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8357B1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357B1
KR100868357B1 KR1020060082149A KR20060082149A KR100868357B1 KR 100868357 B1 KR100868357 B1 KR 100868357B1 KR 1020060082149 A KR1020060082149 A KR 1020060082149A KR 20060082149 A KR20060082149 A KR 20060082149A KR 100868357 B1 KR100868357 B1 KR 10086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message
emergency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728A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357B1/ko
Priority to US11/643,921 priority patent/US20080070546A1/en
Priority to CNA2007100042555A priority patent/CN101137218A/zh
Publication of KR2008002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3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4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broadcast or multicast in a specific location, e.g. geo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4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non-centralised forwarding system, e.g. chain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휴대 단말기에서 감지하는 긴급 상황 정보를 다른 휴대 단말기들로 전달하여 공유하고,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들은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시 그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에 대하여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휴대 단말기에서 이벤트 발생 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서비스 영역 내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은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그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60082149
휴대 단말기, 긴급 상황, CBS, GPS, 이동통신 시스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CING A STATE OF EMERGENC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을 공유하는 개념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긴급 메시지의 송수신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긴급 상황을 다른 휴대 단말기들과 공유하고, 상기 긴급 상황 수신 시 경보를 자동 출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등의 다양한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의 보급률이 급속도록 증가하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문자 서비스를 비롯하여, 각종 부가기능을 구비한 복합 정보화 기기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부가기능 중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를 통해 지구상에 떠 있는 GPS 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GPS 수신기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 지도정보 또는 교통상황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그에 따른 교통정보 등만을 제공할 뿐이므로, 긴급 상황(예컨대, 교통사고 또는 도로공사 등)과 같은 다이나믹(dynamic)한 상황들에 대해서는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감지하는 긴급 상황들을 다른 휴대 단말기들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핫키 입력을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등록 위치정보에 접근하면 긴급 상황 알람을 자동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신 휴대 단말기로부터 긴급 메시지를 전달받아,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내의 다수의 휴대 단말기들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사전 설정 방식으로 통지(notice)함으로써, 상기 긴급 메시지의 정보를 다수의 휴대 단말기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긴급 메시지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등록하는 위치정보에 근접하는 위치로 접근하면, 설정된 방식에 의거하여 해당 경보를 자동 발생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발신 휴대 단말기에서 이벤트 발생 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이동통신 시스템 서비스 영역 내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은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그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이벤트 발생 시 휴대 단말기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 및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 휴대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수신 시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가 사전 약속된 긴급 메시지이면 상기 긴급 메시지를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들로 통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메시지 내의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위치정보가 상기 저장 위치정보에 근접하면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 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그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제2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상황 감지(예컨대, 설정된 핫키(Hot Key) 입력)시 생성하는 모든 메시지 형태들을 '긴급 메시지'라 명명한다. 즉, 이하에서 기술되는 상기 '긴급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e-mail) 및 동영상 메일 서비스 등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가능한 모든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을 공유하는 개념 설명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핫키(Hot Key) 입력에 따라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발신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로 통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300)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에서 통지하는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 및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을 통해 음성 통신 및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와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구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신 휴대 단말 기(100)와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라 명명하고,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를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510 내지 530)라 명명한다.
먼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이벤트(event)(예컨대, 핫키 입력)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정보(예컨대, 교통사고, 도로공사, 화재 등)를 검출한다. 이어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위치정보와 긴급정보에 의거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상기 긴급정보 및 긴급 메시지에 대해서는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이벤트가 핫키 입력 등이 아닌 충격감지신호에 의한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예컨대, 충격 감지 등)에 대응하는 긴급정보(예컨대, 교통사고 등)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긴급정보에 의거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동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충격 감지는 사용자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에어백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충격감지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 체적으로,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충돌 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감지신호를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충격감지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하는 충격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위치정보 산출을 위해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300)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긴급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한다. 상기 긴급 메시지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에서 설명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기지국(BS, Base Station),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및 정보제공 서버(예컨대, 메시지 서비스 센터, 모바일 방송 서비스(MBS, Mobile Broadcasting Service) 서버, 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서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간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network)를 제공한 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간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채널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휴대 인터넷(Portable Internet)(예컨대, 무선 광대역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에서 통지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 내의 긴급정보와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후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자신의 위치정보 검출을 통해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에 근접하는 위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긴급정보를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 출력은, 지도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알림 방식 중 어느 하 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위치정보 검출을 위해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긴급 메시지의 송수신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순도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교통정보 제공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 2의 절차에 의거한 다양한 응용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는 설정 방식에 따라 화재 등에 대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른 다수의 휴대 단말기들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2의 절차에서 교통정보 제공 단계(S20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GPS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한다(S201).
