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301B1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2301B1 KR100872301B1 KR1020070061592A KR20070061592A KR100872301B1 KR 100872301 B1 KR100872301 B1 KR 100872301B1 KR 1020070061592 A KR1020070061592 A KR 1020070061592A KR 20070061592 A KR20070061592 A KR 20070061592A KR 100872301 B1 KR100872301 B1 KR 10087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miconductor
- layer
- forming
- laminates
- conduc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 AlGaIn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980 Aluminium gallium arsen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86 chemical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반대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콘택과, 서로 반대에 위치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가 서로 분리되어 매설된 기판 구조물과,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매설된 표면 중 상기 제2 콘택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에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각각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노출된 영역을 갖도록 상기 제1 절연층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도전층과,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및 제2 콘택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locat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surface. A substrat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mbedded;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formation region among the embedd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nd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formed to be connected to second contacts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respectively, and extending alo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to have regions ex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structure. Is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structure,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exposed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and the first contacts of the second and first semiconductor laminat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s provided.
Description
도1a 및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일 예(수평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1A and 1B are top plan views and sid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 example (horizontal electrode structure) of a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내지 도2f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2A to 2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S. 1A and 1B.
도3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다른 예(수직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of a zener diode-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내지 도4f는 도3에 도시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4A to 4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새로운 본딩패드구조를 갖는 발광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new bonding pa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a 내지 도6f는 도5에 도시된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6A through 6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processes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5.
도7a 및 도7b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바람직한 응용예로서,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배치도 및 그 등가회로도를 나타낸다.7A and 7B show a layout and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respectively, as a preferr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a 내지 도8d는 도7a에 도시된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에 채용가능 한 배선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8A to 8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wiring structure that can be employed in 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shown in Fig. 7A.
본 발명은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광구조를 위한 반도체 적층체의 어레이와 배선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added by using an array and a wiring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laminate for a light emitting structure.
반도체 발광다이오드는 출력 및 효율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광원으로서 유익한 장점을 가지므로, 조명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를 대체할 수 있는 고출력, 고효율 광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Sinc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have advantageous advantages as light sources in terms of output, efficiency and reliability, they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as high power and high efficiency light sources that can replace backlights of lighting devices or display devices.
일반적으로, 반도체 발광장치는 허용전압을 초과하는 정전기와 같은 전압으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너다이오드와 같은 보호소자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너다이오드의 추가장착에 따라 소요되는 면적이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In general,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rotective element such as a zener diode to prevent breakdown due to a voltage such as static electricity exceeding an allowable voltage. However, as the zener diode is additionally mounted, the required area may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may be complicated.
특히, 이러한 문제는 AC 전압에도 구동가능한 복잡한 배선연결을 갖는 LED 어레이에서 보다 심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소자가 어레이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AC 구동을 위한 복잡한 배선연결이 요구되므로, 추가적인 보호소자의 장착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형화를 실현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면적이 소요되는 외부회로와 연결을 위한 본딩패드의 위치를 확보하기 곤란하다. In particular, this problem can be exacerbated in LED arrays with complex wiring connections that can also drive AC voltage. That is, since a plurality of device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an array is arranged, and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for AC driving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install additional protection devices and may act as a barrier to realizing miniaturiz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bonding pad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ircuit that requires a certain area.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호소자가 집적화 가능한 새로운 배선연결구조를 갖는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new wiring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integrating a prot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배선연결구조 및 높은 집적화에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는 본딩패드구조를 갖는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bonding pad structure which can be usefully provided for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nd high integr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반대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콘택과, 서로 반대에 위치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가 서로 분리되어 매설된 기판 구조물과,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매설된 표면 중 상기 제2 콘택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에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각각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노출된 영역을 갖도록 상기 제1 절연층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도전층과,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및 제2 콘택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each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ntacts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laminate,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surfac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through the first surface. A substrate structure in which a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mbedded;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formation region among the buri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formed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s of the semiconductor laminat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extending alo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to have areas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structure, and the substrate structure. Is formed on a first side of the first And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connecting the exposed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contacts of the second and first semiconductor laminat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respectively. Provided is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과 제1 및 제2 도전층이 상기 기판 구조물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발광 적층체와 상기 기판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도전성인 기판 구조물은 도금공정으로부터 얻어진 금속층일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strate structure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is cas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ack and the substrate structure such that the second contac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ubstrate structure. This conductive substrate structure may be a metal layer obtained from the plating process.
이와 달리, 상기 기판 구조물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ubstrate structur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는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보다 상기 기판 구조물 상에서 큰 점유면적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has a larger footprint on the substrate structure than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는 복수이며, 상기 복수의 제1 반도체 적층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의 배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is plural, and the plurality of first semiconductor laminate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ring layer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은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다른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제1 콘택을 연결하는 배선층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은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다른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도전층의 노출영역을 연결하는 배선층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wiring layer may be a wiring layer connecting an exposed area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nd a first contact related to another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wiring layer may be a wiring layer connecting an exposed region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nd an exposed region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nother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1 면 중 상기 배선층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된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wiring layer is to be formed among the firs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반도체 적층체는 교류 전압에서 해당 활성층이 발광가능하도록 상기 추가적인 배선층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aminat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additional wiring layer so that the corresponding active layer may emit light at an alternating voltage.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제1 측면에 따른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described above.
