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0150B1 -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50B1
KR100870150B1 KR1020080052994A KR20080052994A KR100870150B1 KR 100870150 B1 KR100870150 B1 KR 100870150B1 KR 1020080052994 A KR1020080052994 A KR 1020080052994A KR 20080052994 A KR20080052994 A KR 20080052994A KR 100870150 B1 KR100870150 B1 KR 10087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 body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산
Original Assignee
태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화건설(주) filed Critical 태화건설(주)
Priority to KR102008005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을 조적(組積)하고, 조적된 블록들과 절토(切土)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체와의 연결을 위한 보강연결부재에서,
통상적으로 일단(一端)이 절곡된 철재로 이루어진 스틸바(Steal-Bar)형 제1보강연결부재와, 인장강도(引張强度) 및 인장 탄성계수가 우수한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이 교호적으로 연결된 폴드-락-스트립(Fold Lock Strip)형 제2보강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2보강연결부재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진 지오그리드(Geogrid)형 제3보강연결부재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보강연결부재에 맞는 옹벽 블록을 선택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각 보강연결부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옹벽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시공 환경에 따라 적합한 보강연결부재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옹벽 블록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블록바디; 상기 블록바디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과, 상기 수직결합홈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 및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 결합홈과, 상기 수평결합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공법은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고정고리용 앙카와 조적된 다기능 블록의 블록연결부재에 결속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결속부재에 구비된 인장보강재를 통해 긴장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뒷채움을 위한 절토폭 및 성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공법이며,
기존 보강토 옹벽의 시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다 절토폭, 과다면적 성토, 결속부재 부위의 지하공간 이용불가 등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법은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해당위치의 상부로부터 최하부 바닥까지 소정의 높이로 절토(切土)하는 제1단계; 절토 바닥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고정고리용 앙카를 심는 제2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설치하는 제3단계; 복수의 결속부재 일단(一端)을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에 연결하고, 타단(他端)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적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제4단계; 블록바디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홈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홈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적정 다단(多段) 높이로 조적(組積)하는 제5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의 상하결합부와 대응상하결합부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5단계에서 상하로 조적된 다기능 블록간의 이격공간부에 메움부재를 충진하는 제6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의 블록바디에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 중 최상단 다기능 블록의 연결홈에 블록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제7단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연결해 두었던 상기 결속부재 중 최하단 결속부재를 선택하여 타단(他端)을 상기 블록연결부재에 연결한 다음 긴장을 유지시키는 제8단계;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만큼 흙으로 매립하고 다지는 제9단계; 상기 제5,6,7,8,9단계를 반복하여 계획된 높이만큼 시공하되, 제5단계에서는 조적된 다기능 블록 상부에 적정 다단 높이로 다기능 블록을 조적하게 되고, 제8단계에서는 최하단 결속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결속부재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제10단계; 및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인출(引出)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 옹벽용 블록, 옹벽용 블럭, 조경, 식생, 보강, 보강연결, 스틸바, 폴드락스트립, 지오그리드, 시공방법, 시공공법, 시공법

Description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A MULTI-FUN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옹벽 블록을 조적(組積)하고, 조적된 블록들과 절토(切土)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체와의 연결을 위한 보강연결부재에서,
통상적으로 일단(一端)이 절곡된 철재로 이루어진 스틸바(Steal-Bar)형 제1보강연결부재와, 인장강도(引張强度) 및 인장 탄성계수가 우수한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이 교호적으로 연결된 폴드-락-스트립(Fold Lock Strip)형 제2보강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2보강연결부재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진 지오그리드(Geogrid)형 제3보강연결부재로 나누어지고, 이러한 보강연결부재에 맞는 옹벽 블록을 선택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각 보강연결부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옹벽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시공 환경에 따라 적합한 보강연결부재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옹벽 블록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법은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고정고리용 앙카와 조적된 다기능 옹벽 블록의 블록연결부재에 결속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결속부재에 구비된 인장보강재를 통해 긴장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뒷채움을 위한 절토폭 및 성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공법이며,