상기 S201단계에서, 상기 교통정보는 GPS를 통해 제공 가능한 일반적인 도로상황, 과속방지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교통정보 제공 중에 핫 키(Hot-key)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S203).
상기 S203단계에서, 상기 핫키란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사의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바로가기 키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긴급 메시지 생성을 위한 바로가기 키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핫키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핫키들은 특정 숫자키 또는 단축키들을 활용하고, 각각의 키들에 서로 다른 긴급정보들을 매핑(mapping)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핫키에 그 눌림 방식에 따라 매핑되는 서로 다른 긴급정보들을 매핑할 수 있다.
상기 긴급정보는 상기 도 2의 예의 경우 도로 구간별 교통 상황, 사고, 공사 등의 교통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긴급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른 긴급정보(예컨대, 화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키 및 긴급정보에 대한 예를 살펴보면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2236380-pat00001
Figure 112006062236380-pat00002
상기 <표 1>은 숫자키(예컨대, 1 내지 5의 숫자키)에 핫키(예컨대, 핫키1 내지 핫키 5)를 등록하고, 각각의 핫키(예컨대, 핫키1 내지 핫키5)에 긴급정보를 매핑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는 핫키로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륨 키를 등록하고, 상기 볼륨 키의 눌림 방식에 따라 긴급정보를 매핑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핫키의 등록 및 매핑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핫키가 입력되면 긴급 메시지를 생성(S205)하고, 상기 생성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207).
상기 S205단계 및 상기 S207단계에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교통정보 제공 중에, 사용자로부터 사전 설정된 핫키가 입력되면 이를 판단한다. 즉,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되는 핫키를 그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표 1> 또는 <표 2>에 의거하여 판단하고, 상기 핫키에 대응된 긴급정보를 추출한다. 아울러,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핫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를 산출한다.
상기 위치정보 산출은 GPS 또는 기지국(BS, Base Station)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GPS에 의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함에 따라 상기 GPS에 의한 발신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긴급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긴급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e-mail) 및 동영상 메일 서비스 등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 가능한 메시지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상기 긴급 메시지는 상기 긴급정보(예컨대, 교통사고)와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를 포함한다. 상기 긴급 메시지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를 긴급 메시지 헤더(header)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메시지가 생성되면 코드 형태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긴급 메시지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목적(target)으로 하는 특정 수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의 수신정보(예컨대,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의 수신정보 입력 없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으로 긴급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핫키의 입력이 사용자 입력인 경우,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는 긴급 메시지 입력창을 활성화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긴급 메시지 입력창에는 상기 위치정보를 자동 입력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긴급정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를 분석한다(S209).
상기 S209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수신하는 긴급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긴급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구분자를 통해 긴급 메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긴급 메시지로 판단하면, 상기 긴급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300)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로 전송한다(S211).
상기 S211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모바일 방송 서비스(MBS, Mobile Broadcasting Service) 및 셀 방송 서비스(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등에 의거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긴급 메시지에 특정 수신 휴대 단말기의 수신정보가 포함되면,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수신 휴대 단말기로만 상기 긴급 메시지를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다수개의 휴대 단말기들 중 상기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휴대 단말기들에 대해서만 상기 긴급 메시지를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셀 방송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휴대 단말기들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213).