본 제조방법은, 성장용 기판 상에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각각 제2 콘택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표면에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에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층을 따라 상기 성장용 기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장용 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둘러싸는 기판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 중 연장된 영역이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기판 구조물로부터 상기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노출면에 제1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이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 구조물의 노출된 면 상에 제1 및 제2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 및 제2 콘택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located therebetween on a growth substrate,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second contact in at least some regions, and forming a first insulating layer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except for the reg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and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s. Forming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s of the laminate, respectively, and exten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growth substrate alo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Forming a substrate structure surround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nd the substrate structure such that an extended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is partially exposed; Growth substrate Removing, forming a first contact on the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exposing the exposed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and the Forming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on exposed surfaces of the substrate structure such that first contacts of the second and first semiconductor laminates are connected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contact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nd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상기 제2 콘택 및 상기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콘택이 형성될 영역을 오픈된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픈된 영역에 상기 제2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The forming of the second contact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may include forming a first insulating layer in which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contact is to be formed is opened, and forming the second contact in the open region. Can be run a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는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보다 상기 기판 구조물 상에서 큰 점유면적을 갖는다.Preferably,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has a larger footprint on the substrate structure than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장용 기판 상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장된 층들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로 분리되도록 메사에칭을 실시하는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orming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may include sequentially forming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on the growth substrate; Mesa etching may be performed to separate the separated layers into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 사이 영역의 상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분리하는 단계 후 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절연층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first insulating layer extends to an upper surface of a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nd after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the first and seco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miconductor stacks.
상기 메사에칭은 그 에칭 깊이에 따라 크게 2가지 형태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sa etching may be implemented in two types of methods depending on the etching depth.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성장용 기판 부분이 노출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콘택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상기 노출된 성장용 기판 부분까지 연장된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owth substrate portion may be ex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In this case, the forming of th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and extending along the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to the exposed growth substrate portion. Can be.
다른 형태에서, 상기 메사에칭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가 잔류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콘택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상기 잔류한 제1 도전형 반도체층까지 연장된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mesa etching may be per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remains in a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In this case, the forming of th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and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to the remaining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It may be a step.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각각,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반대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콘택과, 서로 반대에 위치한 제1 및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 체 적층체가 서로 분리되어 매설된 기판 구조물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매설된 표면 중 상기 제2 콘택 형성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매설된 표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에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노출된 영역을 갖도록 상기 절연층을 따라 연장된 도전층과, 상기 기판 구조물의 제1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도전층 중 노출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노출된 면 상으로 연장된 배선층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외부연결단자와,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의 노출면 상에 위치한 배선층 영역에 형성된 제2 외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locat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ntacts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surface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hrough the first surface. A substrat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expose a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 region other than the second contact formation region and the second of the buried surfaces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 conductive layer formed along the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buried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aminat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the conductive layer extending along the insulating layer to have an area ex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structure; Layer, and the substrate sphere A wir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extending from an exposed area of the conductive layer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onto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and a first contac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first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med to be connected, and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med in an area of a wiring layer position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본 발명은 상술된 제2 측면에 따른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제조방법은, 성장용 기판 상에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콘택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콘택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표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제2 콘택에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을 따라 상기 성장용 기판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장용 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둘러싸는 기판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층 중 연장된 영역이 일부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와 상기 기판 구조물로부터 상기 성장용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도전 형 반도체층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의 노출면에 제1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1 콘택이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 구조물의 노출된 면 상에 제1 및 제2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배선층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연결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and a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having a first and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located therebetween on a growth substrate,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second contact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forming an insulating layer on a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except for the region where the second contact is formed, and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to the second contact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respectively. Forming a conductive layer to exten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growth substrate along the insulating layer, and forming a substrate structure on the growth substrate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Removing the growth substr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and the substrate structure such that an extended region of the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exposed to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Forming a first contact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such that the first contact is connect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Forming first and second interconnection layers on the first interconnection layer; and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connection lay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1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일 예(플래너 구조)를 나타내는 상부 평면도이며, 도1b는 도1a에 도시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를 X-Y선을 따라 절개하여 본 측단면도이다.FIG. 1A is a top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planner structure) of a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side view of the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1A taken along line XY. It is a cross section.
도1a와 함께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20)는, n형 및 p형 반도체층(12,17)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15)을 갖는 반도체 적층체(10)와 상기 반도체 적층체(10)의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기판 구조물(25)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될 수 있는 반도체 적층체(10)는, AlGaInN 뿐만 아니라, AlGaAs, AlGaInP, ZnO와 같은 공지된 다양한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B together with FIG. 1A, th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반도체 적층체(10)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로 구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는 동일한 반도 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선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10A)는 발광다이오드부(20A)로 작용하며, 제2 반도체 적층체(10B)는 제너다이오드부(20B)로 작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바람직하게,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한 발광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하기 위해서, 발광다이오드부(20A)로 제공되는 제1 반도체 적층체(10A)의 면적을 제너다이오드부(20B)로 제공되는 제2 반도체 적층체(10B)의 면적보다 크게 설계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1A, in order to secure an effective light emitting area relatively large, an area of the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12,17)에 접속되도록 제1 및 제2 콘택(26,23)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10A)는 발광다이오드로 작용한다. 활성층(15)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10A)의 상면(n형 반도체층(12))을 통해 방출되므로, 효과적인 광방출과 균일한 전류분산이 보장되도록, 상기 n측 콘택(26)은 적절한 구조를 갖거나 광투과성인 전극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극지를 이용하여 전체 발광면적에 보다 균일한 전류분산이 보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First and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하면 중 제2 콘택(2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측면에는 제1 절연층(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절연층(2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상기 발광 장치(10)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p측 콘택(23)을 각각 기판 구조물(25)의 상면까지 인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상기 p측 콘택(23)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측면을 따라 상면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상기 제1 절연층(22a)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Th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25)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광장치(10)의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25)은 금속층일 수 있으며, 지지체로서 충분한 두께를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도금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기판 구조물(25)이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와 상기 기판 구조물(25)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22b)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22b)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p측 콘택(23)과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상기 기판 구조물(25)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Since the
본 실시형태와 달리, 상기 기판 구조물(25)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절연층(22b)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기판 구조물(25)에 매설된 p측 콘택(23)은,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 및 제1 및 제2 절연층(22a,22b)으로 이루어진 전극인출구조에 의해 상기 기판 구조물(25)의 상면으로 인출시킴으로써 동일한 면에서 양 극성의 콘택을 연결하는 배선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p-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가 각각 발광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선구조가 기판 구조물(25) 상에 형성된다. 즉,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선층(27a)은 상기 제1 도전층(24a)과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10B)의 n측 콘택(26)을 연결한다. 또한, 제2 배선층(27b)은 상기 제2 도전층(24b)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10A)의 n측 콘택(26)을 연결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는 서로 역극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appropriate wir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상기 발광장치(20)는 각각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10A)의 n측 및 p측 콘택(26,2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28,29)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28,29)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n측 콘택(26) 상에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28,29)의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도2a 내지 도2g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2A to 2G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S. 1A and 1B.
