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2350B1 -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350B1
KR100872350B1 KR1020070111395A KR20070111395A KR100872350B1 KR 100872350 B1 KR100872350 B1 KR 100872350B1 KR 1020070111395 A KR1020070111395 A KR 1020070111395A KR 20070111395 A KR20070111395 A KR 20070111395A KR 100872350 B1 KR100872350 B1 KR 10087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panel
bracket
rot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KR102007011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맞게 영상표시패널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시청할 수 있고, 종래보다 한층 정밀한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패널과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어 벽체 또는 스탠드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지부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좌우 회전시 일체로 연동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단을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의 하부에 위치한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틸팅모터, 상기 틸팅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블럭, 상기 지지부와 승강블럭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로 구성된 틸팅유닛;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표시패널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래킷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Angle regulation structure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영상표시패널의 각도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청각도에 맞도록 영상표시패널을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자동 조절할 수 있고, 종래보다 한층 정밀한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의 주력 상품으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LCD나 PDP는 두께가 얇으며 평판형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두께가 얇은 관계로 종래의 CRT 모니터보다 데스크의 사용공간을 넓힐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함께, 화면의 해상도가 또렷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LCD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100)는 프론트케이스(200)와, 프론트케이스에 결합되어 모니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케이스(300)와, 프론트케이스에 고정 지지되며 리어케이스에 장착 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문자 또는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LCD패널(미도시)과,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리어케이스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스탠드(5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LCD 모니터를 사용자 쪽으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모니터와 스탠드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며, 스탠드의 상단은 리어케이스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요크(400)에 체결되는 고정축(600)과 요크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밀착되는 복수개의 금속재질인 와셔(700)의 상호 조임력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LCD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는 리어케이스의 배면에 힌지 고정되는 스탠드의 틸트 토오크를 고정축과 금속재질인 와셔의 상호 조임력에 의해 수동으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LCD 모니터의 틸팅작동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했으며 정밀한 틸팅을 기대하기 어려웠었다. 예컨대, LCD 모니터의 힌지구조에서는 고정축과 와셔의 틸트 토오크값을 너무 높게 세팅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최적의 자세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LCD 모니터를 소정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이 힘들고, 이와 반대로, 고정축과 와셔의 틸트 토오크값을 너무 낮게 세팅시키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또는 접촉 등에 의해 LCD 모니터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쉽게 틸팅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LCD 모니터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틸팅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시청 위치에 맞도록 LCD 모니터의 시청 각도를 조절 하는 것이 어려웠었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벽체 또는 스탠드에 지지되는 지지부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부 하부에 틸팅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블럭 및 지지부와 승강블럭 사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드를 설치하여 구동축의 회전시 승강블럭이 승강되며 로드를 통해 영상표시패널을 틸팅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각도에 맞도록 영상표시패널을 전후, 좌우,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자동 조절하여 시청할 수 있고, 아울러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패널과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어 벽체 또는 스탠드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지부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좌우 회전시 일체로 연동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단을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의 하부에 위치한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틸팅모터, 상기 틸팅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블럭, 상기 지지부와 승강블럭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로 구성된 틸팅유닛;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표시패널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래킷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중심축상에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웜과;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아울러, 본 발명에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이 더 설치되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회전브래킷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이송블럭과; 상기 이송블럭과 맞물려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이송스크류 및 상기 구동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동작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의 회전시 승강블럭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후방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영상표시패널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틸팅동작이 자동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표시패널이 설치되는 높이나 사용자의 시청거리에 상관없이 영상표시패널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자동 조절하여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패널을 설치하는 위치에 대한 공간적 제한이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상표시패널을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유닛, 그리고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 등을 포함하는 구성부품들이 하나의 수납케이스 내에 취부되어 영상표시패널과 함께 조립되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 구조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영상표시패널을 좌우방향으로 자동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각에 맞도록 영상표시패널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영상표시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자동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영상표시패널을 상기 승강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시청에 적합한 높이로 맞추어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틸팅유닛 및 회전유닛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패널(100)이 그 배면에 구비된 지지부(110)를 통해 