상기 S213단계에서,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파싱(parsing)하여 사전 약속된 긴급 메시지인 경우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상기 획득하는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하는 위치정보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에 근접하는 위치정보이면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은 경보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 출력은 지도 서비스 기능 등과 연동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표시와 더불어 주의 메시지 및 경보음(예컨대, 음성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의 메시지는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에 대응하게 출력되는 메시지이다.
상기 수신 휴대 단말기들(510 내지 530)의 긴급 메시지 수신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300)의 긴급 메시지 전송 방식(예컨대, 유니캐스팅, 멀티캐스팅, 브로드캐스팅)에 따라 어느 하나의 수신 휴대 단말기 또는 다수의 특정 수신 휴대 단말기 또는 전체 수신 휴대 단말기들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표시, 주의 메시지 및 경보음 출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살펴보면 하기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긴급 메시지에서 획득하는 위치정보에 근접하면, 지도 서비스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마킹(marking)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긴급 메시지에서 획득하는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주의 메시지를 화면상에 팝업 또는 오버레이 등의 형태로 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경보음(예컨대, 음성 데이터)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 휴대 단말기로서의 동작과 수신 휴대 단말기로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발신 휴대 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핫키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핫키에 상응하는 위치정보와 긴급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수신 휴대 단말기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파싱하여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지도 서비스 기능을 통해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긴급정보에 대응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410), 데이터 처리부(420), 오디오 처리부(430), 키입력부(440), 메모리(450), 표시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핫키 감지부(471), 위치정보 검출부(473), 긴급정보 검출부(475), 긴급 메시지 생성부(477), 메시지 파싱부(481), 위치정보 추출부(483), 위치정보 비교부(485) 및 경보 출력부(487)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예컨대, 긴급 메시지) 등의 송수신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43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상기 키입력부(440)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문자 데이터 및 상기 무선통신부(4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예컨대,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는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예컨대, 경보음, 주의 메시지 음성)를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는 상기 무선통신부(41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4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디오 처리부(43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4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볼륨 키, 단축키 및 핫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44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상기 메모리(4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45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핫키 감지 기능, 긴급 메시지 생성 기능, 위치정보 검출 기능, 긴급 메시지에 따른 경보 출력 기능 및 지도 서비스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과,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7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 데이터(예컨대, 이미지, 동영상,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지도 데이터, 위치정보 및 긴급 메시지 등)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60)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지도 데이터, 긴급정보에 따른 주의 메시지, 기능 설정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46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4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 키입력부(440), 메모리(450) 및 표시부(46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420)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470)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핫키 감지부(471), 위치정보 검출부(473), 긴급정보 검출부(475) 및 긴급 메시지 생성부(477)와, 상기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파싱부(481), 위치정보 추출부(483), 위치정보 비교부(485) 및 경보 출력부(487) 등을 포함한다.
상기 핫키 감지부(471)는 핫키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핫키는 긴급 메시지 생성을 위한 바로가기 키를 나타낸다. 상기 핫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473)는 상기 핫키 감지부(471)에서 핫키 입력을 감지하면, 그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위치정보 검출은 GPS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긴급정보 검출부(475)는 상기 핫키 감지부(471)에서 핫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핫키에 매핑된 긴급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긴급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긴급 메시지 생성부(477)는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473)에서 검출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정보 검출부(475)에서 검출하는 긴급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470)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경로를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 파싱부(481)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를 파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구분한다. 즉, 상기 메시지 파싱부(481)는 상기 수신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인지 일반 문자 메시지인지를 구분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메시지 파싱부(481)는 상기 메시지 헤더의 구분자 확인을 통해 상기 긴급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추출부(483)는 상기 수신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이면,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450)에 저장한다.
상기 위치정보 비교부(485)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였는지에 대한 결과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정보 검출부(473)에서는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위치정보 비교부(485)에서 상기 검출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 위치정보의 비교를 수행한다.