우선,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11) 상에 n형 반도체층(12), 활성층(15) 및 p형 반도체층(1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2A,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stacks in which an n-
이러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는 성장용 기판(11) 전체 상면에 n형 반도체층(12), 활성층(15) 및 p형 반도체층(17)이 순차적으로 성장시킨 후에, 메사에칭공정을 적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n 및 p형 반도체층(12,17)과 상기 활성층(15)은 AlGaInN 뿐만 아니라, AlGaAs, AlGaInP, ZnO와 같은 다양한 공지된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메사에칭공정은 상기 성장용 기판(11)이 노출되는 깊이로 수행되어 에피택셜층을 복수의 반도체 적층체(10A,10B)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In the first an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부로 제공되는 제1 반도체 적층체(10A)의 면적을 제너다이오드부로 제공되는 제2 반도체 적층체(10B)의 면적보다 크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1a 참조).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area of the
이어, 도2b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 상면에 p형 도전형 반도체층(17)에 접속된 p측 콘택(23)을 형성하고, 상기 p측 콘택(23)을 제외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표면에 제1 절연층(22a)을 형성한다. 2B, a p-
본 공정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이 형성된 기판(11) 상면 전체에 절연체를 증착한 후에, 원하는 콘택형성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그 제거된 영역에 p측 콘택(23)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2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In this step, after the insulator is deposi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콘택형성영역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 주위의 절연체 부분도 제거한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절연층(22a)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 주위의 상면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contact forming region but also the insulator portions around the first and
다음으로,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측 콘택(2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측면을 따라 기판(11)까지 연장된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2C, the first and second parts connected to the p-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p측 콘택(23)을 위한 인출(lead)구조로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p측 콘택(23)은 후속공정에서 기판 구조물(25)에 의해 매립되더라도, 상기 p측 콘택(23)과 연결된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기판(11)이 제거된 면에서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으므로, 최종 구조물에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 간의 배선연결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이어,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표면에 제2 절연층(22b)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2D, a second insulating
상기 제2 절연층(22b)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기판 구조물(도2e의 25)과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절연층(22b)은 적어도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과 p측 콘택(23)이 덮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층(22b)도 상기 제1 절연층(22a)과 유사하게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The second
이러한 제2 절연층(22b)은 기판 구조물(25)로서 도전성 물질이 사용할 경우에 요구되므로, 기판 구조물(25)이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2 절연층(22b)의 형성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second insulating
다음으로,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장용 기판(11)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를 둘러싸도록 기판구조물(25)을 형성하고, 상기 성장용 기판(11)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를 분리한다. Next, as shown in FIG. 2E, th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25)은 도금공정을 위한 시드층(미도시)을 상기 제2 절연층(22b) 상에 형성한 후에, 도금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25)은 도금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물질로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과 같은 도전성 기판이 아닌 다른 절연성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기판 구조물(25)을 형성한 후에, 상기 성장용 기판(10)을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공정으로는, 성장용 기판(11)을 제거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화학적 연마, 화학적 에칭와 같은 공지의 공정 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 After the
본 공정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상기 기판(11)이 제거된 면에서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의 노출영역은 매립된 p측 콘택(23)을 위한 외부연결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이어, 도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형 반도체층(12)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노출면에 n측 콘택(26)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제1 콘택이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27a,27b)을 형성한다. 2F, an n-
본 공정은 성장용 기판(11)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 면에 대한 공정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 상에 n형 반도체층(12)에 접속되도록 원하는 n측 콘택(26)을 형성한다. 이어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가 각각 발광다이오드부와 제너다이오드부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를 역극성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27a,27b)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선층(27a,27b)은 각각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10B,10A)의 n측 콘택(26)을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This process corresponds to a process for the surface exposed by the separation of the
필요에 따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층(27a,27b)을 형성하기 전에 원하지 않는 영역과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 체(10A,10B) 상에 제3 절연층(22c)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If necessary, before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27a and 27b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상술된 제조공정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에칭공정을 성장용 기판의 노출되도록 에피택셜층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형태(딥 메사에칭(deep-mesa etching))를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발광 적층체를 위한 메사에칭공정을 에피택셜층의 일부영역을 잔류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 manufacturing process exemplifies a form (deep-mesa etching) in which the epitaxial layer is completely separated so that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is exposed to the growth substrate. Alternatively, the mesa etching process for the light emitting laminate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as to leave some regions of the epitaxial layer.
이 경우에, 제1 및 제2 도전층이 레이저 리프트 오프와 같은 분리공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from being damaged in a separation process such as laser lift-off.
상술된 실시형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다른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형태에서, 발광장치는 수평 전극 구조를 갖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수직 전극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llustrated in a form having a horizontal electrode structure, but may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한편, 반도체 적층체를 얻기 위한 메사에칭공정은 기판 상면이 노출되도록 딥에칭공정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쉘로우 에칭(shallow etching)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sa etching process for obtaining a semiconductor laminate exemplified the deep etching proces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s exposed, otherwise shallow etching may be applied. This embodiment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A and 3B.
