锁定装置及其锁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092A (ja) * 1993-12-13 1995-06-20 Toyo Umpanki Co Ltd コンテナキャリアの駆動装置
KR200215373Y1 (ko) * 1998-12-17 2001-04-02 이종민 크레인의 이송장치_
EP1730069A1 (en) * 2004-03-24 2006-12-13 NSL Engineering Pte Ltd System for manipulating containers
DE102004055629A1 (de) * 2004-11-12 2006-05-24 Hauni Maschinenbau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einanderfolgenden Entleeren von mit Artikeln gefüllten Behält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232A (ko) * 2015-08-24 2018-04-2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용 용기의 승강 반송 장치
KR102636394B1 (ko) 2015-08-24 2024-02-1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용 용기의 승강 반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8599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JP2009202691A (ja) 搬送装置
CN109178977A (zh) 一种可重构袋装水泥自动装车机
KR102523374B1 (ko) 고효율 물류 하차 시스템
KR100875451B1 (ko) 다기능 컨테이너 자가 하역 장치
JP2573699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CN207242648U (zh) 一种移动升降机
JP2782304B2 (ja) バケット移載方法
CN211034351U (zh) 一种托盘升降移载机
CN210312214U (zh) 成品棒材捆转运装置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JP5633957B2 (ja) 部品搬送システム
CN207956903U (zh) 货梯物流全自动转运机
JP3044110B2 (ja) パレット移送装置
JP3439720B2 (ja) 鶏ケージリフター
JP4496567B2 (ja) 自動倉庫用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
CN220519975U (zh) 一种多工位自动化龙门桁架搬运设备
JPH04272399A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CN219384684U (zh) 一种配件加工卸料装置
JPH03177205A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JPH0512237Y2 (ko)
CN112978195B (zh) 一种新式立体仓储设备
JP2870338B2 (ja) 搬送及び格納棚装置
WO2000069768A1 (en) Trolley moving mechanism in circulating type gantry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