상기 경보 출력부(487)는 상기 위치정보 비교부(473)에서의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경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GPS 수신기를 비롯하여 카메라부 및/또는 디지털 방송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핫키 입력에 따라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구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상기한 긴급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는 경우, 상기 긴급 메시지 자동 생성을 위한 이벤트(예컨대, 충격 감지)를 감지할 수 있는 이벤트 감지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에어백 시스템으로부터 충격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문자 메시지의 랜덤 전송을 위한 문자 메시지의 등록, 설정 및 전송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하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핫키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S501). 상기 S501단계에서의 체크결과 핫키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와 상기 핫키에 매핑된 긴급정보를 검출한다(S503, S505).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2를 참조한 상기 <표 1> 및 <표 2>의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긴급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S507)하고, 상기 생성하는 긴급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509).
상기 S507단계 및 상기 S509단계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전자메일 및 동영상 메일 서비스 등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 가능한 메시지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긴급정보를 비롯하여 상기 긴급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핫키 입력에 따라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동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감지신호 등에 의거하여 긴급정보(예컨대, 교통사고)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메시지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S601).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S601단계에서의 체크결과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메시지를 파싱(parsing)(S603)하여, 상기 수신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인지 일반 문자 메시지인지 판단한다(S605).
상기 S605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의 구분자 확인을 통해 상기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인지 일반 문자 메시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6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일반 메시지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전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S607).
상기 S607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가 일반 문자 메시지이면 문자 서비스 기능에 설정된 방식(예컨대, 수신 메시지 내용 표시 설정 방식)에 따른 표시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60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긴급 메시지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예컨대, 위치 좌표 값)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609).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검출(S611)하여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와 비교한다(S613). 이러한 비교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에 접근하였는지 판단한다(S615).
상기 S615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에 접근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경보를 출력한다(S617). 상기 경보 출력은 상기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 출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서 감지하는 긴급 상황들을 다른 휴대 단말기들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핫키 입력 시 그에 대응하는 긴급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다른 휴대 단말기들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들에서는 상기 긴급 메시지에 의거하여 긴급정보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 상황 발생에 미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 단말기가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하면 긴급 상황에 따른 경보를 자동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 발생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7)

  1.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휴대 단말기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정보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선택적인 수신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의 수신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 휴대 단말기로 유니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으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휴대 단말기는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가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가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지도 데이터에 상기 위치정보 표시와 함께 상기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에 의한 키 이벤트 및 차량으로부터 상기 발신 휴대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모바일 방송 서비스(MBS) 및 셀 방송 서비스(CBS)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메시지 내의 발신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하는 위치정보와 상기 발신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가 상기 발신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발신 위치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위치정보 표시와 함께 상기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지도 데이터에 상기 발신 위치정보를 마킹(marking)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주의 메시지를 상기 발신 위치정보에 대응하게 상기 지도 데이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주의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신 정보 제공 방법.
  17.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긴급정보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의 위치정보 및 선택적인 수신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부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의 수신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로 유니캐스팅,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 중 어느 하나의 전송 방식으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긴급 메시지 수신 시 상기 긴급 메시지가 포함하는 위치정보 및 긴급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지도 데이터에 상기 위치정보 표시와 함께 상기 긴급정보에 대응하는 경보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에 의한 키 이벤트 및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에 전달되는 충격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정보 제공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모바일 방송 서비스(MBS) 또는 셀 방송 서비스(CBS)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통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2. 삭제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핫키 입력을 감지하는 핫키 감지부와,