도3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다른 예(수직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1a에 도시된 평면도와 유사한 구조 를 갖는 발광장치의 측단면도로 이해할 수 있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of a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top view shown in FIG.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40)는, n 및 p형 반도체층(32,37)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35)을 갖는 반도체 적층체(30)와 상기 반도체 적층체(30)의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기판 구조물(45)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반도체 적층체(30)는 앞선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로 구분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은 각각 동일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배선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는 발광다이오드부(40A)로 작용하며, 제2 반도체 적층체(30B)는 제너다이오드부(40B)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유효한 발광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하기 위해서, 발광다이오드부(40A)로 제공되는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면적을 제너다이오드부(40B)로 제공되는 제2 반도체 적층체(30B)의 면적보다 크게 설계할 수 있다. By the wiring structure, the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32,37)에 접속되도록 n측 및 p측 콘택(46,43)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는 발광다이오드로 작용한다. 활성층(35)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상면(n형 반도체층(32))을 통해 방출되므로, 효과적인 광방출과 균일한 전류분산이 보장되도록, 상 기 n측 콘택(46)은 적절한 구조를 갖거나 광투과성인 전극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전극지를 이용하여 전체 발광면적에 보다 균일한 전류분산이 보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N-side and p-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하면 중 p측 콘택(4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측면에는 제1 절연층(4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절연층(4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상기 발광 장치(40)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p측 콘택(43)을 각각 기판 구조물(45)의 상면까지 인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은 상기 p측 콘택(43)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측면을 따라 상면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The
도1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층(24a,24b)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의 노출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까지 연장되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연장된 영역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노출면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다. 이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형성하는 메사에칭공정시에 쉘로우 에칭을 적용한 결과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4a 내지 도4f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B, the first and secon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45)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광장치의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45)은 금속층일 수 있으며, 지지체로서 충분한 두께를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도금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45)이 도전성 물질일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발광장치는 수직 전극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러한 수직 전극구조를 갖기 위해서, 상기 제2 절연층(42b)은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30B)와 상기 기판 구조물(45) 사이에 한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절연층(42b)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30A)의 p측 콘택(43)과 제2 도전층(44b)은 상기 기판 구조물(45)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지만,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p측 콘택(43)은 제1 도전층(44a)과 함께 도전성인 기판 구조물(45)을 통해 그 하면까지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order to have such a vertical electrode structure, the second insulating
이와 같이, 기판 구조물(45)에 매설된 p측 콘택(43)은,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 및 제1 및 제2 절연층(42a,42b)으로 이루어진 전극인출구조에 의해 상기 기판 구조물(45)의 상면으로 인출시킴으로써 동일한 면에서 양 극성의 콘택을 연결하는 배선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p-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가 각각 발광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선구조가 기판 구조물(45) 상에 형성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선층(47a)은 상기 제1 도전층(44a)과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30B)의 n형 콘택(46)을 연결한다. 또한, 제2 배선층(47b)은 상기 제2 도전층(44b)과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n형 콘택(46)을 연결한다. 이로써,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는 서로 역극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appropriate wiring structure is formed on the
상기 발광장치(40)는 각각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n측 및 p측 콘택(46,4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48,49)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외부연결단자(48,49)는 각각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n측 콘택(46)과 상기 기판 구조물(45)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도4a 내지 도4f는 도3에 도시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4A to 4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rocesse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zener diode integrated light emitting device shown in FIG.
우선,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31) 상에 n형 반도체층(32), 활성층(35) 및 p형 반도체층(3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stacks in which an n-
본 공정은 앞선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성장용 기판(31) 전체 상면에 n형 반도체층(32), 활성층(35) 및 p형 반도체층(37)이 순차적으로 성장시킨 후에, 메사에칭공정을 적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쉘로우 메사에칭을 적 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반도체 적층체(특히, n형 반도체층(32)영역)를 잔류시킨다. 따라서, 본 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지만, 잔류된 반도체층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 또는 그 후의 공정에 의해 잔류된 반도체층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n-
이어, 도4b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 상면에 p형 반도체층(37)에 접속된 p측 콘택(43)을 형성하고, 상기 p측 콘택(43)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표면에 제1 절연층(42a)을 형성한다. 4B, a p-
본 공정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이 형성된 기판(31) 상면 전체에 절연체를 증착한 후에, 원하는 콘택형성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그 제거된 영역에 p측 콘택(43)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4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In this step, after the insulator is deposi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측 콘택(4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측면을 따라 기판(31)까지 연장된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4C,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connected to the p-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p측 콘택(43)을 위한 인출구조로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p측 콘택(43)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기판 구조물(45)에 의해 매립되더라도, 상기 p측 콘택(43)과 연결된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은 기판(31)이 제거된 면에서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으므로, 최종 구조물에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 간의 배선연결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이어,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표면에 제2 절연층(42b)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D, a second insulating
상기 제2 절연층(42b)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기판 구조물(도4e의 45)과 제2 도전층(44b)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절연층(42b)은 제2 도전층(44b)과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30B)의 p측 콘택(43)이 덮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층(42b)도 상기 제1 절연층(42a)과 유사하게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The second
