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3356B1 -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356B1
KR100873356B1 KR1020020050483A KR20020050483A KR100873356B1 KR 100873356 B1 KR100873356 B1 KR 100873356B1 KR 1020020050483 A KR1020020050483 A KR 1020020050483A KR 20020050483 A KR20020050483 A KR 20020050483A KR 100873356 B1 KR100873356 B1 KR 10087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substrate
forming
high voltage
oxide film
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167A (ko
Inventor
이다순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3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3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213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221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235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H10D62/292Non-planar channels of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351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357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364Substr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H10D62/371Inactive supplementary semiconductor regions, e.g. for preventing punch-through, improving capacity effect or leakage current

Landscapes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소자의 높은 내압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높은 항복 전압 및 집적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이를 산화막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산화막이 매립된 실리콘기판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실리콘기판 내에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리프트 영역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내에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고 문턱전압 조절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문턱전압 조절 이온이 주입된 결과물 상에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고전압, 트랜지스터, 집적도

Description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Method for forming the high voltage transistor}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리콘기판 105 : 콘택홀
110 : 산화막 118 : 드리프트 영역
125 : 트랜치 128 :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
130 : 버퍼막 140 : 게이트 전극 패턴
150 :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내압을 유지하면서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높이는데 적절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트랜지스터(High Voltage Transistor)는 실리콘기판에 구현하고, 상기 실리콘기판에 소오스/드레인(Source/Drain) 영역과 채널(Channel)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채널 위에 절연체를 형성한 후 전도성 게이트(Gate)를 형성하고,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완전히 감싸도록 드리프트 영역(Drift Region)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드리프트 영역은 접합 깊이(Junction Depth)를 깊게 형성하여 전계(Electric Field)를 분산시킴으로서 전계집중에 의한 접합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실리콘기판(11) 상에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제 1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12)하여 드리프트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마스크 로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기판(11)의 드리프트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한 후, 열확산 공정을 통해 n형 불순물 이온을 확산시키어 실리콘기판(11)의 표면 내에 깊은 드리프트 영역(13)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12)를 제거하고, 상기 실리콘기판(11) 전면에 산화막(14)과 질화막(15)을 차례로 형성하며, 포토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필드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질화막(15)과 산화막(14)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상기 선택적으로 제거된 질화막(15)과 산화막(14)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표면이 노출된 실리콘기판(11)에 채널 스톱(Channel Stop)이온을 주입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스톱 이온이 주입된 실리콘기판(11)에 국부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실리콘기판(11)의 표면에 필드 산화막(16)을 형성하고, 상기 질화막(15)과 산화막(14)을 제거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기판(11)에 문턱전압 조절용 이온을 주입하고, 상기 실리콘기판(11)의 전면에 게이트 산화막(17)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산화막(17) 상에 폴리 실리콘층(18)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폴리 실리콘층(18) 상에 제 2 포토레지스트(19)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9)를 패터닝하여 게이트 영역을 정의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19)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층(18)과 게이트 산화막(17)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18a)을 형성한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19)를 제거하고, 상기 게이트전극(18a)을 포함한 실리콘기판(11)의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8a) 양측면에 측벽 스페이서(20)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 전극(18a) 및 측벽 스페이서(20)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기판(11)의 전면에 소오스/드레인용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18a) 양측의 실리콘기판(11)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21)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드리프트 영역를 접합 깊이(Junction Depth)를 깊게 형성하여 전계(Electric Field)를 분산시킴으로서 정션의 내압을 증가시키더라도 채널 항복전압(Channel Breakdown Voltage) 즉, 펀치-쓰로우 전압(Punch-through Voltage)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전압(High Voltage)의 채널 길이를 증가 시켜야 하며, 그 결과 고전압(High Voltage)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전압 소자의 높은 내압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높은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및 집적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이를 산화막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산화막이 매립된 실리콘기판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실리콘기판 내에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리프트 영역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내에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고 문턱전압 조절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문턱전압 조절 이온이 주입된 결과물 상에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기판(100)의 백 사이드 면 즉,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편 영역의 실리콘기판(100) 내에 포토공정(103) 및 식각공정을 진행하여 콘택홀(10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기판(100)을 식각하는 실리콘기판(100)의 백 사이드 면 반대편에는 고 전압의 채널(Channel)영역이 형성될 부위이기 때문에 실리콘기판(100) 표면으로부터 수 ㎛ 정도 남도록 주의하여 식각하여 콘택홀(105)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홀(105)이 형성된 실리콘기판(100)의 백 사이드 면에 산화막(110)을 증착하여 산화막(110)이 콘택홀(105) 내에 완전히 매립되게 한 후, 에치백 공정을 진행하여 실리콘기판(100)의 백 사이드 면을 평탄화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화막(110)이 매립된 실리콘기판(100)의 반대편 상부에 제 1 포토레지스트(115)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제 1 포토레지스트(115)를 패터닝하여 드리프트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제 1 포토레지스트(115)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기판(100)의 드리프트 영역에 n형 불순물 이온(119)을 주입한 후, 열확산 공정을 통해 n형 불순물 이온(119)을 확산시키어 실리콘기판(100)의 표면 내에 깊은 드리프트 영역(118)을 형성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리프트 영역(118)이 형성된 실리콘기판(100) 상에 제 2 포토레지스트(120)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제 2 포토레지스트(120)를 패터닝하여 실리콘기판(100) 내부의 드리프트 영역(118) 양 사이드 즉, 드리프트 영역(118)의 양 사이드가 소정 오버랩 되도록 트랜치 형성 영역을 정의한다. 