    상기 핫키 입력 시 제1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상기 핫키 입력 시 상기 핫키에 매핑된 긴급정보를 검출하는 긴급정보 검출부와,
    상기 위치정보와 긴급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하는 메시지를 파싱하여 긴급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 파싱부와,
    상기 긴급 메시지 내의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정보 추 출부와,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그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정보 비교부와,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거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비교부는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해당 위치가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의 해당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한 결과정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은
    지도 서비스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정보들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저장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마킹(marking)하여 표시하고,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는,
    핫키 입력을 감지하는 핫키 감지부와,
    휴대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상기 핫키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핫키에 매핑된 긴급정보를 검출하는 긴급정보 검출부와,
    상기 위치정보와 긴급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는 긴급 메시지 생성부와,
    수신하는 긴급 메시지 내의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정보 추출부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하는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그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위치정보 비교부와,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하는 긴급정보 및 위치정보에 의거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60082149A 2006-08-29 2006-08-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149A KR100868357B1 (ko) 2006-08-29 2006-08-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US11/643,921 US20080070546A1 (en) 2006-08-29 2006-12-22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portable terminals
CNA2007100042555A CN101137218A (zh) 2006-08-29 2007-01-19 使用便携式终端的紧急情况通知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149A KR100868357B1 (ko) 2006-08-29 2006-08-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728A KR20080020728A (ko) 2008-03-06
KR100868357B1 true KR100868357B1 (ko) 2008-11-12

Family

ID=3916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357B1 (ko) 2006-08-29 2006-08-29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70546A1 (ko)
KR (1) KR100868357B1 (ko)
CN (1) CN1011372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5619T1 (de) 2006-04-18 2012-05-15 Research In Motion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szugang bei einer tragbaren vorrichtung
US9031207B2 (en) * 2006-12-18 2015-05-1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ddressed based E-911 calls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
US8290470B2 (en) * 2007-08-13 2012-10-1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during an emergency 911 call from a WiFi handset
KR20090021595A (ko) * 2007-08-27 2009-03-0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재난 발생 신호를 감지하여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 및 그장치
US8964945B2 (en) * 2007-09-28 2015-02-24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E-911 of network access devices registered with a network gateway
US8289953B2 (en) * 2007-10-16 2012-10-1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during an emergency 911 call from a softphone
US8624727B2 (en) * 2008-01-28 2014-01-07 Saigh And Son, Llc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8665089B2 (en) * 2008-01-28 2014-03-04 Saigh And Son, Llc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US8891749B2 (en) * 2008-02-21 2014-11-1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wireline telephone services to residences
KR101535183B1 (ko) * 2008-04-25 2015-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269395B1 (en) * 2008-04-25 2018-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19115B1 (en) 2008-05-12 2012-07-10 Google Inc. Location based reminders
GB2461685A (en) * 2008-06-30 2010-01-13 Symbian Software Ltd Location based service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face to face meetings
US8761720B2 (en) * 2008-07-03 2014-06-24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mmunicating updated emergency messages
US8976938B2 (en) * 2008-07-07 2015-03-10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Deluxe emergency notification
US20100056113A1 (en) * 2008-08-26 2010-03-04 At&T Mobility Ii Llc Location-Aware Voicemail
US9491307B2 (en) * 2009-02-24 2016-11-0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re-stored emergency messages
US20120309340A1 (en) 2011-06-01 2012-12-06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through messaging
US20100137006A1 (en) * 2008-12-02 2010-06-03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with vehicle interfa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280759B2 (en) * 2008-12-24 2016-03-08 Blackboard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lural notifications from plural sources
US8649759B2 (en) * 2009-01-28 2014-02-11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US8521122B2 (en) * 2009-01-28 2013-08-27 Blackberry Limited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mergency information
US8543081B2 (en) * 2009-01-28 2013-09-24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integrating emergency information in a mobile device