기존 보강토 옹벽의 시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다 절토폭, 과다면적 성토, 결속부재 부위의 지하공간 이용불가 등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안이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또는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 블록으로 보강토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조적된 블록과 연결되어 블록을 고정하면서 아울러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강연결부재 중 통상의 스틸바형, 폴드락스트립형, 지오그리드형의 보강연결부재를 선택하여, 이에 맞는 옹벽 블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옹벽 블록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9713호(2006.10.19, 등록, 이하 '선행기술1'이라 칭함)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럭"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1은 토사의 압력에 저항하여 산사태와 같이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격자망 및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하단부터 상단까지 조립식으로 하나씩 축조함에 따라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강연결부재 중 특히 지오 그리드형의 보강연결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블럭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통상의 옹벽 블록은 다양한 형태의 보강연결부재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지 않아서, 즉 하나의 보강연결부재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보다 다양한 시공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하천 제방 또는 호안 등의 옹벽 설치가 필요한 모든 절토면의 옹벽 시공법으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75821호 (2003.02.28, 등록, 이하 '선행기술2'라 칭함)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방법"이 제시된바,
상기 선행기술2는 절토면에 다단으로 옹벽지지용 블럭을 설치하고 상기 블럭의 고정을 위한 말뚝을 박게 되며 상기 블럭과 옹벽용 블럭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72313호 (2003.02.03, 등록, 이하 '선행기술3'이라 칭함) "블록조적식 옹벽의 시공법"이 제시된바,
상기 선행기술3은 절취면을 지압판들로서 안정화시키고 뒷채움되는 토사는 별도의 마감블록들로서 지탱하고 마감되도록 하는 시공 방법으로,
상기 선행기술2 및 3은 시공이 어렵고, 자재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며, 천재지변에 따른 부분 소실의 적극적 대응(개보수)이 어렵고, 특히 옹벽 뒤쪽으로 많은 공간 확보를 하여야 하며, 지하 부위를 활용할 수 없어 구조물 및 시설물 등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보강연결부재인 바형, 폴드락스트립형, 지오그리드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각각에 해당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조적된 상하 블록간의 결합시 암수 결합되는 상하결합부와 대응상하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결합부와 대응상하결합부가 서로 암수 결합될 때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에 메움부재를 채워 넣음으로써, 조적된 상하 블록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견고한 블록 결합이 가능한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동일단의 블록 간에 전후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암(雌) 또는 수(雄)인 좌우결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좌우결합부가 대응 형성되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조경(造景)용 화분을 거치하거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식생보조블록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있어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된 고정고리용 앙카와 조적된 다기능 블록의 블록연결부재에 결속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결속부재에 구비된 인장보강재를 통해 긴장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뒷채움을 위한 절토폭 및 성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공법이며, 기존 보강토 옹벽의 시공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과다 절토폭, 과다면적 성토, 결속부재 부위의 지하공간 이용불가 등을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와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결속부재의 임시 연결 및 연결각을 유지하기 위한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블록바디;
상기 블록바디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 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과, 상기 수직결합홈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 및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과, 상기 수평결합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결합부와 상기 대응상하결합부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격공간부를 통해 상하로 조적되는 상기 블록바디를 경사진 조적 형태로 시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부는 메움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바디에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홈에 상기 블록바디와 동일단(段)의 다른 블록바디들과의 수평 연결을 위한 블록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바디의 양측에 각각 암(雌) 또는 수(雄)인 좌우결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좌우결합부가 대응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결합부와 상기 대응좌우결합부가 서로 암수 결합될 때에 결합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블록바디와 동일단의 다른 블록바디와의 전후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바디의 전면에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에 조경(造景)용 화분을 거치하거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식생보조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은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해당위치의 상부로부터 최하부 바닥까지 소정의 높이로 절토(切土)하는 제1단계;
절토 바닥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고정고리용 앙카를 심는 제2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설치하는 제3단계;
복수의 결속부재 일단(一端)을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에 연결하고, 타단(他端)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적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제4단계;
블록바디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홈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와, 상기 블록바디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홈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적정 다단(多段) 높이로 조적(組積)하는 제5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의 상하결합부와 대응상하결합부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5단계에서 상하로 조적된 다기능 블록간의 이격공간부에 메움부재를 충진하는 제6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의 블록바디에 연결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 중 최상단 다기능 블록의 연결홈에 블록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제7단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연결해 두었던 상기 결속부재 중 최하단 결속부재를 선택하여 타단(他端)을 상기 블록연결부재에 연결한 다음 긴장을 유지시키는 제8단계;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만큼 흙으로 매립하고 다지는 제9단계;