이어, 상기 패터닝된 제 2 포토레지스트(120)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기판(100)을 식각하여 트랜치(125)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치(125)가 형성된 실리콘기판(100) 상에 트랜치(125)가 완전히 매립되도록 갭필 산화막(미도시함)을 충분히 증착하여 트랜치(125)를 매립한 후, 실리콘기판(100) 상부까지 평탄화하여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128)을 형성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128)이 형성된 실리콘기판(100) 전체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버퍼막(130)을 형성한 후, 실리콘기판(100) 내에 채널 문턱전압용 이온(135)을 주입한다. 이어, 상기 버퍼막(130)을 제거한다.
그 후,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문턱전압(Vt) 조절용 이온(135)이 주입된 실리콘기판(100)의 전면에 게이트 산화막(143)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산화막(143) 상에 폴리 실리콘층(145)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폴리 실리콘층(145) 상에 제 3 포토레지스트(미도시함)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미도시함)를 패터닝하여 게이트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패터닝된 제 3 포토레지스트(미도시함)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폴리 실리콘층(145)과 게이트 산화막(14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전극 패턴(140)을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140) 또는 이온주입 마스크(미도시함)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140)이 형성된 실리콘기판(100)의 드리프트 영역(118)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150)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리콘기판의 채널과 채널 사이에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고전압에 대하여 채널 항복전압 즉, 펀치-쓰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의 길이가 작은 경우에도 고내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소오스/드레인을 드리프트 영역 양 사이드에 형성된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소자의 형성 면적을 최소화하여 고전압 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이를 산화막으로 매립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기판의 백 사이드 면에 산화막이 매립된 실리콘기판 상부에 제 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실리콘기판 내에 드리프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리프트 영역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내에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셀로우 트랜치 아이솔레이션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상에 버퍼막을 형성하고 문턱전압 조절 이온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문턱전압 조절 이온이 주입된 결과물 상에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기판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020050483A 2002-08-26 2002-08-26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87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83A KR100873356B1 (ko) 2002-08-26 2002-08-26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483A KR100873356B1 (ko) 2002-08-26 2002-08-26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67A KR20040019167A (ko) 2004-03-05
KR100873356B1 true KR100873356B1 (ko) 2008-12-10

Family

ID=3732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483A Expired - Lifetime KR100873356B1 (ko) 2002-08-26 2002-08-26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858B1 (ko) * 2005-05-13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4302B1 (ko) * 2006-01-12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859482B1 (ko) * 2006-12-29 2008-09-2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7084B1 (ko) * 2007-02-0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44587B1 (ko) * 2007-12-10 2010-02-2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15B1 (en) * 2001-04-28 2002-12-16 Hynix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15B1 (en) * 2001-04-28 2002-12-16 Hynix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167A (ko) 200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356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9980052470A (ko)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제조 방법
KR100592705B1 (ko) 자기 정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KR100257074B1 (ko) 모스팻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79102B1 (ko) 분리홈을구비한반도체장치
KR100735627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KR10092942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2673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71020A (ko)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26116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05165B1 (ko) 반도체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532969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518239B1 (ko)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10022538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8737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7047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575612B1 (ko)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972929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2137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03574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절연막 형성방법
KR20010038755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04401A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30002441A (ko)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9990024787A (ko) 반도체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
KR20060019377A (ko) 반도체 장치의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2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