US8233918B2 (en) * 2009-08-20 2012-07-31 E-View Connections LLC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deliver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to an ad hoc group of mobile subscribers
US8471707B2 (en) 2009-09-25 2013-06-25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 sensors
US8849239B2 (en) * 2009-11-14 2014-09-30 Ohanes Der Ghazarian Impact sen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517186A4 (en) * 2009-12-21 2016-10-05 Intel Corp DISAST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2123357A (zh) * 2010-01-11 2011-07-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紧急呼叫请求处理方法、系统及设备
KR101650348B1 (ko) * 2010-01-13 201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US20120003955A1 (en) * 2010-06-30 2012-01-05 Lifestrea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2469209A (zh) * 2010-11-03 2012-05-23 沃凯尔有限公司 基于位置的个人紧急响应系统
US8922657B2 (en) * 2011-03-08 2014-12-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al-time video image analysis for providing security
US9317835B2 (en) 2011-03-08 2016-04-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opulating budgets and/or wish lists using real-time video image analysis
US9773285B2 (en) 2011-03-08 2017-09-2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viding data associated with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images
US9317860B2 (en) 2011-03-08 2016-04-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llective network of augmented reality users
US9224166B2 (en) 2011-03-08 2015-12-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trieving product information from embedded sensors via mobile device video analysis
US8610587B2 (en) * 2011-05-20 2013-12-17 Dovid Tropper Stand alone smoke detector unit with SMS messaging
US20120304021A1 (en) * 2011-05-24 2012-11-29 Sunita Mandav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ignal upon the occurrence of a crash
KR101110639B1 (ko) 2011-06-22 2012-06-12 팅크웨어(주)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18285A (zh) * 2011-11-14 2014-07-09 汤姆逊许可公司 向移动设备传递动态疏散信息
JP5820255B2 (ja) * 2011-12-09 2015-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CN103379430A (zh) * 2012-04-19 2013-10-3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紧急事件的通知方法、终端和服务器
CN103379445B (zh) * 2012-04-25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事故消息的发送方法、控制多播范围的方法及装置
JP5876371B2 (ja) * 2012-04-27 2016-03-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9221385B2 (en) * 2012-05-18 2015-12-29 Texas Emergency Network, LLC Emergency digital sign network with video camera, methods of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EP2852194B1 (en) * 2012-06-27 2016-11-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e and network device
US8666361B2 (en) 2012-07-17 2014-03-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ccess on a portable device
WO2014053949A2 (en) * 2012-10-01 2014-04-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hotkeys with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20140327519A1 (en) * 2013-05-03 2014-11-06 Nick Carroll Interactive safety system
CN103269410B (zh) * 2013-05-16 2016-06-08 李亚平 一种用于求助服务的移动设备及其实现方法
JP6561226B2 (ja) 2013-06-05 2019-08-21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ペイロードデータおよび緊急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WO2015001795A1 (ja) * 2013-07-03 2015-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配信装置、通信端末、配信方法、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8948720B1 (en) * 2013-08-22 2015-0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cting and handling regional events based on call analysis
US9173063B2 (en) * 2013-11-08 2015-10-27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locating method
CN105794237A (zh) * 2013-12-05 2016-07-20 斯文斯克安全服务公司 用于管理潜在的紧急情况的系统和方法
JP6416493B2 (ja) * 2014-04-24 2018-10-3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256683B1 (ko) * 2014-05-16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83370B2 (en) 2014-07-28 2018-01-30 Dan Kerning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enhanced incident reporting capabilities
US9773364B2 (en) 2014-07-28 2017-09-26 Dan Kerning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with audio/video analytics and access control authentication
US20160050037A1 (en) * 2014-08-12 2016-02-18 Valcom, Inc. Emergency alert notif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6036077A1 (ko)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장치 및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35136B1 (ko) * 2014-09-17 2016-06-30 김주형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635137B1 (ko) * 2014-09-17 2016-07-08 김주형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599485B1 (ko) * 2014-10-28 2016-03-14 김창우 셋탑박스를 기반으로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616459A (zh) * 2014-10-30 2016-05-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利用通訊裝置實現快速求救的系統及方法
US9466205B2 (en) 2015-02-17 2016-10-11 Ohanes D. Ghazarian Impact sens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N105049072A (zh) * 2015-06-15 2015-11-11 成都中微电微波技术有限公司 带gps天线的电子通信装置
US9955235B2 (en) * 2015-12-15 2018-04-24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an emergency alert message
US10795570B2 (en) * 2016-05-23 2020-10-06 Prepare Protect Defend, LLC Device and system having a user interface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US20180096587A1 (en) * 2016-10-05 2018-04-05 Alcatel-Lucent Usa Inc. Transmitting wireless alert messages at sub-cell granularity
US10171953B2 (en) * 2016-12-15 2019-01-01 At&T Mobility Ii Llc Vehicle event notification via cell broadcast
US11025607B2 (en) * 2016-12-15 2021-06-01 At&T Mobility Ii Llc V2X certificate management