다음으로,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장용 기판(31)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둘러싸도록 도전성 기판 구조물(45)을 형성하고, 상기 성장용 기판(31)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분리한다. Next, as illustrated in FIG. 4E, a
상기 도전성 기판 구조물(45)을 형성한 후에, 상기 성장용 기판(31)을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10A,10B)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공정으로는, 성장용 기판(31)을 제거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화학적 연마, 화학적 에칭와 같은 공지의 공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공정으로 실시될 수 있다. After the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장용 기판(31)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또는 그 후 추가적인 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가 완전히 분리되도록 그 사이에 잔류한 반도체층을 제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은 잔류한 에피택셜층부분에 의해 보호되므로, 본 분리공정에서 기계화학적 또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miconductor remaining between the first and
또한, 잔류한 에피택셜층부분은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제1 절연층(42a)의 일부와 함께 제거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공정에서 레이저 조사 등에 의해 자발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에칭공정을 통해서, 배선연결에 필요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epitaxial layer portions need to be removed together with a portion of the first insulating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은 상기 기판(31)이 제거된 면보다 다소 낮은 레벨에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노출영역은 매립된 p측 콘택(43)을 위한 외부연결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이어,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형 반도체층(32)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노출면에 n측 콘택(46)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30A,30B)의 n형 콘택(46)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47a,47b)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4F, an n-
본 공정은 성장용 기판(31)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 면에 대한 공정에 해당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 상에 n형 반도체층(32)에 접속되도록 원하는 n측 콘택(46)을 형성한다.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process for the surface exposed by the separation of the
이어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가 각각 발광다이오드부와 제너다이오드부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를 역극성으로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선층(47a,47b)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배선층(47a,47b)은 각각 제1 및 제2 도전층(44a,44b)의 노출영역과 상기 제2 및 제1 반도체 적층체(30B,30A)의 n측 콘택(46)을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Subsequently, the first and
필요에 따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및 제2 배선층(47a,47b)을 형성하기 전에 원하지 않는 영역과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30A,30B) 상에 제3 절연층(42c)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If necessary, before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wiring layers 47a and 47b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외부연결단자(48)는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제1 콘택(46)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외부연결단자(49)는 상기 기판 구조물(45)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로써 원하는 수직전극구조를 갖는 발광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외부연결단자(49)는 도전성 기판 구조물(45)을 통해 제1 반도체 적층체(30A)의 제2 콘택(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상술된 실시형태와 유사한 반도체 적층체 구조와 배선구조를 응용하여, 복잡한 배선연결구조 및 높은 집적화에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는 본딩패드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특정 반도체 적층체 영역을 본딩패드를 위 한 구조로서 제공할 수 있다.By applying the semiconductor laminate structure and wiring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nding pad structure which can be usefully provided for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nd high integration. That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pecific semiconductor laminate region as a structure for a bonding pad.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새로운 본딩패드구조를 갖는 발광장치(6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60)는, 앞선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52,57)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55)을 갖는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의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기판 구조물(6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은 각각 동일한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는 발광다이오드부로 제공되며,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는 본딩패드영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의 면적은 외부접속구조를 위한 면적에 한하여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면적을 크게 설계하여 충분한 발광면적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발광다이오드로 제공되는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52,57)에 접속되도록 제1 및 제2 콘택(66,6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콘택(63)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 체(50A,50B)의 측면 및 하면에는 제1 절연층(6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절연층(6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First and
또한, 상기 발광 장치(60)는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제2 콘택(63)을 각각 기판 구조물(65)의 상면까지 인출하기 위한 도전층(64)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층(64)은 상기 제2 콘택(63)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측면을 따라 상면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65)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발광장치(60)의 기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65)은 금속층일 수 있으며, 지지체로서 충분한 두께를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도금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기판 구조물(65)이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와 상기 기판 구조물(65) 사이에 형성된 제2 절연층(62b)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62b)에 의해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제2 콘택(63) 및 도전층(64)과 제2 반도체 적층체(50B)는 상기 기판 구조물(65)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Since the
이와 달리, 상기 기판 구조물(65)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 절연층(62b)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상기 기판 구조물(65)에 매설된 제2 콘택(63)은, 도전층(64) 및 제1 및 제2 절연층(62a,62b)으로 이루어진 전극인출구조에 의해 상기 기판 구조물(65)의 상면으로 인출됨으로써 동일한 면에서 양 극성의 콘택을 연결하는 배선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층(67)은 상기 도전층(64)의 노출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 상면으로 연장된다. 제1 외부연결단자(68)는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제1 콘택(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외부연결단자(69)는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의 노출면 상에 위치한 배선층(67) 영역에 형성된다.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층(64)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의 노출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까지 연장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도3 및 도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층(64)의 연장된 영역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을 분리하는 메사에칭공정의 종류에 따라 그 노출면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6a 내지 도6f는 도5에 도시된 새로운 본딩패드구조를 갖는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이다.6A to 6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processes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he new bonding pad structure shown in FIG. 5.