상기 제5,6,7,8,9단계를 반복하여 계획된 높이만큼 시공하되, 제5단계에서는 조적된 다기능 블록 상부에 적정 다단 높이로 다기능 블록을 조적하게 되고, 제8단계에서는 최하단 결속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결속부재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제10단계; 및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인출(引出)하는 제11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는 절곡부와,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의 일단(一端)이 연결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의 절곡부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는 인출용 고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결속부재는 인장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장보강재는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와 상기 블록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결속부재의 긴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통상의 보강연결부재인 바형, 폴드락스트립형, 지오그리드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으며,
또한, 조적된 상하 블록간의 결합시 암수 결합되는 영역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부에 흙 또는 자갈 등의 메움부재를 충진함으로써, 조적된 상하 블록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견고한 블록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양측에 대응되게 만곡(彎曲)진 형상의 좌우결합부와 대응좌우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동일단의 블록 간에 전후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식생보조블록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식생보조블록을 이용해 조경용 화분을 거치하거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토사를 채워넣어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은,
기존의 보강토 옹벽 시공에서 요구되는 절토 및 성토 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라는 것이고, 이를 통해 공기(工期)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의 보강토 옹벽 시공에서는 결속부재 지하 부위에 시설물(특히 건물 기초파일박기, 지하주차장, 각종 구조물 매설, 조경 나무 심기 등)을 시공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이를 가능케 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옹벽 시공법을 통해 새로운 옹벽 시공시 공기(工期)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이 조적되고, 이격공간부와 이에 충진되는 메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1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2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3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동일단에 조적된 블록바디 간에 좌우결합부와 대응좌우결합부를 통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 식생보조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을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결합부(70)가 형성된 부분을 전방으로 하고, 그 대편을 후방으로 정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은,
블록바디(10)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20A)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20B)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30A)과, 상기 수직결합홈(30A)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30B)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30)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40A)과, 상기 수평결합홈(40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40B)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결합부(20A)는 수(雄)이고, 상기 대응상하결합부(20B)는 암(雌)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결합부(20A)와 상기 대응상하결합부(20B)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격공간부(S)를 통해 상하로 조적되는 상기 블록바디(10)를 경사진 조적 형태로 시공 가능하게 된다.
즉, 하나의 블록바디(10)에 형성된 상하결합부(20A)와 그 상부에 조적되는 다른 하나의 블록바디(10)에 형성된 대응상하결합부(20B)가 서로 암수 결합되고, 이때, 상기 대응상하결합부(20B)가 상기 상하결합부(20A)보다 공간이 더 넓게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부(S)를 통해 상부에 조적된 블록바디(10)에서 상하결합부(20A)가 상기 이격공간부(S) 만큼 후방으로 이동시켜 조적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직 형태의 조적에서 경사진 조적 형태로 옹벽을 시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 또는 경사진 조적 형태로 시공된 블록바디(10)에서 이격공간부(S)에 흙이나 자갈 등의 메움부재(P)를 충진함으로써,
블록바디(10)에 작용되는 토압에 대한 저항과 상하 블록바디(10)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바디(10)에 연결홈(5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홈(50)에 상기 블록바디(10)와 동일단(段)의 다른 블록바디(10)들과의 수평 연결을 위한 블록연결부재(BC)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연결부재(BC)를 통해 동일단에 배치된 블록바디(10)들간에 견고한 결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암(雌) 또는 수(雄)인 좌우결합부(60A)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좌우결합부(60B)가 대응 형성되어 있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결합부(60A)와 상기 대응좌우결합부(60B)가 서로 암수 결합될 때에 결합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블록바디(10)와 동일단의 다른 블록바디(10)와의 전후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결합부(60A)는 수(雄)이고, 상기 대응좌우결합부(60B)는 암(雌)이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나의 블록바디(10)에 형성된 대응좌우결합부(60B)와 동일단에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블록바디(10)에 형성된 좌우결합부(60A) 가 서로 암수 결합되고,
이때, 상기 좌우결합부(60A)는 외측으로 만곡(彎曲)지게 형성되고, 상기 대응좌우결합부(60B)는 내측으로 만곡(彎曲)지게 형성되어 있어, 서로의 접촉 영역에서 전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동일단에 배치되는 블록바디(10)의 조적 형태가 직선이 아닌 호(弧) 형태를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를 위해서 상기 블록바디(10)는 평단면이 전광후협(前廣後狹)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바디(10)의 전면에 결합부(7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70)에 조경(造景)용 화분을 거치하거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식생보조블록(8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70)는 상기 블록바디(1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삽입안내부(71)와, 상기 삽입안내부(71)에 교차되게 연결 형성된 고정돌기부(7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삽입안내부(71)와 상기 고정돌기부(72)의 평단면이 'T'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보조블록(80)은 조경용 화분이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토사를 채워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부(811)를 갖는 베이스(8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81)의 후면에 상기 결합부(70)의 삽입안내부(71)와 고정돌기 부(72)에 각각 대응되어 암수 결합되는 대응삽입안내부(821)와 대응고정돌기부(822)를 갖는 대응결합부(8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대응삽입안내부(821)와 상기 대응고정돌기부(822)의 상단에는 고정턱(823)이 형성되어 있어,(도 10의 "A"부분 참조, 이때 상기 "A"부분은 배면사시도이다.)