US10270727B2 (en) * 2016-12-20 2019-04-23 Palantir Technologies, Inc. Short message communication within a mobile graphical map
US10412034B2 (en) 2016-12-22 2019-09-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notification recipient
CN110235455B (zh) * 2017-02-03 2021-11-1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多媒体广播多播业务的方法、用户设备和无线电网络节点
US10158974B1 (en) * 2018-01-20 2018-12-18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Community safety, security, health commun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with common short code SMS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6939630B2 (ja) * 2018-02-20 2021-09-2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端末装置および通知方法
US10270899B1 (en) 2018-03-06 2019-04-23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Community safety, security, health commun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providing emergency source tracking
JP6821620B2 (ja) * 2018-03-19 2021-01-27 Kddi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7110656B2 (ja) * 2018-03-26 2022-08-02 日本電気株式会社 支援装置、支援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支援システム
US10473468B1 (en) * 2018-09-12 2019-11-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updating of attributes of an area and status of devices within the area
US20200196128A1 (en) * 2018-12-12 2020-06-18 Carmen Chapados Network-based alert system and method
US11445327B2 (en) * 2020-08-28 2022-09-13 T-Mobile Usa, Inc. Mobile device intelligent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wireless emergency alerts
US12317163B2 (en) * 2022-06-14 2025-05-27 T-Mobile Usa, Inc.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emergency alerts via wireless networks
CN115802295B (zh) * 2023-02-02 2023-05-30 深圳方位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的隧道广播多播通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84A (ko) * 2004-02-06 2005-08-10 임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KR20070042817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급 상황 대처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의 위급상황 대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436A (ja) * 2001-09-12 2003-03-20 Nec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装置
US7233781B2 (en) * 2001-10-10 2007-06-19 Ochoa Op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content delivery
US7480501B2 (en) * 2001-10-24 2009-01-20 Statsignal Ipc,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over an integrated wireless network
AUPS123202A0 (en) * 2002-03-15 2002-04-18 Australian Arrow Pty Ltd Vehicle automatic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050037728A1 (en) * 2003-08-13 2005-02-17 Binzel Charles P. Emergency broadcast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221928B2 (en) * 2003-10-01 2007-05-22 Laird Mark D Mobile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TE394766T1 (de) * 2004-12-23 2008-05-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zum informieren mehrerer mobiler endgeräte über ein notereignis
US7801500B2 (en) * 2006-04-11 2010-09-2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7515041B2 (en) * 2006-04-29 2009-04-07 Trex Enterprises Corp. Disaster alert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84A (ko) * 2004-02-06 2005-08-10 임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KR20070042817A (ko) * 2005-10-19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급 상황 대처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의 위급상황 대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0546A1 (en) 2008-03-20
CN101137218A (zh) 2008-03-05
KR20080020728A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57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US10171983B1 (en)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based on an event at a geographical location
US8805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mobile devices in or proximate to an alert area
US8412238B1 (en)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based on an event at a geographical location
US118286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US20100297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Emergency Messages
JP5094456B2 (ja) 危険報知サーバ、危険報知方法、プログラム
US201002979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Emergency Messages
KR1008958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87509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9260528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緊急速報関連情報配信システム
EP175527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a vehicle
CN105898703B (zh) 一种已识别伪基站的管理方法及装置
KR101756766B1 (ko) 운전중 메시지 통합 제어장치와 방법
US20100105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07869A (ko) 고속도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776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10128963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위급 상태 통보 방법
KR101014334B1 (ko) 이동 속도에 연동하는 위치 알림 방법, 시스템 및 이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WO2017043960A1 (en) A system for triggering emergency assistance and method thereof
KR20160123749A (ko) Sns에 기반한 재난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542013B1 (ko) 텔레메틱스의 정보제공 방법
KR20050072002A (ko) 위치정보에 기반하는 선택적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0990377B1 (ko) 선택적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EP2647257A1 (en) Femtocell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814

Appeal identifier: 2008101005817

Request date: 20080620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6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722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6