우선,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51) 상에 n형 반도체층(52), 활성층(55) 및 p형 반도체층(57)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 체(50A,50B)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 6A,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stacks in which an n-
이러한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는 성장용 기판(51) 전체 상면에 n형 반도체층(52), 활성층(55) 및 p형 반도체층(57)이 순차적으로 성장시킨 후에, 메사에칭공정을 적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n 및 p형 반도체층(52,57)과 상기 활성층(55)은 AlGaInN 뿐만 아니라, AlGaAs, AlGaInP, ZnO와 같은 다양한 공지된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메사에칭공정은 상기 성장용 기판(51)이 노출되는 깊이로 수행되어 에피택셜층을 복수의 반도체 적층체(50A,50B)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물론, 본 공정은 도4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쉘로우 메사에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and
이어, 도6b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 상면에 p형 도전형 반도체층(57)에 접속된 p측 콘택(63)을 형성하고, 상기 p측 콘택(63)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의 표면에 제1 절연층(62a)을 형성한다. 6B, a p-
본 공정은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이 형성된 기판(51) 상면 전체에 절연체를 증착한 후에, 원하는 콘택형성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영역에 p측 콘택(63)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62a)은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In this step, after depositing an insulator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콘택형성영역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 체(50A,50B) 주위의 절연체 부분도 제거한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절연층(62a)은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 주위의 상면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contact forming region but also the insulator portions around the first and
다음으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측 콘택(6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측면을 따라 기판(51)까지 연장된 도전층(64)을 형성한다. Next, as shown in FIG. 6C, a
상기 도전층(64)은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60A)의 p측 콘택(63)을 위한 인출(lead)구조로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p측 콘택(63)은 후속공정에서 기판 구조물(65)에 의해 매립되더라도, 상기 p측 콘택(63)과 연결된 도전층(64)은 기판(51)이 제거된 면에서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원하는 배선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이어,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의 표면에 제2 절연층(62b)을 형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6D, a second insulating
상기 제2 절연층(62b)은 후속공정에서 형성될 기판 구조물(도6e의 65)과 도전층(64)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절연층(62b)은 적어도 제2 도전층(64)과 p측 콘택(63)이 덮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층(62b)도 상기 제1 절연층(62a)과 유사하게 SiO2, Si3N4, AlN, Al2O3와 같은 고저항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다. The second
다음으로,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장용 기판(51) 상면에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를 둘러싸도록 기판구조물(65)을 형성하고, 상기 성장용 기판(51)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를 분리한다. Next, as shown in FIG. 6E, a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판 구조물(65)은 도금공정을 위한 시드층(미도시)을 상기 제2 절연층(62b) 상에 형성한 후에, 도금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조물(65)은 도금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물질로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과 같은 도전성 기판이 아닌 다른 절연성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기판 구조물(65)을 형성한 후에, 상기 성장용 기판(51)을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50B)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분리공정으로는, 성장용 기판(51)을 제거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화학적 연마, 화학적 에칭와 같은 공지의 공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After the
이러한 기판 분리공정을 통해서, 상기 도전층(64)은 상기 기판(51)이 제거된 면에서 노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Through the substrate separation process, the
이어,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형 반도체층(62)에 접속되도록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노출면에 n측 콘택(66)을 형성하고, 도전층(64)의 노출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 상면까지 연장되도록 배선층(67)을 형성한다. 6F, an n-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 상에 n형 반도체층(52)에 접속되도록 원하는 n 측 콘택(66)을 형성한다. 이어 제1 반도체 적층체(50A)가 각각 발광다이오드부로 작용하도록,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50A)의 제1 콘택(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외부연결단자(68)와 상기 제2 반도체 적층체(50B)의 노출면 상에 위치한 배선층(67) 영역에 제2 외부연결단자(69)를 형성한다.The desired n-
필요에 따라,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선층(67)을 형성하기 전에 원하지 않는 영역과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50A, 50B) 상에 제3 절연층(62c)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third insulating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에서는, 매립된 콘택으로부터 인출된 외부연결영역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연결구조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즉 제1 반도체 적층체가 복수개로 고집적화된 형태에서 외부연결을 위한 본딩패드구조로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ufficient area for the external connection region drawn out from the buried contact can be provided. This external connection structure can be very usefully applied as a bonding pad structure for external connection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semiconductor stacks are highly integrated.
본 발명에 제안된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는 거의 평면인 동일한 면에 양 콘택과 연결된 외부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LED 셀 간의 복잡한 배선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교류전압에 동작되도록 연결된 모놀리식 발광소자는 복잡한 배선구조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매우 유익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onolithic LED arra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a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LED cells by providing an external connection structure connected to both contacts on the same plane which is almost planar. In particular, a monolithic light emitting device connected to an AC voltage requires a complicated wiring structure in many cases.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very advantageously.
도7a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레이아웃으로서, 도7b에 도시된 등가회로에 따라 구현된 형태를 예시한다.FIG. 7A is a layout of a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that may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form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7B.
도7a에 도시된 레이아웃에 따른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는, 서로 반대에 위치한 양변에 형성된 제1 및 제2 LED 셀(A1,A2)과 제3 및 제4 LED 셀(C1,C2)과, 그 사이에 위치한 3개의 제5 LED 셀(B1,B2,B3)를 포함한다.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according to the layout shown in FIG. 7A includes first and second LED cells A1 and A2 and third and fourth LED cells C1 and C2 form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Three fifth LED cells B1, B2, and B3 located therebetween are included.
도7b를 참조하여, 상기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배선구조를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7B, the wiring structure of 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LED 셀(A1)의 n측 콘택과 상기 제2 LED 셀(A2)의 p측 콘택은 제1 AC 전원단(P1)에 연결된다. 상기 제3 LED 셀(C1)의 p측 콘택과 상기 제4 LED 셀(C2)의 n측 콘택은 제2 AC 전원단(P2)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AC 전원단(P1,P2)은 외부연결단자로 제공되는 영역으로서, 도5에서 설명된 제2 반도체 적층체에 해당한다. 즉,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를 향해 제2 LED 셀(A2)의 n측 콘택으로부터 연장된 도전층이 인출되며, 그 인출된 도전층에 연결된 배선층은 상기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제2 AC 전원단(P2)의 반도체 적층체를 향해 제4 LED 셀(C2)의 n측 콘택으로부터 연장된 도전층이 인출되며, 그 인출된 도전층에 연결된 배선층은 상기 제2 AC 전원단(P2)의 반도체 적층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n-side contact of the first LED cell A1 and the p-side contact of the second LED cell A2 are connected to a first AC power supply terminal P1. The p-side contact of the third LED cell C1 and the n-side contact of the fourth LED cell C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C power supply terminal P2. The first and second AC power supply terminals P1 and P2 are regions provided as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d correspond to the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at is, the conductive layer extending from the n-side contact of the second LED cell A2 is drawn toward the semiconductor stack of the first AC power supply terminal P1, and the wiring layer connected to the drawn conductive layer is the first AC power source. It extends so that it may be located on the semiconductor laminated body of the stage P1. Similarly, a conductive layer extending from the n-side contact of the fourth LED cell C2 is drawn toward the semiconductor stack of the second AC power terminal P2, and the wiring layer connected to the extracted conductive layer is It extends so that it may be located on the semiconductor laminated body of 2nd AC power supply terminal P2.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상기 3개의 제5 LED 셀(B1,B2,B3)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측변에 위치한, 즉 상기 제1 및 제4 LED 셀(A1,C2) 사이에 위치한 제5 LED 셀(B1)의 n측 콘택은 상기 제1 및 제4 LED 셀(A1,C2)의 p측 콘택과 공통 접점을 형성하며, 다른 측변에 위치한, 즉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 사이에 위치한 제5 LED 셀(B3)의 p측 콘택은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의 n측 콘택과 공통 접점을 형성한다. The three fifth LED cells B1, B2, and B3 have a structu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The n-side contact of the fifth LED cell B1 located on one side, tha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LED cells A1 and C2, is the p-side of the first and fourth LED cells A1 and C2. The p-side contact of the fifth LED cell B3, which forms a common contact with the contact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ie,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LED cells A2 and C1, is the second and third LED cells. A common contact is formed with the n-side contact of (A2, C1).