상기 결합부(70)의 삽입안내부(71)와 상기 고정돌기부(72)에 상기 대응결합부(82)의 대응삽입안내부(821)와 상기 대응고정돌기부(822)가 원활히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턱(813)에 의하여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생보조블록(80)을 통해 옹벽 블록에 조경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록바디(10)에 식생보조블록(8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바디(10)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살빼기 공간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이 살빼기 공간과 그리고 인접한 다른 블록바디(10)의 살빼기 공간에 각각 삽입 연결하는 인접블록결속부재(CC)가 구비되는데,
상기 인접블록결속부재(CC)는 이음부(CC1)와, 상기 이음부(CC1)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블록바디(10)와 인접한 다른 블록바디(10)의 살빼기 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결속부(CC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인접블록결속부재(CC)에 의하여 인접한 블록바디(10) 간에 더욱더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되,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제1,2,3보강연결부재(R1, R2, R3) 중 제1,2보강연결부재(R1, R2)와 상기 제1보강연결부재(R1)를 변형시킨 제1-1보강연결부재(R1-1)를,
본 발명의 블록바디(10)에 연결하고, 상기 블록바디(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절토면 또는 바닥면에 시공된 지지콘크리트나 지지체와 연결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SS)는 지지몸체(SS1)와, 상기 지지몸체(SS1)의 측단 둘레에 소정 깊이의 결속홈(SS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강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조적된 블록들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홈(SS2)은 시공 환경에 따라 보강연결부재의 연결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SS)는 조적된 블록들이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연결부재를 통해 블록과 연결되는 것임으로, 내구성 및 적정 중량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보강토 옹벽 시공시, 절토된 바닥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옹벽 블록을 조적하게 된다.
그리고, 조적된 블록들을 잡아당겨 팽팽하게 긴장시킴으로써, 토압 등의 외부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연결부재가 연결된다.
이때, 보강연결부재는 조적된 블록과 절토면에 타설된 지지콘크리트 또는 지지체 등에 연결되는데,
상기 보강연결부재로는 크게 일단(一端)이 절곡된 철재로 이루어진 스틸바(Steal-Bar)형 제1보강연결부재와,
인장강도(引張强度) 및 인장 탄성계수가 우수한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ㄷ'자로 교호(交互)되게 연결된 형상의 폴드-락-스트립(Fold Lock Strip)형 제2보강연결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2보강연결부재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진 지오그리드(Geogrid)형 제3보강연결부재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다기능 블록은 상기 각 제1,2,3보강연결부재(R1, R2, R3)에 모두 적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1보강연결부재(R1)의 절곡된 일단을 블록바디(10)에 형성된 수직결합홈(30A)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향하는(즉, 지지콘크리트나 지지체에 연결되기 위하여) 절곡된 타단은 상기 수직결합홈(30A)에 연결된 수직지지홈(30B)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도 5를 참조)
그리고, 상기 제1보강연결부재(R1)의 변형된 형상인, 즉 일단이 블록바디(10)에 형성된 수평결함홈(40A)에 수평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체(SS)의 결속홈(SS2)에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제1-1보강연결부재(R1-1)는,
일단이 블록바디(10)의 수평결함홈(40A)에 수평으로 삽입되되, 도 6에서와 같이 인접한 블록바디(10)의 수평결함홈(40A)에도 삽입되어 절곡된 타단이 수직지지홈(30B)을 지나 지지체(SS)의 결속홈(SS2)에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강연결부재(R2)는 블록바디(10)에 형성된 수평결합홈(40A)과 그 양단에 형성된 수평지지홈(40B)에 삽입되어, 즉 'ㄷ'자 형상 부분에 맞게 삽입되고 교호적으로 연결된 대편(對便) 'ㄷ'자 형상 부분이 지지체(SS)의 결속홈(SS2)에 연결 고정된다.(도 7을 참조)