스탠드(400)의 전면에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에는 영상표시패널(100)을 그 전후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틸팅유닛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닛(200)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30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틸팅유닛과 회전유닛(200)은 영상표시패널(100)의 배면에 결합된 수납케이스(101)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영상표시패널(100)과 하나의 조립체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101)의 상,하부 측면을 가로질러 2개의 샤프트(104)(106)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하부샤프트(104)(106)에는 수납케이스(101) 좌우의 영상표시패널(100) 배면에 결합된 2개의 걸이용브래킷(102)이 걸어져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이용브래킷(102)의 상,하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101)에 결합되어 있는 상,하부샤프트(104)(106)의 외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는 후크 형태의 걸이부(103)(10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영상표시패널(100)을 스탠드(400)에 지지하게 되는 지지부(110)는 영상표시패널(100)의 좌우 회전시 일체로 연동하게 되는 고정브래킷(114)(115)과, 상기 고정브래킷(114)(115)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브래킷(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14)(115)은 상부고정브래킷(114)과 이와 일정 간격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고정브래킷(11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고정브래킷(114)(115)는 양측면이 연결부재(11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가 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14)의 상단부는 상기 수납케이스(101)의 내측 벽면에 고정된 힌지지지부(107)에 힌지샤프트(12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16)를 통해 일체로 조립된 상,하부고정브래킷(114)(115)는 상기 힌지샤프트(120)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브래킷(112)은 상,하부고정브래킷(114)(115)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하부 고정브래킷(114)(115)과 회전브래킷(112)의 중심부에 관통 설치되는 중심축(142)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하부고정브래킷(114)(115)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부(110) 하부의 수납케이스(101) 내측 벽면에는 2개의 상,하부 지지편(161)(16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3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서 승강블럭(132)과 나사체결 구조로 맞물리게 되고,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에 따라 이 구동축(130)과 맞물린 승강블럭(132)이 상기 구동축(1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130)의 좌우에는 승강블럭(132)의 직선이동시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1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30)의 하단부는 측면에 설치된 틸팅모터(131)의 회전축과 밸트(V)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모터(131)의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130)이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틸팅모터(13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제어부에 의해서 구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제어부는 영상표시패널(100)의 전면이나 측면에 구비된 근거리 제어수단, 또는 리모컨 등에 구비된 원거리 제어수단에서 송신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틸팅모터(13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15)과 승강블럭(132)은 연결부재인 로드(134)를 서로 연결되는바, 상기 로드(134)의 상단은 하부고정브래킷(115)의 저면에 고정된 연결편(152)에, 그리고 상기 로드(134)의 하단은 승강블럭(132)의 전면에 고정된 연결편(151)에 각각 힌지핀(15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유닛에 의한 영상표시패널(100)의 틸팅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로서, 도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표시패널(100)의 전면이나 측면에 구비된 근거리 제어수단 또는 리모컨 등에 구비된 원거리 제어수단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틸팅각도를 선택하면, 도시되지 않은 구동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신호를 틸팅모터(131)에 인가하고,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틸팅모터(131)가 구동되면 벨트(V)를 통해 구동축(130)에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구동축(1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구동축(130)과 맞물려 있는 승강블럭(132)이 상기 구동축(130)을 따라 승강되면서 로드(134)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영상표시패널(100)의 하부를 당기거나 밀어주기게 됨으로써, 영상표시패널(100)이 힌지샤프트(1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틸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한 영상표시패널(100)의 틸팅동작은 사용자가 영상표시패널(100)이나 리모컨에 구비된 제어수단의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고정브래킷(114)에는 영상표시패널(10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닛(200)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유닛(200)에 의한 영상표시패널(100)의 좌우 회전 동 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고정브래킷(114) 내부에는 회전브래킷(112)의 중심축(142)과 결합되는 웜기어(144)가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144)에는 상부고정브래킷(114) 외측의 회전모터(141)와 연동하게 되는 웜(143)이 치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웜기어(144)가 결합되는 중심축(142)의 외주면은 부분적으로 면취된 면취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웜기어(144)가 중심축(142)에 결합된 상태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고 중심축(142)과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제어부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모터(141)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웜(143)과 맞물린 웜기어(144)가 회전되면서 상,하부고정브래킷(115)이 일체로 조립된 영상표시패널(100) 구조체가 상기 회전브래킷(112)의 중심축(14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자동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패널(100)이 지지되는 스탠드(400)에는 영상표시패널(10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300)이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승강유닛(300)에 의한 영상표시패널(100)의 상하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유닛(300)은 스탠드(400)의 내측에 수납 설치되는바, 승강유닛(3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상부플레이트(222) 및 하부플레이트(224)를 통해 스탠드(4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탠드(400)의 전면에는 회전브래킷(112)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 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를 벽걸이형으로 설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부플레이트(222)(224)를 벽체(미도시)의 적정한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300)은 회전브래킷(112)과 결합되어 스탠드(40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송되는 이송블럭(210)과, 상기 이송블럭(210)과 맞물려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12)와, 구동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송스크류(212)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2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영상표시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0)는 회전브래킷(112)의 배면부를 승강블럭(132)의 전면부에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212)는 승강유닛(300)의 상,하부플레이트(222)(224)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12)의 하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224)의 하부에 위치한 승강모터(214)와 연결되어 승강모터(214)의 구동시 연동하여 이송스크류(212)가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212)의 좌우에는 상기 이송블럭(210)의 상하 