이러한 레이아웃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에서는, 상기 전원단(P1,P2)에 AC 전압이 인가될 때에,상기 3개의 제5 LED 셀(B1,B2,B3)은 항상 구동되며, AC 전압의 주기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3 LED 셀(A1,C1)과 상기 제2 및 제4 LED 셀(A2,C2)은 교대로 구동될 수 있으며, 3개의 LED 셀(B1,B2,B3)은 전체 주기에서 연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5개의 LED 셀의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In the LED array according to this layout, when an AC voltage is applied to the power terminals P1 and P2, the three fifth LED cells B1, B2, and B3 are always driven, and according to the cycle of the AC voltage. The first and third LED cells A1 and C1 and the second and fourth LED cells A2 and C2 may be driven alternately, and the three LED cells B1, B2, and B3 may be driven at full cycles. It can be driven continuously. As a result, driving of five LED cells can be guaranteed.
또한, 본 예에 따른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레이아웃은, 브레이크다운 전압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내성을 고려하여, 상기 LED 셀에 인가되는 전압이 거의 유사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는 각 LED 셀을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제5 LED 셀의 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5 LED 셀의 수는 1 내지 4개 범위에서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yout of 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breakdown voltage. In consideration of the immunity of the breakdown voltage, it is more preferable to design such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LED cell is almost similar. This desig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mplementing each LED cell in about the same area.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the number of the fifth LED cell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preferred number of fifth LED cells can be considered in the range of 1 to 4.
상술된 AC용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는 도7a의 레이아웃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배선구조를 가지므로, 모놀리식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선구조도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배선구조를 통해 매우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셀이 집적화된 구조에서 AC 전원과 연결되는 외부연결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한 면적을 보장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onolithic LED array for AC has a complicated wiring structure, as shown in the layout of FIG. 7A,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monolithically. However, such a wiring structure can also be very easily implemented through the wiring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ED cells are integrated, a required area for provid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n AC power source can be ensured.
도8a 내지 도8d는 각각 도8a에 도시된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X1-X1', X2-X2', Y1-Y1' 및 Y2-Y2'로 절개해 본 측단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 반도체 적층체를 구성하는 메사 에칭공정과 인출구조 및 배선구조 형성에 대해서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참조되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8A to 8D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shown in FIG. 8A, respectively, cut into X1-X1 ', X2-X2', Y1-Y1 'and Y2-Y2'.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esa etching process and the extraction structure and the wiring structure forming the semiconductor laminate, it will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도8a 내지 도8d를 참조하면, 절개방향에 따라 선택된 3개의 LED 셀이 매립된 기판 구조물(11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LED 셀은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112,117)과 그 사이에 위치한 활성층(115)을 갖는 반도체 적층체(110)과 상기 반도체 적층체(110)의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기판 구조물(116)을 포함한다. 8A-8D, a
절개방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나, 상기 반도체 적층체(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112,117)에 접속된 n 및 p측 콘택(126,123)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적층체(110)의 하면 중 p측 콘택(12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측면에는 제1 절연층(122a)이 형성된다. Although not shown in part depending on the cutting direction, n and p-
상기 p측 콘택(123)에 연결되며 상기 반도체 적층체(1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도전층(124)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층(124)은 상기 제1 절연층(122a)에 의해 상기 반도체 적층체(110)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A
우선,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각 LED 셀(A1,C2)에 제공된 상기 도전층(124)은 그 p측 콘택을 연결할 대상(다른 LED 셀과 콘택 종류)과 인접한 측면을 선택하여 연장된다. 즉, 도7a에 도시된 구조(즉, 도7a의 X1-X1')에서는, 상기 제1 및 제4 LED 셀(A1,C2)의 도전층(124)은 상기 제5 LED 셀(B1)에 인접한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8A, the
상기 도전층(124)은 배선연결을 위해서 반도체 적층체(110)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노출된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4 LED 셀(A1,C2)의 도전층(124) 중 노출된 영역은 상기 배선층(127)에 의해 상기 제5 LED 셀(B1)의 n측 콘택(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제1 및 제4 LED 셀(A1,C2)의 p측 콘택(123)은 그 사이에 위치한 제5 LED 셀(B1)의 n측 콘택(126)과 공통 접점을 가질 수 있다.The
도8b(X2-X2'방향의 절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 사이에 위치한 제5 LED 셀(B3)의 도전층(124)은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에 인접한 측면을 따라 2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선연결을 위해서 반도체 적층체(110)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노출된 영역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8B (a cutaway view in the X2-X2 'direction), the
상기 제5 LED 셀(B3)의 도전층(124) 중 노출된 영역은 상기 배선층(127)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의 n측 콘택(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제2 및 제3 LED 셀(A2,C1)의 n측 콘택(136)은 그 사이에 위치한 제5 LED 셀(B3)의 p측 콘택(123)과 공통 접점을 가질 수 있다. The exposed area of the
도8c(Y1-Y1'방향의 절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3개의 제5 LED 셀(B1,B2,B3)가 나란히 직렬로 연결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5 LED 셀(B1,B2)의 도전층(124)은 각각 다른 제5 LED 셀(B2,B3)에 인접한 측면으로 연장되며, 배선연결을 위해서 반도체 적층체(110)의 상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노출된 영역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8C (a cutaway view in the Y1-Y1 'direction), a structure in which the three fifth LED cells B1, B2, and B3 are connected in series is shown. The
상기 제5 LED 셀(B1,B2)의 도전층(124) 중 노출된 영역은 상기 배선층(127)에 의해 상기 다른 제5 LED 셀(B2,B3)의 n측 콘택(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3개의 제5 LED 셀(B1,B2,B3)는 나란히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posed area of the
이와 같이, 기판 구조물(116)에 매립된 p측 콘택(123)을 인출하는 도전층(124)의 위치와 배선층(127)에 따라 LED 셀간의 원하는 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절개방향에 따라 별도로 설명되었으나, 각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되므로, 도7a에 도시된 복잡한 배선구조를 갖는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상술된 예에서는 설명되지 않으나, 배선층(127)의 형성위치에 따라 제3 절연층(122c)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122c)은 주로 배선층(127)과 같은 외부요소와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반도체 적층체(11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third insulating
도8d(Y2-Y2'방향의 절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LED 셀(A1,A2)와 그 사이에 제1 AC 전원단(P1)영역이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LED 셀(A2)의 도전층(124)은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를 향해 인출되며, 배선층에 의해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 상면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2 LED 셀(A2)의 n측 콘택(126)으로부터 연장된 배선층은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 상면에 연장된다. 이로써, 제1 AC 전원단(P1)의 반도체 적층체 영역은 적절한 배선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연결단자를 위한 필요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D (an incision in the Y2-Y2 'direction), there is show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ED cells A1 and A2 and a first AC power terminal P1 region are disposed therebetween. . The