여기서, 상기 지지체(SS)는 도면에서 결속홈(SS2)이 수평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보강연결부재(R3)는 블록바디(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하고, 그 상부에 조적되는 블록바디(10)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즉, 상,하에 위치한 블록바디(10)의 각 상하결합부(20A) 및 대응상하결합 부(20B)가 서로 암수 결합을 하게 됨으로써, 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3보강연결부재(R3)가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도 8을 참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고정고리용 앙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고정고리용 앙카와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결속부재를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에 따른 계산된 경사각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적정 다단 높이로 다기능 블록을 조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조적된 다기능 블록에 블록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연결하여 두었던 결속부재를 블록연결부재에 연결하여 긴장을 유지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만큼 흙을 매립하고 다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계획된 높이만큼 다기능 블록을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다짐 후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인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의 다른 예로써 조적되는 다기능 블록의 높이에 따라 고정고리용 앙카의 수량을 늘려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 다.
한편, 도 11 내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법은,
1) 제1단계
옹벽(W)을 구축하기 위하여 해당위치의 상부로부터 최하부 바닥까지 소정의 높이로 절토(切土)하는 단계.
2) 제2단계
절토 바닥면에 기초 콘크리트(1)를 타설하면서 고정고리용 앙카(100)를 심는 단계.
이때,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는 절곡부(110)와, 그리고 후술할 결속부재(3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고리부(120)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의 절곡부(110)가 콘크리트 양생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는 도면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1에서와 같이 시공 환경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고리용 앙카(100)를 설치하여 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3) 제3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1)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를 설치하는 제3단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는 다기능 블록(B)이 시공되는 방향에 나란히 설치되는 수직 임시 봉으로써, 상단에는 인출용 고리(210)를 포함하고 있어 시공이 마무리되면 상기 인출용 고리(210)를 굴삭기나 별도의 풀러(puller)를 이용하여 잡아 당겨 매립토에서 인출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는 결속부재(300)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즉, 단계적으로 조적하는 다기능 블록(B)에 결속부재(300)가 연결되기 위하여 최초 다기능 블록(B)을 적정 수량만큼 조적하고 이에 결속부재(300)를 연결하고 흙을 매립한 후 다지게 되므로,
흙을 매립할 때에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별도의 고정 수단(예로 클램프 또는 철사 등)인 연결구(310)를 통해 상기 결속부재(300)를 잡아주게 되면, 매립토에 의해 파묻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결속부재(300)는 다기능 블록(B)을 조적하면서 단계적으로 상기 연결구(310)를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4) 제4단계
복수의 결속부재(300) 일단(一端)을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에 연결하고, 타단(他端)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적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단계.
이때,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상기 결속부재(300)의 타단을 연 결하되, 적정 다단으로 조적되는 다기능 블록(B)에 상기 결속부재(300)가 연결될 때에 경사각을 가지도록 즉, 상기 결속부재(300)가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에서 출발하여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B)에 연결되기까지의 형태가 수평이 아닌 상방으로 사선지게 하고, 이를 계산하여 각 결속부재(300)를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300)는 인장력이 강한 재질로써, 특히 매립토의 토압을 견뎌낼 수 있는 철근, 와이어 로프, 토목섬유 로프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제5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1)에 적정 다단(多段) 높이로 다기능 블록(B)을 조적(組積)하는 단계.
시공 환경에 따라 적정 수량을 선택하여 조적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다기능 블록(B)을 조적토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로써 한정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적정 다단 높이로 조적된 다기능 블록(B)을 이후 "적정조적블록체(UB)"라고 칭한다.