이동시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216)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모터(214)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승강모터(214)와 연결된 이송스크류(212)가 회전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12)와 맞물린 이송블럭(21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영상표시패널(100)의 높이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틸팅유닛과, 회전유닛(200), 그리고 승강유닛(300)을 통해 영상표시패널(100)의 전후방향으로의 틸팅과,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승강 운동이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표시패널의 시청각도 조절이 종래보다 한층 간편해지고, 종래보다 한층 정밀한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해져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시청에 가장 적합한 시청각도로 영상표시패널(100)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영상표시패널(100)을 틸팅시키기 위한 틸팅유닛, 그리고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 등을 포함하는 구성부품들이 하나의 수납케이스(101) 내에 취부되어 영상표시패널(100)과 함께 조립되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 구조를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상표시패널(100)의 각도조절이 사방으로 가능해져서 영상표시패널의 설치시 공간적 제한이 줄어들어 공간활용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LCD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틸팅유닛에 의한 영상표시패널의 틸팅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4에서 승강블럭 및 로드의 동작에 의한 영상표시패널의 틸팅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유닛에 의한 영상표시패널의 좌우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강유닛에 의한 영상표시패널의 상하 이동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표시패널 101 : 수납케이스
102 : 걸이용 브래킷 103,105 : 걸이부
104,106 : 상/하부샤프트 110 : 지지부
112 : 회전브래킷 114,115 : 상/하부고정브래킷
120 : 힌지샤프트 141 : 회전모터
130 : 구동축 131 : 틸팅모터
132 : 승강블럭 210 : 이송블럭
212 : 이송스크류 214 : 승강모터
300 : 승강유닛 400 : 스탠드

Claims (4)

  1. 삭제
  2.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패널과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어 벽체 또는 스탠드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지부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좌우 회전시 일체로 연동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단을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 상기 힌지샤프트의 하부에 위치한 영상표시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틸팅모터, 상기 틸팅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축과 맞물려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블럭, 상기 지지부와 승강블럭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로 구성된 틸팅유닛;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표시패널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래킷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중심축상에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웜과;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이 더 설치되되,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회전브래킷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이송블럭과;
    상기 이송블럭과 맞물려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동작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승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KR1020070111395A 2007-11-02 2007-11-02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95A KR100872350B1 (ko) 2007-11-02 2007-11-02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395A KR100872350B1 (ko) 2007-11-02 2007-11-02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350B1 true KR100872350B1 (ko) 2008-12-05

Family

ID=4037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3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350B1 (ko) 2007-11-02 2007-11-02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3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64B1 (ko) * 2010-08-12 2012-06-26 진성닷컴주식회사 모니터 각도 조절 장치
CN110242829A (zh) * 2019-05-09 2019-09-17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显示器支架、显示器和显示器支架的生产方法
CN110715147A (zh) * 2019-11-08 2020-01-21 深圳市铁幕电子竞技科技有限公司 一种可预防腰椎病肩颈病的智能显示器底座及操作方法
WO2021182659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CN114321649A (zh) * 2022-01-11 2022-04-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424Y1 (ko) * 1994-09-17 1999-05-01 김광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영상표시장치
KR100434171B1 (ko) 2001-09-04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KR20050056407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 승강장치
KR20050080139A (ko) * 2005-07-15 2005-08-11 한국소니전자(주)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424Y1 (ko) * 1994-09-17 1999-05-01 김광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영상표시장치
KR100434171B1 (ko) 2001-09-04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KR20050056407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 승강장치
KR20050080139A (ko) * 2005-07-15 2005-08-11 한국소니전자(주)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64B1 (ko) * 2010-08-12 2012-06-26 진성닷컴주식회사 모니터 각도 조절 장치
CN110242829A (zh) * 2019-05-09 2019-09-17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显示器支架、显示器和显示器支架的生产方法
CN110715147A (zh) * 2019-11-08 2020-01-21 深圳市铁幕电子竞技科技有限公司 一种可预防腰椎病肩颈病的智能显示器底座及操作方法
WO2021182659A1 (ko) * 2020-03-11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CN114321649A (zh) * 2022-01-11 2022-04-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CN114321649B (zh) * 2022-01-11 2024-03-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59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절장치
KR100872350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US20080296452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08007989A1 (en) Head for directing objects, especially for displaying screens
KR20190017623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KR20050088725A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20060034351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KR100880458B1 (ko) 초박형 텔레비전의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전환 및 상하이동장치
KR1009301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울기 조절 가능 마운팅 장치
KR100564401B1 (ko) 텔레비젼 승강장치
KR100545239B1 (ko) 텔레비젼 승강장치
KR20090117481A (ko) 영상표시장치의 틸팅장치
KR20100072878A (ko) 평판형 모니터 벽걸이 지지장치
KR20050093373A (ko) 텔레비젼용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장치
KR200367764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102642048B1 (ko) 디스플레이 업/다운 및 틸팅 가능한 이동식 거치대
KR100866639B1 (ko) 디스플레이용 회전장치
KR200349503Y1 (ko) 틸팅 장치
JP2005184506A (ja) テレビスタンド
KR200367765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200355619Y1 (ko)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KR100798612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CN102072388A (zh) 一种液晶电视电动挂墙支架
KR200361831Y1 (ko) 모니터 위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20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