도7 및 도8에서 설명된 복수의 LED 셀을 갖는 모노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는, 외부연결단자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발광장치구조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된 제너다이오드 일체형 구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LED cells described in FIGS. 7 and 8 is similar to the zener diode integrated structure described in FIGS. 1 to 4 as well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for secur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region. Can be applied.
이 경우에, 상기 제1 반도체 적층체는 복수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반도체 적층체는 도8a 내지 도8c에서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을 더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semiconductor sta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first semiconductor stacks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wiring layer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each other similarly to the manner described in FIGS. 8A to 8C. do.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은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다른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제1 콘택을 연결하는 배선층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층은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 된 도전층의 노출영역과, 다른 특정 제1 반도체 적층체에 관련된 도전층의 노출영역을 연결하는 배선층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배선층에 대한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배선층에 의해 복수의 제1 반도체 적층체는 교류 전압에서 해당 활성층이 발광가능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반도체 적층체의 제1 면 중 상기 배선층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된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wiring layer may be a wiring layer connecting an exposed area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nd a first contact related to another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wiring layer may be a wiring layer connecting an exposed region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and an exposed region of a conductive layer related to another specific first semiconductor laminate. It may be a combination for the wiring layer of this structure. By the additional wiring layer, the plurality of first semiconductor laminat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rresponding active layers may emit light at an alternating voltage. If necessary,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wiring layer is to be formed among the firs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emiconductor laminate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구조물에 매립된 일측 콘택을 도전층을 통해 인출시킴으로써 보호소자가 집적화 가능한 새로운 배선연결구조를 갖는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배선연결구조 및 높은 집적화에 유용하게 제공될 수 있는 본딩패드구조를 갖는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연결을 기초한 구조는 AC 전압 구동형 LED 어레이에서 매우 유용하게 채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new wiring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on element can be integrated by drawing one contact embedded in a substrate structure through a conductiv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complicated wiring connection structure and a bonding pad structure which can be usefully provided for high integr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uch a wiring based structure can be very usefully employed in AC voltage driven LED arrays.
Claims (3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592A KR100872301B1 (en) | 2007-06-22 | 2007-06-22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592A KR100872301B1 (en) | 2007-06-22 | 2007-06-22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2301B1 true KR100872301B1 (en) | 2008-12-05 |
Family
ID=4037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1592A Active KR100872301B1 (en) | 2007-06-22 | 2007-06-22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230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9669A (en) * | 2009-11-25 | 2011-06-03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276053B1 (en) * | 2011-07-22 | 2013-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
US8723206B2 (en) | 2011-09-09 | 2014-05-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ith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active layer |
US9653515B2 (en) | 2013-12-06 | 2017-05-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7643B1 (en) | 2006-06-24 | 2007-08-08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7
- 2007-06-22 KR KR1020070061592A patent/KR1008723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7643B1 (en) | 2006-06-24 | 2007-08-08 |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9669A (en) * | 2009-11-25 | 2011-06-03 |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601625B1 (en) * | 2009-11-25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Light emitting diod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276053B1 (en) * | 2011-07-22 | 2013-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
US8723206B2 (en) | 2011-09-09 | 2014-05-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with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active layer |
US9653515B2 (en) | 2013-12-06 | 2017-05-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6230B1 (en) |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onolithic light emitting diode array | |
US8963175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893118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5017239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53674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device | |
US8450765B2 (en) |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5922236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200725952A (en) | A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 |
KR101239857B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20140006485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ulti-cell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872301B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130102746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 |
KR20220146420A (en) | Multi-wavelength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100075420A (en) |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892213B1 (en) | Light emitting diode array on wafer lev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JP2013140978A (en)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led module | |
KR100716645B1 (en) | Light emitting device with light emitting diodes stacked vertically | |
JP2016100487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JP2013069802A (en) |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
KR101949505B1 (en) | Light emitting diode array on wafer lev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101711960B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WO2007119663A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
KR20160093789A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 |
TW201413915A (en) | Wafer grade light emitting diode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972980B1 (en) |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