6) 제6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B)에서 블록바디(10)의 상하결합부(20A)와 대응상하결합 부(20B)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5단계에서 상하로 조적된 다기능 블록(B)간의 이격공간부(S)에 메움부재(P)를 충진하는 단계;
7) 제7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B)에서 블록바디(10)의 연결홈(50)에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B) 중 최상단 다기능 블록(B)의 연결홈(50)에 블록연결부재(BC)를 결합하는 단계;
이때, 상기 블록연결부재(BC)는 최상단에 위치한 다기능 블록(B)에만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조적된 각 단별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8) 제8단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연결해 두었던 상기 결속부재(300) 중 최하단 결속부재(300)를 선택하여 타단(他端)을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연결한 다음 긴장을 유지시키는 단계.
9) 제9단계
상기 적정조적블록체(UB) 높이만큼 흙으로 매립하고 다지는 단계.
10) 제10단계
상기 제5,6,7,8,9단계를 반복하여 계획된 높이만큼 시공하되, 제5단계에서는 적정조적블록체(UB) 상부에 적정조적블록체(UB)를 연속으로 조적하게 되고, 제8단계에서는 최하단 결속부재(300)의 상단에 위치한 결속부재(300)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단계.
11) 제11단계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를 인출(引出)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300)에는 인장보강재(400)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속부재(300)가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연결되면 상기 인장보강재(400)에 의하여 긴장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은,
우선 고정고리용 앙카(100)의 고리부(120)를 남겨놓고 절곡부(110)는 콘크리트 양생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고,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를 설치한 후,
고정고리용 앙카(100)의 고리부(120)에 결속부재(300)의 일단을 연결하며, 타단은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 옆으로 지나가고, 어느 정도 팽팽하게 당겨지게 하여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접촉되는 부분을 고정수단으로 써 즉 연결구(310)로 임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결속부재(300)는 다기능 블록(B)의 다단 높이 방향으로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적정조적블록체(UB)를 기초 콘크리트(1)에 조적하고, 최상단 다기능 블록(B)에서 블록바디(10)의 연결홈(50)에 블록연결부재(BC)를 결합한다.
최하단의 결속부재(200)는 연결구(310)를 해제하여, 상기 결속부재(200)의 타단을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고정하게 되고,
결속부재(200)에 구비된 인장보강재(400)(예로 버클(buckle))를 이용하여 팽팽하게 잡아당겨 긴장을 조절함으로써 유지시키게 된다.
즉,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인장보강재(400)는 양단에 나사선 홈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선 홈에 상기 결속부재(200)가 체결되되, 체결되는 부위는 상기 각 나사선 홈에 대응되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장보강재(40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부재(200)가 잡아당겨 지거나 풀리게 되는 등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적정조적블록체(UB)의 높이만큼 흙을 매립하고 다지게 된다.
다시 적정조적블록체(UB)를 조적하고, 블록연결부재(BC)를 연결홈(50)에 결합하며,
최하단의 결속부재(200)의 상단에 위치한 다른 결속부재(200)의 연결구(310) 를 해제하여, 상기 결속부재(200)의 타단을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연결하고, 인장보강재(400)를 통해 긴장을 유지시켜며, 상기 적정조적블록체(UB)의 높이만큼 흙을 매립하고 다지게 된다.
상기를 반복하여 계획된 높이만큼 옹벽(W)을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법은 시공이 쉽고 시공이 완료되고 난 이후에 보강토 시설물 안쪽에 건물 기초파일, 지하주차장, 정화조, 각종 구조물 매설, 조경 나무 심기 등을 할 수 있으며, 천재지변에 따른 소실에 대해 개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이 조적되고, 이격공간부와 이에 충진되는 메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1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2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블록연결부재와 제3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서 동일단에 조적된 블록바디 간에 좌우결합부와 대응좌우결합부를 통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에 식생보조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고정고리용 앙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기초 콘크리트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고정고리용 앙카와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결속부재를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에 따른 계산된 경사각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적정 다단 높이로 다기능 블록을 조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조적된 다기능 블록에 블록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에 연결하여 두었던 결속부재를 블록연결부재에 연결하여 긴장을 유지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조적된 다기능 블록 높이만큼 흙을 매립하고 다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계획된 높이만큼 다기능 블록을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에서 다짐 후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를 인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법의 다른 예로써 조적되는 다기능 블록의 높이에 따라 고정고리용 앙카의 수량을 늘려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블록바디
20A: 상하결합부 20B : 대응상하결합부
30 : 수직보강연결부
30A : 수직결합홈 30B: 수직지지홈
40 : 수평보강연결부
40A : 수평결합홈 40B : 수평지지홈
50 : 연결홈
60A : 좌우결합부 60B : 대응좌우결합부
70 : 결합부
71 : 삽입안내부 72 : 고정돌기부
80 : 식생보조블록
81 : 베이스
811 : 수납공간부
82 : 대응결합부
821 : 대응삽입안내부 822 : 대응고정돌기부
823 : 고정턱
S : 이격공간부
P : 메움부재
100 : 고정고리용 앙카
110 : 절곡부 120 : 고리부
200 : 결속부재
210 : 연결구
300 :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
310 : 인출용 고리
400 : 인장보강재

Claims (10)

  1. 블록바디(10);
    상기 블록바디(10)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20A)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20B);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30A)과, 상기 수직결합홈(30A)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30B)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30); 및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40A)과, 상기 수평결합홈(40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40B)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결합부(20A)와 상기 대응상하결합부(20B)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격공간부(S)를 통해 상하로 조적되는 상기 블록바디(10)를 경사진 조적 형태로 시공 가능하고,
    상기 블록바디(10)에 연결홈(5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연결홈(50)에 상기 블록바디(10)와 동일단(段)의 다른 블록바디(10)들과의 수평 연결을 위한 블록연결부재(BC)가 삽입되며,
    상기 이격공간부(S)는 메움부재(P)가 충진되고,
    상기 블록바디(10)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삽입안내부(71)와 상기 삽입안내부(71)에 교차되게 연결 형성된 고정돌기부(72)를 포함하는 결합부(70)가 구비되며,
    조경(造景)용 화분이나 조경용 식물이 식재(植栽)되기 위한 토사를 채워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부(811)를 갖는 베이스(81)와, 상기 베이스(81)의 후면에 상기 결합부(70)의 삽입안내부(71) 및 고정돌기부(72)에 각각 대응되어 암수 결합되는 대응삽입안내부(821) 및 대응고정돌기부(822)를 갖는 대응결합부(82)를 포함하는 식생보조블록(8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암(雌) 또는 수(雄)인 좌우결합부(60A)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좌우결합부(60B)가 대응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결합부(60A)와 상기 대응좌우결합부(60B)가 서로 암수 결합될 때에 결합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블록바디(10)와 동일단의 다른 블록바디(10)와의 전후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6. 삭제
  7. 옹벽(W)을 구축하기 위하여 해당위치의 상부로부터 최하부 바닥까지 소정의 높이로 절토(切土)하는 제1단계;
    절토 바닥면에 기초 콘크리트(1)를 타설하면서 절곡부(110)와 고리부(120)로 이루어진 고정고리용 앙카(100)의 절곡부(110)를 심는 제2단계;
    상기 기초 콘크리트(1)에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를 설치하는 제3단계;
    복수의 결속부재(300) 일단(一端)을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의 고리부(120)에 연결하고, 타단(他端)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적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제4단계;
    블록바디(10)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하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암(雌) 또는 수(雄)인 상하결합부(20A)와 수(雄) 또는 암(雌)인 대응상하결합부(20B)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결합홈(30A) 그리고 상기 수직결합홈(30A)에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수직지지홈(30B)으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연결부(30)와, 상기 블록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결합홈(40A)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홈(40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두 수평지지홈(40B)으로 이루어진 수평보강연결부(40)를 포함하는 다기능 블록(B)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1)에 적정 다단(多段) 높이로 조적(組積)하는 제5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B)의 상하결합부(20A)와 대응상하결합부(20B)는 서로 암수 결합시 이격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5단계에서 상하로 조적된 다기능 블록(B)간의 이격공간부(S)에 메움부재(P)를 충진하는 제6단계;
    상기 다기능 블록(B)의 블록바디(10)에 연결홈(5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B) 중 최상단 다기능 블록(B)의 연결홈(50)에 블록연결부재(BC)를 결합하는 제7단계;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연결해 두었던 상기 결속부재(300) 중 최하단 결속부재(300)를 선택하여 타단(他端)을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연결한 다음 긴장을 유지시키는 제8단계;
    상기 조적된 다기능 블록(B) 높이만큼 흙으로 매립하고 다지는 제9단계;
    상기 제5,6,7,8,9단계를 반복하여 계획된 높이만큼 시공하되, 제5단계에서는 조적된 다기능 블록(B) 상부에 적정 다단 높이로 다기능 블록(B)을 조적하게 되고, 제8단계에서는 최하단 결속부재(300)의 상단에 위치한 결속부재(300)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제10단계; 및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홀딩용 임시 비계파이프(200)에 구비된 인출용 고리(210)를 인출(引出)하는 제11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00)는 인장보강재(400)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장보강재(400)는 상기 고정고리용 앙카(100)와 상기 블록연결부재(BC)에 연결되는 상기 결속부재(300)의 긴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강재에 의한 뒷채움 시공 구간 단축 및 활용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 시공법.
KR1020080052994A 2008-06-05 2008-06-05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Active KR10087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94A KR100870150B1 (ko) 2008-06-05 2008-06-05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94A KR100870150B1 (ko) 2008-06-05 2008-06-05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150B1 true KR100870150B1 (ko) 2008-11-24

Family

ID=4028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94A Active KR100870150B1 (ko) 2008-06-05 2008-06-05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15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50B1 (ko) * 2010-05-11 2011-03-17 김지훈 경량 고무블록
KR101167561B1 (ko)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복원 옹벽축조용 블록
KR101167559B1 (ko)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67705Y1 (ko) * 2009-10-12 2013-07-05 주식회사 한포스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50108B1 (ko) 2012-11-23 2014-01-08 임재욱 조립식 지주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63557B1 (ko) * 2013-07-01 2014-02-27 주식회사 이앤앤이 식생 옹벽 축조물
KR20190006651A (ko) * 2017-07-11 2019-01-21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63958B1 (ko) * 2020-09-25 2021-06-14 주식회사 광주기초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797977B1 (ko) * 2023-12-20 2025-04-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절성토부 psc 블록식 곡선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JP2002161538A (ja) * 2000-11-27 2002-06-04 Maeda Seikan Kk 植生型積みブロック
KR200386423Y1 (ko) *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KR20070101940A (ko) * 2006-04-13 2007-10-18 호암건설(주) 식생 옹벽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JP2002161538A (ja) * 2000-11-27 2002-06-04 Maeda Seikan Kk 植生型積みブロック
KR200386423Y1 (ko) *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KR20070101940A (ko) * 2006-04-13 2007-10-18 호암건설(주) 식생 옹벽 블록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05Y1 (ko) * 2009-10-12 2013-07-05 주식회사 한포스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21650B1 (ko) * 2010-05-11 2011-03-17 김지훈 경량 고무블록
KR101167561B1 (ko)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복원 옹벽축조용 블록
KR101167559B1 (ko) 2010-06-15 2012-07-27 주식회사 환경그룹 식생(植生)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50108B1 (ko) 2012-11-23 2014-01-08 임재욱 조립식 지주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63557B1 (ko) * 2013-07-01 2014-02-27 주식회사 이앤앤이 식생 옹벽 축조물
KR20190006651A (ko) * 2017-07-11 2019-01-21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45117B1 (ko) * 2017-07-11 2019-12-05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63958B1 (ko) * 2020-09-25 2021-06-14 주식회사 광주기초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2446644B1 (ko) 2022-02-16 2022-09-22 김석환 태양광 발전선로의 전력전송 루트를 구비하는 절토 가이드 옹벽 시스템
KR102797977B1 (ko) * 2023-12-20 2025-04-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절성토부 psc 블록식 곡선형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150B1 (ko) 다기능 보강토 옹벽 블록 및 그 시공법
US6089792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WO2005100700A1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10482200U (zh) 高陡河道岸坡生态护岸结构
KR101031583B1 (ko)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KR101175098B1 (ko) 중간 보조지지대를 이용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KR100654936B1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KR100822265B1 (ko) 자연석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0923290B1 (ko) 교량의 교대구조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JPH0988080A (ja) 土留め構造体
KR100750703B1 (ko)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2522826B1 (ko) 그리드와 강봉이 사용되며 다양한 설치가 가능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CN214656819U (zh) 一种小型预制混凝土装配式可调坡度梯型渠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101149038B1 (ko) 수평지오그리드와 수직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S17-X000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5-X000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S17-X000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S14-X000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S16-X000 Recordation of exclusive voluntary license cancell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6-lic-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S17-X000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S17-X000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1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1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